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論文) : 한대(漢代) 화상석(畵像石)에 나타난 자연관(自然觀)

        고혜련 ( Hey Ryun Koh ),최덕경 중국사학회 2012 中國史硏究 Vol.76 No.-

        In this article, I tried to declare the thought of natural concept of Heaven in China binding the Pictorial Stone Carving of symbol Good Omen. It is analysed on stone relief in Shandong. There is one principle between Heaven and Human Being, which are dependent on each other(天人相應說). There are about 40 Iconographies of Good Omen on Pictorial Stone Carvings in Wuliang Sanctuary(武梁司), in that are indicated whether emperor are doing well on policy or not. If he won`t do well for the people, will be happened natural disaster. Specially, the Han-period are expressed on pictorial stone reliefs of the episode ``finding Tripod 昇鼎`` for the first emperor Qin(秦始皇帝), which was dropped one of tripod(鼎) to Nine Tripod(九鼎) in river of Si(泗水). The symbol of Tripod means the legitimacy of emperor status from Ha(夏)dynasty to Zhou(周)Dynasty,in which meaning the power of emperor blessed by Heaven(天命). It showed on the Pictorial Stone Carving Chinese Emperor are also doing to take the mind of his people and they tried to control him in heavenly authority.

      • KCI등재

        한대인들은 왜 돌에 그림을 새겼는가? ― 영원한 삶의 염원을 위한 유교와 신화의 교착 ―

        김종석 한국철학사연구회 2023 한국 철학논집 Vol.- No.78

        This thesis examines the Confucian thought and mythological reason shown in the stone statues through three aspects: the production intention, the story expressed in the stone statues, and the meaning of the stone statues, which are memorial stones for ancestral ceremonies in the Han Dynasty. Through this, it is a paper that re-examines and seeks the contact point between mythological thought and Confucianism in a unique culture and its value. In Chapter 2, the external intention to reveal the filial piety ideology was reviewed, focusing on the filial piety story of Muliang temple. Among them, in the image of ZengZi, in addition to the symbolism widely known as the producer of Xiaojing ,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n intention to reveal the trust of the monarch and subjects through faithfully following the state system by citing the story of zhanguoce . The story of zhengran reveals the value of filial piety beyond the law of reality, and the story of Anguo confirms the intention to reveal the achievements of the living, not the dead. Furthermore,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social climat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virtuous women beyond the filial piety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n Chapter 3, the idea of immortality related to Xiwangmu as a mythological subject of stone statues and the eternity of the dead realized through it were reviewed.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possibility of ascending to the world of immortals was expressed by reenacting the scene where the owner of the shrine, who rode in a carriage, received a ancestral rite for his descendants through the picture of a memorial service in a pavilion. This is to realize the wishes of the descendants, who pray for the realization of the eternity of their ancestors, through the repeated rites held in tombs and shrines, in the form of ancestor worship and the image of the sages, including Xiwangmu. This is the true meaning of serving the dead of the Zhongyong as if they were alive, and the intention is to realize the eternity of their ancestors in this world. 본 논문은 한대(漢代)의 제례 기념물인 화상석(畫像石)의 제작 의도, 화상석에서 표현되는 이야기와 그 의미의 세 가지 측면을 통해 화상석에 나타나는 유교 사상과 신화적 사유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한대의 독특한 문화에서 나타나는 신화적 사유와 유교와의 접점과 그 가치를 재조명하고 모색한다. Ⅱ장에서는 무량사(武梁祠)의 효행고사를 중심으로 효 이데올로기를 드러내고자 하는 외적 의도를 검토하였다. 그중 증자(曾子)의 화상에는 효경 제작자로 널리 알려진 그의 상징성을 통해 효를 선양하려는 의도를 비롯하여 전국책 고사를 인용하여 군주와 신하의 신의를 드러내고자 하는 의도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정란(丁蘭)의 화상에서는 실정법을 넘어서는 효의 가치를 드러내고 있으며, 안국(安國)의 화상에서는 죽은 이가 아닌 산 자의 공적을 드러내려는 의도를 확인하였다. 더욱이 일반적인 부모와 자식 사이의 효를 넘어서 열녀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사회적 풍토를 확인할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화상석의 신화적 제재로서 서왕모(西王母)와 관련한 불사의 관념과 이를 통해 구현되는 죽은 이의 영원성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특히 누각배례도를 통해 마차를 타고 출행한 묘주가 후손의 제사를 받는 장면을 재연함으로써 선계로 상승할 가능성을 표현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무덤과 사당에서 반복하여 거행하는 제사를 통해 조상의 영원함이 실현되기를 기원하는 후손의 염원이 조상 배례의 형상과 서왕모를 비롯한 선계의 형상으로 구현하고자 한 것이다. 곧 중용 의 ‘사사여사생((事死如事生)’의 진정한 의미로서 조상의 영원함을 현세에 실현하고자 하는 의도인 것이다.

