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병영(兵營) 생활을 묘사한 한국 만화의 시공간 재현과 그 상징적 의미 - 푸코의 ‘규율 권력’ 이론을 통한 작품 분석

        박남기(Park, nam ki)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1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62

        병영 생활을 묘사한 한국 만화 및 웹툰은 현대 한국의 특수한 사회적 현실을 반영하고 재현하는 대표적 만화 작품군이다. 이 연구는 병영 생활이라는 특수한 배경을 지닌 만화와 웹툰의 시공간 재현 방식과 그 상징적 의미를 탐구하고 만화에서 묘사되고 있는 사회적 공간 재현의 예술적 가능성과 가치를 탐색하고자 한다. 만화와 웹툰이 재현한 병영 시공간은 미셸 푸코(Michel Foucault)의 ‘규율 권력’(Disciplinary power)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할 수 있다. 푸코의 ‘규율 권력’은 세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규율 권력은 신체를 세밀하게 분할하여 미시 권력을 생성한다. 둘째, 규율 권력은 신체를 기계처럼 취급하며, 체력을 통제하여 경제적 효용을 추구한다. 셋째, 규율 권력은 시공간을 분할하는 기호 체계를 통해 신체를 통제하고 지속적인 순종을 강제한다. 푸코는 그의 권력 이론을 18세기 철학자 제러미 벤담(Jeremy Bentham)이 설계한 감옥 체계인 파놉티콘(Panopticon)으로 설명했다. 파놉티콘의 강력한 효과는 감시자는 은폐되고 감시당하는 대상은 정확하게 가시화(可視化) 시켜 고분고분한 신체를 생산한다. 푸코는 이 근대적 감시 권력을 ‘규율 권력’(Disciplinary power)이라 명명한다. ‘규율 권력’(Disciplinary power) 이론을 바탕으로 연구의 대상이 되는 병영 생활을 묘사한 작품은 기안84의 <노병가>, 최규석과 연상호의 <창>, 김보통의 <D.P 개의 날>, 하일권의 <방과 후 전쟁 활동>이다. 기안84의 웹툰 <노병가>와 최규석 연상호의 <창>은 병영 생활에서 파놉티콘(Panopticon) 원리를 통해 군대에서 ‘규율 권력’의 생성과 작용을 재현한다. 김보통의 <D.P 개의 날>은 ‘규율 권력’에 의한 공간의 서열적 분할 현상을 재현하고 감시의 시선으로부터 벗어난 사각지대를 묘사하고 있다. 또 병영에서 발견되는 ‘규율 권력’이 병영을 넘어 사회에도 영향을 주고 있음을 시사한다. 하일권의 <방과 후 전쟁 활동>은 미지의 위협에 대항하여 학교가 병영으로 자연스럽게 전환되는 서사를 통해 학교와 병영이 ‘규율 권력’이라는 같은 원리에 의해 통제되는 유사한 공간임을 강조한다. 또 ‘규율 권력’에 의한 훈육(discipline) 결과가 타인을 돕고 집단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이 되기도 하지만 반대로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오기도 하는 서사를 전개한다. 이를 통해 ‘규율 권력’에는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이 동시에 존재하고 있음을 묘사한다. 이는 <방과 후 전쟁 활동>이 서사를 통해 ‘규율 권력’의 양가성(ambivalent)을 드러내는 것이다. 미디어로서 만화와 웹툰은 사회적인 것을 재현하고 그 재현을 통해 독자들의 삶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 비평한 병영 생활을 묘사한 만화와 웹툰을 통해 이들 장르가 사회적 주제를 재현하는 예술 장르로서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Korean comics and webtoons depicting army life is a representative category of comics that reflect and represent the special social reality of modern Korea.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way comics and webtoons with army life in the background represent time and space and its symbolic meaning, and to search the artistic possibilities and values of the representation of social space depicted in comics. The time and space of army represented in comics and webtoons can be analyzed based on Michel Foucault"s ‘Disciplinary Power’ theory. Foucault"s ‘Disciplinary Power’ can be summarized in three. First, disciplinary power creates micropower by segmenting the body in detail. Second, disciplinary power treats the body like a machine and seeks economic utility by controlling physical strength. Third, discipline power controls the body through a symbolic system that divides time and space and forces continuous obedience. Foucault described his theory of power with Panopticon, a prison system designed by the 18th-century philosopher Jeremy Bentham. The powerful effect of Panopticon is that the surveillant is hidden and the target surveyed is completely visible so that it produces an obedient body. Foucault calls this modern surveillance powers of ‘Disciplinary Power’. Based on ‘Disciplinary Power’ theory, this study examined Gian 84"s 〈An old soldier"s song〉, Choi Kyu-seok and Yeon Sang-ho"s 〈Window〉, Kim Bo-tong"s 〈D.P Dog Days〉, and Ha Il-kwon"s 〈After-school war activities〉, which depicted army life. Gian 84"s webtoon 〈An old soldier"s song〉, and Choi Kyu-seok and Yeon Sang-ho"s 〈Window〉 represent the creation and action of ‘Disciplinary Power’ in the military through the principle of Panopticon in army life. Kim Bo-tong"s 〈D.P Dog Days〉 represents the hierarchical segmentation of space by ‘Disciplinary Power’ and depicts blind spots away from the gaze of surveillance. It also suggests that ‘Disciplinary Power’ found in army affects society beyond army. Ha Il-kwon"s 〈After-school war activities〉 emphasizes that school and army are similar spaces controlled by the same principle of ‘Disciplinary Power’ through the narrative in which a school is naturally converted into a military unit against unknown threats. It also develops a narrative in which the results of discipline by ‘Disciplinary Power’ not only produce the ability to help others and contribute to the group, but can also bring negative results on the contrary. Through this, it describes the existence of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Disciplinary Power’. As such, 〈After-school war activities〉 reveals the ambivalence of ‘Disciplinary Power’ in its narrative. Comics and webtoons as media represent social phenomena and directly affect the lives of readers through such representation. By looking into comics and webtoons depicting army life. this study shows that this genre has the potential as an art genre that represents social themes.

