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HPLC-DAD를 이용한 근대 중 살충제 Acetamiprid 및 Thiamethoxam의 잔류특성에 따른 감소추이

        유정선 ( Jung-sun You ),도정아 ( Jung-a Do ),장희라 ( Hee-ra Chang ) 한국환경농학회 2018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8 No.-

        살충제는 작물에 유해한 곤충이 섭취, 흡입 또는 신체의 피부를 통한 침투로 효과를 나타내는데 neonicotinoid계 침투성 살충제는 작물체내에 이동 확산되어 진딧물, 깍지벌레 등의 식물을 섭취하는 해충방제에 효과가 있다. 엽채류 근대에 등록된 neoticotinoid계 살충제인 acetamiprid 및 thiamethoxam의 잔류특성에 따른 감소추이를 이용하여 생산단계에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시설재배 포장은 포천 및 안성의 2개 포장에서 수행하였으며, acetamiprid 및 thiamethoxam을 안전사용기준에 따라 조제하고 살포하였다. 잔류성 시료는 약제 살포 후 acetamiprid는 0, 1 ,2, 3, 5, 7및 10일에 채취하였으며, thiamethoxam은 0, 1, 2, 3, 5, 7, 10 및 14일에 채취하였다. acetamiprid 및 thiamethoxam은 acetonitrile/water (8/2, v/v)로 추출하여 n-hexane 및 dichloromethane으로 분배한 후, florisil cartridge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acetamiprid 및 thiamethoxam의 근대 중 잔류량은 HPLC-DAD를 이용하여 정량분석을 수행하였다. 근대 중 acetamiprid 및 thiamethoxam의 분석법 정량한계는 0.02mg/kg이었으며, acetamiprid 및 thiamethoxam의 회수율은 정량한계의 10배 및 50배 수준에서 acetamiprid는 80.6±2.8% 및 103.8±5.6%이었고, thiaemthoxam은 100.2±7.5% 및 98.9±4.9%로 회수율 범위 70%~110%, 변이계수 20% 이내였다. acetamiprid는 약제살포 후 0일~10일까지 2개 시험포장에서 잔류량은 각각 2.91 mg/kg~1.72 mg/kg 및 2.07 mg/kg~ 0.83 mg/kg 이었으며, thiamethoxam은 약제살포 후 0일~14일까지 2.60 mg/kg~0.20 mg/kg 및 2.37mg/kg~0.17 mg/kg이었다. 시설재배근대 중 acetamiprid의 잔류량은 0일차부터 maximum residue limit (MRL)인 7 mg/kg 이하였고, thiamethoxam은 잔류량은 0일차부터 MRL인 10 mg/kg 이하였다. 근대 중 acetamiprid 및 thiamethoxam의 잔류량으로부터 회귀방정식을 통하여 산출된 반감기는 acetamiprid에서 포천 및 안성은 12.0일 및 8.2일, thiamethoxam에서 포천 및 안성은 3.6일 및 3.3일 이었다.

      • 비트(Beta vulgaris L) 중 Neonicotinoid계 살충제 Acetamiprid 및 Flonicamid의 안전사용기준 설정 및 안전성 평가

        조영주 ( Yeong-ju Jo ),변건두 ( Geon-doo Byeon ),최정윤 ( Jeong-yoon Choi ),허장현 ( Jang-hyun Hur ) 한국환경농학회 2021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1 No.-