      • KCI등재

        고대 중국의 재난관 형성과 변화 연구 ― 재이(災異)를 넘어 재난으로 ―

        김종석 ( Kim¸ Jongseok ) 동양철학연구회 2021 東洋哲學硏究 Vol.107 No.-

        본 논문은 고대 중국의 재난 인식의 형성과 변화를 검토하여 재난의 인문학적 접근과 대응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곧 인간에게 영향을 주는 자연현상뿐만 아니라 유가적 천인감응(天人感應)의 재이설(災異說)에 한정하지 않고, 신화와 제례 등 다양한 문화에서 서사화되는 재난 관련 자료를 검토하여 고대인들의 재난 인식과 대응 및 극복을 사상적, 문화적으로 확인하는 데에 있다. 일반적으로 대표적인 재해 인식은 한대의 천과 인간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한다는 재이설을 들 수 있으며, 한대 시기는 그에 따라 사상과 정책이 운용되었다. 이것은 자연현상이 인간에게 피해를 주는지의 여부에 따라 재해와 자연현상을 구분하는 관점에서 출발한다. 그런데 일식이나 월식과 같은 천체 현상은 그 자체로 인간에게 피해를 주지는 않기 때문에 재해로 볼 여지는 없다. 따라서 재와 이는 그 피해 여부에 따라 재이와 이상 현상으로 명확히 구분되었다. 그런데 한대에는 이것이 인간에게 전해지는 연속된 조짐으로 이해하여 천과의 상관성을 제기한다. 천인감응의 한대 재이관은 그 기원이 멀리는 은대의 상제(上帝)와 무축왕(巫祝王)의 관계에서 기원하여 의지적인 천이 인간에게 상벌을 내린다는 묵자의 천론으로 계승되어 온 것이다. 곧 자연재해를 비롯한 재난이 신에게 기원을 드림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는 사상과 도덕과 윤리를 바탕으로 통치 행위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는 유가적 재난 구제법이 서로 혼합되어 새롭게 발전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정치적, 사상적 재난 이해가 주로 통치자와 주류 문화를 중심으로 발전한 것과는 달리 우화를 비롯한 신화와 장례 제도에서의 볼 수 있는 재난 문화는 비주류 사상과 민간의 재난 인식을 명확히 보여준다. 특히 가족의 해체와 같은 큰 피해를 겪는 전쟁을 현세의 재난으로 인식하여 사후 세계에서의 영원한 삶을 추구하는 하나의 장치로 차용하는 것은 인간의 재난을 새롭게 해석하고 극복하고자 하는 한 방편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humanistic approach and response of disasters by reviewing the formation and changes of disaster awareness in ancient China. It is to examine disaster-related materials that are narrated in various cultures such as myths and rituals, not limited to natural phenomena affecting humans, but also to confirm the awareness, response, and overcoming of disasters of ancient people ideologically and culturally. In general, there is a re-conception that the typical disaster perception is caused by the interaction sensation between heaven and man of the Han Dynasty, and the Han Dynasty period was operated accordingly. But it is based on two things. The first starts from the perspective of judging natural phenomena as disasters and understanding them as simple natural phenomena depending on whether they harm humans. However, astronomical phenomena such as eclipses and lunar eclipses do not harm humans by themselves, so there is no room for disaster. Accordingly, Zai(災) and Yi(異) were clearly distinguished as Zaiyi(災異) and abnormalities depending on whether they were damaged or not. The Han Dynasty's view of disaster has been inherited by Mozi(墨子)'s theory that the willful heaven punishes humans, originating from the distant relationship between Shangdi(上帝) of Yin Dynasty and shaman-King.(巫祝王). It is a mixture of ideas that disasters, including natural disasters, can be solved by giving the origin to God and valuable disaster relief laws that can be solved through acts of rule based on morality and ethics. However, unlike this political and ideological disaster understanding mainly developed around rulers and mainstream culture, the disaster culture seen in fables, myths and funeral systems clearly demonstrates non-mainstream thought and civil disaster awareness. In particular, it is a way of interpreting and overcoming human disasters by recognizing wars that suffer great damage, such as the dismantling of families, as a disaster in the after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