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재(艮齋)의 「독맹자(讀孟子)」 연구 - 수양론을 중심으로-

        길태은 ( Gil Tae-eu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0 儒學硏究 Vol.52 No.-

        본 연구는 간재(艮齋) 전우(田愚, 1841-1922)의 「독맹자」를 분석하여 나타난 그의 심본성, 성사심제설을 수양론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연구자는 간재에 의해 편제 되어진 「독맹자」의 주석을 명확하게 살펴보기 위해 분장분절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맹자집주』의 7편 가운데에서 어느 편에 특히 ‘주석을 많이 달았는가’를 검토하여 해석한 장과 주석을 많이 달은 순서에 주목하였다. 간재는 인간에 대한 심성에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는데 특히 심성의 수양 방법에서 ‘심기의 검속’, ‘존성’ 등을 강조한다. 따라서 여기서는 수양론을 중시한 해석이라고 보고 분석하였다. 분장분절의 분석에 의하면 간재는 기본적으로 성리학적 세계관에서 경전의 재해석을 통해 심본성·성사심제설 등을 확증하며, 이를 통해 이설을 비판하는 근거로 삼았다. 그리고 이뿐만 아니라 ‘명기’·‘존성의 실천’ 등을 중시하는 수양론적 관점에도 주목하고 있음을 파악 할 수 있다. 간재는 기본적으로 기호낙론의 성리설 입장에 서서 심과 성의 관계를 피력한다. 간재의 심본성, 성사심제설 등을 성리학적 관점에서 볼 때 수양론으로 분석 가능한지를 시론적으로 검토하였다. 지금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수양적 측면에 어떠한 시사점이 있는지, 간재가 『맹자』를 주석하면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3가지를 추려 분석하였다. 첫째는 부동심에 대해, 둘째는 구방심에 대해, 셋째는 우산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측면은 오늘을 살고 있는 현대인들이 인간다운 도덕[부동심·극기복례] 등을 닦는 수양의 공부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This study analyzes Reading Mencius (讀孟子) by Ganjae Jeonwoo (1841-1922) to examine his stance on Seongsa Shimje (性師心弟, let your natural mind govern your cultured mind) and Shimbonseong (心本性, natural mind and cultured mind are one), considering Mencius’s theory of self-improvement at the same time. To examine the annotations of Reading Mencius, the author segmented each chapter and verse for the analysis. In addition, special attention was paid to comments and interpretations added to the seven chapters of Collected Works of Mencius. Ganjae was interested in human mind and stressed its cultivation through “the control of the mind” and “respect.” Thus, this article takes the stance that Ganjae’s interpretations focus on Mencius’s theory of self-improvement and analyzes the commentaries accordingly.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each chapter and verse, Ganjae has reinterpreted the important classics from the worldview of Neo-Confucianism to emphasize Seongsa Shimje and Shimbonseong, and he used the two principles as the foundation to attack his critics. Furthermore, the perspective of his foundation built on Mencius’s theory of self-improvement can be understood based on “clarity of the mind” and “practice of respect.” Ganjae expr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ltured mind and the natural mind by adopting the position of Kiho (畿湖) school. He built his argument of the cultured and natural mind around Li (理) and Qi (氣), and his theory ultimately reached theoretical consistency for practicing ethical morality. This study examined whether Ganjae’s concepts of the cultured and natural mind could be analyzed considering Mencius’s Neo-Confucian theory of self-improvement. The three most important points from Ganjae’s annotation of Mencius’s work for cultivating oneself were selected as implications for the modern human beings: (1) the immovable spirit (不動心), (2) finding one’s own heart (求放心), and (3) cultivating one’s spirit (牛山章). These facets could be of help in cultivating human morality (e.g., developing immovable spirit, and overcoming selfishness and returning to propriety) and one’s own mind.

