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平壤城 發掘의 成果와 課題

        최종택 호서고고학회 2020 호서고고학 Vol.0 No.45

        427년 평양으로 천도한 고구려는 양원왕 8년(552년)에 장안성을 축조하기 시작하여 평원왕 28년(586년)에 완공하여 장안성으로 도성을 옮기게 된다. 장안성은 일반적으로 평양성을 불리며 조선시대까지 그 형태를 대체로 유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급격히 훼손되었고, 이후 도시화 과정을 거치면서 모란봉 일대의 북성과 내성 및 중성의 일부를 제외하고는 본래의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다. 일제강점기와 북한 정권 수립 이후의 도시개발 과정에서 평양성에 대한 고고학적인 조사가 일부 이루어졌으나 조사지점이 극히 일부 지점에 국한되어 있어서 연구에 큰 장애가 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일제강점기 이후 실시된 평양성에 대한 발굴조사의 내용과 성과를 검토하고, 향후의 과제를 제시해 보았다. 1930년대 모란봉 남단의 만수대 일원에서 대형 문지와 대형 건물의 회랑이 조사되었으며, 구정리 일원에서 공사로 인해 파괴된 외성 서남쪽 모서리 성벽 단면이 보고되었다. 이상의 조사는 개발공사에 수반된 긴급조사로서 조사 기간과 방법 등 매우 제한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평양성 내부의 건물지에 대한 유일한 조사라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를 가진다. 1950년대 이후 시가지 개발과정에서 일부 긴급조사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나 자세한 보고는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1993년에는 중성과 외성 일부 지점에 대한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는데, 고구려 이전 고조선 시기의 유적을 찾는데 주안점을 둔 것으로 보인다. 2011년에도 외성 성벽에 대한 발굴조사가 있었다. 이러한 조사를 통해 중성과 외성의 성벽은 국내성이나 남한지역의 고구려 성과 같은 토심석축기법으로 축조된 것이 밝혀지는 등 새로운 성과가 있었다. 그러나 성벽 단면도 등 제시된 자료가 거칠고 불분명한 점이 있어서 성벽의 축조 방법이나 시기를 파악하는데 일정한 한계가 있다. 평양성은 모란봉 일대의 산지에서 평천구역의 평탄지에 이르는 광대한 지역을 둘러싼 규모가 큰 성이며, 북성과 내성・중성・외성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구조이다. 때문에 구간별로 서로 다른 기법으로 성벽을 축조하였으며, 축조 시기도 서로 다를 것이다. 발굴조사 외에 각자성석의 분석을 통해 축조 시기를 규명하기 위한 논의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는 있지만 성벽에 대한 정밀한 발굴조사가 가장 요구되는 측면이다. 현존하는 성벽과 문루 등의 시설물의 경우도 고구려 시기는 물론 후대에 개축된 것이 상당한데, 이에 대해서도 자세한 조사와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내성에 위치해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궁전지를 비롯한 성내의 다양한 시설물과 도시구획과 관련된 도로 시설 등에 대한 조사도 필요하다. After relocating its capital to Pyeongyang in 427, Koguryo built the Janganseong Castle between 552 and 586 as a new capital castle. Usually called the Pyeongyangseong Castle, this castle seems to have been hardly modified in its general structure until the Joseon perio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Korean War, and the urbanization of North Korea, however, it was destroyed to such an extent that only part of its northern, inner, and middle castles are recognizable. In the course of the Japanese colonization and the urbanization of North Korea, some archaeological surveys of this castle were conducted. Nevertheless, they were restricted to a very small part of the castle, resulting in major limitations in the proper understanding of the castle. In view of this, the results of the archaeological excavations so far are examined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suggested in this paper. In the 1930s, traces of a large gate and corridor were found around Mansudae near the Moranbong hill, and a section of the west-southern corner of the outer castle, which was destroyed during the construction around Gujeongri, was reported. These surveys are important despite their limitations in survey period and method they had as salvage surveys in that they are the only existing surveys on the internal building structures of the castle. During urban developments since the 1950s, several salvage surveys seem to have been conducted but detailed information has not been reported. In 1993 parts of the mid and outer castles were excavated, probably to find ancient-Joseon sites preceding Koguryo. Another excavation of the outer castle was conducted in 2011, too. These excavations reveal such new information like the fact that the mid and outer castles were created through the earthen core and stone outer building technique as employed in the Guknaeseong Castle, or in Koguryo castles located in South Korea. For lack of detailed information, nonetheless, there are certain limitations in figuring out how or when the castle walls were built. The Pyeongyangseong Castle is large enough to encircle the huge area ranging from the mountainous areas around the Moranbong hill to the flat lands in the Pyeongcheon district. In addition, it has a complex structure, composed of the northern, internal, mid, and outer castles. As such, it is likely that its walls were built not only in different times, but also through different techniques according to its locations. Aside from the excavations, diverse approaches have been taken to specify when the castle was built through analysis of Gakja Seong-seok relics(刻字城石), requiring the most detailed analysis of the walls. A large part of the remaining walls and gate towers is that which was re-built afterwards not only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but also even later than that. This also necessitates more detailed examinations. Additionally, the traces of such diverse architecture like the foundation of the palace, which was like to be located in the inner castle, and road systems for the urban layout need to be investigated.

