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OMMENTS : Specific Issues of Marine Insurance Law in Korea -English Governing Law Clause, Warranty, and Direct Claim of the Third Party

        ( Kwang Myoung Moon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4 The Asian Business Lawyer Vol.13 No.-

        The warranty clause, conventionally installed within the marine insurance contract governed by English Law, has been widely considered valid in Korean courts and served as means for the underwriters to deny the liabilities of the insurance against the insured. However, in the course of the application, transaction stability from the authority of the contract collides with the harshness brought to the insured, and Korean court’s traditional response to the collision was to respect governing law. Nevertheless, recent cases tell that the court has been working on devices for mitigation by the underwriters’ duty to explain material conditions, especially for the cases involving Korean contract parties. Concerning direct claim of the third party, the underwriters confront the claim of the victim who is not a party to the contract, which leads to issues involving the governing law and pay-to-be-paid rules. Recognition of such claim is, in fact, a proportion issue between the victim and the underwriter. Reckless acceptance of direct claims will bear excessive burdens to the underwriters, which makes direct claim a product of a political consideration to protect the victim. An elaborate legal approach was required for the court to accept direct claims, involving means of mitigation developed by various international legal communities.

      • KCI등재

        연구논문(硏究論文) : 해상보험에 있어서 영국법 준거조항의 유효성 인정문제와 그 적용범위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박세민 ( Se Min Park ) 한국해법학회 2011 韓國海法學會誌 Vol.33 No.1

        우리 대법원은 해상보험에 있어서 영국법 준거조항의 유효성을 인정하고 있다. 해상보험계약에서 발생하는 모든 법률 문제에 대해 아무런 제한없이 영국의 법률과 관습에 따르기로 한다는 뜻으로 영국법 준거조항의 의미를 해석하는 것은 많은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과연 영국법 준거약관을 무비판적으로 유효한 것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것인지, 그 적용범위는 제한할 수 있는 것인지의 문제는 실무상 매우 중요하다. 전보청구 및 결제에 관해서만 영국의 법률과 관습에 의한다고 규정하고 있는 영국법 준거조항의 경우와 달리 일반적이고 광범위하게 규정된 준거조항이 포함된 경우엔 여전히 어떠한 기준에 의해 영국의 법률과 관습이 적용될 것인가에 대해 분명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해상보험 실무에서 우리나라의 법률을 준거법으로 하려는 노력이 장기적으로 요구된다. 다만 이 문제는 해상보험과 해상무역의 국제적 성격 및 재보험시장과의 관계를 동시에 고려해야 할 것이다. 해상보험에 관한 조문들을 재정비하여 영국의 법률과 관습 중에서 우리가 수용할 수 있는 것은 수용함으로써 우리 해상보험법이 국제화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 우리법의 준거법 지정 문제와도 연관될 수 있을 것이다. The Korean Supreme Court has repeatedly admitted the effectiveness of the English law and practice clauses in the marine insurance contract. However, if the effectiveness of it is considered to unconditionally apply to every legal matters in the marine insurance. it will cause a lot of legal problems in the interpretation of it. The precise analysis on the extent of the application of the English law and practice is crucial in practice. Unlike the English law and practice which limits it`s own range of the application to the liability for and settlement of any and all claims, it is still unclear that to what extent the application in practice should be made and what should be the criteria to decide it in case of the general and common English law and practice. Many efforts to make the Korean law and practice the possible governing law in marine insurance practice should be made on long term base. This attempt should be linked with the special feature of the marine insurance and trade. In addition, we should try to adopt the English law and practice which is admissible, if any, to our marine insurance contract law. This will show that our law and practice in marine insurance is considerably internationalized and ready for becoming the governing law.

