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KCI등재
      • KCI등재

        시설재배 아스파라거스 중 살충제 dinotefuran의 잔류특성

        부경환(Kyung Hwan Bo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6

        본 연구는 시설재배 아스파라거스를 대상으로 dinotefuran 수화제(10%)의 잔류특성을 규명하고, 그에 따른 안전사용 기준 설정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수행하였다. Dinotefuran의 잔류량은 7-8월 시설재배지의 아스파라거스를 입경 전과 후 상태가 되도록 제작하고, 수확 7일전 약제 2,000배 희석액을 1회 살포하여 1-2일 간격으로 5회에 거쳐 어린 순을 수확한 후 분석하였다. Dinotefuran의 분석에는 HPLC-UVD를 이용하였으며, 아스파라거스에서 dinotefuran 잔류분석법의 유효성은 두 수준 농도(0.5 및 1.0 mg/kg)의 회수율을 분석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dinotefuran의 정량한계는 0.01 mg/kg이었고, 분석법의 회수율은 두 수준 농도 각각 83.3±0.4%(변이계수 0.4%)와 94.0±0.5%(변이계수 0.5%)로 양호하였다. 입경 전 아스파라거스의 dinotefuran 잔류량은 약제 살포 후 5일이 경과하였을 때 유사농산물(엽경채류) 잔류허용기준 최저치를 기준으로 설정한 잠정잔류허용기준(0.05 mg/kg) 보다 낮은 수준(0.02-0.04 mg/kg)을 보였고, 입경 후 아스파라거스에서는 약제 살포 후 3일이 경과하였을 때 잠정잔류허용기준보다 낮은 수준(<0.01 mg/kg)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7-8월 시설재배지의 아스파라거스에 dinotefuran 수화제(10%)를 수확 7일전에 1회 살포하는 것은 아스파라거스의 농약잔류 안전성에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본 연구결과는 아스파라거스에 대한 dinotefuran의 안전사용기준을 설정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sidual characteristics of the insecticide dinotefuran in asparagus under greenhouse conditions from July to August and consequentially to obtain basic data for guidelines on the safe use of this pesticide in asparagus. Residues of dinotefuran in young stem of asparagus before and after growing mother stem were analyzed from samples collected at 0, 1, 3, 5, and 7 days after single application of a commercial formulation of dinotefuran (wettable powder, 10%) at the recommended dose (2,000 times dilution). The residue of dinotefuran in young stem of asparagus was analyzed by HPLC-UVD, and recovery of dinotefuran in young stem was tested at 0.5 and 1.0 mg/kg concentrations. As a result, the limit of quantitation (LOQ) of dinotefuran was 0.01 mg/kg, and the recovery of dinotefuran was in the range of 83.3-94.0% with a coefficient of variation less than 10%. Residues of dinotefuran in young stem of asparagus before and after growing the mother stem were lower than the tentative limit (0.05 mg/kg) from 5 and 3 days after single application,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single application of dinotefuran (wettable powder, 10%) at the recommended dose at 7 days before harvest would have no deleterious effects on safety issues concerning pesticide residue. This result might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construct guidelines for the safe use of dinotefuran in asparagus.

      • KCI등재

        슬관절 부분치환술 실패 후 시행한 슬관절 전치환술

        김경태(Kyung Tae Kim),이송(Song Lee),고동오(Dong Oh Ko),이정수(Jung Soo Lee),부경환(Kyung Hwan Boo),홍성원(Sung Won Ho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7 No.5

