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에서 몽원사(蒙元史) 이해의 전통과 신경향 ― “원조사(元朝史)”에서 “제국사”로의 이행과 지체 ―

        설배환 ( Seol Paehwan ) 중앙아시아학회 2020 中央아시아硏究 Vol.25 No.2

        This paper reviews the long-standing trajectory of the research achievements in the history of the Mongol-Yuan dynasty in China, focusing on Chinggis Qan. The Mongols called their medieval empire as “Yeke Mongol Ulus,” or the great Mongol empire. However, numerous Chinese scholars habitually names it as the “Yuan chao 元朝” and it seems to be a Chinese dynasty. This is not a strict expression academically. But the reality in China is not easy. The ideal of “da yitong 大一統”, or, great unification in Chinese history not only bound the territory and people inside the modern Chinese borderline, but also kept Chinggis Qan and his legacy close to Chinese history. It was a matter of struggle, beyond questions of historical facts. That does not change the historical facts of Chinggis Qan. However, Chinggis Qan, who came into the Great Wall, became a new symbol of China and Chinese history. With the symbolism and degradation of reportedly “Chinggis Qan’s tomb”(a shrine in reality) in Inner Mongolia, a few Mongols there, including Jinong, Tarqan and the shad Chagdarjab, a descendant of Chinggis Qan, unintentionally the Qan and his “tomb” to Han Chinese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e core of China’s perception of Chinggis Qan and the Yuan dynasty was sinicization, which did not always have the same implication. The sinicization and the Yuan dynasty was the imagination discovered in the Chinese-character and Confucian world by Han Chinese literati since the period of the Mongol empire. The heritage has been accumulated and evolved into a substance of politics, culture and thought. The ‘fragment’ of Chinese culture, which was partially realized and discovered by Han Chinese Confucian scholars in the thirteenth and the fourteenth centuries by Shizu, or the fifth emperor Qubilai, imprisoned Chinggis Qan and the Mongol empire, especially the Qa’an Ulus, as the sinicized Yuan dynasty. The shrinking of the Mongol and multifarious world “completely melted the Mongol empire into Chinese history.” The “great unifiction” of China by Chinggis Qan is now very closely linked to the Chinese national patriotism of China and its ‘national’ members. In brief, Chinggis Qan and the Yuan dynasty were a kind of ‘Utopia’ for Han Chinese people.

      • KCI등재

        大元帝國 시기 汪大淵이 구현한 동남아시아 -占城國의 해상 교역을 중심으로-

        윤은숙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23 中國硏究 Vol.94 No.-

        Daoyizhilüe, Zufanzhi, and Yingyashenglan are the representative Chinese text materials through which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circumstances of the South Sea region since the 13th century; however, there are considerable deviations of contents according to the period and narrator in spite of the same region. While Zufanzhi and Yingyashenglan focused on describing its relationship with China, such as paying a tribute to China and distance, Daoyizhilüe focused on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ts natural terrain and maritime trad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Dayuan Wang described Champa’s geopolitical characteristics and its aspects as a maritime trade partner as ‘Haichong(a strategic sea port).’ Champa was named because vessels had to reach here to trade as an intermediate anchorage in which the ships departing from China or the merchant ships entering East Asia via Java through the Indian Ocean had to anchor and get supplied with daily necessities such as water and firewoods, Since Marco Polo described prosperous Champa as ‘one independent world,’ Yuan Empire’s domination of trade route in South Sea began from the conquest of Champa. Yuan Empire was able to dominate maritime trade route in South Sea from Quanzhou through Champa and Java to India and accumulate enormous economic wealth, and the aspect of the Yuan Dynasty as a global empire in the 13th and 14th centuries was realized also in the seas as it was. 도이지략, 諸蕃志와 瀛涯勝覽 등은 13세기 이후 남해지역의 사정을 이해할 수 있는 대표적인 한문 사료이지만 같은 지역이라 할지라도 시기와 서술자에 따라 내용의 편차가 상당하다. 제번지와 영애승람은 중국에 대한 조공 여부, 거리 같은 중국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서술했지만, 도이지략에서는 자연 지형과 해상 교역의 관계를 중심으로 기술하고 있다. 왕대연은 참파의 지정학적 특성과 해상교역국적 면모를 ‘海衝’으로 표현한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참파가 중국에서 출발한 선박이나 인도양을 거처 자바를 통해 동아시아로 들어가는 상선들이 반드시 정박해 물과 땔감 등의 생활용품을 공급받는 중간 정박지로써, 선박들이 반드시 이곳에 도달해 교역하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참파의 번성한 모습을 두고 마르코 폴로는 ‘하나의 독립된 세계’라고 묘사할 정도였으므로, 원제국의 남해 교역로 장악은 참파 정벌로 시작되었다. 원제국은 천주에서 참파, 자바 그리고 인도로 이어지는 남해 해상 교역로를 장악하고 막대한 경제적 부를 축적할 수 있었고, 13~14세기 원의 세계 제국적 면모는 바다에서도 그대로 구현되었다.