      • KCI등재

        자유주제 : 19~20세기 江右(강우) 지역 艮齋(간재) 門人(문인)의 文藝(문예) 창작과 內含(내함)

        문정우 ( Jung Woo Moon ) 동방한문학회 2014 東方漢文學 Vol.0 No.61

        강우 지역 간재 문인들이 스승 간재가 견지한 守道의 정신을 어떻게 계승해왔는지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그들은 문예 창작의 특정한 유형에 심혈을 기울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문예 작품으로 자신들의 의도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므로 그 속에는 일정한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그들의 문예 창작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간재가 강학에 심혈을 기울인 만큼, 강우 지역 간재 문인들은 스승의 정신을 계승하여 결연한 결집을 위해 契를 결성하였다. 계의 활동 또한 강학을 중심으로 잡았으며, 서로가 성장하는 방향으로서 觀善과 輔仁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내용은 계안의 서문에 드러나 있다. 또한 그들은 인물의 傳記的 자료가 되는 묘갈명, 묘표, 행장, 제문 등을 상대적으로 다수 창작하였다. 인물의 호와 사람됨을 결부시켜 인상 깊게 묘사하거나, 생전 행적의 진실된 면을 포착하거나, 역사적 인물에 비유하기도 하였다. 이는 인물의 행의를 본받고 그들의 정신이 전해지기를 바라였기 때문이었다. 끝으로 그들은 문집과 족보, 파보 등 출판 간행을 시급한 사안으로 여겼다. 선현들의 문집과 유문을 정리하여 간행하는 일과 개인의 문집 간행 사업에 적극적이었다. 인물의 신실한 행의를 중시하여 분량이나 문장의 유려함과 인물의 지명도에 상관없이 출간을 장려하였다. 이것은 정신문화의 기록과 보존을 당대와 후대를 위한 자신들의 책무라 여긴 것이다. Literary men of Ganjae school had been fully kept Ganjae’s asceticism. They had been kept Ganjae’s thoughts in creative arts and writings earnestly and intensively. The significances summarized as following ; They had been made mutual financing association and preserved for the spirits of teacher and progressing the learning. And they had made many creative writings of biographic materials and expected their behaviour’s and spirits transmission and resemblance. Lastly they had been importantly attached to publication of their anthologies and pedigree text. they had thought their duty the preservation of the spiritual and cultural record for descendant.

