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탄생적 상호주관성과 교육- 비에스타(G. Biesta)의 아렌트(H. Arendt) 수용을 중심으로 = Intersubjectivity of Natality and Education - G. Biesta`s Pedagogical Reception of H. Arendt`s Concept of Nata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706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아렌트의 이른바 탄생적 상호주관성이 교육학과 맺는 관련성을 비에스타의 논의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있다. 우선 제I장에서는 아렌트 탄생적 상호주관성의 교육학적 수용과 논의의 ...

      본고는 아렌트의 이른바 탄생적 상호주관성이 교육학과 맺는 관련성을 비에스타의 논의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있다. 우선 제I장에서는 아렌트 탄생적 상호주관성의 교육학적 수용과 논의의 지형을 마스켈라인과 비에스타를 중심으로 간략히 살펴보고, 동시에 비에스타의 교육학 연구에서 아렌트의 탄생성이 차지하는 비중에 대해 소개한다. 제II장에서는 상호주관성의 관점에서 아렌트의 탄생성을 대화적 관계성, 역설적 다원성, 타자와의 공존으로 인한 우연성의 발생, 응답적 윤리성 등으로 해석하고 각각의 의미를 밝힌다. 이어지는 제III장에서는 아렌트의 탄생적 상호주관성을 교육학적 사유 속으로 가장 지속적으로 수용해 온 비에스타의 교육주체성의 재개념화, 즉 “현전-속으로-옴” 또는 “세계-속으로-옴”의 의미를 소개·해석하고, 이에 근거하여 전통적 교육학과는 다른 방식의 교육 이해를 고찰한다. 특히 탄생적 상호주관성의 이접성, 해체성, 파괴적 생성성 등에 근거하여 비에스타가 제안하고 있는 “교육의 아름다운 위험부담, 교육의 불가능성, 망설임 없는 교육의 지양” 등이 이론적·실천적으로 어떤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지에 대해 탐구한다. 아울러 제IV장에서는 이상의 논의의 정리와 아울러, 탄생적 상호주관성의 교육학적 수용이 교실현장의 상황과 어떤 관련을 맺으며, 전통적 교육의 재고와 행위로서 재개념화를 위해 어떤 새롭고 유용한 관점을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해 간략한 범례적 고찰을 제시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relevance of the so called intersubjectivity of natality by H. Arendt to the contemporary pedagogy according to G. Biesta who is one of the main recipients and interpreters of Arendt`s thought in pedagogy. In the first c...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relevance of the so called intersubjectivity of natality by H. Arendt to the contemporary pedagogy according to G. Biesta who is one of the main recipients and interpreters of Arendt`s thought in pedagogy. In the first chapter, a brief topography of Arendt research in pedagogy is presented with focus on the concept of intersubjectivity of natality. In the next chapter, motives of this special concept are characterized as “dialogical relationship, paradoxical plurality, contingency based on alterity and responsive ethics.” According to Biesta, education in this space of intersubjectivity of natality distinguishes itself from the intentionality based and subject centered modern pedagogy in that (A) this new concept of education suggests another way of defining the educational subject as “coming-into-presence or coming-into-the-world” which denies a predetermined-transcendental identity and advocates a coexistential-dynamic process in the space of intersubjectivity, and (B) it has to do with disjunctive, deconstructive and violent nature due to the plurality, relationality, alterity and contingency in the intersubjective space of natality. Education in this sense, seen from a traditional perspective of the modern pedagogy, seems to be a “risky and even impossible” business, even though it could be a “beautiful” one as Biesta suggests. Biesta`s positive reception of the Arendt`s ‘natality’ into the theory of educational relationship can show a new way to redefine education as action instead of making, to reidentify the participants of educational practice and to reevaluate the meaning of educational practi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Habermas, J, "현대성의철학적 담론" 문예출판사 1994

      2 박선영, "한나 아렌트의 공교육 제안 논의"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1 (21): 255-274, 2007

      3 이은선, "한나 아렌트의 ‘탄생성’(natality)의 교육학과 양명의 ‘치량지’(致良知)" 한국양명학회 (18) : 5-62, 2007

      4 이은선, "한나 아렌트의 ‘인간의 조건’과 ‘공공성’에로의 교육" 한국교육철학학회 (29) : 47-75, 2003

      5 조나영, "한나 아렌트의 "교육의 위기"를 통해서 본 '탄생성' 교육의 의미" 35 (35): 1-38, 2012

      6 이은선, "한나 아렌트 사상에서 본 교육에서의 전통과 현대" 한국교육철학학회 (30) : 139-159, 2003

      7 박영주, "한나 아렌트 ‘행위(praxis)’에 대한 고찰 :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에 주는 시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36) : 55-85, 2011

