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시오갈피 지엽의 급여가 흑염소의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황보순(Soon Hwangbo),조익환(Ik-Hwan Jo),이성훈(Sung-Hoon Lee),김성규(Seong-Kyu Kim)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06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6 No.4

        본 연구는 가시오갈피 지엽의 사료가치와 고품질 기능성 축산물 생산에 기초적인 자료를 얻고자 가시오갈피 지엽의 첨가 비율에 따른 흑염소의 사료 섭취량, 소화율, 질소 축적율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2두의 숫흑염소를 네 처리구로 나누어 처리구당 3두씩 완전 임의배치하여 개별대사케이지에 수용하였고, 실험기간은 21일간 지속되었다. 처리구는 대조구 및 가시오갈피 지엽을 10, 20 및 30%수준으로 첨가하여 네 처리구로 나누었다. 결과를 살펴보면, 시험사료의 화학적 조성분은 조단백질 함량이 대조구가 13.39%이었고, 가시오갈피 시험구는 첨가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이 낮아졌다. ADF와 NDF 함량은 대조구가 가시오갈피 첨가구 보다 높은 경향이었고, NFC 함량은 가시오갈피 첨가구가 대조구 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건물 섭취량은 시험구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가소화 건물량에서는 가시오갈피를 20과 30% 첨가한 구가 다른 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 0.05). 대사체중당 건물 섭취량과 체중에 대한 건물섭취 비율은 가시오갈피 20% 첨가구가 가장 높았고, 가시오갈피 30% 첨가구가 가장 낮았다(p<0.05). 조단백질, ADF 및 NDF 소화율은 가시오갈피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소화율을 보였고, 특히 가시오갈피 첨가 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p<0.05). 질소 축적량과 질소 축적율은 가시오갈피를 20과 30% 첨가한 구가 대조구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혈장내 요소태질소농도(PUN)는 가시오갈피 30% 첨가구에서 가장 낮았고, 혈장내 triglyceride는 가시오갈피 모든 첨가구가 대조구 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고려할 때 가시오갈피 지엽을 20% 수준으로 첨가시 소화율, 질소 축적, 혈장내 요소태 질소 및 triglyceride 농도를 개선시켰고, 이는 흑염소의 생산성 향상에 잠재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not only to investigate effects of different supplementation levels of Acanthopanax senticosus leaves on feed intakes, nutrient digestibility, nitrogen retention, and blood metabolites in Korean black goats but also to obtain basic data for nutritive value of Acanthopanax senticosus leaves and production of high quality functional animal products. Twelve Korean black goats were allotted to treatments in four groups of three goats per treatment and then they were housed in individual metabolism cages with completely random arrangements for 21 days. Four treatments were separated into controls and three different supplementation levels of Acanthopanax senticosus such as 10, 20 and 30%, respectively. For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xperimental diets, crude protein (CP) contents of controls were 13.39% and those of supplementation treatments were lowered with increasing levels of Acanthopanax senticosus. Control groups tended to have higher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contents as compared to supplementation groups, but non-fibrous carbohydrate (NFC) contents tended to be higher for supplementation groups than those for controls. Feed intake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atments, but digestible dry matter amou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20 and 30% supplementation groups than those for other treatments. Dry matter intakes per metabolic body weight and their ratio per body weight were highest in 20% group, but those of 40% groups were lowest (p<0.05). Crude protein, ADF and NDF digestibilit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canthopanax senticosus supplementation groups in comparison to controls (p<0.05), and in particular, they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supplementation levels of Acanthopanax senticosus. Nitrogen reten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20 and 30% treatments than those for controls (p<0.05). Plasma urea nitrogen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for 30% supplementation group than those for controls (p<0.05). Furthermore, plasma triglyceride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for Acanthopanax senticosus groups than those for controls (p<0.05). The results showed that supplemental level of 20% Acanthopanax senticosus leaves to Korean black goats improved nutrient digestibility, nitrogen retention, and plasma urea nitrogen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s. Consequently, it might contribute to more efficient production of Korean black goats.

