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로고스경영학회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박정윤,신호균,최무진,황인태,이창원,이선복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23 로고스경영연구 Vol.21 No.4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history of Korean Association of Logos Management(KALM), to review its current status, and to search for and suggest the direction to take for the continued development of the society. First, the organizational background and activities of the Christian Management Research Group, which became the foundation of KALM were briefly written. Then, the background and situation of the founding of KALM was summarized. Next, the development process was looked at after KALM was founded. And the direction of KALM was explored and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In particular, the author proposed that the academic society strategically pursue the integrated research of faith and management. As the author see KALM continuing to grow, he is reminded of the parable of the mustard seed in Matthew 13:31 and 32. "The kingdom of heaven is like a mustard seed, which a man took and planted in his field. Though it is the smallest of all your seeds, yet when it grows, it is the largest of garden plants and becomes a tree, so that the birds of the air come and perch in its branches." Paul says in Romans 11:36: “For from him and through him and to him are all things. To him be the glory forever! Amen.” This society is one where God informs the author that it is importa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ingdom of God to research and educate business administration with a biblical worldview even in the constitutional world. By sharing this vision with other Christian business professors, the society has developed to this day. This KALM was started by God, and developed through God. So, we must not forget that our society is an academic one for the glory of God. Therefore, when all members, including the president of KALM, seek first kingdom of God and His righteousness, God will allow not only Korean companies and society, but also the nations of the world, to be blessed through KALM.

      • KCI등재

        한남금북·금북정맥 일대의 찬공기 특성 분석을 통한 청주시 찬공기 관리방안

        손정민 ( Jeong-min Son ),엄정희 ( Jeong-hee Eum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9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는 한남금북정맥과 금북정맥을 대상으로 정맥에서 생성되는 찬공기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였다. 또한 한남금북정맥에 위치한 청주시를 대상으로 상세 찬공기 흐름을 파악한 후 관리전략을 제안했으며, 청주시 내에 설치된 지상기상관측소의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정맥의 야간기온저감 특성을 분석하였다. 찬공기 특성 분석을 위해서 독일에서 개발된 KALM(Kaltluftabflussmodell) 모형을 활용하여 야간 6시간 동안 생성되는 찬공기 흐름 및 풍속, 그리고 찬공기 층 높이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정맥에서 생성되는 찬공기는 강해졌으며, 특히 한남금북정맥의 서쪽과 금북정맥의 북쪽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찬공기 생성 360분 경과 후에는 평균적으로 약 0.45m/s의 찬공기 풍속이 분석되었으며, 최대 2.70m/s의 풍속이 관찰되었다. 찬공기 층 높이는 평균적으로 104.27m, 최대 255.00m의 두께로 쌓였다. 청주시의 찬공기 흐름의 풍속은 상당구가 0.51m/s로 평균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찬공기 층의 높이는 흥덕구가 48.87m로 높게 분석되었다. 야간기온저감 효과 분석 결과는 찬공기 층이 높은 청남대관측소(-3.8℃)에서 저감정도가 가장 크게 나타남으로써, 정맥에서 생성된 찬공기의 영향이 야간기온저감에 효과를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찬공기 특성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찬공기 생성이 활발한 정맥의 주요 산지 일대를‘온도조절기능 보전지역’으로 지정하여 현재의 산림 및 지형 보전에 대해 제안했으며, 생성된 찬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해주는 지역을 ‘온도조절 기능 확대지역’으로 지정하여 정맥의 기능을 보완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남금북정맥과 금북정맥의 체계적인 관리계획을 수립하고, 향후 청주시의 바람길 계획 수립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d air generated in Hannamgeumbuk and Geumbuk-Jeongmaek and proposed their management strategies. We also suggested management strategies after analyzing detailed cold airflows for Cheongju located Hannamgeumbuk-Jeongmaek and we compared the degree of nighttime temperature reduction of the Jeongmaek by using data obtained from observatories located on Cheongju. We used KALM(Kaltluftabflussmodell), a cold air simulation model developed in Germanay and identified both cold airflows and altitude of cold air layers generated during 360minutes at night. As a result, the cold airflow generated in the Jeongmaek became strong and the cold air was appeared clearly in the western part of the Hannamgeumbuk-Jeongamek and in the northern part of the Geumbuk-Jeongmaek. The average velocity of cold airflow was recorded at 0.45m/s, and the maximum speed of cold airflow was recorded at 2.70m/s. The average height of the cold air layer was 104.27m/s and the maximum thickness was 255.0m. The average velocity of cold airflows in Cheongju was 0.51m/s and the average height of cold air layer was 48.87m high. The highest degree of nighttime temperature reduction appeared in the Cheongnamdae observatory(-3.8℃), where the altitude of the cold air layer is high. The results showed that cooling effect of Jeongmaek actually affected the temperature reduction during nighttime. Based on the results, we designated the main mountain area of the Jeongmaek with active cold air generation as “cold air conservation areas” and proposed the current forest and topography conservation. We also proposed to designate areas that facilitate the cold airflows as “cold air management areas” and to complement the function of Jeongmaek. This study could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systematic management plans of the Jeongmaek.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can be applied as basic data for ventilation paths of Cheongju.