      8 우정길, "지향적 교육행위의 한계 또는 교육학의 경계적 속성, 그리고 대안적 사유에 대한 일 고찰" 한독교육학회 12 (12): 231-255, 2007

      9 송호근, "좌담 – 하버마스: "비판적 독해"" 15 : 238-293, 1996

      10 김상봉, "자기의식과 존재사유" 한길사 1999

      1 Habermas, J, "현대성의철학적 담론" 문예출판사 1994

      2 박선영, "한나 아렌트의 공교육 제안 논의"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1 (21): 255-274, 2007

      3 이은선, "한나 아렌트의 ‘탄생성’(natality)의 교육학과 양명의 ‘치량지’(致良知)" 한국양명학회 (18) : 5-62, 2007

      4 이은선, "한나 아렌트의 ‘인간의 조건’과 ‘공공성’에로의 교육" 한국교육철학학회 (29) : 47-75, 2003

      5 조나영, "한나 아렌트의 "교육의 위기"를 통해서 본 '탄생성' 교육의 의미" 35 (35): 1-38, 2012

      6 이은선, "한나 아렌트 사상에서 본 교육에서의 전통과 현대" 한국교육철학학회 (30) : 139-159, 2003

      7 박영주, "한나 아렌트 ‘행위(praxis)’에 대한 고찰 :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에 주는 시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36) : 55-85, 2011

      8 우정길, "지향적 교육행위의 한계 또는 교육학의 경계적 속성, 그리고 대안적 사유에 대한 일 고찰" 한독교육학회 12 (12): 231-255, 2007

      9 송호근, "좌담 – 하버마스: "비판적 독해"" 15 : 238-293, 1996

      10 김상봉, "자기의식과 존재사유" 한길사 1999

      11 Arendt, H, "인간의 조건" 한길사 2001

      12 Habermas, J, "의사소통행위이론 II" 나남출판 1996

      13 우정길, "의사소통적 상호주관성의 교육학적 수용가능성 검토 - 마스켈라인(J. Masschelein)의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학회 (39) : 99-122, 2007

      14 우정길, "아렌트(H. Arendt) '탄생성'의 교육학적 수용 – 마스켈라인(J. Masschelein)의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학회 35 (35): 139-159, 2013

      15 김영천, "별이 빛나는 밤(I)" 문음사 2007

      16 우정길, "두 개의 세계, 두 개의 인간학 그리고 하나의 교육" 안암교육학회 15 (15): 5-29, 2009

      17 곽덕주, "근대교육에서의 교육적 역설과 그 교육적 의의" 한국교육철학학회 35 (35): 1-27, 2013

      18 Arendt, H, "과거와 미래사이" 푸른숲 2005

      19 우정길, "‘부자유를 통한 자유’와 교육행위의 지향성 - 탈주체성 또는 상호주관성의 교육이론을 위한 일 고찰" 한국교육철학학회 (38) : 139-164, 2007

      20 Ford, D.R, "Toward a theory of the educational encounter: Gert Biesta's educational theory and the right to the city" 54 (54): 299-310, 2013

      21 Mollenhauer, K, "Theorien zum Erziehungsprozess" Juventa 1976

      22 Higgins, C, "The Possibility of Public Education in an Instrumental Age" 61 (61): 451-2011, 2011

      23 Masschelein, J, "The Discourse of the Learning Society and the Loss of Childhood" 35 (35): 1-20, 2001

      24 우정길, "Teaching the unknowable Other: humanism of the Other by E. Lévinas and pedagogy of responsivity" 교육연구소 15 (15): 79-88, 2014

      25 Higgins, C, "Teaching and the Good Life: A Critique of the Ascetic Ideal in Education" 53 (53): 131-154, 2003

      26 Masschelein, J, "School as Architecture for Newcomers and Strangers:Perfect School as Public School?" 112 (112): 533-555, 2010

      27 Biesta, G, "Say You Want a Revolution... Suggestions for the Impossible Future of Critical Pedagogy" 48 (48): 499-510, 1998