      • KCI등재

        곰팡이 발효 가시오가피의 이화학적 특성과 생리활성

        안희영(Hee-Young Ahn),차재영(Jae-Young Cha),조영수(Young-Su Cho) 한국생명과학회 2012 생명과학회지 Vol.22 No.12

        미생물 발효에 의한 부위별 가시오가피의 생리활성 작용 및 물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을 목적으로 Aspergillus oryzae KCCM 11372, Aspergillus kawachii KCCM 32819, Monascus purpureus KCCM 12002 3종의 곰팡이 균주를 본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이들에 의한 부위별 발효 가시오가피의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와 미네랄 함량, 지방산 조성, 항산화 활성, 미백 효능을 비교 검토하였다. 곰팡이 균주로 발효시킨 분말의 pH범위는 3.9-6.97 였으며, 미네랄 성분 조성 비율은 Ca, K, Mg 순으로, 각 곰팡이 균주 발효에 의한 발효 가시오가피 분말의 미네랄 함량은 전체적으로 발효된 분말이 발효 전 분말보다 함량이 높았다. 주요 지방산 조성은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으로 전체적으로 포화지방산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항산화 활성은 가시오가피 줄기에서 발효전 분말은 약 27%의 활성을 나타냈지만 M. purpureus와 A. oryzae 균주로 발효시킨 분말은 약 73%와 61%로 활성이 증가했다. 또한, 가시오가피 열매도 발효전 분말은 약 58%의 활성을 나타냈지만 M. purpureus와 A. oryzae 균주로 발효시킨 분말은 약 77%와 69%로 활성이 증가했다. 미백 효능은 가시오가피 잎, 뿌리, 줄기, 열매는 약 20% 이하로 매우 낮은 수준이었지만 가시오가피 잎과 뿌리에서 발효에 의해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곰팡이 균주에 의한 부위별 발효 가시오가피의 생리활성 효과 및 이화학적 특성이 발효 전 가시오가피 분말보다 강화됨으로써 건강기능식품이나 화장품의 천연 항산화제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Three mold strains, Aspergillus oryzae (A. oryzae), Aspergillus kawachii (A. kawachii), and Monascus purpureus (M. purpureus), were tested for fermentation of Acanthopanax senticosus (A. senticosus) leaf, root, stem, and fruit powders. The fermented A. senticosus materials were then tested for bioactive materials (phenolic compounds, flavonoids, mineral and fatty acid) and biological activities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s were NFASL at 4.11% and MPASL at 2.30%, respectively. Major minerals were Ca, K, Mg and Mn. Major fatty acids in fermented A. senticosus powders were palmitic, linolenic, and stearic acid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slightly stronger in non-fermented than in fermented A. senticosus.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was stronger in fermented A. senticosus than in NFAG. The Fe/Cu reducing powers were stronger in non-fermented A. senticosus than in any of the fermented A. senticosus materials. Overall, the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the biological activities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 senticosus fermented by molds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 KCI등재

        인터벌 트레이닝에 따른 홍삼 및 가시오가피 복합섭취가 지구성 능력에 미치는 효과

        노성래,박해찬 한국자료분석학회 201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effects of endurance exercise performance and blood elements as person who trains his body ingestion red ginseng and acanthopanax senticosus. For this purpose, taking chinese medicines and interval training were executed for 6 weeks. The experiments were executed to twenty five adolescent boys who have trained their body for 24 weeks to improve aerobic endurance exercise performance. They were randomly assigned into four groups as follows; RI : red ginseng+interval training (n=6), AI : acanthopanax senticosus+interval training (n=6), MI : mixture of red ginseng and acanthopanax senticosus+interval training (n=7), IT : interval training (n=6).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periments, time on exhaustion and hemoglobin figu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or RI, AI, and MI. However, VO2max, anaerobic threshold, red blood cell, and hematocrit figure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four groups. For conclusion, it is thought that ingestion of red ginseng, acanthopanax senticosus, and mixture of red ginseng and acanthopanax did not have positive influence on improvement of exercise performance with aerobic energy metabolism, but have influence on improvement of exercise performance with anaerobic energy metabolism and improve endurance exercise performance. 본 연구는 청소년 남성의 인터벌 트레이닝과 홍삼, 가시오가피, 복합물(홍삼+가시오가피) 섭취가 지구성 운동수행능력과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6주간의 한약재 섭취와 트레이닝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4주 동안 인터벌 트레이닝을 실시한 청소년 남성을 네 그룹; RI: 홍삼+인터벌(n=6), AI: 가시오가피+인터벌(n=6), MI: 복합물+인터벌(n=7), IT: 인터벌(n=6)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안정시 심박수, 혈압 등의 검사를 실시하였고, 체중을 측정한 후 지구성 운동수행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실험 전․후 트레드밀을 이용한 운동부하 검사를 실시하여 최대산소섭취량, 무산소성 역치, 탈진시간을 측정하였다. 또한 운동수행시 혈액성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안정시와 운동직후 혈액을 채취하여 적혈구,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리트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최대산소섭취량과 무산소성 역치 지점은 모든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탈진시간은 각 그룹 내 시점 간 RI, AI, MI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IT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운동수행시 적혈구와 헤마토크리트는 실험을 실시한 모든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운동수행시 헤모글로빈은 각 그룹 내 시점 간 RI, AI, MI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IT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로 인터벌 트레이닝을 한 청소년 남성에 대한 홍삼과 가시오가피의 복합 섭취는 산소를 조직에 운반하는 헤모글로빈 농도를 증가시키고 탈진시간을 증가시킨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가시오가피 버섯균사체 발효물의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