      • KCI등재
      • KCI등재

        새로운 가사 작품 홍희(洪熹)의 「영언(永言)」에 대하여

        구사회 우리어문학회 2014 우리어문연구 Vol.49 No.-

        This study introduced a Gasa work “Yeongeon” by Hong, Hee, a modern Confucian scholar and historian. “Yeongeon” is a Gasa work that stressed the learning and practice of the Way and to demonstrate the trend of the Way studies in orient. The intention of “Yeongeon” by Hong, Hee was to enlighten the matters of practice of the Way through the realization of the reality of the Way by people. “Yeongeon” consists of 3 chapters. If it is measured with 1 score 2 phrases, it is a medium size Gasa with 196 phrases. The composition period seemed before he transferred to be a pro-Japanese scholar considering the context. Specifically, it was before and after 1910s at a time Hong, Hee worked as a modern enlightenment leader after finishing the travel to the western countries. The work was a kind of patriotic narrative from the national identity perspective. Accordingly, “Yeongeon” seems not to be related with his pro-Japanese activities. This study focused on the inter-textuality as a method of description and expression of “Yeongeon”. Frequent references of Confucian texts and quotation of ancient sagas throughout “Yeongeon” can be said a kind of inter-textuality. Furthermore, the imitation of descriptive method of “Yeokdaega” and transformation of vocabularies and sentences were also regarded as a relation of inter-textuality. 이 논문은 근대 시기의 유학자이자 역사학자였던 겸산(兼山) 홍희(洪憙, 1884∼1935)의 가사 작품인 「영언(永言)」을 발굴하여 소개한 것이다. 그는 일찍이 간재 전우에게 나아가 성리학을 배웠는데, 국외를 유력하고서 계몽운동에 몸을 담갔다가 친일로 돌아섰던 인물이다. 홍의의「영언」은 도(道)의 학습과 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동방 도학의 흐름을 밝힌 가사 작품이다. 그가 「영언」을 창작한 의도는 사람들에게 도의 실체를 깨닫게 하고 쉽지 않는 도의 실천 문제를 계몽하기 위해서이다. 그가 「영언」이라는 이름을 붙인 것도, 가사라는 시가 양식을 선택한 것도, 모두 계몽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봐야한다. 「영언」은 모두 3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오늘날 2음보 1구로 산정한다면 196구의 중형가사에 해당한다.「영언」에 사용된 어구 대부분은 유학 경전이나 유학자들의 어록을 전고로 용사한 것이다.「영언」을 요약하자면, 제1장은 성현의 말씀을 배우고 실천하자는 내용이고, 제2장은 동방 도학의 역사적 맥락이고, 제3장은 심문박학(審問博學)으로 마음공부를 하자는 내용이다. 특히 제2장은 조선후기 이래로 꾸준히 지어졌던「역대가」의 일종이다. 여기에서 동방 도학의 흐름을 서술하고 있는 제2장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홍희는 여기에서 일제의 식민사학에서 인정하지 않던 단군 역사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는 점이다. 홍희가 「영언」을 창작한 것은 국권 침탈이라는 역사적 유례를 찾기 힘든 시기에 우리 민족에게 도학 정신과 주체성을 고취시키기 위해서였다. 창작 시기도 그가 친일학자로 전향하기 이전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 홍희가 서구 유력을 마치고 돌아와 근대계몽가로 활동하던 1910년 전후로 판단된다. 그리고「영언」은 민족주체적인 시각에서 애국 담론의 일종으로 지어진 것이다. 따라서 홍희의 「영언」은 그의 친일 행적과 관련이 없다고 판단된다. 한편, 이 논문에서는「영언」의 서술 방식과 표현 기법으로 상호텍스트성에 주목하였다. 「영언」이 작품 전편에서 유학 경전이나 선현의 어록을 전고로 용사한 것은 오늘날 말하는 상호텍스트성의 일종이었다. 뿐만 아니라「영언」 제2장은 「역대가」의 서술 방식을 답습한 것인데, 그것의 어휘와 어구를 변용한 것도 상호텍스트성의 하나였다.

      • KCI등재

        새로운 가사 작품 홍희(洪熹)의 「영언(永言)」에 대하여

        구사회 ( Sa Whae Gu ) 우리어문학회 2014 우리어문연구 Vol.49 No.-

        This study introduced a Gasa work “Yeongeon” by Hong, Hee, a modern Confucian scholar and historian. “Yeongeon” is a Gasa work that stressed the learning and practice of the Way and to demonstrate the trend of the Way studies in orient. The intention of “Yeongeon” by Hong, Hee was to enlighten the matters of practice of the Way through the realization of the reality of the Way by people. “Yeongeon” consists of 3 chapters. If it is measured with 1 score 2 phrases, it is a medium size Gasa with 196 phrases. The composition period seemed before he transferred to be a pro-Japanese scholar considering the context. Specifically, it was before and after 1910s at a time Hong, Hee worked as a modern enlightenment leader after finishing the travel to the western countries. The work was a kind of patriotic narrative from the national identity perspective. Accordingly, “Yeongeon” seems not to be related with his pro-Japanese activities. This study focused on the inter-textuality as a method of description and expression of “Yeongeon”. Frequent references of Confucian texts and quotation of ancient sagas throughout “Yeongeon” can be said a kind of inter-textuality. Furthermore, the imitation of descriptive method of “Yeokdaega” and transformation of vocabularies and sentences were also regarded as a relation of inter-textu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