        소면적 재배작물 중 비트(Beta vulgaris L.)는 잎과 뿌리 전체에 대한 식용이 증가하고 있는 웰빙 작물으로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재배 농가가 증가하고 유통이 활발해지고 있다. 비트는 재배기간 중 가루이 등에 대한 피해가 다수 발생하고 있어 이를 방제하기 위한 살충제 등록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경전달을 저해하는 neonicotinoid계 살충제인 acetamiprid 및 flonicamid를 선정하여 작물 잔류성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소면적 재배작물 비트를 위한 농약 안전사용기준과 잔류허용기준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포장시험을 위한 약제살포는 acetamipird 10% 액제와 flonicamid 50% 입상수용제를 각각 2,000배 및 10,000배 희석하여 수확 전 0, 7, 14, 21일 차에 걸쳐 7일 간격 2회 경엽처리 하였다. 잔류분석용 시료는 비트의 지상부와 지하부로 구분하여 채집하였으며 즉시 세절한 후 -20℃ 냉동보관하였다. 시료 분석은 QuEChERS 분석법을 적용하였고, flonicamid의 경우 추가적인 정제를 위해 SPE-NH2 cartridge를 이용하였으며, 분석기기는 acetamiprid는 LC-MS/MS, flonicamid는 GC-ECD를 사용하였다. Acetamiprid 및 flonicamid의 분석법 정량한계(Method limit of quantitation, MLOQ)는 모두 0.01 mg/kg이었다. 회수율은 정량한계의 1배 및 10배 수준으로 각각 3반복 수행하였으며 지상부의 경우 acetamiprid는 87.6∼105.8%, flonicamid는 72.6∼111.1%이었으며, 지하부의 경우 acetamiprid는 84.1∼108.0%, flonicamid는 93.0∼102.8%로 유효 회수율 범위인 70∼120%을 만족하였다. 비트 중 지상부 및 지하부의 최대잔류량은 acetamiprid 의 경우 0일 차에서 5.93 mg/kg와 0.09 mg/kg, 21일 차에서 1.25 mg/kg와 <0.01 mg/kg으로서 경시변화에 따라 모두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Flonicamid의 경우 0일 차에서 6.00 mg/kg와 0.10mg/kg, 21일 차에서 0.73 mg/kg와 0.02 mg/kg로 검출되어 acetamiprid의 경우와 비슷한 감소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비트에 대한 acetamiprid 10% 액제와 flonicamid 50% 입상 수용제의 안전사용기준(안)은 모두 수확 14일 전 2회 경엽처리로 제안하였다. 또한 잔류허용기준은 지상부 5.0 mg/kg, 지하부 0.05 mg/kg로 제안하였고 ADI 대비 식이섭취율(%ADI)은 acetamiprid 및 flonicamid 각각 14.81%, 56.98%로 두 약제 모두 80% 초과하지 않아 식이섭취에 따른 안전성 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추천한 안전사용기준(안)을 토대로 농약을 살포한다면 소면적 재배작물 비트 재배 중 가루이류 방제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잔류농약 안전 관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소면적 재배작물 고려엉겅퀴 중 Acetamiprid 및 Sulfoxaflor의 잔류 특성

        박정은 ( Jung-eun Park ),황은진 ( Eun-jin Hwang ),장희라 ( Hee-ra Chang ) 한국환경농학회 2016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6 No.-

        Cirsium속에 속하는 고려엉겅퀴는 곤드레라 불리기도 하며 폴리페놀 성분을 비롯하여 식이섬유, 무기질 및 비타민 등이 함유되어있어 항암활성을 비롯한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어 소비자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산채이다. 고려엉겅퀴는 재배 2년차에 가장 수확량이 많으며, 재배면적은 2010년 기준 노지 216.2 ha, 비가림 및 시설 16.1 ha로 거의 대부분의 재배가 노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소면적 재배작물로, 보통 6월경에 수확이 이루어지며 진딧물 및 담배나방 등의 피해가 크다. 특히 늦봄부터 초여름 사이에 많이 발생하는 우엉수염진딧물 방제에 사용되는 acetamiprid 8% 수화제 및 sulfoxaflor 7% 액상수 화제의 노지재배조건의 2년차 고려엉겅퀴에 대한 잔류 특성을 규명하여 안전사용기준 설정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험 약제를 2,000배 희석하여 7일 간격 2회 충전식 자동 분무기로 약제처리 하였으며, 시료채취는 2회 약제처리 후 0, 1, 3, 5, 8일에 채취하였다. 시료는 HPLC-MS/MS를 이용하여 정량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분석법 정량한계는 acetamiprid 0.004 mg kg-1 및 sulfoxaflor 0.02 mg kg-1 (X11719474 0.02 mg kg-1, X11721061 0.0004 mg kg-1), 회수율은 정량한계의 10배 및 50배의 농도 각각 3반복으로 수행하였으며 acetamiprid 및 sulfoxaflor(X11719474, X11721061) 각각 91.4 ~ 105.3% 및 101.6 ~ 115.9%(84.1 ~ 91.9%, 106.0~109.3%)였다. 농약 잔류량 분석 결과 최종약제 살포 후 0, 1, 3, 5, 8day 경과 후 최대 잔류량은 acetamiprid의 경우 2.864 mg kg-1, 2.037 mg kg-1, 0.385 mg kg-1, 0.054 mg kg-1, 0.004 mg kg-1였으며, sulfoxaflor의 경우 모화합물과 대사체인 X11719474 및 X11721061를 환산하여 전체환산잔류량으로 산출한 결과 3.795 mg kg-1, 2.038 mg kg-1, 0.621 mg kg-1, 0.147 mg kg-1, 0.049 mg kg-1였다. Acetamiprid 8% 수화제의 고려엉겅퀴에 대한 안전사용기준은 유사 작물인 쑥갓의 MRL 10 mg kg-1을 적용하여 2회처리 이내 수확 0일전까지로 추천하였으며, sulfoxaflor 7% 액상수화제의 고려엉겅퀴에 대한 안전사용기준은 유사작물인 시금치의 MRL 3 mg kg-1을 적용하여 2회처리 이내 수확 3일전까지로 추천하였다. 고려엉겅퀴의 식품섭취량을 이용하여 acetamiprid 및 sulfoxaflor의 ADI 대비 식이섭취율(%ADI)은 각각 0.196% 및 0.382%였으며, 고려엉겅퀴를 포함한 전체 작물의 ADI 대비 식이섭취율(%ADI)은 각각 14.631% 및 37.051%로 산출되었으며, 추천MRL 적용시 식이섭취에 따른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 Insecticidal activity and feeding deterrence of Monochamus alternatus and M. saltuarius by trunk injection of Acetamiprid