      • KCI등재

        푸코의 ‘규율권력’과 교육의 장에서의 ‘감시와 처벌’

        박성일(Piao Cheng Ri),민용성(Min, YongS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8

        본고에서는 푸코의 ‘규율권력’ 해석에 근거하여 교육의 장에서의 그 양상과 성격을 살펴본다. 푸코는 현대 사회에서는 군주권력이 물러나고 규율권력이 지배적 양식으로 등장하였다고 한다. 규율권력은 비개인적 비가시적 무형의 존재이지만, 모세관처럼 사회의 구석구석까지 침투되어 있고, 사회구성원의 통제에 많은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것이다. 푸코는 규율권력의 성격과 특징, 테크닉과 도구를 매우 명확하게 밝히고 있다. 규율권력은 공간배분의 예술, 시간의 배정을 통해 활동의 통제, 발생적 조직화, 각종 역량의 조합 등 다양한 테크닉을 활용한다. 또한 규율권력은 계층적 감시, 규범화 제재, 시험 등의 도구를 활용하며, 은밀하고 억압적이고 공포적이다. 본고에서는 중국 영화 「아름다워 보이는데」를 사례로, 교육의 장에서의 규율권력의 형태와 성격, 그리고 그 메커니즘과 특징을 확인한다. 특히 푸코가 발굴한 또 하나의 권력 형 태인 생명권력의 작동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는 규율권력의 은밀하고 억압적이고 공포적인 면을 극복하는 하나의 단서가 될 수 있음을 밝히고, ‘규율권력’과 ‘생명권력’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통해 교육자들이 현실의 학습자 중심 교육을 실천하는 데 유용한 지침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explored the patterns and properties of ‘disciplinary power’ in education field based on the Foucault’s ‘disciplinary power’ explanation. According to Foucault, the monarch power backs off and the ‘disciplinary power’ is becoming dominant in the modern society. Although the ‘disciplinary power’ is impersonal and invisible, it has permeated through the society such as a capillary tube and has a great influence on govern the member of society. Foucault precisely explained the property and features of ‘disciplinary power’ and revealed its technique and tools. The ‘disciplinary power’ uses lots of techniques like ‘the art of distributions’, ‘the control of activity’, ‘the organization of geneses’, ‘the composition of forces’ and so on. In addition, it uses the tools like ‘hierarchical observation’, ‘normalizing sanction’, ‘examination’ and so on. The ‘disciplinary power’ is secret, oppressive and grisly. Taking a Chinese movie “Looking Beautiful” as an example, this paper confirmed the manifestation, property, mechanism and tools of ‘disciplinary power’ in education field. With understanding of ‘power over life’ and it s operating mechanism, it can be overcome the shortage of ‘disciplinary power’. This paper can be helpful to educators to practice learner-centered education in real world with a deep understanding of the ‘disciplinary power’ and ‘power over life’

