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추사의 서예인식과 그의 행서특징 연구

        심현섭(Sim, Hyun-sup) 한국서예학회 2014 서예학연구 Vol.24 No.-

        본 논문은 추사 김정희의 서예인식과 그의 행서체에 대한 조형적 특징을 연구한 것이다. 핵심 내용은 추사의 서예인식과 심미의식 및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白坡碑-陰記>와 <蕅樞續展>이라는 간찰의 서체미를 점획ㆍ결구ㆍ장법으로 나누어 분석한 것이다. 추사는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자랑스럽게 내놓을 수 있는 가장 뛰어난 예술가의 한 사람이다. 금세기 들어 일어난 한류열풍이 더욱 확산 지속되기 위해서는 우수하고 아름다운 우리만의 전통문화가 튼실하게 뒷받침되어야 하는데, 그러한 면에서 추사의 서예작품은 매우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추사는 서예라는 독특한 예술장르를 통해서도 유학의 본령인 聖門의 최고 경계에 도달할 수 있다는 확고한 신념을 보여주었다. 추사는 최고의 예술적 심미경계는 神妙한 기운이 깃든 예술작품에서 발현된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그의 서예인식과 심미의식은 예술에 대한 동양전래의 '道本文末'적 패러다임을 바꿔놓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추사행서의 점획은 기본 필법을 충실하게 지키며 조금도 소홀히 처리한 부분이 없다. 太細長短의 변화가 매우 크며 금강력사가 쇠공이를 들고 모래사장을 긋는 듯한 剛健美를 보여준다. 추사행서의 점획은 陰柔美보다는 陽剛美가 두드러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결구의 특징은 보편적으로 상부는 소원하고 하부가 조밀하며(上疎下密), 좌부는 짧고 우부가 긴(左短右長) 결합 형태를 보여준다. 기둥 획은 매우 굵고, 두 직획이 있는 경우 좌획 보다 우획이 굵으며, 왼쪽이 짧으면 위쪽이 가지런하고 오른쪽이 짧으면 아래쪽이 가지런한 결구의 특징을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대체로 그렇다는 것일 뿐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추사는 전체의 아름다운 조화를 가장 우선시하였다. 진정한 추사행서의 결구미는 이런 점에 존재한다고 해야 옳을 것이다. 추사행서의 장법 특징은 자간은 조밀하고 행간은 넓으며 글자의 크기 변화가 매우 심하면서도 전체가 잘 어울리는 영활한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특히 글자의 대소차이는 거의 5:1 정도나 되는 경우도 흔하며 필획의 태세 또한 그 변화무쌍함이 범인의 상상을 초월한다. 각 행의 중심축선은 대개 수직을 이루지만 자연스럽게 약간의 流動性을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심미적 요소들이 한 화면에 종합적으로 어울릴 때 추사의 작품은 빛이 난다. 이에 해당하는 작품이 <백파비>와 <우추속전>이라 할 수 있다. 추사 행서의 장법미는 大小廣狹의 靈活美가 발현된 최고의 심미경계를 유감없이 보여준다. 이러한 일련의 추사행서의 특징은 그의 '格聖門論'적 서예인식과 '致神妙境'적 심미의식이 점획ㆍ결구ㆍ장법에 골고루 발현된 결과라 할 수 있겠다. 추사체의 가치는 무조건 추사의 진적이라고 해서 인정받을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추사체의 면모가 확실하고 또 수준 높게 발현된 작품만이 진정한 추사체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아야 할 것이다. In this paper, we study Chusa Kim Jeonghui's calligraphy awareness and formative features about his Haengseoche. The core contents are to analyze Chusa's calligraphy awareness and aesthetic consciousness and calligraphic aesthetics of Ganchal (letters) called <Baekpabi-Eumgi> and <Woochusokjeon> that can be called as major works by classifying them into tittleㆍstructureㆍ composition technique. Chusa is one of the most outstanding artists who can be presented proudly in the world as well as in Korea. In order to further spread and sustain the Korean Wave that happened in this century, our own excellent and beautiful traditional culture should support it solidly and Chusa's calligraphic works may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at respect. Chusa showed an unshakable faith that one can reach the highest level of the holy gate, the specialty of Confucianism through the unique genre of art called calligraphy. Chusa thought that the highest artistic aesthetic level is expressed from art works with mysterious aura and his calligraphy awareness and aesthetic awareness became a great opportunity to change the 'Dobonmunmal (A literature is just a tool to express the truth)' paradigm that has been handed down in the East about art. The tittle of Chusa HaengSeo is to faithfully keep the basic calligraphic technique and never treats any trivial part carelessly. Taesejangdan (Large, thin and long, short) varies greatly and it shows the sturdy beauty like Vajrapani draws the sandy beach with his iron pestle. It can be said that strong yang beauty is more remarkable than yin soft beauty in the tittle of Chusa HaengSeo. Al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e show the combined form that the upper part is distant, the lower part is dense, the left part is short and the right part is l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e are as follows; The column strokes are very thick and if there are two straight strokes, a right stroke is thicker than a left stroke and if the left is short, the upper side is even and if the right is short, the bottom is even. However, this is often the case, but not always. Chusa gave priority to beautiful harmony of the whole. It will be right to say that true structural aesthetics of Chusa HaengSeo lies in this point. The features of the composition technique of Chusa HaengSeo show the wonderful beauty that space between letters is dense, space between the lines is wide, the size of letters varies greatly and the whole is harmonized well. In particular, the difference in large and small size of letters is almost 5:01 and the types of strokes or ever-changing are beyond the imagination of ordinary people. The central axis of each line usually forms perpendicularity but often shows slight liquidity naturally. When these aesthetic elements are comprehensively harmonized in a picture, Chusa's works shine by themselves. <Baekpabi> and <Woochusokjeon> can be said to be the corresponding works. The composition technique beauty of Chusa HaengSeo shows the best aesthetic boundary most satisfactorily in which the wonderful beauty of Daesogwanghyeop (Big, small, wide and narrow) is expressed. We think that the value of Chusache cannot be recognized for a reason that it is just Chusa's real trace. Only works in which the aspect of Chusache is certain and expressed at a high level should be valued as true Chusache.

