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도 심방의 신굿과 아마미오오지마 유타 성무의례의 비교 연구-<초공본풀이>와 <오모이마츠카네>의 구비서사시와 의례를 구실삼아-

        김헌선 실천민속학회 2015 실천민속학연구 Vol.26 No.-

        Comparative research on oral epic poetry in Northeast Asia is one of the attractive research topics. It is, of course, required to do comparative research with a focus on Bonpuri and Gut with new conceptions. Bonpuri, which is performed by shamans at Seongmuje, is in agreement among the works of oral epic poetry in terms type as well as minimum unit of story. There is also the structural identity of type detected in it. It is thus natural that Bonpuri attracts attention. The process of performing Shingut, a Seongmu ritual of Shimbang on Jeju Island, requires the full understanding of the details about how Shimbang entered the ritual and the correlations of Shingut. This study set out to address how "Chogongbonpuri" should be understood as the transmission grammar or Gut method of Jeju Sajejas as well as the nature of the group, especially doing research in connection with the processes involving the Shinbyeong or Mubyeong of Shimbang, the preliminary roles of Shimbang, and the process of Shingut. When comparing them with the materials of Amami Oshima in Japan, the investigator actively consulted the researches of Hukuda Akira to examine correlations between Naerimbut and Bonpuri and between Shingut and Bonpuri. The study reflected upon the relations between Shingut and Bonpuri of Jeju Island and aroused the fundamental issues through the survey and research data of Omoimatskane, which is the Seongmu ritual of Amami Oshima and Bonpuri. The findings checked on the rough sketch of East Asia that there was a secret of collective transmission encompassing the special group of shamans and their collective memories of Bonpuri throughout the region.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transmission routes of special groups such as Bonpuri and shamans were essential content to be explained in connection with the spread and expansion process of Mongoloid and the traveling routes of groups. 동북아시아의 구비서사시 비교 연구는 매력적인 연구 주제 가운데 하나이다. 착상을 새롭게 하여 본풀이(와 굿을 중심으로 하는 비교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은 물론이다. 구비서사시 가운데 무당의 성무제(成巫祭)에서 부르는 본풀이는 화소적으로 뿐만 유형적으로 서로 일치하고 심지어 구조적인 유형의 동일성이 감지되기 때문에 당연하게 주목을 받을 수 있다. 이 중 제주도 심방의 성무의례인 신굿[神굿]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심방의 입무 경위와 신굿의 상관성에 대한 특징에 대한 온전한 이해가 더 요구된다. 이를 제주도 사제자 성격과 이들 집단의 전승 문법이나 굿법으로서 <초공본풀이>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하는 의문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였다. 특히 심방의 신병 또는 무병, 예비적인 심방 노릇, 신굿의 과정 등에 대한 일련의 과정을 연결해서 연구한다. 또한 일본 아마미 오오지마의 자료와 비교할 때 후쿠다 아키라의 연구를 통해 내림굿과 본풀이, 신굿과 본풀이의 상관성을 적극적으로 참고하였다. 아마미오오지마의 성무의례와 본풀이인 <오모이마츠카네>(思松金)에 대한 조사 자료와 연구 자료를 통해 제주도의 신굿과 본풀이의 관계를 반성하고 근본적인 문제를 환기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는 동아시아라고 하는 밑그림을 놓고 본다면, 특정한 집단인 무당, 무당의 집단 기억물인 본풀이를 포괄하는 집단 전승의 비밀이 드넓게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풀이, 무당 등의 특별한 집단의 전승 경로를 몽골로이드의 전파와 확장 과정과 연계되어 집단의 이동 경로와 연결해서 해명할만한 핵심적인 내용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제주도 심방의 신굿과 아마미오오지마 유타 성무의례의 비교 연구