      • KCI등재

        한사군은 어떻게 갈석에서 대동강까지 왔나? - 한사군인식2 -

        복기대 ( Bok Gi-dae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8 선도문화 Vol.25 No.-

        동북아시아 학계 고대사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접점은 단연 낙랑군의 위치이다. 이 낙랑군의 위치가 어디냐에 따라 그 당시의 역사해석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문제는 매우 첨예하게 대립한 것이 사실이다. 필자는 이런 기본입장에서 한군현 설치 당시부터 시작하여 근대에 이르기까지 한군현 관련 문헌을 검토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사료를 근거로 하여 한군현 관련 문제를 종합적으로 정리해보면 한군현의 설치 초기에는 당시 패수가 있었던 현재 중국의 동북지역인 하북성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가 차이나계의 세력이 점점 커지면서 한군현 역시 점점 커지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패수의 위치가 바뀌면서 한군현의 위치도 바뀌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즉 현재 난하는 고대의 패수였고 북위시기에 이 패수라는 강 이름이 없어졌는데 6세기경 당시 지리학자였던 북위의 역도원이 고구려 평양성이 패수의 북쪽에 있다는 말을 듣고 이 패수를 근거로 하여 낙랑군을 현재 중국 요녕성 요양지역으로 이동시켰다. 이때 낙랑군과 평양의 등치관계가 설정되었으며, 그 후 명나라시기에 현재 한반도에 평양이라는 지명이 보편화되면서 낙랑군도 이 지역으로 옮겨온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런 변화는 원래 한군현이 설치된 지역에서 시작하여 강 이름과 지명을 따라 오늘날 한반도 평양에 이르게 된 것이다. 이런 것을 증명하듯이 『삼국사기』의 기록을 보면 한반도 어디에도 한군현이 있었다는 기록은 없는 것으로 확인이 된다. 그러므로 현재 한반도에 한군현이 있었다는 것은 14세기 이후부터 시작된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런 변화과정을 알려주는 사료들은 매우 많은데 그동안 학계에서 이를 주도면밀하게 분석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물론 학계에서 현재 한반도 평양지역에 한군현이 있었다는 단선적인 주장만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다양한 의견들은 1920년대 단선적으로 한반도로 고정되면서 오늘날까지 이른 것이다. 그러므로 향후 학계에서 더욱더 치밀한 보완 연구를 통하여 한군현을 제자리에 놓고 한국 고대사를 연구해야 할 것이다. The primary hotspot in ancient history research of Northeastern Asian academia is the location of Lelang Commandery. This is due to the differentiation in historic interpretation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it. It is very natural to see heated discussions about this problem. After many analysis on literatures and documents related to four commanderies of Han from its birth to modern era, author have earned the following results. If we organize the problems related to four commanderies of Han based on artifacts, we can find out that at its power widening by growth of Chinese region powers from its previous location in Hebei Sheng of northeast China. Especially on relocation of Paesu, we could also see the change in location of four commanderies of Han. Current Luán he was ancient Paesu, and on time of Northern Wei, the river name Paesu disappeared. By 6 century, a geographer named Li Daoyuan heard that Pyeongyangseong of Goguryeo was north of Paesu and shifted Lelanggun to current China Liáoníng Sheng Liaoyang region, and this is when the equal state of Lelanggun and Pyeongyang was set, and afterwards, the region name of Pyeongyang in Korean Peninsula became commonly known to people, and this is why Lelanggun moved here as well. This difference started from original location of four commanderies of Han, following the names of rivers and regions, all the way down to current Pyeongyang of Korean Peninsula. No records of four commanderies of Han in Korean Peninsula in the book of 『Samguksagi』 proves it. So saying that four commanderies of Han being in Korean Peninsula starts after 14th century. There are plenty of artifacts telling these process of change, but the history academia did not take close observation on them. There must have been other calls than this simple insistence of four commanderies of Han being in Pyeongyang of Korean Peninsula. However, these various opinions were standardized into Korean Peninsula on 1920s, and is continued until today. Therefore, more elaborate research will have to be done by history academia to put four commanderies of Han in its original location and to study ancient history of Korea.

      • KCI등재

        『通典』「邊防典」 高句麗 條의 考察

        김지현 동아시아고대학회 2016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43

        종래에 高句麗史 연구는 다양한 주제로 진행되어 왔으며 그에 대한 사료로써 중국의 正史들이 활용되었다. 그러나 정사들이 내포하고 있는 고구려열전에 열중한 나머지 『通典』의 「邊防典」 高句麗 條는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다. 그러나 『通典』은 그 구성에 있어 중국 정사들과 달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유연하게 기록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기사들의 배치나 내용에 있어서 주목해야 할 부분도 많은 史書이다. 특히 고구려의 지리와 관련한 기사에서 다른 사료에는 없는 내용이 있다. 그 기사들은 평양성 천도의 시점과 그 위치의 연구에 있어서 중요하게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이다. 더욱이 『通典』은 고구려의 멸망 이후 『舊唐書』나 『新唐書』보다 먼저 편찬된 사서이므로 그 사료적 가치가 높다. 따라서 『通典』은 고구려 연구에 있어서 반드시 활용해야 할 자료이다. Study of Goguryeo history have been ongoing with various themes. For the study, many chinese official history chronicles were used. Many people, however, have focused on Goguryeo part which was included in chinese official history chronicles. That is why we did not care much on 《Tongdian》〈Bianfangdian〉. This book’s composition is different from other chinese chronicles so articles were written flexible by the passage of time. Also articles’ arrangement and its’ contents are worthy of notice. Especially 《Tongdian》〈Bianfangdian〉has some Goguryeo’s geographic articles which only can be found in 《Tongdian》〈Bianfangdian〉, so it is high in scarcity. That articles can be used importantly when we study on the time about transfer of the capital and also on the location of Goguryeo’s castle town. Furthermore 《Tongdian》had been compiled before 《JiuTangshu》and 《XinTangshu》so its’ value is high. Therefore 《Tongdian》must be used to study of Goguryeo histor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