      • KCI등재

        秋史 論書詩의 藝術境界

        김윤주 한국서예학회 2013 서예학연구 Vol.22 No.-

        秋史 金正喜는 서예에 대한 생각을 論書詩로 남겼다. 추사의 논서시는 서예에 대한 그의 이론과 사상을 가장 집약적이고 실질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이에 『阮堂全集』 9, 10권의 시를 토대로 논서시를 정리하고 이를 분석했다. 추사의 시·서·화론을 보면 그가 藝術家로서 살아간 것을 알 수 있다. 그가 論文 형식의 글보다는 시와 서예, 전각 등의 예술작품을 위주로 創作活動을 했으며 創新을 위한 法古를 주장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누구보다 창작을 위한 學習을 중요시했으며 이 때문에 여러 相反된 예술이론들도 綜合하여 받아들일 수 있었다. 보다 獨創적인 작품을 창작하기 위해 자신의 시대에게서 가까운 작품부터 個性을 살피고 그것의 法則性을 찾아나가는 식의 學習法을 택했다. 작가 자신이 누구보다 자기 분야의 專門家가 되기를 원했고 그러기 위해 많은 작품을 접하고 正統系譜를 熟知해야 함을 강조한 것이다. 본고는 추사 논서시의 배경이 되는 예술사상을 토대로 추사의 논서시를 모두 조사하고 여기에 드러난 추사의 藝術境界를 學書觀, 批評觀, 藝術觀으로 분류해 살펴보았다. 추사는 근원을 찾아가는 공부에 전력을 다해 책에서 사실을 조사하고 만권의 서적을 관철하는 것만이 實事求是라고 경계했다. 추사는 이를 토대로 금석학과 고증학과 관련한 시를 통해 실사구시적인 학습방법을 표현했다. 또한 書如其人의 논지로 그 사람의 서예를 비평한 시를 남겼다. 추사는 작품 자체에 주목하며 나름의 노력을 더해가는 일본의 작가들과 문화수준의 발전을 좋게 평가했다. 이는 사람이 작품을 만들어가며 인격을 완성해 나가듯이 작품이 또한 그 사람의 인격을 다듬어나갈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추사가 주목한 物我一體의 예술관은 마음속에 있는 楊家적인 감정을 글씨 하나로 모두 승화시킨 것을 말한다. 그는 자연과 사람들의 일상을 自由自在로 표현한 서예에 관한 시를 남겼다. 추사의 물아일체적 예술관은 도가와 그 맥이 닿아 있으면서도 추사가 본질적으로 추구한 유가사상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 추사의 논서시에서는 실사구시의 학서관, 서여기인의 비평관, 물아일체의 예술관의 예술경계를 드러냄을 알 수 있다. 또한 추사의 논서시는 그의 서예관을 직접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라고 평가할 수 있다. Chusa Kim Jung Hee handed down lots of poems on calligraphy. His poems provide his own superb overview of calligraphy and offer a discerning analysis of calligraphy. Furthermore, His poems on calligraphy present a comprehensive review of calligraphy itself. Therefore, the purpose of present paper is to offer an analysis of the poems and central to this paper will be 『阮堂全集』's Volume Ⅸ, Ⅹ. Chusa expressed his own thought on calligraphy in strong terms with feeling. Therefore, this article attempts exploring his philosophy of art and considers that his philosophical backgrounds is based on poetics and the theory of calligraphy. When we study Chusa's theory, we can easily find that he was an artist, because his main works are not academic papers but artworks such as poems and calligraphy. And he insisted on 法古 for 創新. His main thought is that practice to create artworks is more important than others. So, he could accept lots of theories and combine incompatible theories of art. Chusa accepted unique methodology which examin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ts and then find a rule. He wanted to be an expert in his field and insisted on having insight throughout much of art and authentic pedigree. This paper examines all of his poems on calligraphy on the basis of Chusa's philosophy of art and classifies them into three groups that are ‘學書觀’, ‘批評觀’, and ‘藝術觀’. Chusa kept strict watching to do ‘實事求是’ that investigates the fact in books and accomplishes the thousand books. He encouraged the study of looking for the origin. He wrote lots of poetry about ‘實事求是’ methods of study including epigraphy and the study of ancient documents. He also wrote critical poems on the calligrapher's works in the point of view of the ‘書如其人’. Chusa evaluated Japanese Calligraphers' works and their development of cultural level. Because his thought was not only that man makes works but also that works make man's personality. Finally, Chusa pointed out artistic points of view of ‘物我一體’ that sublimates conflicting feelings to Calligraphy. He handed down poems on the calligrapher's works that expressed nature and people's daily life. Chusa's artistic point of view of ‘物我一體’ has Taoist philosophy and Confucianism which Chusa pursued essentially. Chusa's poems on calligraphy express the point of view of Calligraphy in methodology of ‘實事求是’, and implicates critical point of view of ‘書如其人’ and ‘物我一體’. His poems on calligraphy are very important data that could travel his the viewpoint of the Calligraphy.

