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ert Biesta의 학생 행위주체성 담론에 대한 비판과 대안적 관점 탐색: 우리나라 교육과정 및 교사교육에의 함의

        김종훈 한국교육과정학회 2024 교육과정연구 Vol.42 No.1

        최근 교육과정 이론 및 실천 분야에서는 학생 행위주체성(student agency)에 대한 논의가 매우 활발하게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학생의 행위주체성에 대한 학문적, 실천적 관심은 미래 교육 담론의 등장 및 발전과무관하지 않다. 학생 행위주체성에 대한 관심은 환영할만한 일이나, 어떤 용어나 담론의 등장에 높은 관심이쏟아질수록 균형 잡힌 관점을 수립하기 위해 그에 대해 비판적인 주장을 해온 학자의 의견에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의 목적은 학생 행위주체성 및 학습 담론에 대한 Gert Biesta의 비판적 입장의 주요 내용을검토하고 그것이 우리나라의 교육과정과 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학생 행위주체성 담론이 등장하여 발전하게 된 배경과 과정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Biesta의 비판적 논의의 주요 내용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학생 행위주체성 담론의 대안으로서 상호주관성의 관점에서 제시된 교사의 행위주체성 개념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이 글은 Biesta의 학생 행위주체성 및 학습 담론에 대한 비판과 대안이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및 교사교육 분야에 어떤 시사점을 주는지를 모색하였다.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great deal of discussion about on student agency in curriculum theory and practice. This academic and practical interest in student agency is closely related to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future educational discourse. Although this academic and practical interest in student agency is welcome, as much attention is paid to the emergence of a term or discourse it is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scholars who have made critical arguments against it to establish a balanced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main points of Gert Biesta's critical position in the discourse on student agency and learning and to explore its implications for curriculum studies and teacher education in Korea.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s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discourse on student agency and analyzes the main contents of Biesta's critical discussion. Furthermore, as an alternative to the student agency discourse, the concept of teacher agency presented from the perspective of co-agency, was examined.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is article explores the implications of Biesta's critique and alternatives to the discourse on student agency and learning in the Korean curriculum and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배움 및 학습자를 우선시하는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비에스타(G. Biesta)의 상호주관성 논의를 중심으로

        김한길 ( Kim Han-gil ),김천기 ( Kim Cheon-gie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교사교육연구 Vol.57 No.4

        본 연구는 배움과 학습자를 우선시한 유럽의 교육개혁 담론에 대해 상호주관성의 관점에서 비판을 가했던 비에스타의 논의를 살펴보고 그로부터 우리나라 혁신학교의 배움 중심 담론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한 세 가지 연구문제로는 첫째, 비에스타가 유럽의 교육개혁 담론을 비판한 배경과 비판의 구체적인 내용이 무엇인가? 둘째, 배움과 학습자를 우선시하는 담론에 대한 비판의 근거로서 비에스타의 교육에 대한 관점은 무엇인가? 셋째, 교육에 관한 비에 스타의 논의가 우리나라 혁신학교의 배움 중심 담론에 대해 어떤 시사점을 줄 수 있는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에스타는 유럽의 교육개혁 담론과 관련하여 구성주의와 신자유주의적 관점에 터한 ‘배움’이 교육의 전부가 되어가는 점에 대해서 비판하였다. 둘째, 비에스타는 지식을 상호주관적으로 형성되는 앎으로 이해하였고, 교육 맥락에서 가르침을 의사소통을 매개로 한 ‘개입’으로 이해하며, 독단적인 주관성으로서의 주체성을 넘어서게 한다는 의미에서의 ‘초월적 폭력’의 성격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또한 학생과 교사의 관계를 무조건적 신뢰와 책임에 바탕을 절대적인 두 타자의 만남으로 이해하였다. 셋째, 비에스타의 논의를 비추어 볼 때, 우리나라의 혁신하교 배움 중심담론은 학생의 지식 구성에 대한 심층적인 개입으로서 가르침이 배제되어있고 이로 인해 학생의 지적 사유의 질적 변화와 성장을 가져오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Gert Biesta’s critical discussion, based on intersubjectivity, about the European educational reform discourse emphasizing learning and learner and to explore its implications for our learning-oriented discourse of the Innovative School in Korea. This study set up three research problems. First, what points are presented in Biesta’s criticism on European educational reform discourse? Second, what view does Biesta have on knowledge, teaching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based on intersubjectivity? Third,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Biesta's discussion for the learning-oriented discourse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iesta’s criticism in the European educational reform discourse was that the concept of learning is based on constructivism which neo-liberalism has replaced as education itself. Second, Biesta understood knowledge is based on intersubjectivity, teaching as intervention and transcendental violence in that teaching can lead a student beyond the self-centered subjectivity. He also viewed the student-and-the teacher relationship as an encounter between the two absolute others based on unconditional trust and responsibility. Thirdly, in terms of Biesta’s discussion, there is a lack of teaching as deep intervention, which makes it difficult to bring about meaningful changes and growth in students’ way of thinking.