      • KCI등재

        선주상호보험조합에 대한 적하보험자의 직접청구권 -서울중앙지방법원 2012가단503694 판결을 중심으로-

        이원정 한국항만경제학회 2014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30 No.4

        The article 742(2) of the Korean Commercial Code allowed the third party to invoke a direct action against the insurer under a liability insurance. Meanwhile, the owners of the vessel enter into the P&I Insurance Contract with the P&I Club to indemnify all kinds of liability or expenses involved in the operation of its vessel. However, the Rule Book under the P&I Insurance mostly included the Pay to be Paid Clause which precludes the third party's direct action. Recently, the Seoul Central District Court passed a judgement on the validity of the Pay to be Paid Clause under the Korean law against the third party i.e. the cargo insurer having the right of subrogation. The court held that (1) the third party's right of direct action is not the right to claim insurance money but the right to claim damages against the P&I Club, (2) the insurer under a liability insurance is deemed to assume liability jointly and severally with the insured against the third party, (3) the Article 742(2) of the Korean Commercial Code is considered as a compulsory provision because it was invented to protect the innocent third party, the Paid to be Paid Clause is thus null and voi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this court's judgmentsby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 and English law, and to suggest the relevant amendments of the Korean Commercial Code in order to prevent further legal disputes. The article criticizes the decision of the Seoul Central District Court, taking the attitude that, since the third party's right is the right to claim insurance money, the Paid to be Paid Clause is valid against the third party. 상법 제742조 제2항은 피해자 보호를 위해 책임보험계약의 경우 보험자에 대한 제3자의 직접청구권을 전면 허용하고 있다. 한편 선주는 선박의 운항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책임과 비용을 담보받기 위하여 선주상호보험조합과 선주상호보험계약을 체결하게 되는데, 본 계약규정에는 제3자의 직접청구권을 배제하는 소위, 선지급조항이 규정되어 있다. 최근 서울중앙지방법원은, 화주에게 보험금을 지급하고 대위권을 취득한 적하보험자가 선주상호보험조합을 상대로 직접청구권을 행사한 사안에서, 상법상 선지급조항의 효력에 대한 판단을 내렸다. 동 법원은 제3자의 직접청구권은 피보험자인 선주의 선주상호보험조합에 대한 보험금청구권이 아니라 제3자가 선주상호보험조합에 대하여 가지는 손해배상청구권이며, 상법 제742조 제2항에 규정된 직접청구권은 피해자 보호를 위해 인정된 강행규정이므로 이를 배제하는 보험계약규정상 선지급조항은 무효라고 판시하였다. 이번 판결은 하급심 판결이면서 분쟁금액도 소액이지만, 피해자이자 제3자인 화물이해관계자가 선주의 책임보험자인 선주상호보험조합에 대하여 직접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는지와 선주상호보험조합이 피해자에게 책임보험계약상 각종 항변권을 주장할 수 있는지에 대한 최초의 판결로서 학계와 실무계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해상보험업계에서 지도적 위치에 있는 영국법과 비교·분석을통해 선주상호보험조합에 대한 적하보험자의 직접청구권의 법적 성질과 선지급조항의 효력이 주된 쟁점이 되었던 서울중앙법원 판결의 타당성을 평가하고, 향후 법률상 분쟁을 예방하기 위한 상법의 개정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제3자의 직접청구권은 보험금청구권이므로 선지급조항이 유효하다는 입장에서 대상판결을 비판하고, 상법도 직접청구권이 보험금청구권이라는 점을 명확히 하도록 개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해상보험자에 대한 피해자의 직접청구권에 관한 고찰 - 준거법과 선지급항변을 중심으로 - - 서울고등법원 2014. 5. 9.선고 2013나73560판결의 평석 -

        송헌 ( Hun Song ) 한국해법학회 2017 韓國海法學會誌 Vol.39 No.1

        1991. 12. 31. 법률 제4470호로 개정되어 1993. 1. 1.부터 시행되는 상법은 보험자에 대한 피해자의 직접청구권을 규정하고 있다. 직접청구권은 책임보험계약에 의한 보험금은 경제적으로는 피해자인 제3자에게 귀속하게 되는 것이고, 오늘날 책임보험의 중점이 피해자보호라는 측면으로 전환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도입된 것인데, 적용 범위에 대한 제한이 없다. 따라서, 책임보험의 성격을 가질 수 있는 해상보험, 특히 P&I보험과 선박보험의 선박충돌배상책임조항에 있어서, 그 적용 여부가 논란이 되어왔다. 특히, 해상보험의 경우 영국법 준거약관을 두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 이어서, 이 경우 피해자의 보험자에 대한 청구에 적용될 준거법 역시 논쟁이 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우리 법원에서 다루어진 판례 사안들을 중심으로 해상보험자에 대한 피해자의 직접청구권이 제기되는 경우 다루어지게 되는 쟁점들을 살펴보기로 하고, 준거법에 따라 향후 위 직접청구권에 기한소송이 국내 법원에서 진행되는 경우의 전망 및 논의방향을 다루어보도록 한다. Korean Commercial Code (“KCC”) provides a direct claim by 3<sup>rd</sup> party victim against an insurer, which is construed as a mandatory provision, whereas most P&I insurance and RDC clause under H/M policy to be governed by the English law provides “pay to be paid rule”. Thus, in case where the lawsuit against a marine insurer to issue an insurance policy under the English law is brought in the Korean jurisdiction based on a direct claim by 3<sup>rd</sup> party victim, the governing law between an insurance contract and tort in question would contradict. Recently, Korean lower courts have dealt with several cases where a 3<sup>rd</sup> party victim exercised a direct claim against a marine insurer. Some insurance policies were governed by the English law, while others were governed by the Korean law. With reviewing the relevant Korean lower court`s judgment, this study has considered main issues that can be in question where a direct claim against a marine insurer is exercised in the Korean jurisdiction, and suggest the de lege ferenda for improvement.