      • 간화선에 대한 추사와 백파의 인식 고찰 - 추사의 비판적 선학관을 중심으로

        오용석 ( Oh Yong-suk ) 세계불학원 2024 세계불학 Vol.4 No.0

        본 연구는 고증학과 실사구시를 추구했던 추사와 전통적 해석학에 충실했던 백파의 입장을 중심으로 추사와 백파의 선논쟁에 나타난 의의 및 간화선에 대한 추사와 백파의 인식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추사의 학문관과 불교관을 그의 삶을 통해 살펴보았다. 추사는 실사구시의 연구 태도를 갖고 경학, 금석학, 예술, 불교학 등에 대한 객관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또한 불교에 대해 깊은 이해를 갖고 있었는데 특히 유가와 불교 모두를 긍정하는 입에서 이들을 화해시키는 태도를 취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추사와 백파의 선논쟁에 나타난 의의를 논의하였다. 추사는 백파에 대한 비판을 통해 당시의 선불교를 체험과 전통이 아닌 역사와 사실을 통해 검토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문제를 제기하였다. 마지막으로 추사의 간화선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추사는 대혜종고가 묵조선을 비판했던 용어를 사용하여 다시 간 화선을 비판하였을 뿐 아니라 간화선에서 사용하는 공안 그 자체가 아무런 내용이 없는 의미 없는 말이라고까지 하였다. 그럼에도 논쟁의 승패를 떠나 호적과 스즈키의 선학 논쟁이 일어나기 110여 년 전 역사적 방법론과 철학적 해석학의 선구에 해당하는 새로운 형태의 논쟁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discussed Chusa and Baekpa’s perception of Ganhwaseon and the significance of Chusa and Baekpa’s Seon Debate, focusing on the positions of Chusa, who pursued historical research and Empirical tradition, and Baekpa, who was faithful to traditional interpretation. To this end, first, Chusa’s view of learning and Buddhism was examined through his life. Chusa tried an objective approach to the study of sutras, epigraphs, art, and Buddhist studies, with the attitude of research on Empirical tradition. He also had a deep understanding of Buddhism, especially in affirming both Confucianism and Buddhism, and took an attitude of reconciling them. Next, the significance of Chusa and Baekpa’s Debate on Seon was discussed. Through his criticism of Baekpa, Chusa raised the issue that Seon Buddhism at the time had to be reviewed through history and facts, not experience and tradition. In particular, in the controversy over Seon with the Baekpa, he openly criticized the issue of Seon, which was claimed by the Baekpa at the time, based on the historical research point of view. Lastly, Chusa’s perception of Ganhwaseon was examined. Chusa not only criticized Ganhwaseon again by using the terms that Dahui Zonggao criticized Silent-Penetrate Seon, but also said that the Gongan itself used in Ganhwaseon was a meaningless word without any content. Overall, Chusa’s critical view of Seon study was about how to position Seon in the reality of the time through questions such as ‘What is Seon study?’, ‘What is the essence of Seon study?’, and ‘What is Ganhwaseon?’ In particular, regardless of the outcome of the debate,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shows a new form of debate that corresponds to the pioneering of historical methodology and philosophical hermeneutics about 110 years before the controversy over the study of Seon study between Hushi and D. T. Suzuki.