        조주현(Ju-Hyun Cho),최구희(Goo-Hee Choi),박인재(In-Jae Park),백순옥(Soon-Ok Baik),김형하(Hyung-Ha Kim),김충식(Choong-Sik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3

        가시오가피(Acanthopanax senticosus)의 잎과 줄기를 천연물배지로 발효미생물인 영지버섯, 노루궁뎅이버섯 및 상황버섯균사체를 각각 최적조건으로 발효하여 3종의 가시오가피-버섯발효물인 가시오가피 영지버섯균사체 발효물, 가시오가피 노루궁뎅이버섯균사체 발효물, 가시오가피 상황버섯균사체 발효물을 얻었으며 이를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서 이용하고자 하였다. 우선적으로 배양용 시험관과 실험실용 배양병을 사용하여 버섯균사체별 가시오가피의 천연배지로서 최적혼합비율을 검토한 결과 영지버섯균사체, 노루궁뎅이버섯균사체 및 상황버섯균사체의 가시오가피 줄기와 잎의 혼합비율을 각각 80:20, 50:50, 50:50으로 확립하였으며, 이 조건을 가지고 산업용 배양포트(2,000 mL)에서의 최적배양시간을 검토한 결과 영지버섯균사체 14일, 노루궁뎅이버섯균사체 40일, 상황버섯균사체 30일로 확립하였다. 상기와 같이 최적화된 조건으로 배양된 3종의 가시오가피버섯균사체 발효물들을 물과 70% 에탄올로 추출, 여과, 농축, 동결건조를 수행하여 가시오가피 버섯균사체 발효물 추출분말인 열수추출물(FM-5111, FM-5121, FM-5131)과 70% 에탄올추출물(FM-5112, FM-5122, FM-5132)을 얻었다. 이 가시오가피 버섯균사체 발효물 추출분말의 eleutheroside B와 eleutheroside E를 분석한 결과, eleutheroside B는 FM-5111 0.050±0.003 mg/g, FM-5121 0.067±0.001 mg/g, FM-5131 0.026±0.001 mg/g, FM-5112 0.038±0.002 mg/g, FM-5122 0.053±0.005 mg/g, FM-5132 0.025±0.001 mg/g의 함량을 나타내었고, eleutheroside E는 FM-5111 0.052±0.014 mg/g, FM-5121 0.047±0.003 mg/g, FM-5131 0.078±0.003 mg/g, FM-5112 0.045±0.002 mg/g, FM-5122 0.040±0.002 mg/g, FM-5132 0.080±0.011 mg/g의 함량을 보였으며, β-glucan의 경우 FM-5111 4.47±0.14%, FM-5121 3.41±0.15%, FM-5131 4.15±0.06%, FM-5112 5.18±0.36%, FM-5122 3.74±0.40%, FM-5132 4.37±0.32%의 함량이 측정되었다. Three mushroom mycelia, Ganoderma lucidum, Hericium erinaceum, and Phellinus linteus, were separately diluted with the natural culture media Acanthopanax senticosus. Solid-state fermentation was used to produce three different A. senticosus-fermented mushroom mycelium groups: G. lucidum mycelia, H. erinaceum mycelia, and P. linteus mycelia. The resulting mycelia were analyzed to assess their efficacies as health functional foods. Optimized fermentation conditions wer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density and growth speed of mycelia in each A. senticosus- fermented mushroom mycelium group. The cultured mushroom mycelia under the optimized conditions were extracted using water and 70% ethanol. Extraction was followed by filtration, concentration and freeze-drying to produce extract powder of A. senticosus-fermented mushroom mycelia: Water extracts (FM-5111, FM-5121, and FM-5131) and 70% ethanol extracts (FM-5112, FM-5122, and FM-5132). Analysis of extract powder of A. senticosus-fermented mushroom mycelia was performed using the maker compounds eleutheroside B and eleutheroside E. Analysis of β-glucan contents was performed by enzymatic procedures.