      • KCI등재

        인터넷 팬 커뮤니티의 규율권력이 어떻게 행사되는가?

        권지현(JiHyun Kwon),김명혜(MyoungHye Kim)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5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2 No.2

        본 연구는 푸코의 ‘권력’이론을 토대로 인터넷 팬 커뮤니티에도 규율권력이 작용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디시인사이드 ‘주군의 태양’ 갤러리를 참여관찰하고 팬 담론을 분석하여, 팬 커뮤니티에서 규율권력이 행사되는 과정과 규율권력을 지지하는 ‘지식’과 권력관계에서 구성된 ‘진리’가 무엇인지를 찾고자 했다. 분석결과, 인터넷 팬 커뮤니티에서는 ‘고나리’라는 장치를 활용해서 규율권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팬 커뮤니티의 질서와 규칙을 체득하고 있는 오래된 팬들은 감시와 처벌을 통해서 신입 팬을 팬 공간이 요구하는 주체가 될 수 있도록 교육했다. 신입 팬들은 훈육과정을 통해서 적극적이고 열정적인 팬으로 성장했다. 팬 커뮤니티에서는 구체적으로 ‘친목’, ‘셀털’, ‘찻내’ 행위를 규제했다. 규율권력은 “팬 커뮤니티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서”라는 지식에 의해 정당화되었다. 팬 커뮤니티는 ‘규율 권력’과 그 ‘저항’이 투쟁하는 역동적 공간이었으며, 다양한 지점에서 얽혀있는 권력관계와 규율권력의 지식은 “팬 공간을 유지하고 발전시켜야 한다”는 담론적 진리를 구성했다. This study analyzes how the disciplinary power in the internet fan community is exercised on the basis of Foucault’s theory of power. The diverse discourses from fan activities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n the internet fan community (DCinside “Master’s Sun” gallery) are analyzed by discourse analysis method. This study aims to trace the trajectories in which the disciplinary powers are exercised, to discover the ‘knowledge’ which bolsters disciplinary powers, and to identify the ‘truth’ formed in the web of power relations. The research findings show that the internet fan community utilizes a disciplinary power apparatus called ‘Gonari to manage its own community. Long-term fans who are well aware of the hierarchical order and the rules of the fan community take charge of educating new fans to become desirable subjects of the fan community by means of surveillance and regulation. New fans have eventually become active fans under the supervising gaze and through penal interventions. In this process the knowledge of disciplinary power enacts and refines the disciplinary power itself. The disciplinary powers appear in the form of regulations which prohibit ‘Chinmok (forming friendly groups)’, ‘Channae (sweet-talking)’, and Selftell (talking about personal stuff)’. This kind of disciplining power is justified by the knowledge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fan community.” Internet fan community is a dynamic space in which ‘disciplining powers’ and their resisting counterparts collide. Knowledge of disciplinary power and power relations entangled at various points construct the discursive truth that “fan community should be maintained and flourished at any rate.”