      • KCI등재

        동파와 추사의 유배시 비교 연구 - 동파의 술에 관한 시와 추사의 茶詩를 텍스트로

        김희성 한국시가문화학회 2021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47

        This paper looked into the literary world and spiritual world of Dongpo and Chusa, poets who share similarities in various genres, through their exile poetry. In exile poetry, this study focused on the liquor poetry of Dongpo and the tea poetry of Chusa. Both poets enjoyed drinking alcohol and tea as intellectuals who mastered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However, Dongpo was familiar with the Taoist ideology combined with Buddhism because he controlled resentment and inspiration through liquor. Chusa had a strong Buddhist color because he favored tea. Whereas Dongpo boosted romance and conviviality using liquor, Chusa controlled the purity of mind with tea. Since liquor is extroverted and tea is introverted, the personality of the two persons is reflected in the symbolic background. Therefore, Su Shi’s poems have the conviviality of liquor based on the Taoist spirit embracing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Chusa’s poems have divine energy with a Buddhist overtone. While paying attention to this point, this paper examined the poetry worlds of the two poets using texts from the liquor poetry of Dongpo and the tea poetry of Chusa. Poems provide important clues for understanding the spiritual world and ideology of Dongpo and Chusa in depth. Accordingly, Dongpo studied poetry to expand his literary world. Chusa studied poetry to reevaluate his literary value that had been neglected because of calligraphy. The dense economic language is the essence of Chusa’s poetry pursuing substance over splendid skills, and this ethos especially stands out in poems written in Jeju Island. Meanwhile, Dongpo’s poems show a romantic tendency based on universal imaginations. This poetic tendency presents a philosophical state that is aloof about the mundane world while staying close to reality in the place of exile. Contrary to Chusa’s strict exclusion of skills and pursuit of ultimate substance, Su Shi exhibited an outgoing temperament that adequately delivered the content and reason through rich imaginations and skills. 본고는 다양한 장르에서 유사성을 공유하는 동파와 추사의 작품 중 流配詩를 통해 그들의 문학세계와 정신세계를 살펴보았다. 流配詩 중 동파는 술을 주제로 한 시에 집중하고, 추사는 차를 주제로 한 시에 집중해 고찰했다. 둘 다 기본적으로는 술과 차를 즐겼고, 유·불·도에 두루 통하는 지식인들이지만 술과 벗하며 한과 감흥을 다스린 동파는 불교를 혼융한 도가사상에 친숙하고, 평소 차를 애용한 추사는 불교적 색체가 강하기 때문이다. 동파가 술을 통해 낭만과 취흥을 북돋운 반면 추사는 차를 애용하며 정신의 청정을 다스렸다. 술이 외향적이라면 차는 내향적 성향을 상징한다고 볼 때 두 사람의 기호적 배경에는 각각의 성격이 반영되어 있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소식의 시에는 유·불·도를 통섭한 도가적 기풍에 술의 취흥이 배어있으며, 추사의 시에는 불교적 색체가 짙고 차의 신령한 기운이 감돈다. 이 점에 주목하고 본고는 동파의 술에 관한 시와 추사의 차에 관한 시를 텍스트로 삼아 둘의 시세계를 살펴보았다. 동파와 추사의 정신세계와 사상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시는 중요한 단서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둘의 시에 대한 연구는 동파에게는 그의 문학세계의 지평을 확장하는 작업이며, 추사에게는 書畵에 가려 지금까지 소홀했던 문학적 가치를 재평가하는 작업이기도 했다. 화려한 기교보다 실질을 추구한 추사의 시에는 밀도 깊은 경제적 언어가 시가의 핵심을 이루는데 특히 제주도에서의 시에서 이와 같은 기풍이 돋보인다. 한편 동파의 시에는 우주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 낭만주의적 성향이 돋보인다. 이와 같은 시적 경향은 특히 유배지에서 현실과 유리되지 않으면서도 세속에 초연한 달관의 경지를 선보이고 있다. 추사는 기교를 철저히 배제하고 궁극의 실질을 추구하는데 비해 소식은 풍부한 상상력과 기교를 살려 내용과 사유를 적절히 담아내는 활달한 기질을 발휘한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추사 김정희의 한글 편지 해독과 의미