      • KCI등재

        탄생적 상호주관성과 교육- 비에스타(G. Biesta)의 아렌트(H. Arendt) 수용을 중심으로

        우정길 ( Jeong Gil Woo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4 교육철학연구 Vol.36 No.1

        본고는 아렌트의 이른바 탄생적 상호주관성이 교육학과 맺는 관련성을 비에스타의 논의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있다. 우선 제I장에서는 아렌트 탄생적 상호주관성의 교육학적 수용과 논의의 지형을 마스켈라인과 비에스타를 중심으로 간략히 살펴보고, 동시에 비에스타의 교육학 연구에서 아렌트의 탄생성이 차지하는 비중에 대해 소개한다. 제II장에서는 상호주관성의 관점에서 아렌트의 탄생성을 대화적 관계성, 역설적 다원성, 타자와의 공존으로 인한 우연성의 발생, 응답적 윤리성 등으로 해석하고 각각의 의미를 밝힌다. 이어지는 제III장에서는 아렌트의 탄생적 상호주관성을 교육학적 사유 속으로 가장 지속적으로 수용해 온 비에스타의 교육주체성의 재개념화, 즉 “현전-속으로-옴” 또는 “세계-속으로-옴”의 의미를 소개·해석하고, 이에 근거하여 전통적 교육학과는 다른 방식의 교육 이해를 고찰한다. 특히 탄생적 상호주관성의 이접성, 해체성, 파괴적 생성성 등에 근거하여 비에스타가 제안하고 있는 “교육의 아름다운 위험부담, 교육의 불가능성, 망설임 없는 교육의 지양” 등이 이론적·실천적으로 어떤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지에 대해 탐구한다. 아울러 제IV장에서는 이상의 논의의 정리와 아울러, 탄생적 상호주관성의 교육학적 수용이 교실현장의 상황과 어떤 관련을 맺으며, 전통적 교육의 재고와 행위로서 재개념화를 위해 어떤 새롭고 유용한 관점을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해 간략한 범례적 고찰을 제시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relevance of the so called intersubjectivity of natality by H. Arendt to the contemporary pedagogy according to G. Biesta who is one of the main recipients and interpreters of Arendt`s thought in pedagogy. In the first chapter, a brief topography of Arendt research in pedagogy is presented with focus on the concept of intersubjectivity of natality. In the next chapter, motives of this special concept are characterized as “dialogical relationship, paradoxical plurality, contingency based on alterity and responsive ethics.” According to Biesta, education in this space of intersubjectivity of natality distinguishes itself from the intentionality based and subject centered modern pedagogy in that (A) this new concept of education suggests another way of defining the educational subject as “coming-into-presence or coming-into-the-world” which denies a predetermined-transcendental identity and advocates a coexistential-dynamic process in the space of intersubjectivity, and (B) it has to do with disjunctive, deconstructive and violent nature due to the plurality, relationality, alterity and contingency in the intersubjective space of natality. Education in this sense, seen from a traditional perspective of the modern pedagogy, seems to be a “risky and even impossible” business, even though it could be a “beautiful” one as Biesta suggests. Biesta`s positive reception of the Arendt`s ‘natality’ into the theory of educational relationship can show a new way to redefine education as action instead of making, to reidentify the participants of educational practice and to reevaluate the meaning of educational practice.

      • KCI등재

        실존적 위기 시대 학교지리교육의 방향 탐색 - 세계중심교육의 관점에서 -

        김갑철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3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31 No.1

        For the last two decades, due to the unprecedented social and environmental changes, there have been growing concerns about human unsustainability of the future in the world. While emphasizing school education as an efficient means to the challenges which human beings encounter nowadays, educational authorities worldwide have started to consider the notion of social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s a main agenda for their national curriculum reform polici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eaning and the orientation of school geography for an era of human existential crisis, presupposing human existential concerns as a nature of education by referring to Gert Biesta’s World-centred Education (WCE) theory. Particularly, by focusing on the ideas of subjectification and its quality in the WCE, this paper argues the need to reconceptualize school geography in a new three dimensions: geographical subjectification, rich knowledge, and the pedagogy of interruption. This study suggests a reified world-centered school geography beyond the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 by providing a concrete example of urban geography curriculum in school. 최근 전례 없는 사회적, 환경적 변화로 인해 인류의 지속 불가능성을 우려하는 비판적 담론이 전세계적으로 널리 확산되고 있다. 세계 교육계는 현대 인류의 당면 과제를 해결할 효율적 수단으로서 학교교육의 역할을 강조하고, 사회적·환경적 ‘지속가능성’이라는 개념을 자국의 학교 교육과정 개정의 핵심 의제로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류의 실존에 대한 관심을 학교교육의본질로 간주함으로써 국제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Gert Biesta의 세계중심 교육이론(World-centred Education)에 대한 검토를 통해, 실존적 위기의 시대에 적합한 학교지리교육의 새 방향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특히, 세계중심 교육이론의 핵심 아이디어인주체화 교육 개념을 차용하여, 필자는 새로운 학교지리는 세 가지 차원 즉, ‘지리적 주체되기의 공간으로서 학교지리’, ‘풍성한 지리지식론’ 그리고, ‘중단의 페다고지’ 측면의 재개념화가 필요함을 주장한다. 끝으로, 본 연구는 도시 개념을 사례로 한 대안적 지리교육과정 설계 방식을 제안함으로써, 이론적 논의를 넘어 세계중심 학교지리의 구체화를 시도한다.