      28 Biesta, G, "Radical Intersubjectivity: Reflections on the "Different" Foundation of Education" 18 : 203-220, 1999

      29 Biesta, G, "Pragmatism as a Pedagogy of Communicative Action" 13 : 273-290, 1995

      30 Biesta, G, "Philosophy, Exposure, and Children: How to Resist the Instrumentalisation of Philosophy in Education" 45 (45): 305-319, 2011

      31 Obyrne, A, "Pedagogy without a Project: Arendt and Derrida on Teaching, Responsibility and Revolution" 24 : 389-409, 2005

      32 Biesta, G, "No Education Without Hesitation: Exploring the Limits of Educational Relations" 2012 : 1-13, 2012

      33 Schäfer, A, "Machbarkeitsphantasien" Leske+Budrich 2003

      34 Biesta, G, "Levinas and Education" Routledge 198-210, 2008

      35 Masschelein, J, "Individualization, Singularization and E-ducation (Between Indifference and Responsibility)" 15 : 97-105, 1996

      36 Biesta, G, "How to Exist Politically and Learn from It: Hannah Arendt and the Problem of Democratic Education" 112 (112): 556-575, 2010

      37 Biesta, G, "How is Education Possible? Preliminary investigations for a theory of education" 33 (33): 7-21, 2001

      38 Biesta, G, "How Difficult Should Education Be?" 51 (51): 385-400, 2001

      39 Edgoose, J, "Hope in the Unexpected: How can Teachers Still Make a Difference in the World?" 112 (112): 386-406, 2010

      40 우정길, "Hannah Arendt의 ‘탄생성’의 교육학적 의미" 한독교육학회 18 (18): 47-71, 2013

      41 Hellekamps, S, "Hannah Arendt über die Krise in der Erziehung – Wiedergelesen" 9 (9): 413-423, 2006

      42 Levinson, N, "Hannah Arendt and Education" Westview 11-36, 2001

      43 Lane, A, "Hannah Arendt and Education" Westview 153-174, 2001

      44 Gordon, M, "Hannah Arendt and Education" Westview 37-66, 2001

      45 Euben, P, "Hannah Arendt and Education" Westview 175-200, 2001

      46 Curtis, K, "Hannah Arendt and Education" Westview 127-152, 2001

      47 Schutz, A, "Hannah Arendt and Education" Westview 93-126, 2001

      48 Lippitz, W, "Handbuch der Erziehungswissenschaft (Bd. I)" Schöningh 405-419, 2008

      49 Bollnow, O.F, "Existenzphilosophie und Pädagogik" Kohlhammer 1959

      50 Biesta, G, "Education/Communication: The Two Faces of Communicative Pedagogy" 1-11, 1995

      51 Gert Biesta, "Cultivating humanity or educating the human? Two options for education in the knowledge age" 교육연구소 15 (15): 13-19, 2014

      52 Biesta, G, "Coming into the World, Uniqueness, and the Beautiful Risk of Education:An Interview with Gert Biesta by Philip Winter" 30 : 537-542, 2011

      53 Jessop, S, "Children's Participation. An Arendtian Criticism" 43 : 979-996, 2011

      54 Dunne, J, "Childhood and Citizenship: A Conversation across Modernity" 14 (14): 5-19, 2006

      55 Mackler, S, "And Worldlessness, Alas, Is Always a Kind of Barbarism: Hannah Arendt and the Challenges of Educating in Worldless Times" 112 (112): 509-532, 2010

      56 Masschelein, J, "An Adequate Education in a Globalised World? A Note on Immunisation Against Being-Together" 36 (36): 589-608, 2002

      57 Masschelein, J, "Alterität Pluralität Gerechtigkeit" Akademia 163-186, 1996

      58 Masschelein, J, "Alterität Pluralität Gerechtigkeit" Akademia 107-126, 1996

      59 Masschelein, J, "Alterität Pluralität Gerechtigkeit" Akademia 87-106, 1996

      60 Schell, J, "A Politics of Natality" 69 (69): 461-471, 2002

      61 Levinson, N, "A "More General Crisis": Hannah Arendt, World-Alienation, and the Challenges of Teaching for the World As It Is" 112 (112): 464-487,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3-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교육철학 -> 교육철학연구 KCI등재
      2011-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교육철학회 -> 한국교육철학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Philosophy of Education Societ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Philosophy of Education Society -> 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8 1.27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