      • KCI등재

        연구논문(硏究論文) : 선주책임상호보험에 있어 제3자의 직접청구권에 관한 연구

        김찬영 ( Chan Young Kim ) 한국해법학회 2015 韓國海法學會誌 Vol.37 No.1

        선주책임상호보험은 선박의 운항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선박소유자의 다양한 배상책임을 보상하는 책임보험이다. 그런데 현대 사회에서 선박소유자가 직면하는 배상책임의 규모가 커져 감에 따라 그 중요성이 부각됨에도 불구하고 상법은 선주책임상호보험에 대해 특별한 규정을 두고 있지 아니하다. 또한, 제3자가 선박소유자가 아닌 선주책임상호보험을 상대로 직접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 제3자의 직접청구권이 인정될 것인가 여부에 대해서는 논쟁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선주책임상호보험의 의의, 역사 및 특징을 일별하고 선주책임상호보험약관의 선지급조항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다음으로, 선지급조항과 제3자의 직접청구권의 관계를 영국법의 입장에서 고찰한 후 보험약관의 준거법이 영국법인 경우와 한국법인 경우를 구분하여 각각의 경우에 있어 제3자가 법정지인 우리나라에서 선주책임상호보험조합을 상대로 직접청구권을 행사하면 직접청구권이 인정되는지 여부를 살펴보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보험약관의 준거법이 한국법인 경우에 있어 제3자의 직접청구권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입법론을 제시하기로 한다. Protection & Indemnity Insurance is the liability insurance which covers the shipowners`` various liabilities in respect of the operation of ship. However, the Korean Commercial Act does not have any articles concerning the Protection & Indemnity Insurance, despite the fact it becomes more important, as the liabilities that the shipowners would face in the modern society have been increased. In addition, there is a debate as to whether the direct action by the third party can be recognized as valid in the case that the third party claims directly against the Protection & Indemnity Association other than the shipowners. In this article, I will get the glimpse of the concept, history andcharacteristics of the Protection & Indemnity Insurance and examine examples of the pay to be paid clause in the Protection & Indemnity Insurance terms. Then, after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y to be paid clause and the direct action by the third party from the perspective of English law, I will analyse whether the direct action by the third party against the Protection & Indemnity Association can be recognized in the Korean jurisdiction, respectively in the case that the Protection & Indemnity Insurance terms are governed by the English law and that those are governed by the Korean law. Lastly, identifying the problem with regard to the direct action by the third party in case of the Protection & Indemnity Insurance terms governed by the Korean law, I will present the de lege ferenda for improvement.