      • KCI등재

        주권권력에서 생명권력으로성의 역사 1-앎의 의지 를 중심으로

        김용규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코기토 Vol.- No.85

        This paper aims to examine Foucault’s formation of power theory and transformation ofpower models in The History of Sexuality 1: The Will to Knowledge. This book is a work thatshows a crucial turning point in the development of Foucault’s power theory. It means theculmination of Foucault’s power concept, which has been going on since “The Order ofDiscourse” in the 1970s, and anticipates his power theory to be unfolded in the late 70s. Asmost of his lectures in the Collège de France and talks have been recently published, theoverall outline of his power theory is being revealed. Foucault sought various ways to definethe concept of power by 1975. First, in the light of the evolution of the concept of power,Foucault moves the field of power from the state or political structure to the society. He urgesthat power be understood as a strategy to be exercised, not possessed, and that power is understoodas a power relationship that inherently includes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stanceand power. In particular, The History of Sexuality 1: The Will to Knowledge deepens and extendsthe concept of power as a ubiquitous, productive and resistant concept that is spreadingthroughout the social body. Second, in terms of the form of power, Foucault’s concept ofpower begins by criticizing the traditional sovereign power that defines human beings as legaland ideological subjects and goes, through disciplinary power that trains bodies and makesthem docile, into biopower that manages and controls population(social body). The workthat displays this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power is The History of Sexuality 1: The Will toKnowledge. This paper examines Foucault’s theory of power from disciplinary power to biopowerin detail. 이 글은 성의 역사 1-앎의 의지 를 푸코의 권력이론의 형성과 권력모델의 변화라는 시각을 통해 검토하고 그 한계와 성과를 짚어보는 데목적이 있다. 앎의 의지 는 푸코의 권력론의 전개에서 중요한 전환을보여주는 작업이다. 그것은 1970년대 「담론의 질서」 이후 진행된 푸코의 권력 개념의 정점이면서 70년대 후반에 펼쳐질 그의 권력론을 앞서선취하고 있다. 1975년 무렵 푸코는 권력 개념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를 다각도로 모색하였다. 당시의 콜레주 드 프랑스 강의와 대담들이 발간되면서 그의 권력론의 전체적 윤곽이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 첫째, 권력 개념의 진화라는 관점에서 푸코는 권력의 장을 국가나 정치구조에서사회로 이동시킨다. 그는 권력을 소유가 아니라 행사되는 전략으로 이해하고 저항과 권력의 투쟁적 관계를 내재적으로 포함하는 권력관계로 이해할 것을 촉구한다. 이를 좀 더 확장하여 앎의 의지 는 권력을 사회체전체로 확산되어 나가는 편재적이고 생산적이며 저항적인 개념으로 확장한다. 둘째 권력의 양식이라는 관점에서 인간을 법적․이데올로기적주체로 내세우는 주권권력을 비판하면서 시작하여 유순한 신체들(개인적 신체)을 통제하고 훈육하는 규율권력을 거쳐 인구(사회체)를 관리하고 조절하는 생명권력으로 발전해간다. 이러한 확장과 발전을 집약하는저작이 앎의 의지 이다. 하지만 앎의 의지 에서 개진된 생명권력은 그뒤 또 다른 권력 개념으로 발전해간다. 이 논문은 규율권력에서 생명권력으로 나아가는 푸코의 권력론을 살펴본다.

      • 푸코의 규율권력의 관점에서 본 ‘안네 프랑크’ 문제 - 난민법상 주목가능성 법리를 중심으로 -

        정미나 ( Jeong Mi Na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공공거버넌스와 법센터 2021 연세 공공거버넌스와 법 Vol.12 No.2

        Michel Foucault(1926-1984) analyzed ‘disciplinary power’ through his prison discourse and this power is described as a relational, omnipresent, anonymous power that operates on the body of the individual subject. In this sense, disciplinary power contrasts with the pre-modern sovereign power and the legal system derived from it. It is true that law derogates in a sense. However, it does not mean that disciplinary power completely replaces or extracts the concept of law from modern society. Foucault rather tried to explain the complex, organic relations of power discourse where law still plays its own role. The pre-modern, unilateral, oppressive and punitive law faces inherent transformation under this power mechanism that works in various dimensions. In particular, international refugee and human rights norms and refugee acts gives new challenges to modern concept of law and legal system. Among them, this article put an emphasis on ‘drawing the attention of persecutors’ which has led to some questionable and concerning outcomes related to ‘Anne Frank problem’; in cases where asylum seekers like Anne Frank successfully hide their identity to avoid persecution, the court would rule that there is no well-founded fear of persecution upon return because he or she did (or will) not draw the attention of persecutors. The logics eventually leads to the normative demand toward Anne Frank that she is expected to hide inside the closet and act discreetly and be a ‘docile body’ who can eat, walk, talk, and live normally under disciplinary power of that society. Considering the purpose of Convention, this normative demand leads to ironic outcomes. Thus, the wrongful emphasis on the ‘attention of persecutors’ needs to be examined critically under the relations of law and disciplinary power.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엘리트스포츠에서 규율권력과 운동선수사회: 푸코의 규율권력 이론을 중심으로