      • KCI등재

        혈관 생리 활성에 미치는 가시오가피 추출물의 효능

        최승민(Seungmin Choi),박종봉(Jongbong Park),김종민(Jongmin Kim),인경민(Kyungmin In),박헌용(Heonyong Park)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5

        생약 재료로 사용되어 왔던 가시오가피 추출액의 혈관 생리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혈관 내피세포에서 다양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가시오가피 추출액은 혈관 내피세포 성장을 촉진하면서 세포사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혈관 내피세포의 세포 이동이 가시오가피 추출액에 의하여 촉진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보면, 가시오가피 추출액이 혈관 형성을 유발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가시오가피 추출액이 산화질소(NO)의 생산을 증가시키는 기능과 THP-1의 내피세포 부착을 억제하는 기능을 동시에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가시오가피가 동맥경화 발생을 억제시키는 약물임을 의미한다. 또한 가시오가피 추출액은 THP-1 세포의 동종세포 응집을 촉발하는 기능을 함으로서 상처 난 부위에서 일어나는 출혈을 억제할 것으로 예측된다. 결론적으로 가시오가피 추출액은 다양한 혈관 생리 활성을 갖는 생약 재료로 평가된다. Crude extracts of Acanthopanax senticosus (A. senticosus) have been used as galenicals.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a series of experiments to examine cardiovascular activities of crude extracts from A. senticosus. Whereas the extracts had no effect on the apoptosis of bovine aortic endothelial cells (BAECs), the extracts appeared to induce endothelial cell proliferation. In addition, endothelial cell migration was shown to be enhanced by the crude extracts, indicating that A. senticosus extracts likely act as an angiogenic factor. We also examined effects of A. senticosus extracts on nitric oxide (NO) production, leukocytic adhesion to endothelium, and homotypic aggregation of leukocytes. Both the NO production and the leukocytic adhesion to endothelial cells were revealed to be increased by treatment with A. senticosus extracts, but the homotypic aggregation of leukocytes was inhibited. Together, multiple roles of A. senticosus extracts in the cardiovascular system provide an insight on their broad applications as galenicals to treat cardiovascular diseases.

      • SCOPUSKCI등재

        가시오가피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MG-63 조골세포 증식과 alkaline phosphatase 활성에 미치는 효과

        임소영(Soyoung Lim),임재윤(Jae-Yoon Leem),이충수(Choong-Soo Lee),장여정(Yu-Jung Jang),박정우(Jeong-Woo Park),윤선(Sun Yoon) 한국식품과학회 2007 한국식품과학회지 Vol.39 No.6