        김경순 어문연구학회 2013 어문연구 Vol.75 No.-

        秋史金正喜(1786~1856)의 한글 편지에 관한 연구는 한글 편지 자료, 문학적, 국어학적, 서예학적 연구는 많은 진척을 이루었으나, 추사의 한글 편지 판독에 관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秋史한글 편지』영인본 중에서 오독이 많이 나타나는 제1편·제20편·제31편을 선택하고, 영인본의 판독문에서 발견되는 오독문제를 검토하고, 새로운 판독에 의하여 편지의 내용을 해독하였으며, 편지자료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추사 한글 편지는 부정형의 진흘림 필사체로 연결되어 있고, 다양한 변형의 글씨를 자유자재로 혼서하여 썼으며, 작품이 아닌 관계로 같은 뜻의 글자가 서로 다른 글자로 誤記되어 혼용하였으며, 당시의 한문 투로 글자가 붙여 쓰여 있어, 정확한 판독에 많은 혼란을 일으키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秋史한글 편지』의 영인본 글씨를 판독할 때 일차적으로 시각상으로 판단하고, 애매한 글씨는 문맥으로 판독하였다. 그 결과 오자라고 판정한 41자를 기존 판독문과 비교하여 해독하고,『秋史한글편지』의 영인본과, 필자가 판독한 새로운 판독문을 제시하고, 새로운 해독의 근거를 설명하며, 편지내용을 요약 설명하였다. 그리하여, 기존 판독문을 비교한 결과, 오독으로 인하여 그 내용이 상당히 달라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글 편지는 국어학적 측면에서 국어사 연구에 사회언어학적 접근 가능성을 열어 주기도 하며, 언해위주의판본자료를 보완하는 것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편지의사 연속에는 당시의 실생활이 그대로 녹아있어 생활사, 민속사, 사회사 등 여러분야에서 살아있는 자료가 될수 있다. 또한 추사체의 독특한 서체가 한글편지에도 반영되어 있으므로 서예사 자료로도 요긴하며, 한글 서예 교본으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추사의 한글 편지를 정확히 판독하면 국어학 분야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추사 한글 편지 3편만을 판독하였으나, 앞으로 편지 40편을 모두 판독하여, 서간 문학의 기초 자료로 사용되어야 할 것이다. 한글 편지에 대한 오독을 줄이기 위해서는 국문학은 물론 국어학, 한문학, 서예학 등 학제간 교류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정확한 판독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Studies on the letters written in Korean by Chusa Jeong-hee Kim(1786~1856) have made advances in collection of data on Korean letters, literary, linguistic and calligraphic findings; however, there have not been a study on deciphering Korean letters of Chusa. This paper examines 1st, 20th, and 31st photoprints of “ Chusa’s Letters in Korean,” those with particularly frequent misinterpretations, and offers new interpretations as well as methods to better utilize the epistolary materials. Chusa’s Korean letters are written in irregular longhand with various types of letterings combined in a free style. As it is not a work of art, characters with the same meaning were confused with characters of different meanings. Moreover, the characters are spaced according to the Chinese character writing style of the time, creating further confusion inhibiting accurate interpretation. This paper first used visual methods and then contextual methods to interpret vague passages of Chusa’s Korean letters. As a result, this paper could interpret the forty-one misspelled characters by comparing them with previous interpretations and presents the photoprints of Chusa’s Korean letters along with the interpreted version. It also provides explanations of the interpretations with evidences as well as summary of the content of the letter. Such efforts led to the conclusion that previous interpretations include many misinterpretations leading to largely in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letter.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inguistics, the Korean letters open up a new possibility for sociolinguistic approach within the field of History of Korean language. It can also be used for complementing the original materials with annotations. The content of the letter directly reflects the events of the times which could serve as useful data of social, folk and everyday life history of the respective era. Moreover, Chusa’s unique handwriting style is shown in the letters making it an ideal reference material for history of calligraphy as well as a sample for Korean calligraphy. As mentioned above, accurate interpretation of Chusa’s Korean letters can contribute to various research efforts including the fields of Korean linguistics. This paper limited interpretations to three Korean letters of Chusa but future endeavors will need to include all forty letters to contribute further to Korean epistolary literature. To minimize misinterpretations of Korean epistolary data, multidisciplinary approach including Korean literature, linguistics, Chinese literature, calligraphy, etc. will be necessary.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ncrease accuracy of the epistolary materials.

      • KCI등재

        현대 중국의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이해 - 중국의 학회지 및 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박세영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人文硏究 Vol.- No.89