      • KCI등재

        13~14세기 元 皇室 書畵收藏의 전개와 大汗의 역할

        황정연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과학연구 Vol.- No.34

        This paper examines that the origin, formation process, and activities of major figures in the Mongolian imperial family functioned as a governing means to converge a multinational society. Although the Yuan Imperial Family's art collection originated from the Mongol Empire established by Genghis Khan 元 太祖, ch. 忽必然, in the distance, it was formed and developed with a direct origin from Kublai Khan 元 世祖, who founded the Yuan Empire. It can be said that the head system of the Yuan imperial family was systematically implemented from the beginning of its foundation, and a calligraphy research organization, 秘書監 biseo-gam, Official Branch of the Yuan Court Documents, was established to investigate the collections of the former dynasties, and clearly recognized as the head of the imperial family. In addition, this series of activities by Kublai Khan, who invited calligraphers and scholars from Han Chinese 漢族 with artistic perspectives to read and write books, became the cornerstone of leading beauty in the 13th~14th centuries when his close descendant - Princess Sangge Ragi 魯國大長公主 祥哥剌吉 and Emperor Wenjong 文宗皇帝 - served as leading sponsors for the artists both of Chinese and Mongolian. This is not a passive fairy tale about Chinese clan 韓族 but a legacy left by Kublai Khan, who tried to achieve national unification while maintaining his identity as a Mongolian. Despite the chaos of the dynastic replacement period, the system of the Yuan Dynasty court collection systematically organized works scattered by successive wars and invaders, which has the art historical significance of in that it developed art criticism and authenticity at the time. Furthermore, considering the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the Yuan and Goryeo, the court collection system of the Imperial Yuan occupies an important place because it caused the royal collecting of Koryeo Dynasty developed systematically. This topic will be dealt with as the future study. 본 논문은 元 13-14세기를 중심으로, 大汗 쿠빌라이 칸(元 世祖)을 비롯한 황실 주요 인사들이다민족 사회를 융합하려는 방편으로써 書畵收藏이라는 행위에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 살펴본 것이다. 원 황실 서화수장은 大元帝國을 건설한 元 世祖로부터 직접적인 기원을 두고 형성・발전하였다. 원 황실의 수장제도는 건국 초창기부터 나름 체계적으로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화전문 연구기구인 秘書監을 두어 前 왕조의 수집품을 조사하였고, 收藏印을 찍어 황실 소장임을명확하게 표시하였다. 또한 예술적 안목이 있는 한족 출신 서화가, 학자들을 宮으로 불러 수장품을열람하고 서발문을 쓰게 한 세조 연간의 이러한 수장활동은 그의 직계 후손들인 魯國大長公主 祥 哥剌吉과 그녀의 친인척인 仁宗, 文宗 등이 수장가이자 후원자로 활동하면서 원대 宮廷美術을 이끈 초석이 되었다고 보는데, 특히 황실 수장품에 신하가 발문을 쓴 행위는 군-신간의 관계를 밀접하게 하고 심리적으로 복속시키는 상징적인 통치효과를 가져왔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원 황실이 몽골인사들이 중국문화에 수동적으로 동화된 것이 아닌, 몽골인으로서 정체성을 지키며 민족융합을 이루고자 했던 世祖가 남긴 유산을 실천한 의미이기도 하다. 중국 서화수장사의 전체적인 흐름에서 보았을 때 원대 서화수장은 민간에서 보다 황실이 주도적으로 분위기를 이끌었다는 점이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다. 물론 이 시대가 陰・陽地에서 활동한私人 수장가들이 점점 부상한 전환기이기는 하나, 왕조 교체기에 황실이 주도적으로 前代 황실의 흩어진 수장품을 모으고 관료들로 하여금 감평을 하도록 한 행위는 국가경영의 정통성을 표방하고중국인들을 지배하에 두려는 간접적인 통치술로 평가되는 한편, 결과적으로 황실이 당대 서화비평을 진작시킨 예술 後援者로서 귀결되었다는 사실은 미술사에 있어 대원제국의 위상을 재평가해야하는 이유를 말해준다. 원 황실은 왕조 교체기라는 혼란기였음에도 불구하고 일련의 전쟁과 왕조의 명말 등으로 흩어진 작품들을 다시 수집해 체계적으로 정리한 한편, 秘書監, 奎章閣 등 전문적인 관리처를 마련해국가적 차원에서 수장제도를 정립시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는 곧 역대 서화에 대한 비평과감식을 발전시켰다는 점에서 미술사적 의의가 있다고 평가되며, 그 이면에는 맹목적인 漢化를 지향하지 않고 개방적・실리적인 입장을 견지한 元 世祖의 역할이 컸음을 다시 한번 확인하게 된다.

