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리마문서에 대한 신흥교회들의 응답 ―그 특징과 의미―

        Ahn Deok Weon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1 神學과 宣敎 Vol.38 No.-

        Among modern ecumenical texts, Baptism, Eucharist, and Ministry (hereafter cited as BEM or the Lima document)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and controversial documents. The Lima document and the responses to it from various churches and denominations worldwide provide an illustration of the variety of theological perspectives on baptism, eucharist, and ministry among Christians First of all, even though many younger churches are member churches or associate councils of WCC, the contribution from the younger churches to the BEM seems minimal. Only twenty-six responses from the younger churches among a total of 141 responses can be found in the six volume series of Churches Respond to BEM. Secondly, regarding the issue of theological expression, many younger churches responded positively to the Lima document and regard the document as a great educational resource for the church. Third, the younger churches have expressed their limitation in understanding the document since the churches have a shorter history. Fourth, the responses from the younger churches are strongly based on their context while the first world churches mainly discuss the text of the document itself. Fifth, first-world Christian communities demonstrate denominational and theological approaches toward the Lima document, while the younger churches advocate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analysis. According to my research on the responses from the younger churches to BEM, it is obvious that the younger churches were not fully ready to participate in the theological discussion on BEM. The lack of participation of the younger churches to the issues of the Lima document is quite obvious. It is clear that the Lima document is a positive challenging force for the younger churches for further development of their own theology and liturgy. The inculturation process needs to be widened and expanded among the younger churches. Through this process,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more participation from younger churches in the future ecumenical movement with their distinctive theology and liturgy, both of which are based on their own contexts. 1982년 세계교회협의회에서 발표한 리마문서 (BEM 문서, Baptism, Euchrist, and Ministry)는 세계의 수많은 교회들로부터 지대한 관심을 받았다. 리마문서에 대한 교회들의 응답내용을 살펴보면 각 교회들의 신학적 관심이 잘 드러나 있고 교회가 처한 상황 또한 직 · 간접적으로 묘사되어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기성교회(제1세계 교회)와 비교해 볼 때 신흥교회들의 응답이 가지고 있는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상당히 많은 신흥교회들이 세계교회협의회의 회원교회이면서도 응답에 참여한 교회의 숫자(26 교회)는 매우 제한적이라는 사실이다. 참여도뿐만 아니라 신흥교회들의 응답이 비교적 짧다는 것도 하나의 특징이다. 두 번째로, 신학적 표현에 있어서 신흥교회들이 교육적 자료로 여기며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 신학, 교육, 예배에 기여할 수 있다는 기대감을 표명하고 있다. 세 번째로 신흥교회들은 그들의 교회역사가 짧다는 사실을 밝히면서 리마문서의 이해에 어려움이 있음을 드러낸다. 네 번째로 제1세계 교회들이 문서의 내용(text)에 치중하는 반면 신흥교회들은 응답은 그들이 처한 상황 (context)의 설명에 집중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경은 특히 성찬과 사역부분에서 두드러진다. 다섯 번째로 제1세계교회들의 응답에서는 각 교회가 속해 있는 교단이나 교파의 색깔이 드러나는 반면 신흥교회들의 응답에서는 교회가 자리하고 있는 사회에 대한 문화적, 정치적 분석이 드러난다. 신흥교회들에게 있어서 리마문서는 매우 이론적이며 조금은 불명확하다(ambiguous). 즉 신흥교회들은 리마문서를 교리적인 문서로 이해하고 있으며 그들의 상황에 부합되지 않는 면이 많다고 생각하고 있다. 리마문서는 세례, 성찬, 사역에 대한 분석의 심오함과 교회에 대한 공헌도에 있어서 탁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신흥교회들의 신학적 참여에는 많은 한계도 안고 있다. 앞으로 열린 마음으로, 상호존중의 틀 속에서 쇼터(Shorter)가 이야기하는 대로 복음(신앙)과 문화의 지속적인 대화를 해 나갈 수 있다면 좀 더 창조적이고 생산적인, 신흥교회들의 상황이 충분히 고려된 예전의 탄생을 목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WCC 리마문서의 성례 이해