      • KCI등재

        P&I Club에 대한 직접청구권

        Kim Chang Joon(金昌俊) 한국보험법학회 2011 보험법연구 Vol.5 No.1

        선주의 배상책임으로 인한 손해를 보상하는 P&I Club에 대한 직접청구권의 행사가능성 및 행사요건은 보험법의 가장 흥미로운 주제의 하나이다. 외국계 P&I Club에 대한 직접청구는 사회적으로 필요성이 강조되어 왔지만 영국법원은 P&I Club에 대한 직접청구를 제약하는 해석론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왔다. P&I Club이 외국계 보험자인 경우 국제사법의 해석론이 적용되어야 하므로 이 문제는 단순한 보험법의 쟁점을 넘어 국제사법과 해상법의 경계까지도 아울러 검토하여야 할 주제이다. 이 글은 2009년 우리나라 최초로 법원에 제기된 외국 P&I Club에 대한 직접청구권에 관한 판결을 평석한 것이다. 변론주의의 원칙상법원에서 다루어질 수 없었던 법리적 쟁점에 관하여까지 분석함으로써 향후 외국계 P&I 보험자에 대한 직접청구권의 행사와 관련하여 유사 사례에 적용할 수 있는 법해석론을 도출하여 보았다. It is one of most interesting legal issues in the insurance law whether a direct claim against P&I insurers should be recognized and, if the answer is affirmative, under what circumstances. It has long been supported that a direct claim against foreign P&I insurers shall be recognized for pubic policy reasons, but the leading jurisdiction such as English court has maintained that such direct claim shall not be recognized. The admissibility of a direct claim against P&I insurer is not only a insurance law issue but an issue involving conflict of laws rules and maritime law. This article deals with a lower Korean court's judgment wherein a direct claim against a foreign P&I insurer has become an issue before the Korean court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 writer attempted to extend the discussion to the area where the Korean court did not touch in the expectation that this article can serve as a reference for future similar cases.

      • KCI등재

        연구논문(硏究論文) : 보험자에 대한 직접청구권의 법적 성질 -P&I 보험을 중심으로-

        문병일 ( Bay Moon ) 한국해법학회 2010 韓國海法學會誌 Vol.32 No.2

        원칙적으로 책임보험계약은 피보험자를 위한 보험계약이므로, 피해자인 제3자는 보험자에 대하여는 아무런 권리를 가지는 것이 아니나 기능적으로는 궁극적으로 피해자를 위한 보험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렇다고 하더라도 타인을 위한 보험과는 달리 피해자가 책임보험의 피보험자가 되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법 제724조 제2항은 모든 책임보험자에 대해 피해자가 직접 청구할 수 있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는데, 이 직접청구권의 법적성질을 대법원은 손해배상청구권으로 보고 있다. 이 논문은 국내 판례동향, 외국의 입장, 선행연구, 전통적 법해석 이론에 따른 입법의도, 문리적, 논리적 및 목적론적 검토를 통해 상법상의 직접청구권을 손해배상청구권이라고 보는 것이 과연 가장 적절한지에 관해 P&I보험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연구는 상법상의 직접청구권은 보험금청구권으로 보는 것이 보다 합리적이고, 피해자보호가 미흡한 부분은 강제보험법규를 통해 보완할 수 있음을 말해준다. A third party victim has no right of action against the liability insurer, since in principle the liability insurance contract is not made to serve for the third party victim but for the assured. Although ultimately, it may function to serve for the victim, it should not mean that this victim is the assured of the liability insurance contract. Nevertheless, under the Article 724(2) of the Commercial Code a third party victim may demand directly the liability insurer to indemnify for any loss caused by accidents attributable to the assured. Korean Supreme Court considers the nature of this direct right of action as the right to claim for damages rather than for insurance money. This dissertation considers whether the nature of direct right of action against the liability insurer should be interpreted as the right to claim for damages and whether this is most appropriate under the Commercial Code focusing on P&I insurance generally, by taking the trend of Courts` decisions in Korea, the positions taken in foreign maritime countries, precedent studies on cases, legislator`s intention, contextual, logical and teleological examination based on the traditional theory of interpretation of law into account. This study concludes that it is much more reasonable and appropriate to see the direct right of action against the insurer under the Commercial Code as the right to claim for insurance money, so that where the protection on victims is insufficient, it can be supplemented through compulsory insurance regulations.