        Sang Myeong Lee,Dong Soo Kim,Hwang Bin Yu,Chul Su Kim,Dong Woon Lee 한국응용곤충학회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10

        Trunk injection of nematicides is applied to prevent pine wilt disease(PWD). Although the trunk injection of nematicides is effective to PWD prevention, it is not effective to vector insects such as adults of M. alternatus and M. saltuarius. Thus, This study was investigated for the insecticidal activity and the effect of feeding deterrence by injecting to pine trees with acetamiprid. For screening effective nematicides, some insecticides were injected to pines on December 30th, 2008 and their insecticidal activities and feeding areas of M. alternatus and M. saltuarius were investigated in the insects breeding dishes (100× 40mm) where put on 1 to 2-year-old twig which was selected from injected pine trees in early June. As a result, insecticidal activity and feeding deterrence of acetamicprid were most effective. Feeding areas of M. alterantus adults, when tested with 1-year-old twig and 2-year-old twig of healthy pine trees, were 170.3±107.0 mm2 and 258.0±123.2 mm2 respectively. And Feeding areas of M. alterantus adults, when tested with 1-year-old twig and 2-year-old twig of pines injected at a dose of 0.3 ml per cm dbh of a pine tree with acetamiprid, were 57.7±72.3 mm2 and 65.7±51.2 mm2 respectively and their mortalities also were 0%, 28.6%. The feeding areas of M. alterantus adults tested with 1-year-old twig and 2-year-old twig of pine trees injected at a dose of 0.6 ml per cm dbh of a pine tree with acetamiprid, were not fed on it and the mortalities were 28.0%, 57.1% respectively. In case of the feeding areas of M. saltuarius adults, when tested with 1-year-old twig and 2-year-old twig of healthy pine trees, it was 112.±35.1 mm2 and 159.2±65.2 mm2 respectively. And the feeding areas of M. saltuarius adults, when tested with 1-year-old twig and 2-year-old twig of injected pine trees at a dose of 0.3 ml per cm dbh of a pine tree with acetamiprid were 0.61±0.0 mm2 and 8.1±12.4 mm2 and both mortalities were 23.1%. Although M. saltuarius adults, when tested with 1-year-old twig of a pine tree injected at a dose of 0.6 ml per cm dbh of a pine tree with acetamiprid, were not fed on it but M. saltuarius adults tested with 2-year-old twig of the same pine tree were 2.0±3.7 mm2 and their mortalities were 53.8%, 61.5% respectively. We investigated insecticidal activities, the effects of feeding deterrence of acetamiprid for vector insects where fed twigs of injected pines by stop up hole with a cork or not, and the trunk injection to pine trees at a dose of 0.5, 1 ㎖ per ㎝ dbh of a pine tree with acetamiprid on the early June. As a result, all of the vector insects were not fed and the feeding area was within 11 ㎟ and the mortality of M. alternatus was 70%.