        목적: 슬관절 부분치환술 후 발생한 실패의 원인을 규명하고 전치환술로 재치환술 시행 시 수술 수기상의 고려해야 할 사항과 임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월부터 2011년 6월까지 852예의 슬관절 부분치환술을 시행한 후 실패가 발생한 47예를 대상으로 실패의 원인을 분석하였고, 실패가 발생하여 전치환술로 치료를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술 소견 및 수술 방법을 분석하고 임상 결과를 평가하였다. 결과: 부분치환술 후 실패의 원인으로는 치환물의 조기 해리가 22예, 유동성 삽입물의 단독 탈구가 17예, 감염으로 인한 실패가 5예, 내측 경골과 골절 1예 및 원인을 알 수 없는 통증으로 인한 실패가 2예 있었다. 전치환술로 치료한 35예의 수술 소견상 27예에서 치료가 필요한 골 결손이 발견되었으며 수술 시 자가골 이식 5예, 금속 보강물 사용 21예 및 금속 보강물과 자가골 이식을 같이 사용한 경우가 1예 있었으며 주대는 경골부에만 사용한 경우가 19예, 경골과 대퇴부에 모두 사용한 예가 1예였다. 술 후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총 30예에서 슬관절 점수와 기능 점수는 수술 전 평균 68.2점과 67.7점에서 최종 추시 시 85.2점과 78.0점으로 향상되었다. 슬관절의 운동 범위는 술 전 평균 107.2o에서 최종 추시 시 120.7o로 회복되었고 체중 부하 방사선 사진상 대퇴경골각은 수술 전 평균 외반 1.7o에서 외반 5.2o로 변화하였다. 결론: 슬관절 부분치환술 실패 후 시행하는 전치환술에서는 경골부의 골 결손이 가장 중요한 문제로 자가골 이식과 금속 보강물 및 주대 등을 사용하여 정확히 수술하고 이와 함께 적절하게 적응증을 선택한다면 슬관절 부분치환술 후 전치환술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o identify the causes of failure after unicompartmental knee arthroplasty (UKA), and to evaluate considerations for surgical procedures and the results of revision total knee arthroplasty (TKA) performed after failure of UKA. Materials and Methods: Eight hundreds and fifty-two cases of UKA were performed from January 2002 to June 2011. Fortyseven cases of failures after UKA were analyzed for the cause of the failures, and thirty-five cases of revision TKA after failure were analyzed for the operative findings and surgical technique. The clinical results were measured for thirty cases which were followedup on at least two years after TKA. The mean duration of follow-up was four years and one month after revision TKA and the mean patient age at the time of surgery was sixty-five years. Results: For the cause of failures after UKA, there were twenty-two cases of early loosening of prosthesis, seventeen cases of simple mobile bearing dislocation, five cases of infection, one case of fracture of medial tibial condyle and two cases of unknown origin pain. In operative findings of thirty-five cases of TKA after failed UKA, there were twenty-seven cases of bone defect requiring treatment and the mean thickness of the defect was 10.6 mm. For the treatment of bone defect, there were five cases of autogenous bone graft, twenty-one cases of metal blocks, and one case of autogenous bone graft with metal block. The stem was used in tibial implants for nineteen cases, and one case of use in tibial and femoral implants. For thirty cases where follow-ups were possible at least two years after operation, the mean knee score was improved from 68.2 to 85.2 and the mean knee function score was improved from 67.7 to 78.0 at the last follow-up, respectively. The mean range of knee motion was 107.2o pre-operatively, which was recovered to 120.7o after the operation. The mean tibiofemoral angle was changed from 1.7o of valgus to 5.2o of valgus. Conclusion: As shown in this study, the tibial bone defect was the most important problem in revision TKA after failure of UKA. Therefore, proper indication and accurate surgical technique using autogenous bone graft, metal block and stemmed implants would be able to achieve satisfactory results in revision TKA after failure of UKA.

      • KCI등재

        주요 생태계 교란 외래식물의 생리활성 비교 평가 및 유효성분

        김소진,김민건,부경환,김창숙,So Jin Kim,Min Gun Kim,Kyung-Hwan Boo,Chang Sook Kim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36 No.4

        To evaluate functional biomaterials of 5 invasive alien plants,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ntioxidant activity,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antibacterial effect were measured.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the extracts were in the order of Rumex acetosella L. > Hypochaeris radicata L. ≥ Lactuca scariola L. >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 Solanum viarum Dunal.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extract were the highest in R. acetosella and correlated well with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In RAW 264.7 cells stimulated with lipopolysaccharide (LPS), nitric oxide (NO) and prostaglandin E<sub>2</sub> (PGE<sub>2</sub>)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of the extracts (100 ㎍ SE/mL) were 20~60% and 10~70%, respectively, showing the highest inhibitory effect in R. acetocella. The extracts of R. acetosella, H. japonicus and S. viarum showe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food poisoning-causing microorganisms such as Bacillus subtilis, Escherichia coli, Vibrio parahaemolyticus and Vibrio vulnificus. Furthermore, the H. japonicus extract was found to have effectiv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oral microorganisms such as Enterococcus faecalis, Lacticaseibacillus casei, Rothia dentocariosa, Staphylococcus epidermidis and Streptococcus mutans, and its major active ingredients were predicted to be pentadecylic acid, palmitic acid and clionaste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ien plants have potential as biomaterials with antioxidant, anti-inflammation and antibacterial effects.

