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역사교과서의 개편과 자국사 및 세계사의 ‘현대’ 서술

        우성민 역사와교육학회 2020 역사와 교육 Vol.30 No.-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China has recently announced that it has used the national textbook that is employed in all schools nationwide and compiled high-school textbook based on the foundation of the middle-school textbook, in order to fulfill the demands of the Central Party in regards to Social Political Education, Language, and History courses for middle and high schools. It further emphasizes that the objective of the national textbook is to exercise Xi Jinping’s “Thought on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for a New Era,” and to promulgate the extraordinary Chinese cultural heritage. Among Social Political Education, Language, and History national textbooks, History textbook is a direct medium that impacts the historical perception of the next generation the most—because it diagnoses the identity and future plans of a nation and plays a pivotal role to mutually understand its neighboring countries. Now that China is standardizing the textbooks to convey the volition of the nation, it is inevitable to envisage the historical perception of its future generation. As of March 2019, 7th, 8th, and 9th grade history textbook vol. 1 and vol. 2 were published upon the approval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China in 2016 and 2017. Following the 7th and 8th grade Chinese History vol. 1 and 2, in March 2019, the 9th grade World History vol. 2 completed the compulsory textbooks. The revised Chinese History textbook has updated Chinese politics of time as well as its current social status and recent research outcomes. In particular, the 9th grade World History Vol. 2 has not been assessed in detail in the domestic academia since its publication in January 2019. In such context, this paper focuses on the 9th grade World History Vol. 2 as well as the 8th grade Chinese History Vol. 2, which is considered as Contemporary History of China as it describes its national strategies of the time the most. The 8th grade Chinese History Vol. 2 describes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up to the 19th National Congress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held in October 2017. It especially explains in detail the blueprint of the “Chinese Dream” including the objective of “Two Centenaries” and “Four-pronged Comprehensive Strategy”. Then it emphasizes that realizing a socialist modernized nation of Prosperity, Democracy, Civilization, and Reconciliation at the centennial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will be like realizing the great revitalization of the Chinese people. Externally, it reveals that it thrives to establish a new international relationship with the cooperative win-win outcome as its core, such as community of common destiny. Overall, it assesses the era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troducing the changes of China of the time and the reality of reinforcing its national ideology. Furthermore, it specifies the future strategies of China and the national development plan of the party leadership. The 9th grade World History Vol. 2 also elaborates that China will proactively establish worldwide partnerships and expand the profit of each country, and then found a “community of common destiny”. As it accentuates the political and economic influence of China in the international scene, it includes negative description of capitalist system and of the United States more so than the older version. Moreover, the statement of “Northeast China, Taiwan, and the Penghu Islands all belong to China” under the subtopic of “The End of the World War II” reflects that it presents the evidence of Japan illegally occupying the Chinese territory. As observed in the implication under the subtopic of “Efforts to Establish a New International Order,” describing how China will proactively promote changes in international politics and solve problems of the mankind with the Chinese wisdom and style, it is expected to expand the justification o... 최근 중국 교육부는 중학교, 고등학교의 사상정치, 어문, 역사 과목에 대한 당 중앙의 요구를 관철하기 위해 전국 학교에서 통용되는 교과서인 ‘통편 교재’를 사용하고, 중학교 교과서를 개발한 기초위에 고등학교 교과서를 일률적으로 편찬했다고 밝혔다. ‘통편 교재’는 시진핑의 ‘신시대 중국특색의 사회주의 사상’을 구현하고 중화 우수 전통문화를 널리 알리기 위함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통편 교재’를 사용하는 사상정치, 어문, 역사 중 역사교과서는 차세대의 역사인식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직접적인 매체라 할 수 있다. 역사교과서는 국가의 정체성과 미래 구상을 진단할 수 있으며 주변국의 상호 이해를 위해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기 때문이다. 중국이 교과서를 통해 국가의 의지를 전달하고자 국정화로 전환하여 시행하고 있는 시점에서 중국 미래세대의 역사 인식에 대해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2019년 3월을 기준으로 2016년과 2017년 중국 교육부 검정을 통과한 중학교 역사교과서 7·8·9학년 상·하가 모두 간행되었다. 자국사인 7·8학년 중국역사 상·하책에 이어 2019년 3월까지 9학년 세계역사 하책을 마지막으로 의무교과서가 완간되었다. 새롭게 개편된 중국 역사교과서는 중국 당대 정치 및 사회 현황과 최신 연구성과를 갱신하여 반영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 9학년 세계역사 하권의 경우 2019년 1월 출간된 이래 국내학계에 자세히 다뤄지지 않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는 중국 당대 국가 전략을 가장 많이 서술한 중국현대사에 해당하는 중국역사 8학년 하권과 세계역사9학년 하권을 집중하여 살펴보았다. 중국역사8학년 하권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립이후 2017년 10월 제19차 중국 공산당 전국대표대회까지 소개하였다. 특히 ‘중국몽’의 청사진으로서 ‘두 개의 백년’이라는 목표, ‘네 개의 전면적 전략 배치’ 등을 상세히 설명한 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100년 때 부강·․민주·․․문명·․․화해의 사회주의 현대화 국가를 이루는 것이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실현하는 것임을 강조하였다. 대외적으로는 ‘인류운명 공동체’와 같은 협력 윈윈을 핵심으로 하는 신형 국제관계를 추구하고 있음을 드러냈다. 전반적으로 중화인민공화국시대를 다루면서 당대 중국의 변화와 국가 이데올로기를 강화하는 현실을 소개하고 있고 중국의 미래 전략과 당 지도부의 국가발전 플랜을 명시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세계역사 9학년 하권에서도 중국은 적극적으로 전 세계 파트너 관계를 발전시켜 각국의 이익을 확대시키고, ‘인류운명공동체’를 건설할 것이라고 부연하였다. 국제사회에서 중국의 정치적․경제적 영향력을 강조하는 가운데 자본주의 체제와 미국에 대한 부정적인 서술 내용이 구판에 비해 많이 추가되었다. 또한 ‘제2차 세계대전의 종결’ 소주제에서 ‘중국 동북, 대만, 팽호열도(彭湖)는 모두 중국으로 귀속된다.’는 서술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일본이 불법으로 중국 영토를 차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를 소개하고 있다. 이어 ‘국제 신질서를 세우기 위한 노력’이라는 소주제에서 중국은 세계 정치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인류 문제를 해결하되, 중국의 지혜와 중국 스타일로 기여할 것임을 시사한 바와 같이 국제사회에서 중국의 역할의 당위성을 확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상의 ...