        서경화(KyongHwaSeo) 한국체육학회 2012 한국체육학회지 Vol.51 No.3

        이 연구는 푸코의 규율권력에 대한 논의를 관점으로 엘리트스포츠와 접목하여 운동선수사회 내에서 발생하는 권력과 규율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고 있다. 운동선수사회에서 작동하는 권력은 독립된 실체가 아니라,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강제나 억압과 같은 일방적인 흐름이 아닌 상호작용의 형태로 유동적인 흐름의 연속으로 나타나며 관계적으로 작동하고 있다. 또한 규율권력은 질서, 시간, 내적조건 및 구성요소를 갖춘 안정되고 훈련된 신체를 요구한다. 그리고 권력은 생산적이라는 것이다. 이에 따른 권력규율의 상관관계에서 나타나는 윤리적 문제로써 일부관객들은 스포츠 자체에 관심을 두지 않고 이기적 욕망에 찬 금권주의와 결과주의에 집착하고, 일부선수 또한 ‘소외’에 대한 잘못된 보상을 노리는 비뚤어진 욕망으로 인해 운동선수사회를 붕괴하는 암초가 되고 있다. 이러한 운동선수사회에서 불거져 나오는 문제점들을 구조적으로 규제하고 근절시킬 수 있는 장치가 시급하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감시와 제재보다 운동선수사회의 구성원들이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윤리관을 함양하기 위한 노력에 있다. This study attempts a new interpretation on the power and discipline within the athlete society in regards to elite sport focused on the discussion on Foucault's disciplinary power. The power in athlete society is not an independent entity, but is composed of various components, works in relation, and appears as series of flows in the form of interaction rather than one-sided flow such as force or oppression. Also disciplinary power requires a stable and trained body with order, time, inner conditions as well as other components. And Power is productive. Ethical problems caused by such correlation of disciplinary power are obsession of the audience on money and the result over the sport itself, and twisted desire of athletes as a compensation for 'alienation'. These problems are causing the athlete society to break down. The need for a system to control and eradicate these problems structurally is a matter of urgency. However, the effort to cultivate a moral view which enables each member of athlete society to actively deal with problems are needed more than supervision and discipline.

      • KCI등재

        프로야구 빈볼 시비와 벤치클리어링의 규율권력

        권헌수(HeonSuGwon),이종영(JongYoungLee) 한국체육학회 2014 한국체육학회지 Vol.53 No.1

        본 연구는 미셸 푸코의 규율권력을 통하여 프로야구 경기 중 불문율을 어기거나 팀의 사기 진작을 위해 발생하는 빈볼 시비와 벤치클리어링을 심층적으로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프로야구 3팀을 선정하여 팀당 2명씩 총 6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비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질적 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수행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야구 빈볼 시비와 벤치클리어링의 규율권력은 불문율을 통한 행동의 통제, 빈볼 시비를 통한 규범화된 제재를 통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야구 빈볼 시비와 벤치클리어링의 규율권력은 파놉티시즘으로써의 빈볼 사인, 시놉티시즘으로써의 벤치클리어링, 빈볼 시비와 벤치클리어링을 통한 통제의 내면화를 통하여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로야구 빈볼 시비와 벤치클리어링을 통하여 규율권력을 순응하고, 주체화를 통하여 저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프로야구 빈볼 시비와 벤치클리어링은 팀의 단합으로 보일 수도 있지만, 하나의 규율적 권력으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빈볼 시비와 벤치클리어링이 일어나기까지 선수들은 코치 또는 감독과 다른 선수들의 감시 아래에서 규율적으로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in depth the bean ball arguments and bench-clearing occurred by violating unwritten rules or to boost team morale through Michel Foucault`s disciplinary power during pro-baseball games. To do this, three professional baseball teams were selected and a total of six persons composed of two persons in each team were chosen as research subjec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non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onducted in this wa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disciplinary power of pro-baseball bean ball arguments and bench-clearing were formed through action control through unwritten rules and the standardized sanctions through bean ball argument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disciplinary power of pro-baseball bean ball arguments and bench-clearing acted through bean ball sign as panopticism, bench clearing brawls as synopticism, and internalization of control through bean ball arguments and bench clearing brawl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disciplinary power was obeyed through pro-baseball bean ball arguments and bench-clearing and was resisted through subjectivation.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mentioned discussion, it was found that pro-baseball bean ball arguments and bench-clearing can be viewed as team unity but actually they acted as a disciplinary power. In other words, the players act in discipline under surveillance of coach, manager, and the other players before bean ball arguments and bench-clearing occur.