      • KCI등재
      • KCI등재

        초두구 추출물의 α-glucosidase 활성 억제에 의한 항바이러스 활성

        이도승 ( Do Seung Lee ),부경환 ( Kyung Hwan Boo ),김영천 ( Young Cheon Kim ),이진만 ( Jin Man Lee ),김성철 ( Seong Cheol Kim ),이왕식 ( Wang Shik Lee ),류기중 ( Key Zung Riu ),이동선 ( Dong Sun Lee ) 한국응용생명화학회(구 한국농화학회) 2014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57 No.2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from Alpinia katsumadai Hayata against antiviral potential underlying mechanism in glucosidase inhibition. Syncytium formation in Newcastle disease virus (NDV)-infected baby hamster kidney (BHK) cell originates from the trafficking of viral glycoprotein into cell-surface. Methanol extracts inhibited not only syncytium formation, but also trafficking of glycoprotein, hemagglutinin-neuraminidase (HN), onto cell-surface. A. katsumadai extracts showed the inhibitory activities (IC50 25 μg/mL) against α-glucosidas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blue chanterelle extracts inhibited the cell-surface expression of NDV-HN glycoprotein without significantly affecting HN glycoprotein synthesis in NDV-infected BHK cells.

      • KCI등재

        저장조건에 따른 콜라비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변화

        허수형(Su Hyeong Heo),부경환(Kyung-Hwan Boo),한상헌(Sang-Heon Han),박성수(Sung-Soo Park),김창숙(Chang Sook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0 No.7

        본 연구에서는 저온저장 중인 콜라비를 상온 유통 시의 품질, 유효성분 및 생리활성 변화를 조사하여 최적 유통기간 설정과 기능성 활용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저온(0°C)에 1주일간 저장하였던 콜라비를 무포장, PP 필름 및 랩으로 각각 밀봉 포장한 후 상온(20°C)에 저장하면서 기간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중량 감소율은 저장 20일째에 무포장이 20.9%, PP 필름 및 랩 포장에서는 각각 7.1%와 3.6%로 나타나서 랩 포장이 상대적으로 중량 감소를 최소화하였다. 당도(Brix)는 포장 상태와 무관하게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pH는 초기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20일째에는 약 15~29% 감소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저장기간에 따라 초기값 대비 약 5~41% 감소하였다. 특히, rutin 등 5종의 플라보노이드는 저장 2일째에 약 18% 감소하였고 5일째 이후에는 약 60%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비타민 C 함량은 10일째부터 초기값에 비하여 약 39~49%로 크게 감소하였다. 항암 성분으로 알려진 총 glucosinolates는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20일째에는 무포장인 경우 약 28%, 포장 상태에서는 약 67~80% 증가하였다. 저장기간에 따른 콜라비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2일째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여 20일째는 약 47~49% 감소하였는데, 이는 플라보노이드 함량 변화와 연관되어 나타났다. 반면에 ABTS 소거능은 5일째까지 초기값을 유지하였으나 10일째 이후부터는 19~26% 범위로 감소하였다. LPS로 자극된 RAW 264.7 세포에서 저장조건에 따른 콜라비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측정한 결과, 저장조건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콜라비를 저온저장 후 상온 유통할 경우 외관의 품질 변화가 발생하는 저장 10일째부터 이화학적 변화가 크게 일어나며, 항산화 관련 물질의 감소로 항산화 활성이 감소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향후 포장 유형에 따른 콜라비의 생리활성 변화에 대한 연구는 계속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kohlrabi according to the storage conditions. The kohlrabi was packed with or without polypropylene (PP) film or wrap, and stored at room temperature for 20 days prior to analysis. The reduction in the kohlrabi weight on the 20th day of storage was 20.9% when in an unpacked state, and 7.1% and 3.6% in PP film and wrap packages, respectively. However, the polyphenol, flavonoid, vitamin C, and glucosinolates content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packaging conditions, although it varied with storage period. Sugar content (Brix) increased with the storage period. Total polyphenol content decreased by 5∼41% compared to the initial value according to the storage period. The content of the five flavonoids decreased by approximately 18% on the second day of storage and decreased rapidly to about 60% after the 5th day. The vitamin C content decreased significantly to 39∼49%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rom the 10th day. Total glucosinolates content tended to increase with the storage period. In addition,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decreased from the second day and decreased by 47∼49% on the 20th day, while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kohlrabi extract o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cells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depending on the storage period.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hlrabi stored at room temperature significantly changed from the 10th day when the external quality changes occur. Specifical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antioxidant activity decreases due to the decrease in the content of antioxidant-related substances depending on the storage period.