        Chusa Kim Jung-hee(1786-1856) was a scholar and a painter of the late Joseon Dynasty. He interacted with Chinese scholars on academics and ar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of modern China's understanding of Kim Jung-hee. For this, a total of 35 papers were analyzed by accessing the CNKI(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an online database of Chinese thesis and journal articles. As a result, Chinese studies on Chusa focused on the academic dimension, the artistic dimension, and the cultural exchange dimension. Firstly, the Chinese scholars recognized Chusa Kim Jung-hee as a real Silhak(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scholar. Especially, the practicality of Chusa’s theory and the aesthetics of poetry were valued. Secondly, they emphasized the originality of Chusa's calligraphy, which lies in his efforts and talents. The popular literary-painting style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perceived to have followed the trend, rather than Chusa’s single impact. Finally, they understood that Chusa’s academic and artistic accomplishments were not based on a one-way influence from China to Joseon but were dependent on international friendships. In addition, they accoladed Chusa’s academic initiative. 추사 김정희(1786-1856)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서화가이며 금석학자였다. 그는 24세 때, 북경 방문을 계기로 청(淸)의 학문을 접하게 된 이후 중국의 학인(學人)들과 활발히 교류하며 학문과 예술에 정진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과 중국의 학술문화교류사에서 중추적 인물인 김정희에 관해 현대 중국의 이해 수준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국의 학위 논문 및 저널 논문을 제공하는 온라인 데이터베이스인 CNKI(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에 접속하여, 총 35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중국 내 연구는 크게 학술적 차원, 서법과 회화의 차원, 문화교류의 차원에 주목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첫째, 학술적 차원에서 중국연구계는 추사 김정희를 실학자로 이해하고 있었고, 특히 추사의 ‘실사구시(實事求是)’가 가지는 실천적 함의에 주목했으며, 시학(詩學) 차원에서의 학문적 성취도 중시하였다. 둘째, 서법과 회화의 차원에서는 추사체의 독보적인 예술적 성취에 주목할 뿐 아니라, 추사체의 창안은 구습을 타파하고자 한 변혁의 결과로 이해하였다. 아울러 추사 서법의 근간이 되는 학문이 중국의 영향을 받았을지라도, 추사체에는 본인의 노력과 천재성 같은 추사만의 역량이 담보된 것임을 인정하였다. 그리고 조선 후기의 중국풍 문인화 사조는 추사라는 한 개인의 영향력이라기보다 당시 문화교류에 의한 필연적인 시대의 흐름이었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문화교류의 차원에서는 김정희의 학술 및 예술적 성취가 중국에서 조선으로의 한 방향적 전파를 답습한 결과가 아니라, 학문적으로 취장보단(取長補短) 하고자 한 양국 학자 간의 우의에 기초한 것으로 보았다. 특히 학문탐구에 적극적이었던 추사는 지속적이고 깊이 있는 문화교류의 정점에 있었다고 이해하였다.

      • KCI등재

        추사(秋史) 金正喜"천기,성령론(天機,性靈論)"의 양명심학(陽明心學)的 조명(照明)

        이필숙 ( Pill Suk Lee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4 동양예술 Vol.24 No.-

        Until now, Chusa has been known as a man who thoroughly pursued symbolism and formalism of the doctrines of Chu-tzu. However, in spite of continuous experiences of honor and disgrace through his life, he had historically and educationally upright recognition, and he was a great master in the field of poetry and calligraphic works. In that respect,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ship between Chusa`s original esthetics and mind learning of Yang-ming based on the Theory of Cheon-ki(天機, firmamental secrecy) and Sung-ryeong(性靈, spritous temper) is focused. As a result, some parts of his esthetics were considerably influenced from the mind learning of Yang-ming, which shows diversified changes. Creative agent of Chusa, that was strongly affected from the mind learning of Yang-ming based on the Theory of Cheon-ki and Sung-ryeong, awakened the truth of Chusa. Chusa expressed creative mind from his mental nature(致良知) with the balance between spiritous temper and dignity. Thus, his spirit of art from the Theory of Cheon-ki and Sung-ryeong was connected with the idea of the mind learning of Yang-ming. Then, it seems that Chusa`s esthetics based on the theory lies on the interface between the doctrines of Chu-tzu(external) and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internal). Therefore, Chusa`s esthetics externally reflects the doctrines of Chu-tzu, and it internally shows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外朱內王) through harmonization of the two doctrines. However, because of the phases of the times, this could not be expressed outwardly.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only Neo-Confucianism of Chu-tzu was accepted as the truth and the other idea and study was exhaustively excluded. Chusa`s esthetics was established by the idea of creative agent based on the mind learning of Yang-ming, which was an expression of a new art and creative mind and was a try to realize diversity of creative agent. This free aesthetic point of view about all creation was developed by his mental nature(致良知), excluding moral, academic and secular thoughts.Chusa`s esthetics was beyond the limitation of the existing expressive medium in art such as poetry, caligraphy works and painting, exposing his own aesthetic point of view.

      • KCI등재후보

        연파혜장(蓮坡惠藏)의 백수시(柏樹詩)가 대둔사 차문화에 끼친 영향

        박서연 한국차학회 2015 한국차학회지 Vol.21 No.1

        Dasan, Chusa, and Choeui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tea culture of Daedunsa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Buddhist monk, Yeonpa Hyejang at Daedunsa, was at the center of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 with them. Hyejang's Baeksu poem had a profound effect on making their relations. An explan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Dasan and Hyejang is not needed any more, but Hyejang's Baeksu poem is not well know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Baeksu poem on the tea culture of Daedunsa. Chusa Jeong-Hee Kim became an intimate friend with Bang-Gang Ong, who was the master of Chinese epigraphy. So Bang-Gang Ong gave Buddha's sarira and his portrait as well as a collection of his poems, Bokchojae, to Chusa as a gift. As Bang-Gang Ong made a collection of his poems kept at Yeongeunsa in Hangju, Chusa kept at Daedunsa and sent the signboard written Soyeongeun to Daedunsa. Through this event, Chusa formed relationships with monks at Daedunsa and finally met Choeu. Of course, Dasan, Choeui's master, cannot be ignored in this process. Dasan's son, Hak-Yeon Jeong, and Chusa were friend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ak-Yeon Jeong and Choeui was also formed by Dasan. Such a relationship was connected to that between Chusa and Choeui, and it had a profound effect on Chusa's tea life. Hyejang's Baeksu poem became the link between Chusa and Daedunsa. Nevertheless, it is not known to the tea circle of Korea. This study is to examine these facts.