        권호덕 ( Ho Duck Kwon ) 한국개혁신학회 2011 한국개혁신학 Vol.31 No.-

        본 논문에서 우리는 WCC가 그 동안 교회의 하나 됨을 위해 만든 리마문서에 반영되어 있는 성례론 신학을 종교개혁적인 시각으로 점검하려고 한다. 그리고 WCC가 작성한 세례와 성찬에 대한 가르침이 어떤 특징이 있는가를 살펴보려고 한다. 이 문서가 만들어진 배경은 WCC가 교회의 하나됨을 실현하기 위해 믿음과 직제라는 기관을 만들고 신학적인 근거를 문서로 정착시키려고 한 것에서 비롯된다. 이 문서는 1927년 로잔에서 첫 믿음과 직제라는 회의가 시작된 이래 50년간 계속해서 노력한 열매이다. 리마문서의 세례 이해는 신약성경의 가르침에 근거하여 정리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원칙적인 면에서 이 문서의 세례 이해는 종교개혁자들의 주장과 일치한다. 첫째 논지에서 넷째 논지까지는 즉 예수 그리스도의 죽으심과 부활을 세례에 적용하는 것이나 세례를 정결과 연결시켜 설명하는 점 그리고 세례를 그리스도의 몸에 접붙이는 것으로 설명하는 점 등은 종교개혁자들의 주장과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세례가 일생동안 그리스도인에게 영향을 준다는 내용은 종교개혁자들이 공통적으로 주장하는 바이다. 이 문서는 교회의 통일성과 보편성을 암시함을 통해 교회가 하나임을 은연중에 강조한다. 세례와 연관하여 ``하나됨``(unity)이라는 단어가 매우 여러 번 나온다. 이 ``하나 됨``을 세례를 통해 먼저는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예수 그리스도와 연합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다른 지체들과 연합됨을 보여줌을 통해 보여주고 애쓴다. 그런데 WCC가 교회의 하나 됨에 초점을 맞추고 이 문서를 썼기 때문에 실제적이고 중요한 점에서 간과하는 것이 많아서 종교개혁신학과는 거리를 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리마 문서는 역사 속에 다양한 세례 형태가 있었음을 전제하고 성인 세례와 유아 세례 모두 수용하며 재세례를 인정하지 않는다. 리마문서가 너무나 교회의 하나 됨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다양한 세례의식이 각기 지니고 있는 문제점을 고의로 간과한다는 점이다. 전체적으로 볼 때 리마문서의 세례론은 종교개혁적 입장과 일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신학 논쟁의 정황이 아니라 교회의 ``하나 됨``이라는 정황 속에서 만들어졌기 때문에, 상호 간의 예리한 논쟁을 통해서 얻을수 있는 발전을 기대할 수 없을 것이다. 리마문서의 성찬론은 근본적으로는 고대교회 성찬식론을 기본틀로 삼아 설명한다. 이는 그 후에 생겨난 교회나 분열된 교회들의 공통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종교개혁신학 내용도 포함하고 있을 뿐 이것이 그 중심에 서 있는 것은 아닌 것 같다. 또 리마문서는 구원 문제에 관심을 집중시킨 종교개혁신학과는 다른 사회적 정황 곧 교회의 하나 됨이라는 정황 때문에 성찬식의 의미를 표현하는 것에서 달리한다. ``하나 됨``을 강조한 나머지 ``실제적 임재``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설명하지 않아 애매하다는 인상을 받는다. 성찬식에 있어서 성령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아 하나님의 나라를 이루는 일에 인간 본위로 이루어지는 느낌을 가진다. 즉 펠라기안적이라는 인상을 준다. 또 성찬식이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듯이 말하여 약간은 기계적이라는 인상을 받는다. WCC가 교회의 하나됨을 위해 리마문서를 만든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문제는 하나 됨에만 너무 치중하기 때문에 교회의 다른 속성은 무시되어 균형을 잃게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WCC가 교회의 본질에 반하게 공산주의자들이나 해방 단체들에게 자금을 대주는 일이나 종교다원주의적인 데로 나아간다는 것은 큰 흠집이다. 또 리마문서의 성례론이 하나 됨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성경 진리에 가 장 합당한 성례론을 얻는 일은 불가능하다. 그럼에도 우리가 하나 됨이 주님의 뜻이기 때문에 이 일을 무시해서는 안 될 것이다. 하나 됨의 해결책은 인본주의적인 하나 됨이 아니라 성령 안에서 하나 되는 일이다. 이렇게 된다면 WCC는 모든 교파의 교회들로부터 인정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We will examine the Sacraments Theology of Lima Document, which WCC has made for the unity of Churches, from the viewpoint of the Reformation. We also want to examine which characteristics the understanding of baptism and eucharist of this Document possess, that WCC drew up. This Document results from the facts that WCC made Faith and Order and established the theological contents in writing for the realization of the unity of visible churches. This documents is a fruit of 50-year effort since the Lausanne conference Faith and Order in 1927. We can say that Lima Document on