      • KCI등재

        大元帝國 시기 황실 통혼과 여성의 정치적 역할 - 콩기라트 부족의 활동을 중심으로 -

        윤은숙(Yoon, Eun-sook) 동양사학회 2020 東洋史學硏究 Vol.153 No.-

        The marriage alliance formed with the duces submitted to the Mongolian Empire with exogamy as a principle has an aspect of effectively acting on the unification of the empire. Meanwhile, since the Qubilai time, the Alchi family of the Qonggirat Protectorate monopolized almost all royal matrimony, beating out all other tribes. The intermarriage between the Qubilai family and the Alchi family, starting from the marriage by the exchange of sisters became close as relatives doubly related by marriage through cross-cousin marriage in the next generations. On the surface, it was the intermarriage between the two families; but in fact, even the Qubilai descendants got married to each other. Eight out of ten Tumetu-iin Noyan (萬戶長) of the Qonggirat Protectorate married the Qubilai descendants, three of them were the Qubilai descendants, and the daughters of Tumetu-iin Noyan got married to the Mongolian Imperial Family. In this way, eight out of ten Great Khans of the Great Yuan Empire took women from the Qonggirat Protectorate as empresses, and the women’s five children ascended the Great Khan’s throne. Since the royal matrimony can be said to be a kind of political act, the acquisition of an unrivaled position of the Qonggirat Protectorate has an inseparable relationship with the shift of the political structure and power of the Empire. As Dadu leaning to the east became the center of the reign of the Empire, the geopolitical specificity of the Qonggirat Protectorate that is the front line to defend Dadu and Shangdu and is located in an important traffic center connecting Mongolia with Dadu. Especially, to suppress the continued revolts of the royal families in the east and west and keep the Empire stable, the cooperation of Tumetu-iin Noyan of the Qonggirat Protectorate was essential. Thus, the Great Khans took them as the co-authority of the Empire, making them the Qubilai descendants through the close intermarriage with the Alchi family, and the Alchi family were with the Empire’s prosperity as the core forces of the Empire.