      • KCI등재

        체육철학 : 푸코의 신체담론을 통한 골프선수들의 규율권력 의식에 관한 연구

        이광호(KwangHoLee) 한국체육학회 2005 한국체육학회지 Vol.4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typss of disciplinary power to bodily discourse in man's being pro-golfer. I used Foucault who is one of the post-stuctuualist frameworks to analyze relation of power, to explore specific process of bodily power and the configuration of disciplinary power for athletes, which are traning for being playing progolfer in Korea PGA.So, this research used ethnographic method,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s interview which for revealed not visual bodily power in group. particpants were five semi man's progolfers.The results were that certified pro-test is meaning of disciplinary power that affects the biggest in the formation of professional's consciousness to golfer. According to this attribute, conquest of uncertainty, alterative perception of score as an accomplishment tool and consciousness of compensation was created as mode of superiority and expression of power.

      • 일반논문 : 우리 시대가 "위험에 빠진 신체"에 대처하는 한 방식: 푸코의 『안전, 영토, 인구』를 중심으로

        도승연 ( Seung Youn Dho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1 도시인문학연구 Vol.3 No.2

        푸코의 콜레즈 드 프랑스(College) 강의록들이 영미권에서 속속 반역, 출판되면서 군력의 철학자 푸코가 가지는 학문적 위상 역시 권력과 지식의 연관 작용을 통해 전개되는 주체 형성의 계보학으로부터 근대 국가의 통치적 합리성과 관계된 새로운 차원의 권력의 대상과 그 효과에 대한 분석으로 연구 방향의 중심축을 이동하고 있다고 보인다. 이 명시적 전환은 다음의 이론적 강조점들로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인구를 대상으로 사목 권력이 전개되는 방식을 사유함으로써 영토에 기반을 둔 주권자 중심의 권력으로부터 안전장치를 통해 조절되는 권력의 ``경제적`` 인 효과에 집중할 수 있었다. 둘째, 권력의 작동을 통치로 이해함으로써 후기 존재미학으로의 전환이 가능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글에서는 일차적으로는 규율적 권력으로부터 통치성으로의 이행이라는 근대 국가의 권력의 전환과정을 주체의 계보학을 중심으로 검토할 것이다. 특히 이 과정에서 근대인의 욕망을 관리하려는 사목 권력 의 세속적 변용이 어떻게 생명과 삶을 전면적으로 관리하는 통치성의 효과로 이동하는지, 나아가 이러한 통치성의 효과가 우리의 신체를 주조하는 방식들을 비판적으로 사유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궁극적으로 신자유주의적 현실이 다루는 신체의 등장에 주목함으로써 통치화의 방식과 효과를 추적하고 나아가 그 질서와 양식을 혼들려는 노력이 다름 아닌 현재에 대한 우리의 비판이며 나아가 우리의 삶과 생명, 신체에 대한 미학적이며 정치적 결단이라는 것을 주장하고자 한다. After Foucault`s death, last Lectures at College de France have been published in English one after another. Along with it, Foucault, so called "Philosopher of Power", whose academic phase also seems to be moving from analysis of the Genealogy of the Subject mb governmental rationality related to the effect and object of new political atmosphere. This explicit shift leading the emphasis of the theory will be summarized by; First, by targeting of pastoral power which focuses on the population itself, Foucault`s power could be understood by more ``economical`` manner leaving from the deployment based on the territory of the sovereign power to the apparatus of security. Second, by understanding the power to govern the operation, it could be switched to the aesthetics of existence.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will examine transition process of operation of power in the modern state from disciplinary power to govermentality, centering the genealogy of the Subject by Foucault. In particular, tracking of pastoral power planing which to manage desire of both modern men their lives, it will ask how secular transformation of pastoral power could go to the effect of technologies of government, and furthermore the effect of these governing technologies could cast our body through specific form. Thus, focusing the emergence of the body covered by the attention of neoliberal reality, it would like to say that is the effective way of critical claims in the sense of operating of revealment of body for the our aesthetic and the political decision.