      • KCI등재

        TIMSS 2019의 8학년 화학 영역과 우리나라 과학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

        김현경 대한화학회 2020 대한화학회지 Vol.64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ight topics in TIMSS 2019 8th grade chemistry domains and the Korea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For this purpose, four elementary and four secondary teachers participated in physics, chemistry, biology and earth science majors, and two science education experts participated in analyzing in which grades the content elements of the TIMSS 2019 science framework are covered in the Korean science curriculum. The study also analyzed whether the content of the Korean science curriculum matches the 246 items of 8th grade in the TIMSS 2019 assessment and reflects in which grades the eight topics are cove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TIMSS 2019 evaluation topics, topics not covered at all in the Korean middle school curriculum were periodic table, matter and energy in chemical reactions, the role of electrons in chemical bonds. Second, the topic of "the periodic table as an organizing principle for the known elements" needs to be introduced in the Korean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topics such as “familiar exothermic and endothermic reactions" and "factors affecting the reaction rates" need to be discussed in consideration of the flow of international curricula. Third, the next science curriculum should be structured so that the sequence of chemistry contents and scope, especially core concepts to be included in the elementary, 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curriculum is linked to continuity. 본 연구의 목적은 TIMSS 2019 중학교 화학 영역의 8개 주제를 우리나라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및 2015 개정 과학 과 교육과정에서 다루고 있는지 연계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교사 4명과 중학교 교사 4명은 각각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전공별로 참여하여 총 8명의 현장교사와 과학교육 전문가 2명이 참여해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 중 TIMSS 2019 과학 평가틀의 화학 내용이 어느 학년에서 다루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TIMSS 2019 평가에서 8학년 대상의 246 개 문항과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 내용이 일치하는지 분석하여 8개 주제가 어느 학년에서 다루고 있는지도 분석에 반영하였 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TIMSS 2019 평가 주제 중에서 우리나라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전혀 다루고 있지 않는 주제는 주기율표, 화학 반응에서 물질과 에너지, 화학결합에서 전자의 역할이었다. 따라서, ‘원소를 규칙에 따라 배열하는 주 기율표’에 대한 주제는 우리나라 중학교 교육과정에 조기 도입할 필요가 있다. 둘째, ‘주변의 발열 반응이나 흡열 반응’, 그리고 ‘반응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등에 관한 주제도 국제적인 흐름을 고려하여 우리나라 중학교 교육과정에 조기 도입하거나, 수 준을 고려하면서 내용 등을 재구성하는 논의가 필요하다. 셋째, 차기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화학 내용과 범위, 특히 초·중학교 및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 포함될 개념의 범위와 순서가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것 등과 관련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후보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2학년 과학교과서의 과학 탐구 과정과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 실태 분석

        김희령,여성희 韓國生物敎育學會 2004 생물교육 Vol.32 No.4

        This study analyzes both a scientific inquiry process required by the middle school 8th grade science textbook and students' current abilities on a scientific inquiry. The sample were 318 middle school students (8th grade) in Seoul, and a questionnaire used for this research was TSPS (The Test of Science Process Skill).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statistical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8th grade science textbook puts focus on observing, inferring and interpreting data. A ratio of fundamental inquiry process was much more than that of integrated inquiry process. The 8th grade students' scores in basic inquiry skill were higher than those in integrated inquiry skill. Their abilities in scientific inquiry skills were good at classifying, predicting, observing, measuring, inferring, transforming data, controlling variables, interpreting data, generalizing, formulating hypotheses, in order. In the 8th grade science textbook, although there were few contents of classifying and expectation, students' abilities on them were better than expected. However, their abilities on inferring and interpreting data were low relatively despite its plenty in textbook. Also the contents about formulating hypotheses did not exist not at all, and students' abilities on that part were the lowest as well. Conclusively, learner' cognitive and understanding level should be considered in revising science curriculum and textbook in the future to improve a students' inquiry abilities.