        본 연구에서는 가시오가피 추출물의 부위, 추출 용매, 산 가수 분해 전처리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고자 FRAP assay를 실시하였으며, 총 페놀 함량을 측정하고, 가시오가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총 페놀 함량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가시오가피 추출물 처리가 조골세포 증식률과 alkaline phosphat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가시오가피의 골다공증 예방 가능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가시오가피에 함유된 총 페놀 함량과 FRAP법으로 측정된 항산화 활성 간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가시오가피의 항산화 활성은 함유된 폴리페놀에 의해 나타나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가시오가피에 함유된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은 가시오가피의 부위와 추출 용매 및 산 처리 여부에 따라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시오가피의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에 비하여 조골세포 증식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켜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시오가피의 물 추출물은 조골세포에서 염기성 인산 분해 효소의 활성을 유의적으로 증가 시켰다. 이는 가시오가피의 부위와 추출 용매 및 전처리 과정에 따라 추출되는 활성 성분의 종류와 양에 차이가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 결과는 가시오가피의 가공법을 선정하는데 고려 되어야 할 중요한 사항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가시오가피의 항산화 활성과 조골세포 증식 효과가 제시되었다. 한국산 가시오가피를 건강 기능 식품 소재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동물 실험과 인체 시험을 통한 심도 있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Acanthopanax senticosus is a common Asian herb also known as “Siberian Ginseng”. It is often used as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for reducing damage in the liver, kidney, bone and muscle.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ferric reducing/antioxidant power and total phenolic contents of the ethanol-/water-extracts obtained from the stems and leaves of Acanthopanax senticosus. Osteoblast cellular proliferation was evaluated using the MTT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ssays in the human osteoblast-like MG-63 cell line. Acanthopanax senticosus extracts exerted remarkable ferric reducing/antioxidant power and contained high amount of phenolics. Among the extracts the stem-/ethanol-extract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 content. Interestingly a highly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 content (p<0.01). Proliferation of MG-63 osteoblast cells was highest in the stem-/ ethanol-extract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water-extract of the stems (p<0.05).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canthopanax senticosus extracts have antioxidant activity for preventing oxidative stress-related diseases and may have beneficial effects on bone health through the proliferation of osteoblast cells.

      • KCI등재

        HPLC에 의한 가시오가피 및 오가피 중 Hyperin의 정량

        이상현,정하숙,신국현,김박광 대한약학회 2004 약학회지 Vol.48 No.4

        A new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method was applied for the determination of hyperin in Acanthopanax senticosus and A sessiliflorus. The stationary phase used was $\beta$-Bondapak $C_{18}$ reverse-phase column and a mobile phase program was a gradient of acetonitrile and distilled water at a flow rate of 1.0 ml/min. Hyperin was detected at 210 nm, and the analysis was successfully carried out within 20 min. Hyperin was detected in the one year-grown and two years-grown stem of A senticosus (0.47 and 0.13 mg/g, respectively) and A sessiliflorus (0.14 and 0.03 mg/g, respectively). Hyperin was detected in the main and branch root of A sessiliflorus (0.30 and 0.09 mg/g, respectively). But there is no detection of hyperin in the main and branch root of A senticosus.

      • SCOPUSKCI등재

        Isolation of New Microsatellite-containing Sequences in Acanthopanax senticosus

        ( Joon Ki Kim ),( Ki Wha Chung ) 한국식물학회 2007 Journal of Plant Biology Vol.50 No.5

        Microsatellite markers, also called simple sequence repeats (SSRs), are comprised of a 2- to 6-nucleotide repeat motif. They are useful as molecular markers for genetic authentication, crop breeding programs, and linkage analysis for map-based cloning. From a microsatellite-enriched genomic library of Acanthopanax senticosus, we identified 239 new microsatellite-containing sequences. The di-nucleotide repeat units were the most abundant (55.2%), followed by tri-nucleotide repeat units (24.6%). In detailed repeat structures, the (AG)n motif was most frequent (30.5%), followed by the (AC)n motif (21.7%). Heptaand octa-nucleotide repeat motifs were found in each single locus, and a total of 33 (13.8%) complex repeat structures were recorded. This is the first report of mass isolation of microsatellites via screening of an A. senticosus library, and may well provide information useful as a genetic resource for the further study of A. senticosus.

      • KCI등재

        가시오가피 잎ㆍ뿌리ㆍ줄기ㆍ열매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효과

        Su-Jin Heo(허수진),Hee-Young Ahn(안희영),Min-Jeong Kang(강민정),Jae-Hong Lee(이재홍),Jae-Young Cha(차재영),Young-Su Cho(조영수) 한국생명과학회 2011 생명과학회지 Vol.21 No.7