Baptism is based on the New Testament. In this regard the understanding of Baptism of this Document coincides with that of the Reformers in principle. This Document explains with Reformators baptism as applicated the Death and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on us and it as purification, as incorporation into his Body. This Document in union with the Reformers claims that baptism operates upon Christians in their lives. Unbeknownst, by suggesting the unity and catholicity of the Churches, this Document stresses the point that all Churches are one. The term ``unity`` appears frequently in connection with baptism. This document tries to show that all Christians are incorporated into Jesus Christ and unites with other Christians through baptism. However, WCC tends to take too much focus on the unity of the church that it fails to notice the practical and essential contents. In other words, this document distances itself from the theology of reformation. According to the Lima document, there are three forms of baptism in History; adult baptism, infantry baptism and rebaptism. They are all baptisms except for rebaptism. This Document focuses too much on the unity of the Churches that it intentionally passes over the problems of each baptism. We can say that the overall understanding on baptism of the Lima document coincides with the Reformers`. Nevertheless, there is little room for any advancement in this document through mutual argumentation because it is made under the circumstances of the unity of the Church. The Lima Document explains Eucharist based on the doctrine of sacrament of the old church from the second and third century. We can find a common denominator of all churches that had been divided after the third century. The understanding of baptism of Reformation is not at the center in this document. Due to the contemporary social context of the unity of the church, the Lima document explains the Eucharist differently from the Reformationstheology, which is concerned for salvation. This document emphasizes the unity of church whereas it does not explain the concept of the real presence concretely and therefore gives an impression of vagueness. Moreover, it provides a mechanical-processed impression as if the Eucharist should be a solution of all problems. To sum up, WCC deserves the credit for making the Lima document for the sake of the unity of the church. However, from the critical standpoint we must not neglect its heavy focus on the unity of the church while it disregards the other natures of the church. In addition, WCC is damaging itself by raising funds for Marxist and organization of Emancipation which represents the opposite side of the substance of the church. In view of the high concentration on the unity of the Church the Lima document cannot get a Biblical right doctrine of sacrament. Nevertheless, we should not disregard the Oneness of the church, which Jesus Christ desires. It does not mean the people oriented oneness but the oneness in the Holy Spirit. If WCC recognizes and accepts the imbalance it will be acknowledged by all churches.