      • KCI등재후보

        추사(秋史)의 다벽(茶癖)과 선어(禪語)활용의 심미(審美)

        한용화 ( Han Yong Wha ) 한국동양예술학회 2020 동양예술 Vol.48 No.-

        본고는 秋史金正喜의 茶癖을 이해하고, 추사의 편지와 茶詩에 활용된 禪語가 그의 심미경계와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진행과정에서 추사가 茶緣들과 주고받은 편지와 茶詩의 내용을 살폈을 때 추사는 화두선에 상당한 일가견이 있었고 화두활용 또한 자유로웠음을 확인하였다. 그 예로 첫째는 추사의 편지 내용에는 차를 보내달라고 하면서 사용한 “趙州無字, 庭前栢樹, 馬祖喝, 德山棒” 등 화두를 인용한 선가적 어투를 확인하였고, 둘째는 詩의 내용에서 “허공, 산, 솔 소리, 솔숲, 흰 구름, 바람소리, 고요함” 등의 禪語를 사용하여 禪味를 담아냈다는 점이며 그에 연관된 화두경계로는 “國師三喚, 揚眉瞬目, 卽心卽佛, 平常心佛” 등에서 추사가 화두 활용에 능숙했고 그 활용된 화두는 茶禪적 審美에서 비롯된다는 점을 엿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추사의 그림 <함벽산수축> 화제의 내용인 ‘茶修止觀’도 다선의 심미로 이해할 수 있다. 이렇게 제시한 근거들은 추사의 심미경계가 편지와 시, 화제를 통해서 선어로 드러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대단한 다벽을 가졌던 추사는 차를 마시고 차를 구하는 일에도 절실함을 담아 편지를 썼고, 차를 받고 마실 때는 차를 키워준 우주자연, 다연들에게도 감사의 회향을 함께하였다. 이 또한 다선적 심미경계로 연관 지을 수 있다. 본고는 추사의 다벽에 관한 단편적인 시각에서 벗어나서 추사 일상의 다선과 선어활용의 심미에 관하여 조명하였다. This paper identifies the obsession with tea of Chusa Kim Jeong-hee, and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among Zen Words used in Chusa’s letters and poetry about tea, and his esthetic boundaries. During the course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at Chusa was extremely knowledgeable in the Questions for Buddhist Meditation and freely used them, according to the letters to and from his edge of tea and the contents of poetry about tea. There were some examples for this. First, it was possible to identify a tone of the Zen Family's that quote the Questions for Buddhist Meditation in his letters such as “趙州 無字, 庭前栢樹, 馬祖喝, 德山棒” when he asked for tea. Second, Chusa conveyed Zen Taste by using Zen words such as “empty space, mountains, the sound of the pine trees, pine tree forest, white clouds, sound of the wind, silence” in his poetry. The boundaries of the Questions for Buddhist Meditation that are related include “國師三喚, 揚眉瞬目, 卽心卽佛, 平常心佛,” which showed that the quotes that he easily used are based on the aesthetic of Tea Zen. Lastly, tea practice of Zhiguan which is the topic of Chusa’s painting 'Hambyeoksansuchuk' can be interpreted as the aesthetics of Tea Zen. Such evidence shows that the esthetic boundaries of Chusa are revealed as the divine language through letters, poetry and words in paintings. Chusa had a great obsession for tea. He wrote desperate letters to drink and ask for tea, and he expressed his gratitude to the universe and nature that developed tea and the relationships that he made while drinking tea. This can also be linked to the esthetic boundaries related to Tea Zen. This study overcomes the simple perspective on Chusa’s obsessions for tea. Rather. The paper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of tea with Chusa’s internal esthetic boundaries, and the correlations of Tea Zen and the use of the divine language.