        김헌선(Kim, Heon-Seon) 실천민속학회 2015 실천민속학연구 Vol.26 No.-

        동북아시아의 구비서사시 비교 연구는 매력적인 연구 주제 가운데 하나이다. 착상을 새롭게 하여 본풀이(와 굿을 중심으로 하는 비교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은 물론이다. 구비서사시 가운데 무당의 성무제(成巫祭)에서 부르는 본풀이는 화소적으로 뿐만 유형적으로 서로 일치하고 심지어 구조적인 유형의 동일성이 감지되기 때문에 당연하게 주목을 받을 수 있다. 이 중 제주도 심방의 성무의례인 신굿[神굿]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심방의 입무 경위와 신굿의 상관성에 대한 특징에 대한 온전한 이해가 더 요구된다. 이를 제주도 사제자 성격과 이들 집단의 전승 문법이나 굿법으로서 〈초공본풀이〉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하는 의문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였다. 특히 심방의 신병 또는 무병, 예비적인 심방 노릇, 신굿의 과정 등에 대한 일련의 과정을 연결해서 연구한다. 또한 일본 아마미 오오지마의 자료와 비교할 때 후쿠다 아키라의 연구를 통해 내림굿과 본풀이, 신굿과 본풀이의 상관성을 적극적으로 참고하였다. 아마미오오지마의 성무의례와 본풀이인 〈오모이마츠카네〉(思松金)에 대한 조사 자료와 연구 자료를 통해 제주도의 신굿과 본풀이의 관계를 반성하고 근본적인 문제를 환기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는 동아시아라고 하는 밑그림을 놓고 본다면, 특정한 집단인 무당, 무당의 집단 기억물인 본풀이를 포괄하는 집단 전승의 비밀이 드넓게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풀이, 무당 등의 특별한 집단의 전승 경로를 몽골로이드의 전파와 확장 과정과 연계되어 집단의 이동 경로와 연결해서 해명할만한 핵심적인 내용임을 확인하였다. Comparative research on oral epic poetry in Northeast Asia is one of the attractive research topics. It is, of course, required to do comparative research with a focus on Bonpuri and Gut with new conceptions. Bonpuri, which is performed by shamans at Seongmuje, is in agreement among the works of oral epic poetry in terms type as well as minimum unit of story. There is also the structural identity of type detected in it. It is thus natural that Bonpuri attracts attention. The process of performing Shingut, a Seongmu ritual of Shimbang on Jeju Island, requires the full understanding of the details about how Shimbang entered the ritual and the correlations of Shingut. This study set out to address how “Chogongbonpuri” should be understood as the transmission grammar or Gut method of Jeju Sajejas as well as the nature of the group, especially doing research in connection with the processes involving the Shinbyeong or Mubyeong of Shimbang, the preliminary roles of Shimbang, and the process of Shingut. When comparing them with the materials of Amami Oshima in Japan, the investigator actively consulted the researches of Hukuda Akira to examine correlations between Naerimbut and Bonpuri and between Shingut and Bonpuri. The study reflected upon the relations between Shingut and Bonpuri of Jeju Island and aroused the fundamental issues through the survey and research data of Omoimatskane, which is the Seongmu ritual of Amami Oshima and Bonpuri. The findings checked on the rough sketch of East Asia that there was a secret of collective transmission encompassing the special group of shamans and their collective memories of Bonpuri throughout the region.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transmission routes of special groups such as Bonpuri and shamans were essential content to be explained in connection with the spread and expansion process of Mongoloid and the traveling routes of groups.

      • KCI등재

        해남 선비 김여휘의 유구 표류와 송환 경로(1662~1663년)

        정성일(Chung, Sungil) 한일관계사학회 2012 한일관계사연구 Vol.43 No.-

        1662년 해남 선비 김여휘와 제주 사람이 포함된 32명의 조선인이 해난 사고를 당하여 유구국 아마미오시마로 표류하였다. 그들은 9월 24일[서력 11.4] 제주 별도표를 출발하여 해남으로 향하다가 추자도 분근에서 서북풍을 만나 표류하기 시작하여 10월 5일[서력 11.15] 유구인에 의해 구조되었다. 그들 중 4명은 그들의 동료가 구조되기도 전에 배 안에서 목미 말라숨졌다. 생존자 28명은 그곳에서 사쓰마로 이송된 뒤 나가사키에서 조사를 받고 대마도로 넘겨졌다. 1663년 5월 27일[서력 7.2] 대마도에 도착하자마자 김여휘 일행은 다시 심문을 받았다. 일본에서 모든 조사 일정을 마치고 그들이 부산포로 건너온 것은 7월5일[서력 8.7]이었다. 왜관에서 다시 조사를 받은 그들은 부산첨사화 동래부사에게 인계된 뒤에도 마지막으로 조선측의 조사를 받아야만 했다. 김여휘 일행이 고향 해남으로 돌아온 것은 7월 25일 [서력 8.27]이었는데, 그의 아내는 4월17일[서력 5.23] 에 이미 사망하고 말았다. 이 해난 사고는 1663년 한ㆍ일 간 울릉도 쟁계와 관련되어 있는 안용복의 제1차 도항, 그리고 1802년 문순득의 유구 아마미오시마 표류와 비교하여 분석할 수 있는 좋은 소재가 된다. In 1662, thirty-two Koreans, including Kim Yeowhi, who was a classical scholar in Haeman County, and Jeju islanders, encountered an accident at sea and their ship drifted to Amami Oshima island, in Ryukyu. They were rescued by Ryukyuan islanders on the fifth day of the tenth month(or Novermber 15 in the Gregorian calendar), after having departed for Haenam, their home town, from the Byeoldo port in Jeju island on the twenty fourth of the ninth month(or Novermber 4 in the Gregorian calendar), but having been set adrift near Chuja island by a northwester. Four people among them died of thirst before the group was rescued. These twenty-eight survivors were sent from Ryukyu to Satsuma domain in southern Kyushu in Japan, and then to Thusbima domain after the Japanese government conducted an investigation in Nagasaki. Kim Yeowhi and his fellow passengers were immediately interrogated upon their arrival in Tsushima on the twenty-seventh day of the fifth month(or July 2 in the Gregorian calendar) in 1663. They returned to Joseon, at the Busan port, on the fifth day of the sixth month(or August 7 in the Gregorian calendar), after clearing the investigations in Japan. They also had to undergo questioning at the Japan House(K. Waegwan), a compound where Tsushima islanders resided, in Busan and investigation by the Korean government after being delivered to Busan military base and the Dongnae County office. Kim Yeowhi and his colleagues retuned to Haenam County, on the twenty-fifth day of the seventh month(or August 27 in the Gregorian calendar). However, Kim’s wife had died on the seventeenth day of the fourth month(or May 23 in the Gregorian calendar). This maritime accident is useful for comparative study with the first voyage of An Yong-bok to Japan, which related to the territory dispute over Ulleung island between Korea and Japan in 1663, and drifting of Mun Sun-deuk to Amami Oshima in 180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