        가시오가피 잎, 뿌리, 줄기 및 열매의 수용성, 에탄올 및 메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물질 분석과 항산화 활성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활성, Cu/Fe-환원력, 간 조직 microsome 생체막 및 linoleic acid 과산화지질,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 하였다. 가시오가피 잎의 열수 추출물에서 추출 수율 16.04%,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 2.67%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1.43%로 가장 높았다. 가시오가피 잎, 뿌리, 줄기 및 열매의 주요 미네랄은 K, Ca 및 Mg 이었다.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활성, Cu/Fe-환원력, 간 조직 microsome 생체막 및 linoleic acid의 과산화 지질 측정에 의한 항산화 활성은 가시오가피 잎, 뿌리, 줄기 및 열매 모두에서 나타났으며, 시료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 결과에서 가시오가피 잎, 뿌리, 줄기 및 열매 모두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이 있었으며, 이는 폴리페놀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생리활성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과 깊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향후 건강기능식품이나 기능성화장품의 천연 항산화제 소재 개발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The contents of bioactive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DPPH (α,α’-diphenyl-β-picrylhydrazyl),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peroxidation of linoleic acid and rat hepatocyte microsome, and Fe/Cu reducing power,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were tested by in vitro experimental models using water, hot water, ethanol and methanol extracts of leaves (ASL), roots (ASR), stems (ASS) and fruits (ASF) from Acanthopanax senticosus. Hot water extract from ASL showed the highest extraction yield (16.04%) as well as highest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2.67%) and flavonoids (1.43%). Major minerals were K, Ca and Mg. In oxidation in vitro models using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e/Cu reducing power, Fe²?/ascorbate-induced linoleic acid peroxidation by ferric thiocyanate and thiobarbituric acid (TBA) methods,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and autooxidation of rat hepatic microsomes membrane,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were strong in Acanthopanax senticosus. From these results, ASL extracts were shown to have the most potent antioxidative properties and contain the highest amounts of antioxidative compounds such as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s. These results may provide the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bio-active materials derived from leaves of Acanthopanax senticosus.

      • KCI우수등재SCOPUS

        가시오갈피와 좀가시오갈피 접목시 정유성분 변화

        신국현,조선행,임순성,이상현,류나마,주화균 한국약용작물학회 1998 한국약용작물학회지 Vol.6 No.2

        가시 오갈피의 지상부 수확량과 유용성분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생육이 양호한 품종을 대목으로 접목재배를 하였다. 접목재배한 가시오갈피의 유용성분의 변화를 규명하는 일환으로 정유성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가시오갈피 잎의 고유 성분 중에서 접목재배로 인하여 함량이 증가한 것은 calarene, α-beramotene, spathulenol 등이고, 감소한 것은 cis-caryophyllene, epizomarene, M204 (tR=2.07)이었으며, β-pinene, β-myrcene, 2,5,5,-trimethyl- 1,3,6-heptatriene, β-elemene 등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2. 줄기의 고유 성분은 접목재배와 일반재배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접목 1년생보다 3년생에서 함량이 높게 검출되었다. 가장 많이 함유한 성분은 α-bergamotene으로 27% 정도이었다. 3. 뿌리에서는 좀가시오갈피 고유 성분인 ethylbenzene, 2-furancarboxaldehyde, M134 (tR=2.11), M205 (tR=3.16) 등이 측정되지 않았고, 가시오갈피 고유 성분인 6,6-dimethyl-3-methylenbicycloheptane, M166 (tR=1.82), (+) -aromadendrene, β-bisabolene, M204 (tR=3.01) 등이 대목에 새롭게 생성 축적되었다.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essential oil contents as a part of searching the changes in active components in the graft cultivation of A. senticosus. To increase the yield of aerial parts and the contents of active components of Acanthopanax senticosus, scions of A. senticosus were grafted on different rootstocks. As a result, the contents of calarene, α-beramotene and spathulenol increased, but cis-caryophyllene and epizonarene contents decreased. β-pinene, β-myrcene, 2,5,5 -trimethyl-1, 3, 6-heptatriene and β-elemene were not detected in the leaves of grafted A. senticosus. Essential oils from stems did not differ with the methods of cultivation. Oil contents of 3-year-old pla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1-year-old plants, whereas α-bergamotene content(27%) was highest in the stem of grafted A. senticosus(27%). Ethylbenzene, 2-furancarboxaldehyde, M134 (tR=2.11) and M205 (tR=3.16) disappeared in the roots of A. senticosus var. subinermis, but 6,6-dimethyl-3-methylenebicycloheptane, M166 (tR=1.82), and (+) -aromadendrene and β-bisabolene were newly fo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