      • KCI등재

        An Ecumenical Dialogue on the Eucharist: A Comparative Research of Reformed and Roman Catholic Responses to the Eucharist Text in the BEM Document

        PARK Gyeung-Su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3 장신논단 Vol.45 No.3

        This study analyzes the responses of Roman Catholic Church and Reformed Churches on Baptism, Eucharist, and Ministry that were published by the Commission on Faith and Order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in 1982. This study briefly examines the character and content of the BE M1 document, especially on the Eucharist Text. This is because the Eucharist has been one of the most delicate and divisive problems from the Reformation until now. Then, it concentrates on the official responses of Reformed and Roman Catholic Church regarding the Eucharist Text of BE M. In this section, it discloses points of agreement and areas of disagreement. Finally, this study rethinks the task as well as the necessity of ecumenical dialogues. The Eucharist is an important part of the common ground of Christian faith and a symbol of Christian unity. Historically, however, the Eucharist has been a major hindrance to Christian unity. Many controversies have arisen with regard to the Eucharist since the Reformation period, and the gap of understanding about the Eucharist persists even today. The BE M document, which was published through a long time discussion between many denominations, is one of precious fruits of modern ecumenical movements. Nevertheless, a considerable difference between the Reformed and Catholic still exists. This study shows the significance as well as the possibility of ecumenical dialogues in our century. 본 연구는 WCC 신앙과 직제 위원회에서 1982년 출간한 BE M(Baptism, Eucharist, and Ministry) 문서 가운데 성만찬을 다룬 본문에 대한 로마 가톨릭교회와 개혁교회의 응답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BEM 문서 가운데 성만찬 본문이 어떤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그 내용은 무엇인지를 밝히고, 이어서 성만찬 본문에 대한 로마교회와 개혁교회의 반응을 살펴보면서 양자 간의 일치점과 차이점이 무엇인지 살펴볼 것이다. 그런 다음 오늘날 에큐메니칼 대화의 필요성과 과제에 대해서 재고해 볼 것이다. 성만찬은 그리스도교 신앙의 공통적 근거이며 교회 일치의 상징적 성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사적으로 성만찬은 16세기 종교개혁 이후로 그리스도인들의 일치에 중대한 걸림돌로 작용해 왔다. 16세기 이래로 성만찬은 심각한 논쟁의 중심에 있었고, 지금도 그 논쟁은 정도는 다르지만 계속되고 있다. 이런 성만찬 문제에 대해 오랜 대화를 거쳐 나온 BEM 문서는 현대 에큐메니칼 운동이 맺은 가장 귀중한 열매들 중 하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BEM 문서 중에서 성만찬을 다룬 부분에 대한 개혁교회와 로마 가톨릭교회의 견해에는 여전히 상당한 차이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성만찬에 대한 양자 간의 일치점과 차이점을 자세히 열거하면서, 성만찬이 화해의 성례로서 본래적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인지를 검토하고 있다. BEM 문서 중 성만찬에 대한 개혁교회와 로마 가톨릭교회의 응답을 검토하고 있는 본 연구는 향후 에큐메니칼 대화의 가능성과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An Ecumenical Dialogue on the Eucharist:A Comparative Research of Reformed and Roman Catholic Responses to the Eucharist Text in the BEM Document

        박경수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3 장신논단 Vol.45 No.3

        This study analyzes the responses of Roman Catholic Church and Reformed Churches on Baptism, Eucharist, and Ministry that were published by the Commission on Faith and Order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in 1982. This study briefly examines the character and content of the BE M1 document, especially on the Eucharist Text. This is because the Eucharist has been one of the most delicate and divisive problems from the Reformation until now. Then, it concentrates on the official responses of Reformed and Roman Catholic Church regarding the Eucharist Text of BE M. In this section, it discloses points of agreement and areas of disagreement. Finally, this study rethinks the task as well as the necessity of ecumenical dialogues. The Eucharist is an important part of the common ground of Christian faith and a symbol of Christian unity. Historically, however,the Eucharist has been a major hindrance to Christian unity. Many controversies have arisen with regard to the Eucharist since the Reformation period, and the gap of understanding about the Eucharist persists even today. The BE M document, which was published through a long time discussion between many denominations, is one of precious fruits of modern ecumenical movements. Nevertheless, a considerable difference between the Reformed and Catholic still exists. This study shows the significance as well as the possibility of ecumenical dialogues in our century. This study analyzes the responses of Roman Catholic Church and Reformed Churches on Baptism, Eucharist, and Ministry that were published by the Commission on Faith and Order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in 1982. This study briefly examines the character and content of the BE M1 document, especially on the Eucharist Text. This is because the Eucharist has been one of the most delicate and divisive problems from the Reformation until now. Then, it concentrates on the official responses of Reformed and Roman Catholic Church regarding the Eucharist Text of BE M. In this section, it discloses points of agreement and areas of disagreement. Finally, this study rethinks the task as well as the necessity of ecumenical dialogues. The Eucharist is an important part of the common ground of Christian faith and a symbol of Christian unity. Historically, however,the Eucharist has been a major hindrance to Christian unity. Many controversies have arisen with regard to the Eucharist since the Reformation period, and the gap of understanding about the Eucharist persists even today. The BE M document, which was published through a long time discussion between many denominations, is one of precious fruits of modern ecumenical movements. Nevertheless, a considerable difference between the Reformed and Catholic still exists. This study shows the significance as well as the possibility of ecumenical dialogues in our century.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