      • KCI등재후보

        추임새의 행위와 교육적 가치에 관한 교육철학적 당위 제언 - 거트 비에스타(Gert J. J. Biesta)의 주체성과 가르침 개념을 중심으로 -

        김지원(Jiwon Kim) 한국국악교육학회 2024 국악교육 Vol.54 No.54

        개방적인 공간에서 연행되던 기존의 판소리에서는 관객과 연행자 간의 양방향적인 소통이 자유로웠고, 이로 인해 관중으로부터 표현되는 추임새의 개입이 자연스러운 것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19세기 말~ 20세기 초를 거치며 무대와 객석이 엄격히 분리된 서양식 무대 극장에서 판소리가 연행됨에 따라 관객과 연행자 간의 양방향적 소통이 사라짐은 물론이고, 무대 외의 공간에서 들리는 다른 소리는 금기시되어야 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현재의 판소리 연행 양태에서 추임새의 회복은 전통적인 판소리의 회복이라는 측면에서 강조되어 왔으나, 추임새 행위에 관한 경험과 교육이 교육철학적으로도 가치가 있음을 거트 비에스타(Gert J. J. Biesta)의 교육철학적 관점에 기하여 살펴보았다. 비에스타는 주체성의 출현을 교육의 주된 과업으로 바라보며, 이를 위해 복수성 · 언명에의 응답 · 수용적 태도가 필요함을 주장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극장 내에 개인 외에도 불특정 다수인 타자가 공존한다는 점에서 판소리 공연장은 ‘복수성’이 갖춰진 공간이다. 또한, 판소리 공연을 관람하면서 음악에 심취하여 자기도 모르게 희열과 신명에 의해 표현되는 추임새는 바깥 세계로부터 오는 일종의 ‘언명이자 계시에의 응답’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극장 안의 객석에서는 별다른 소리를 내지 않아야 한다는 인식에 의해 정관화(靜觀化)된 극장공연 예술 관람의 관습 속에서 개인의 추임새 행위로 인한 타자의 반응을 기꺼이 수용하는 것이 ‘수용적 태도’에 해당된다. 극장공연 예술로 연행되는 판소리 공연장에서 추임새의 행위는 비에스타에 의해 개념화된 주체성이 출현되는 과정이자, 이를 위한 조건을 갖춘 장소로서 교육적 가치가 있다. 나아가 판소리를 공연하기 전에 청 · 관중을 대상으로 추임새 행위를 독려하고 추임새를 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주는 것은 교육을 시간 개념으로 바라보지 않았다는 점에서 비에스타의 ‘가르침’ 개념과 상통한다. 이와 같이 추임새의 행위와 교육적 가치를 비에스타의 교육철학적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추임새의 교육적 당위를 확보하여, 보다 실천적인 추임새가 향유되는 데 활용되길 소망한다. In the existing pansori performed in an open space,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performer was free, and as a result, the intervention of chuimsae expressed by the audience was recognized as natural. However, as pansori was performed in a Western-style stage theater where the stage and auditorium were strictly separated through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it was recognized that not only did the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performer disappear, but also that other sounds heard in spaces other than the stage should be taboo. In this current pansori performance pattern, the restoration of chuimsae has been emphasized in terms of the restoration of traditional pansori, but the experience and education of chuimsae behavior are also valuable in terms of educational philosophy based on Gert J. J. Biestas educational philosophy perspective. Biesta sees the emergence of subjectivity as the main task of education, and argues that a pluralism, response of a revelation, and a receptive attitude are necessary for this. From this point of view, the pansori concert hall is a space equipped with the pluralism in that there are many unspecified others in addition to individuals in the theater. In addition, chuimsae, who is immersed in music while watching pansori performances, can be interpreted as a kind of the response to revelation from the outside world. It is a acceptance attitude to be willing to accept the reaction of others due to individual chuimsae behavior in the custom of unilateral viewing by the perception that no sound should be made in the auditorium in the theater. The act of chuimsae in a pansori concert hall performed as a theater performing art ahs educatinoal value as a process in which subjectivity conceptualized by Biesta emerges, and a place that meets the conditions for th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