      • KCI등재

        學記文으로 살펴본 大元 제국 시기 儒家의 활용을 통한 통치정당성 확보

        장수현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23 中國硏究 Vol.97 No.-

        이 논문은 학기문을 통해 대원 제국이 중국 지방 통치에 있어 유가를 어떻게 활용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 시도이다.대원제국 시기 學記文은 공자와 유가사상을 崇尙하는 한인 유학자들에 대한 관용적인 여러 정책과 함께 했다고 볼 수 있다. 興學을 장려하여 학교가 늘어난 시기에 學記文의 수량도 급증하였고, 유가에 대한 긍정적인 정책을 드러내지 않은 시기에는 興學과 이에 따른 학교 설립 또한 거의 없었기에 學記文의 수량도 급감하였다. 대원제국 시기 學記文의 내용은 대략 세가지로 나눌 수 있었는데, 공자에 대한 崇尙, 興學 장려, 나라에 대한 忠義를 담고 있다. 이러한 내용은 종래 유가의 이상과 맞닿아 있으며, 몽골인 지배층의 중국화 내지 유가화로 해석할 여지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학교를 늘리고 학교를 통해 중요한 인재를 길러내야 한다는 조서를 내려 명함으로써 표면적으로는 유가 사상을 포용하는 듯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결국 科擧를 통해 관리를 선발하거나 중요한 인재를 천거할 때 고위직에는 한인 유학자를 중용하지 않는 모습을 보이며, 실제로 관리를 임용하는데 있어서는 한인 유학자를 신뢰하는 모습을 보여주지 않았다. 유가를 활용한 것은 일종의 지배의 당위성을 찾기 위한 방안이 아니었나 조심스럽게 가늠해 본다. 이에 學記文과 관련해서 살펴본 당시 유가를 좇는 한인 유학자들에 대한 사상적인 정책은 지배층이었던 몽골인이 한인 유학자들에게 관용적인 태도처럼 보이려고 한 도구에 지나지 않았나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점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how the Great Yuan’s Empire utilized Confucianism in local governance in China through the use of academic records “XUEJIWEN”. It is stated that during the period of the Yuan Dynasty, XUEJIWEN was accompanied by various tolerant policies towards Confucius and Han Confucian scholars who advocated Confucianism. During that period, the establishment of schools was encouraged and the number of schools noticeably increased, as well as the number of academic records. However, when there were no active policies adopted towards Confucianism, there were almost no academic establishments and corresponding schools, which led to a massive decrease of the academic records’ number. The content of XUEJIWEN during the Yuan Dynasty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the worship of Confucius, rewards for promoting education, and loyalty to the country. These contents are consistent with Confucian ideals, and there is indeed further explanation for the Sinicization and Confucianism of the Mongolian ruling class. However, by issuing edicts to increase the number of schools and cultivate important talents through it, seems to embrace Confucianism on the surface. Despite that, the records show a bias averse to reusing Korean Confucianism in the high-level positions when selecting officials or recommending important talents through scientific research Clearly showing distrust in Han Confucius scholars. that leads to question; isn’t using Confucianism to find a legitimate solution for domination? In this regard, the researcher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ideological policies of the Han Confucian followers when examining XUEJIWEN hypothesizing that they were manipulated tools adopted by the ruling class of the Mongols to demonstrate tolerance among the Han Confucian scholars.

      • KCI등재

        蒙・元帝國 시기 콩기라트 부의 발전과 정치적 역할

        이찬수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4 인문과학연구 Vol.- No.80

        본고는 몽골 제국에서 중요한 정치적 쟁점이었던 칸위 계승 분쟁에서 황실의 외척 세력으로 영향력을 발휘한 콩기라트 부의 역할을 조명하였다. 이를위해 몽골 제국의 성립부터 대원 울루스, 이른 바 ‘원나라’라고 불렸던 시기를한데 묶어 蒙・元帝國 시기라 설정하고 이 시기에 발생한 칸위 계승 분쟁과콩기라트 부가 어떤 정치적 행보를 보였는지를 살펴보았다. 몽골 제국을 건설하고 이후에 국정을 주도하면서 중요한 정책을 결정하는 것은 황금 씨족이라 불리는 제국의 지도자들, 즉 칭기스칸의 직계 후손들이었지만, 그들이 정권을 수립하고 유지하는 데에는 콩기라트 부의 역할이 지대했다. 몽・원 제국의 정치적 갈등은 대를 거듭할수록 심화되었고 내부 전쟁까지 발발하였다. 이 과정에서 콩기라트 부는 제국의 근간을 흔드는 위협을 제거하기위해 내부의 정쟁과 외부의 전쟁에서 활약하여 위급한 순간을 넘길 수 있게하였다. 따라서 황금 씨족의 계보를 잇고 제국을 버틸 수 있게 한 것은 결국에는 콩기라트 부의 선택과 행동으로 인한 것이라 평가하는 게 타당하다는 판단이 든다. This article introduces the role of Qonggirat Tribe, who played an influential role as a royal relative in the important political debate of the Mongol Empire - the succession dispute. To this end, the period known as the Great Yuan Urus and the Yuan Dynasty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Mongol Empire was combined and set as the Mongol Yuan Empire period, to examine the succession disputes that occurred during this period and the political trends in the Qonggirat Tribe. The leaders of the Mongol Empire known as the Golden Clan, who were the direct descendants of Genghis Khan, established the Mongol Empire and decided important policies in the subsequent process of leading national politics. However, in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political power, Qonggirat Trib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Mongol Yuan Empire, political conflicts deepened generation after generation, and even internal wars broke out. During this process, Qonggirat Tribewas active in internal political struggles and external wars in order to eliminate the threat of shaking the foundation of the empire, enabling it to overcome critical moments. Therefore, some people believe that continuing the lineage of the Golden Clan to support the empire is ultimately due to the choices and actions of the Qonggirat Tribe government, which is appropriate.