      • SCOPUSKCI등재

        빈랑 추출물의 새로운 항바이러스 활성

        이도승(Doseung Lee),부경환(Kyung Hwan Boo),김영천(Young Cheon Kim),이진만(Jin-Man Lee),강승태(Seungtae Kang),이왕식(Wang Shik Lee),류기중(Key Zung Riu),이동선(Dong-Sun Lee) 한국식품과학회 2014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6 No.2

        Newcastle disease virus (NDV) 감염된 baby hamster kidney(BHK) 세포에서 합포체 형성은 세포막 표면으로의 수송된 바이러스 당단백질 hemagglutinin-neuramidase (HN)에 의해 일어난다. HAU 값은 추출물의 농도가 25.0과 3.2 μg/mL 사이에서는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NDV 감염된 HAD (%)는 25.0 μg/mL 농도에서 광범위한 흡착능의 감소를 나타내 바이러스 당단백질의 세포내 생합성은 저해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약용식물인 빈랑 메탄올 추출물이 바이러스 당단백질의 세포막으로의 수송과 함께 합포체 형성을 저해하여 항바이러스 작용을 하였다. 또한 빈랑 추출물의 저해활성을 조사한 결과 α-glucosidase에 대한 추출물의 IC<SUB>50</SUB>은 10.0 μg/mL이었으며, α-mannosidase, β-glucosidase, β-mannosidase에 대한 빈랑 추출물의 IC<SUB>50</SUB>은 각각 20.0, 40.0, 80.0 μg/mL로 나타나 β-type glycosidases 보다 α-type glycosidases에 대한 효소활성 저해능이 우수하였다. 따라서 IC<SUB>50</SUB>농도에서는 세포내에서 당단백질 생합성은 저해되지 않으며 당단백질의 수송을 저해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향후 항바이러스 관련 작용기작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rafficking of viral glycoproteins to the cell surface results in syncytium formation in baby hamster kidney (BHK) cells infected with Newcastle disease virus (NDV). An extract from the medicinal Areca catechu L plant inhibited not only syncytium formation, but also trafficking of the hemagglutinin-neuramidase (HN) glycoprotein to the cell-surface. The viral glycoprotein was processed within the endoplasmic reticulum during transit to the cell membrane. Fungal extracts showed inhibitory activities (IC<SUB>50</SUB> 10 μg/mL) against α-glucosidas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 catechu L. extracts inhibited the cell-surface expression of NDV-HN glycoprotein without significantly affecting HN glycoprotein synthesis in NDV-infected BHK cells.

      • KCI등재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와 Headspace-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를 이용한 제주산 민트 에센셜오일 성분 분석

        현호봉 ( Ho Bong Hyun ),부경환 ( Kyung Hwan Boo ),강혜림 ( Hye Rim Kang ),김소미,( Somi Kim Cho ) 한국응용생명화학회(구 한국농화학회) 2015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58 No.2