      • KCI등재

        브렉시트 이후 해상책임보험의 보험자에 대한 제3자 직접청구권의 행사에 관한 고찰 : 로마Ⅱ 및 Retained EU-Law를 중심으로

        남기정 한국해사법학회 2022 해사법연구 Vol.34 No.2

        Article 18 of REGULATION (EC) No. 864/2007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11 July 2007 on the law applicable to non-contractual obligation (Rome Ⅱ) stipulates that the court chooses a law that is advantageous to the victim ex officio by selectively linking direct claims to the governing law of non-contractual obligation and the governing law of insurance contract. Regard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above provision, the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CJEU) ruled that victims can directly claim against insurers as long as the governing law of non-contractual obligation permits, regardless of the provisions of the governing law chosen by the parties to the insurance contract. In addition, after Brexit, Rome II is Retained EU-law, and CJEU's ruling on Article 18 of Rome II is Retained EU case-law, which remains effective in the UK, respectively. Meanwhile, the Supreme Court of the UK declared the basic principle that victims cannot stand in a better position than policyholders in the Fanti and Padre Island cases, revealing the validity of the pay to be paid rule. Subsequently, the lower court rulings in the UK also did not allow the victim to exercise the right to claim directly against the insurer in other countries on the grounds that the victim also was bound by the jurisdiction agreement stipulated in the insurance contract between the insurer and the insured. However, the Fanti and Padre Island cases of the Supreme Court of the UK were not only before the enforcement of Rome II, but CJEU clearly ruled on the nature of Article 18 after the enforcement of Rome II, and its effect is still maintained in the UK. In addition,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CJEU's ruling applying the Brussels I regulations and the above regulations is no longer effective for the UK, the exclusive jurisdiction clause(e.g., the English Court) stipulated in the insurance contract is likely to take precedence. However, if the UK joins the 2007 Lugano Convention in the future, which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Brussels I Regulations, the purpose of CJEU's ruling, which was based on the Brussels I Regulations, can be considered important again. In the end, even if a lawsuit is filed in a Korean court to exercise the victim's right to claim directly against the insurer, and insurance contracts between the insurer and the insured stipulate English laws and customs as governing law, relevant interpretations should be made based on Article 18 of the Roman II(Retained EU-law) and the purpose of CJEU's ruling(Retained EU case-law), so that victims can be protected heavily by allowing selective connections to the governing laws of the country in which the damage occurs. 계약외채무의 준거법에 관한 유럽연합 규정(로마Ⅱ) 제18조는 직접청구권을 계약외채무의 준거법과 보험계약의 준거법에 선택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법원이 직권으로 피해자에게 유리한 법을 선택하도록 정하고 있고, 유럽사법재판소는 위 조항의 해석에 관하여 피해자는 보험계약 당사자들이 보험계약에 적용될 법으로 선택한 준거법의 조항과는 상관없이, 계약외채무의 준거법이 허용하는 한 보험자를 상대로 직접청구를 할 수 있다고 판시하였다. 또한 브렉시트 이후 로마Ⅱ는 Retained EU-law로서, 로마Ⅱ 제18조에 관한 유럽사법재판소의 판시는 Retained EU case-law로서 각각 영국에서 그 효력이 유지된다. 한편 영국 대법원은 Fanti 및 Padre Island 사건에서 피해자가 보험계약자보다 더 나은 지위에 설 수는 없다는 기본적인 원칙을 선언하면서 선지급 원칙의 유효성을 밝힌 바 있고, 이후 영국의 하급심 판결들 또한 로마Ⅱ 제18조의 규정 취지 및 그에 관한 유럽사법재판소의 판시와는 달리 피해자 또한 보험자와 피보험자가 보험계약에서 정한 관할합의 조항에 구속된다는 점을 근거로 하여 피해자가 다른 국가에서 보험자를 상대로 직접청구권을 행사하는 것을 용인하지 않았다. 그러나 영국 대법원의 Fanti 및 Padre Island 사건은 로마Ⅱ 시행 이전의 것일 뿐만 아니라 유럽사법재판소는 로마Ⅱ 시행 이후 제18조의 성격에 관하여 명확하게 판시하였고 그 효력이 여전히 영국에 대하여도 유지되고 있다. 아울러 소위 Brussels I 규정, 위 규정을 적용한 유럽사법재판소의 판시가 더 이상 영국에 대하여 효력이 없는 현재 상황에서는 보험계약에서 정한 배타적 관할합의 조항(가령 영국 법원)이 우선시될 가능성이 높지만, 영국이 추후 Brussels I 규정과 실질적으로 내용이 동일한 2007 Lugano Convention에 가입한다면 Brussels I 규정에 근거하였던 유럽사법재판소의 판시 취지는 다시 중요하게 고려될 수 있다. 결국 대한민국 법원에 피해자가 보험자를 상대로 직접청구권을 행사하는 소가 제기되고, 보험자와 피보험자 사이의 해상책임보험계약에서 영국의 법률과 관습을 준거법으로 정하고 있는 경우에도, 로마Ⅱ(Retained EU-law) 제18조의 규정 및 유럽사법재판소의 판시(Retained EU case-law) 취지대로 불법행위지의 준거법에도 선택적 연결을 허용함으로써 피해자가 두텁게 보호될 수 있도록 관련 해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