      • KCI등재

        최인훈 시극에 나타난 인물의 역할과 구조 —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를 중심으로

        이현정 한국문예창작학회 2023 한국문예창작 Vol.22 No.3

        본 논문은 최인훈의 작품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에 나타난 권력 구조와 인물 ‘남편’의 행동과 역할을 분석한다. 그중에서도 말더듬이 인물 ‘남편’이 ‘아기 장수’를 불가피하게 죽이는 사건의 갈등 과정을 중심적으로 살펴보며, 이로써 위 작품을 종합적 예술 장르 형식인 시극(poetic drama)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 작품에 나타난 권력 구조는 푸코의 위계 질서적 감시의 ‘규율 권력 이론’을 통해 설명된다. 규율 권력은 처벌의 시선 방식을 통해 지배층의 권력을 가시화한다. 규율 권력의 ‘예속적 주체화’가 된 ‘남편’의 비극적 행동은 작품의 구조와 플롯 안에서 규율 권력의 ‘재생산’으로 파악될 수 있다. 이 작품의 주제는 하늘로 승천하는 죽은 아기 장수 가족과 지상에 남은 사람들의 현실적 ‘고통’과 ‘슬픈 이별’ 과정이다. 최인훈은 위와 같은 주제를 표현하기 위해 새로운 형식을 도입한다. 예컨대 작품에 나타난 지문, 소리, 침묵, 소품 장치와 더불어 음악적·시각적 효과는 무대의 비극적 슬픔을 극대화하고 있다. 또한 이중적인 공연화 방식, 시적인 이미지, 오브제를 사용한 환상적인 분위기 등을 활용하여, 종합적 예술 형식인 ‘시극’ 장르로 완성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아기 장수’ 전설을 수용하던 독자들에게 새로운 감동과 의미를 전할 수 있다. 또한 본고는 현대인이 현실의 필연적인 문제를 피할 수는 없지만, 불가능한 미래의 가능성을 마련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최인훈 문학의 깊이와 가치를 새롭게 이해할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power structure and the behavior and role of the character ‘Husband’ in Choi Inhoon’s “Once Upon a Time in Huayi Huayi”. In particular, this paper focuses on the conflict process of the stuttering character ‘Husband’ who inevitably kills ‘Baby Jangsu’ and analyzes the piece as a comprehensive artistic genre form, poetic drama. The power structure in this work is explained through Foucault’s ‘disciplinary power theory’ of hierarchical surveillance. Disciplinary power makes the power of the ruling class visible through the gaze of punishment. The tragic action of the ‘husband’ who becomes the ‘subordinate subjectification’ of disciplinary power in the plot can be identified as the ‘reproduction’ of disciplinary power. The theme of the work is the realistic ‘suffering’ and ‘sad parting’ process of the ‘baby Jangsu’ family who ascends to heaven and those who remain on earth. Choi introduces new forms to express these themes. For example, the musical and visual effects, along with the directives, sounds, silences, and props in the work, maximize the tragic sadness of the stage. In addition, the double performance method, poetic images, and fantastic atmosphere using objects are used to complete the genre of “poetry play” as a comprehensive art form. This study can provide new impressions and expanded thinking for readers who have accepted the traditional “baby Jangsu” legend. This paper argues that modern people cannot avoid the inevitable problems of reality, but they must prepare the possibility of an impossible future, and hopes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a new understanding of the depth and value of Choi Inhoon’s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