      • KCI등재

        大元帝國 末期 政局과 고려 충혜왕의 즉위, 복위, 폐위

        권용철(KwonYong-Cheol) 고려사학회 2014 한국사학보 Vol.- No.56

        본고에서는 대원제국 말기의 복잡한 정국 속에서 이루어진 고려 충혜왕의 두 번의 즉위와 두 번의 폐위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고려국왕에 대한 실질적 임면권을 행사하고 있었던 대원제국의 내부에서 권력 구조의 변동이 발생하면 이것이 고려국왕의 지위에도 영향을 주었던 것은 충혜왕 시기 이전부터 나타나던 현상이었다. 그런데 대원제국 말기에 이르게 되면,복잡해진 제위계승분쟁과 그로 인한 權臣의 출현 및 교체로 인해 내부 정치의 혼란이 이전보다 더욱 격렬해졌고, 이것이 충혜왕의 고려국왕위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14세의 어린 나이에 대원제국에 숙위로 들어간 충혜왕은 쿠데타를 통해 대도 궁정을 장악하고 내전에서 승리했던 권신 엘테무르(El-Temur)의 총애를 받는 행운을 누렸다. 결국 엘테무르의 지원 아래에서 충혜왕은 그리 어렵지 않게 고려국왕이 될 수 있었다. 그러나 대원제국의 제위계승분쟁에 연루되어 대청도로 유배를 왔던 토곤테무르(Toγon-Temur)와 연루된 무고로 인해 충혜왕은 갑작스럽게 폐위를 당하고 대원제국으로 소환되었다. 하지만, 엘테무르 가문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던 충혜왕은 소환된 이후에도 숙위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엘테무르가 사망하고 그 2년 후에 바얀(Bayan)이 엘테무르 가문을 모조리 숙청하면서 충혜왕은 대원제국에서의 후견인을 잃게 되었다. 바얀은 충혜왕을 고려로 돌려보냈고, 충혜왕의 거취는 불투명해졌다. 父王충숙왕이 사망하면서 충혜왕을 다음 고려국왕으로 지목했음에도 불구하고, 바얀은 자신의 권위를 통해 충혜왕의 복위를 끝까지 막았다. 심지어 충혜왕을 압송하고 가두어 심문을 하고자 했다. 때마침 바얀이 조카 톡토(Toγto)에 의해 축출되면서 충혜왕은 겨우 고려국왕으로 복위할 수 있었다. 엘테무르-바얀-톡토로 이어지는 대원제국말기 권신의 교체는 충혜왕의 즉위와 복위를 결정하는 주된 요소로 작용했던 것이다. 하지만, 바얀의 축출 이후에 새롭게 부상한 제2황후 기황후의 세력은 대원제국과 고려정치에 또 다른 변수로 등장했고 이는 충혜왕 복위 시기의 동향을 결정하는 것이었다. 충혜왕은 복위한 이후 4년 만에 두 번째로 대원제국에 의해 폐위되는 운명을 맞이했다. 기황후 세력의 정변이 발생하여 충혜왕을 중죄인 취급하며 대원제국으로 압송했던 것이다. 즉, 충혜왕과 기씨 가문 사이에서 발생했던 갈등은 해소되지 못했던 것이다. 결국 충혜왕은 모진 고초를 겪은 끝에 유배를 가던 도중 30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하고 말았다. 충혜왕의 두 번째 폐위와 유배, 사망은 대원제국과 고려 관계에서 가장 좋지 않은 사례를 남겼다. 고려에 있던 고려국왕을 대원제국에서 임의로 폐위시키고 駙馬의 위상은 전혀 염두에 두지 않은 상태에서 죽게 했던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충혜왕이 너무 이른 나이에 사망한 탓에 그의 후손들은 나이가 너무 어렸고, 그래서 부마가 될 수 없었다. 그리고 기황후 세력의 지속적인 성장은 대원제국 황실 가문, 고려 왕실 가문이 아닌 제3의 세력이 정치에 깊숙이 개입하는 여건을 조성했다. 즉, 충혜왕의 행적은 1320년대 후반부터 1340년대 전반까지의 대원제국과 고려 사이의 뒤틀어진 모습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