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편년사료를 통해 본 조선시대 울릉도・독도

        김태훈 한일관계사학회 2022 한일관계사연구 Vol.77 No.-

        Anmusa and Gyeongchagwan and the repatriation of residents in the year of Taejong and Sejong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chieved policy results in preventing the looting and killing of the Japanese raiders in Ulleungdo and Dokdo, and the collusion of the people with the Japanese in advance. However, the Ulleungdo waters was blocked, and the coastal residents who could not cross the border produced rumors about Yodo and Sambongdo. On the other hand, after Territorial Dispute over Ulleungdo, the Joseon government raised interest in Ulleungdo and Dokdo from the end of the 17th to the 18th century by regularly doing Suto and seeking ways to utilize it, such as digging ginseng. And Ulleungdo and Dokdo became a little closer. It is no longer a rumor about an unknown island, but information and stories about Ulleungdo have piled up. In the background of the different appearances of the waters of Ulleungdo and Dokdo between early Joseon Dynasty and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ivilians visiting and living on the islands nationwide, and there was a change that was recognized as a space for production. And, for external factors, above all else, unlike the 15th century, when Japanese raiders were rampant, the East Sea in the 17th century was a safe sea. 조선전기 태종~세종 연간의 안무사, 순심경차관의 파견과 주민 쇄환은 울릉도・독도에서 왜구의 약탈과 살상, 그리고 백성들이 왜구와 결탁하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하는 정책상 성과를 거두었다. 하지만, 울릉도 해역이라는 공간은 차단되었고, 경계를 넘어설 수 없었던 연해 주민들은 요도와 삼봉도에 관한 풍문을 생산해냈다. 그에 반해 울릉도 쟁계 이후 17세기 말~18세기의 울릉도・독도에 대해서 조선 조정은 정기적으로 수토를 하고, 제한적이나마 채삼 등 활용 방안을 모색하면서 관심을 높여갔다. 그리고 울릉도・독도는 좀 더 가까운 공간이 되어갔다. 이제는 미지의 섬에 대한 풍문이 아니라, 울릉도에 관한 정보와 이야기가 쌓여갔다. 조선전기와 후기 울릉도・독도 해역이 그처럼 상이하게 다가온 배경에는 전국적으로 도서 지역에 대한 민간인의 왕래와 거주가 늘고, 생산의 공간으로 재인식되는 변화가 자리하고 있었다. 또 대외적 요인으로는 무엇보다 왜구가 횡행하던 15세기와는 달리 17세기 동해는 안전한 바다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 KCI등재

        조선의 대마도통치 전략과 일본과의 평화외교의 전략 고찰

        주노종 한국동북아경제학회 2014 동북아경제연구 Vol.26 No.4

        This paper is an ancient country Mahan, Baekje, Silla of the Korean peninsula consideredas parts of Daimado municipal territory to Joseon, military, mapping, taxation alsostudied the history of gender in relation to such a rule. We study the Daimado hadruled in parts of the country to the territory of Silla, Goryeo, Joseon, starting fromthe ancient country Baekje this paper. Joseon is always one of a number of Japanesepolitical power and politics, military, culture, etc. For those who enter into trade anddiplomatic tension on Joseon entry permit taking a <Haengjang> to Daimado Governor«Moonin» to control the entry of the Japanese were giving. It was formed throughJoseon peace and friendship between the political forces in Japan. However, as withthe Japanese military-industrial countries were destroyed by the Japanese annexationof Korea and Greater East Asia War. In this paper, the economic historian, early Joseongovernment strategy Daimado, Japan and peace diplomacy strategy, Daimado reignof King Sejong peace diplomacy strategy and country strategy with Japan, was investigateddestroy the peace process diplomacy with Japan and the Daimado reign of Joseon. The conclusion was a policy proposal.

      • KCI등재

        중·근세 조선인의 島嶼 경영과 경계인식 고찰

        손승철(Son, Seung-cheul) 한일관계사학회 2011 한일관계사연구 Vol.39 No.-

        울릉도와 독도 근해는 신라시대부터 우산국으로 기술되면서, 신라의 영토에 편입되어 있었다. 고려시대에 들어와서도 고려의 영토로 인식되었고, 1141년부터는 명주도의 관리구역이었다. 『高麗史』에 의하면 東界 울진현의 행정구역으로 소속되어 있었다. 그러나 1350년대에 왜구의 침입하면서, 울릉도는 동해안 지역을 약탈하기 위한 중간 거점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강원도를 비롯한 동해안지역에 대한 왜구의 침탈은 계속되자, 울릉도가 왜구침탈의 중간거점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조처로 "居民刷出"을 했다. 그런데 이러한 "居民刷出"이 일인사학자들에 의해 조선의 해양정책으로 규정되어 "空島政策"이란 용어로 불리게 되었다. 당시 대마도에서는 일본인의 울릉도 이주를 요청하였다. 이에 대해 태종은 일본인의 울릉도거주를 허용하는 것은 越境이므로 허락할 수 없다고 했다. 즉 일본인의 이주를 청한 것이나, 越境이어서 안된다고 한 것은 일본이나 조선의 울릉도에 대한 경계인식을 분명히 한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조선에서는 보다 적극적으로 울릉도 관리를 위해 "武陵等處按撫使"와 "武陵島巡審敬差官"을 파견하였고, 17세기 말 "안용복사건"을 계기로 搜討制가 제도화되어 1894년까지 지속되었다. 결국 "공도정책"이란 있지도 않았고, 오히려 "거민쇄출"도 울릉도를 경영하는 하나의 시책이었다. "居民刷出"을 시행하면서 조선에서는 按撫使 - 敬差官 - 搜討官을 파견하여 울릉도에 판한 도서경영을 지속적으로 유지해왔다. 한편 于山國이 于山과 武陵으로 기술되어 있는데, 우산과 무릉이 一島인가, 二島인가 하는 문제이다. 『고려사』나 『세종실록』에는 우산과 무릉이 두 섬으로 기술되었는데, 『신증여지승람』에는 한 섬으로 되어있다. 이 사료는 조선왕조가 동해의 도서에 대해 어떠한 영토인식을 가지고 있었는가를 설명해주는 하나의 사례이다. "一島說"과 "二島說"의 혼란은 『동국문헌비고』에 의해 완전히 "二島說"로 정리된다. 이는 1696년 안용복 도일사건이후 벌어진 조일간의 "울릉도쟁계"의 결과 나타난 영토인식의 변화라고 볼 수 있다. 결국 이러한 과정을 통해, "于山國은 于山과 武陵이며, 두 섬으로 되어있고, 于山은 독도, 武陵은 울릉도"라는 사실이 모두 증명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