        제주에서 생산된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데코롱민트 3종으로 부터 추출한 에센셜오일의 성분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 석기(GC-MS)와 headspace-GC-MS (HS-G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GC-MS 분석결과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데코롱민트 각각에서 13종의 성분이 동정되었다. 전체 이온 크로마토 그램의 피크 intensity를 기초로 보았을 때, 페퍼민트에서는 peperitenone oxide, 스피아민트에서는 carvone과 limonene, 오데 코롱민트에서는 linalool이 주 화합물로 동정되었다. HS-GC-MS 분석에서는 GC-MS와 비교하였을 때 alcohol과 acetate와 같은 휘발성이 강한 성분이 많이 검출되었고, 검출되는 성분의 수도 증가하였다. 하지만 스피아민트와 오데코롱민트의 주 화합물은 GC-MS에서 검출된 것과 같았고, 페퍼민트에서만 GC-MS에서 낮은 함량을 보였던 menthol이 주요화합물로 동정되었다. 흥미롭게도, 오데코롱민트 에센셜 오일에서 linalyl acetate와 linalool 의 함량이 탁월하게 높음을 확인했다. Compositions of essential oils extracted from mint herb such as Mentha piperita, Mentha spicata, and Mentha × piperita var. citrate produced in Jeju were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and headspace- GC-MS (HS-GC-MS). By the GC-MS analysis, 13 compounds were tentatively identified in Mentha piperita, Mentha spicata, and Mentha × piperita var. citrate, respectively. Peperitenone oxide, carvone, and linalool were detected as major compounds in Mentha piperita, in Mentha spicata, in Mentha × piperita var. citrate, respectively, based on the ratio of peak intensity in the total ion chromatogram. The greater number of compounds, including volatile alcohols and acetates were identified by HSGC- MS than by GC-MS in these all three essential oils. Similarpatterns of composition were detected in both Mentha spicata and Mentha × piperita var. citrate by either one of GC-MS methods. However, in case of Mentha piperita, L-(-)-menthol, which was identified as the major compound by HS-GC-MS was detected in dramatically reduced quantity by GC-MS. Interestingly, we found that both linalyl acetate and linalool were identified as the dominant compounds in the essential oil of Mentha × piperita var. citrate.

      • KCI등재

        미생물 발효 괭생이모자반의 생리활성 평가

        강소미(So Mi Kang),이철(Cheol Lee),정다혜(Da Hye Jeong),김지원(Jiwon Kim),부경환(Kyung Hwan Boo),김재훈(Jae Hoon Kim),김창숙(Chang Sook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9 No.11

        본 연구에서는 대량 발생하는 괭생이모자반을 기능성 소재로서의 이용 가치를 증진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제주연안 지역에서 분리된 유용 미생물 B. amyloliquefaciens 및 Lys. xylanilyticus와 유산균 Lac. casei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괭생이모자반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평가하였다. 발효 괭생이모자반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약 2~9% 범위로 소폭 증가하였으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미생물 발효에 의해 약 39~104% 범위로 크게 증가하였다. 특히, B. amyloliquefaciens 균주에 의한 발효물이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발효 괭생이모자반의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비발효물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증가와 연관되어 나타났다. LPS로 자극된 RAW 264.7 세포에서 발효 괭생이모자반의 항염증 효과를 측정한 결과, 발효물의 NO 생성 억제능은 비발효군 대비 약 8~21% 증가했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NO 생성 억제 활성을 보였다. 대상 미생물 중에서는 Lys. xylanilyticus 발효물이 가장 높은 NO 생성 억제 효과를 보였다. 또한, 이들 발효물은 대조군에 비해 iNOS 및 COX-2 발현이 현저하게 억제됨을 보였다. 미생물 발효 괭생이모자반에 의한 NO 생성 억제는 iNOS 및 COX-2 발현 억제에 의한 것임을 제시한다. 이상의 결과는 괭생이모자반의 발효물을 이용한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을 갖는 유효성분 분리 및 활용화 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기능성 식품 등의 바이오 소재 개발에 적용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향후 다른 생리활성 증진 효과 및 유효성분에 대한 연구는 좀 더 진행돼야 할 것이다. We conducted a preliminary evaluation of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fermented Sargassum horneri. We used 3 bacterial strains, namely, Bacillus amyloliquefaciens, Lysinibacillus xylanilyticus, and Lactobacillus casei to ferment S. horneri and then tested its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The polyphenol content of fermented S. horneri increased marginally to about 2∼9%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the total flavonoid content increased significantly to about 39∼104%. The 2,2-diphenyl-1-picrylhydrazyl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fermented S. horneri were higher compared to that of non-fermented samples. This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total 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fermented S. horneri was measured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The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y of fermented groups increased by about 8∼21% compared to the non-fermented sample and showed concentration-dependent NO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y. Also, these fermented groups showe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express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t is suggested that the NO production inhibition by fermentation is due to iNOS and COX-2 expression inhibition. These results a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inputs for the study of the separation and utilization of active ingredients with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using fermented S. horneri, which may have a potential application in the development of biomaterials such as functional foods. Further studies on other biological effects of the active ingredients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