      • KCI등재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국어 교과서 구현 양상 -8학년, ‘문법’ 영역을 중심으로-

        김억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4 No.3

        This paper aims at researching about the 8th grade Korean textbook which was published by the 7th Korean education curriculum(revised version) in 2007. The textbook is a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 that embodies the intention and content of the curriculum. It takes an important role in the domain of education. We have used a kind of Korean textbook provided government-published textbook, the 7th Korean education curriculum, since 2000. But we will select a new kind of textbook from 23 kinds of Korean textbooks last year. And, we will select a new kind of textbook from 15 kinds of Korean textbooks this year. So I studied the grammar domain that is a part of Korean education curriculum of 2007 revised version in Chapter Ⅱ. Second, in chapter Ⅲ, I am researching about aspects of the authorized textbook that has expressed five achievement standards established by the Korean education curriculum of 2007 revised version. As a result, I found it was very different in every textbook. So I think that it is important select very carefully the textbook for teaching students. And that, it is more important that each teacher study the 7th Korean education curriculum(revised version) in 2007.

      • KCI등재

        교수 질 프로필(IQP)에 기반한 중학교 2학년 수학과 교수의 질 분석

        이봉주,한인기,서보억,Lee, Bongju,Han, Inki,Suh, Boeuk 영남수학회 2018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Vol.34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part of the project to evaluate the quality of mathematics instruction in the national curriculum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consistency between teaching goals of mathematics curriculum, contents presentation of textbooks, and testing including adequacy of each element in mathematics instruction for 8th grade. To do this, we used MIQP (instructional quality profile for Mathematics) developed basing on the instructional quality profile (IQP) in the previous research of the project. First, the quality of textbooks' content presentation for 8th grade was found that the desirable levels in number and operation area and geometric area was relatively less compared to other areas, but it was generally good.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quality of mathematics testing for 8th grade was good in terms of consistency with the curriculum's teaching goals, consistency with the content presentation of textbooks, and adequacy of testing. However, regional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testing showed that there were some deficiencies in regions outside the metropolitan.

      • KCI등재

        TIMSS 2019의 중학교 과학 평가틀과 우리나라의 과학 교육과정 비교 분석

        김현경(Kim Hyun-Kyung),임희준(Lim Heej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8

        본 연구에서는 TIMSS 2019의 8학년 평가틀과 우리나라 2009 및 2015 과학과 교육과정을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생명 영역에서 우리나라 교육과정과 TIMSS 2019 과학 평가 목표 사이의 차이가 가장 많았으며, 물리 영역에서는 TIMSS 2019 과학 평가 목표 중 우리나라 중학교 과학교육에서 다루지 않는 내용은없어 교육과정상 일치도는 가장 높았다. TIMSS 2019 평가틀의 8학년 생물 영역의 평가 목표 중에서 우리나라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전혀 다루고 있지 않는 내용은 ‘생 물의 특성과 생명 활동’에서 인간과 기타 척추동물 간의 기관과 기관계 비교‧대조,생태계에서의 에너지 흐름과 개체군이나 생물 사이의 공생, 개체군의 크기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그리고 건강 관련 목표들이었다. 화학 영역의 평가 목표 중에서 우리나라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전혀 다루고 있지 않는 목표는 ‘원소 주기율표’, ‘물리적 성질과 화학적 성질의 구분’, ‘화학 반응 속도’, ‘화학 결합’ 등이다. 이들 내용들은 우리 나라에서는 모두 고등학교 과정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이다. 지구과학 영역의 평가 목표 중에서는 지구의 자원과 관련된 내용이 주로 다루어지지 않고 있어 교육과정 개정 시 이들 내용에 대한 포함 여부와 정도에 대한 논의들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compared TIMSS 2019 science framework and Korean 2009 revised, and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for 8th grade. The content-domain that has mis-matching topics the most was biology. In physics domain, all the topics in TIMSS 2019 contained in Korean science curriculum. The biology topics that did not contained in Korean science curriculum were ‘comparison and contrast major organs and major organ systems in humans and other vertebrates’, ‘The flow of energy in ecosystems’, Interdependence of populations of organisms in an ecosystem’, ‘Factors affecting population size in an ecosystem’, and health related topics. In chemistry domain, the topics of ‘The periodic table of elements’,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matter’, ‘ rate of reaction’, and ‘chemical bonds’ were not included in Korean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In earth science domain, the topics of ‘Earth’s resources, their use, and conservation’ were not mostly included in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Considering the significance of the frameworks for international analysis, these un-matching topics are needed to be discussed for next curriculum revi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