      • 갓과 콜라비 중 Fluazinam과 Acetamiprid의 잔류 특성

        박현지 ( Hyun-ji Park ),황규원 ( Kyu-won Hwang ),박상정 ( Sang-jeong Park ),가승준 ( Seung-jun Ka ),문준관 ( Joon-kwan Moon ) 한국환경농학회 2022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2 No.-

        갓과 콜라비는 소면적 작물로 재배면적이 작아 농약 사용량이 적다는 경제적인 이유로 등록되어 있지 않은 농약이 많다. 하지만 현재 2019년도부터 시행되고 있는 PLS 제도에 의해 잔류허용기준 미설정 농약에 대해 일괄적으로 0.01 mg/kg을 적용하여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되어있지 않은 농약을 사용함으로 인한 부적합 농산물의 생산의 증가가 우려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갓과 콜라비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Fluazinam과 Acetamiprid의 잔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고 있다. Fluazinam은 pyridine계 살균제로 뿌리혹병, 탄저병, 검은무늬병 등에 효과를 가지고 있다. Acetamiprid는 neoticotiniod계 침투성 살균제로 뿌리혹병, 더뎅이병, 역병, 더뎅이병 등에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 두 약제의 잔류소실특성시험은 0.01 mg/kg 수준으로 시험하였다. Fluazinam은 기준량, 배량을 기준으로 파종 후 토양관주처리로 약제를 처리하였으며 약제 처리 후 36, 43, 50일 후 잔류량을 분석하였다. Fluazinam의 잔류분석법의 회수율은 0.01 mg/kg 수준에서 59.7∼64.1%, 0.1 mg/kg 수준에서 82.4∼83.7% 이었으며 정량한계는 0.01 mg/kg 이었다. Fluazinam은 배량 36일 후 수확한 처리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0.01 mg/kg의 잔류량을 나타내었다. Fluazinam의 최대잔류량은 배량으로 처리한 후 36일 뒤 수확한 샘플에서 0.02 mg/kg으로 나타났다. Acetamiprid은 기준량, 배량을 기준으로 정식전 토양 혼화처리로 약제를 처리하였으며 약제 처리 후 54, 61, 68일 후 잔류량을 분석하였다. Acetamiprid의 잔류분석법의 회수율은 0.01 mg/kg 수준에서 82.5∼84.6%, 0.1 mg/kg 수준에서 82.9∼85.3% 이었으며 정량한계는 0.01 mg/kg 이었다. Acetamiprid은 모든 처리구에서 0.01 mg/kg의 잔류량을 나타내었다.

      • Feeding Behavior Change of Riptortus pedestris (Hemiptera: Alydidae) under Sublethal Effects of Two Insecticides, Etofenprox and Acetamiprid

        Hong Geun Kim,Minhyung Jung,Soowan Kim,Dong Hyun Lim,Doo-Hyung Lee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04

        The bean bug, Riptortus pedestris (Hemiptera: Alydidae), is a major pest of soybean and tree fruit in Korea. To protect crops, chemical insecticides have been widely used. However, the effects of insecticides is not only reduce the pest population but also change of pest behavior. In this study, we tested the effects of two insecticides, etofenprox (pyrethroid) and acetamiprid (neonicotinoid), on the behavior of R. pedestris. Two insecticides were diluted with water based on the conventional spray dose. After exposed to insecticide residue, adult R. pedestris was put individually into a clean petri dish with soybean. The behavior of R. pedestris was video-recorded for 16 hours. The frequencies of approaching to food and feeding were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trol group. R. pedestris exposed to etofenprox made more frequent approaching to the food, but those exposed to acetamiprid made less frequent approaching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feeding frequency of acetamiprid-exposed group was significantly reduced but etofenprox-exposed group showed more frequent feeding activity. In both treatments, the feeding probability, calculated by feeding frequency divided by approaching frequency, was reduced compared to the control. We conclude that acetamiprid may protect crops by reducing the frequency of R. pedestris to approach and feed on crop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