      • KCI등재

        추사 김정희의 실심적(實心的) 불학관(佛學觀)과 서화미학(書畵美學)의 상관성(相關性) 연구

        선주선 ( Joo Sun Sun ),전상모 ( Sang Mo Jun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5 동양예술 Vol.28 No.-

        추사는 조선 후기를 대표적인 서예가일 뿐만 아니라 고증학·훈고학·실학·금석학·불교학·서화론 등에 조예가 깊은 인물이다. 특히 불교에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또한 독특한 禪觀을 견지하고 있었던 까닭에 ‘見性한 先生’ 또는 ‘海東의 維摩居士’라고 불리었다. 추사는 당시에 禪門에서 두루 행해지고 있던 看話禪을 철저하게 부정하였다. 당대 선종에 대한 불신과 비판은 실사구시 정신에 기인한 것으로 부처님의 경전을 통해서만이 부처님의 경지에 들 수 있다고 여긴 것이다. 특히 당대 禪宗을 佛門의 이단으로 여겼고 達磨의 禪觀까지도 僧肇의 아류로 치부하였다. 그 대안으로 추사는『安般守意經』을 선의 바른 안목의 귀결 처로 삼아 선풍의 폐단을 지적하면서 참선의 바른 자세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 寫經이나 佛經刊行그리고 念佛功德을 크게 여겼음은 물론, 특히 晩年에 봉은사에서 지내면서 鉢盂供養과 刺火懺悔까지 하였던 신행불교의 큰 居士였다. 추사의 예술관은 선비정신에 입각한 詩理·書理·畵理·禪理一體의 관념을 견지하였다. 이러한 추사의 예술관은 송대 문인들의 예술 정신과 이를 수용한 우리나라 선인들의 예술 정신을 바탕으로 해서 자신의 불교관과 선의 원리를 채용한 것이다. 그러므로 그의 선리적 서화경지는 외재적인 작품형식보다는 그 내재적인 정신세계에 가치를 둔 것이었다. 추사의 서화경지는 怪·奇·險絶하다고 할 수 있다. 그는 철저하게 看話禪을 부정했지만 살상 善知識의 話頭나 棒喝같은 것을 함부로 평할 수 없듯이 추사의 서화도 그것과 방불한 점이 있다. 결론적으로 추사의 문학과 불교와 서화 모두 장점 단점을 공유하고 있다. 다만 지금까지도 그랬듯이 앞으로도 외경의 추사가 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점은 분명하다. 아울러 그에 대한 ‘재평가’ 같은 운운도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Chusa was a representative calligrapher in late Joseon dynasty and had profound knowledge of documental archaeology, exegetics, realistic school of Confucianism, epigraphy, Buddhism and the theory of calligraphy and paintings. He was called ‘a master with realizing his nature’ or ‘Weimojushi(維摩居士, Vimalakirti grhapati) in the East’ because he especially had an extensive knowledge of Buddhism and a unique perspective on Zen. Chusa thoroughly denied Kanhuachan(看話禪, Zen-Buddhist meditation through dharma topic) which was commonly conducted in Zen-Buddhism in those days. Distrust and criticism of Zen-Buddhism resulted from the spirit of seeking truth from fact, and he believed that he could only achieve the stage of Buddha though Buddhist classics. He considered Zen-Buddhism as a heresy of Buddhism and treated Dharma’s perspective on Zen as an imitation of Sengzhao(僧肇, a famous Buddhist master of the Eastern Jin dynasty). Alternatively, Chusa regarded anbanshouyijing(安般守意經) as a sequence of a correct perspective on Zen and suggested a correct posture and a means of Zen-Buddhist meditation with indicating a negative effect of the atmosphere of Zen-Buddhism. Also, he highly appreciated Xiejing(寫經, copying Buddhist classics), Fojingkanxing(佛經刊行, publication of Buddhist classics) and Nianfogongde(念佛功德, to practice good deeds through an invocations to Buddha). He was a big grhapati of Buddhism who has practiced Boyugongyang(鉢盂供養, monastic meal) and Cihuochanhui(刺火懺悔, repentance receiving the commandments of Buddhism) when he stayed in Bongeun temple in his latter years. Chusa`s perspective on art adhered to the thought of regarding all the principles of poetry, calligraphy, paintings and Zen as one based on the spirit of classical scholars. His perspective on art was systematized, applying his perspective on Buddhism and the principle on Zen, based on the art spirits of literati in Song dynasty and Korean ancestors who have accepted those of literati in Song dynasty. Therefore, his stage of calligraphy and paintings of the principle of Zen had more values on internal world of spirits than external form of artworks. Chusa’s stage of calligraphy and paintings could be strange, abnormal and extraordinary. He thoroughly denied Kanhuachan(看話禪, Zen-Buddhist meditation through dharma topic), but his calligraphy and paintings resembled closely as Huatou(話頭, dharma topic) or Banghe(棒喝, to rebuke with a rod) of a Buddhist priest of high virtue could not be thoughtlessly evaluated. In conclusion, Chusa’s literature, Buddihsm, calligraphy and paintings have both advantage and disadvantage. However, it is obvious that Chusa would be awed and respected as he has been so far. The reassessment about him would not be disappeared. Finally, whether or not Chusa`s calligraphy and paintings would be established as a characteristic of Korean beauty with supports of contemporary calligraphers and painters left for further discu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