      • KCI등재

        바람길 활용을 위한 정맥의 찬공기 관리 방안 - 낙남정맥을 사례로 -

        엄정희 ( Jeong-hee Eum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9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2 No.1

        기후변화에 따른 각종 환경문제가 발생하는 가운데, 도시에서는 폭염, 열대야와 같은 도시 열환경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한국은 찬공기 생성에 유리한 산림지역이 국토면적의 약 63%을 차지하고 있으며, 주요 산줄기인 정맥은 도시지역과 밀접하게 위치해 있기 때문에 찬공기를 활용하는 것은 도시 열환경 완화에 매우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낙남정맥을 대상으로 정맥에 위치한 도시들의 바람길 활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정맥의 찬공기 특성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낙남정맥의 찬공기 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낙남정맥에 위치한 진주시와 산청군을 대상으로 상세분석을 수행하여, 정맥에서 생성된 찬공기 흐름이 인근 도시 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시지역에서 찬공기를 활용하기 위한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찬공기 특성 분석을 위해 독일에서 개발된 모형인 KALM(Kaltluftabflussmodell)을 활용하였으며, 야간 6시간 동안 생성되는 찬공기 흐름 및 찬공기층 높이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정맥에서 생성된 찬공기 흐름이 뚜렷해지고, 찬공기층의 높이는 증가하였다. 찬공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찬공기 흐름을 유지 및 확대할 수 있는 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예를 들어, 찬공기 생성이 활발한 산림지역 일대를‘찬공기 보전지역’으로 지정하고, 원활한 찬공기 흐름을 위해 관리가 필요한 지역을‘찬공기 관리지역’으로 지정하여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낙남정맥에 위치한 도시지역의 쾌적한 열환경 조성을 위한 바람길 활용방안의 일환으로 낙남정맥의 체계적인 관리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s urban heat environment problems occur due to climate change, urban thermal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heat waves and tropical nights are becoming more serious in cities. In South Korea, forest areas favorable for generating cold air account for about 63 percent of the land area. Furthermore, the Jeongmaek, the axis of the main mountain ranges of Korea, is located close to the cities. Hence, the management of cold air is an effective way to improve the thermal environment of Korean cities. We selected the Nak-nam Jeongmaek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r as well as two cities (Jinju-si and Sancheong-gun) located at the Jeongmaek to analyze its cold air characteristics and suggest management strategies of cold air. We used KALM (Kaltluftabflussmodell), a cold air simulation model developed in Germany and identified both the cold air flow and the height of cold air layer generated during 6 hours at night. As a result, the cold air flow generated in the Jeongmaek became clear and the height of cold air layer increased with time. Based on the results, we proposed management plans to maintain and expand the cold air flow. For example, forest areas with active cold air generation were designated as‘cold air conservation areas’, and areas requiring management for good cold air flow were as‘cold air management area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establishing systematic urban ventilation plan to improve thermal environment in Korea cities.

      • KCI등재

        유역의 찬공기 특성을 고려한 도시 바람길 활용 전략 - 경기도 의정부 및 과천 일대를 사례로 -

        엄정희 ( Jeong-hee Eum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9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는 찬공기 특성을 유역단위로 분석하고, 유역 내 생성되는 찬공기를 도시 바람길 계획에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 지역의 북쪽에 위치한 중랑천 유역의 의정부시, 남쪽에 위치한 안양천 유역 및 양재천·탄천 유역의 과천시를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찬공기 특성 분석을 위해 독일에서 개발된 모형인 KALM(Kaltluftabflussmodell)을 활용하였으며, 야간 6시간 동안 생성되는 찬공기 흐름 및 찬공기층 높이를 파악하였다. 중랑천 유역의 주요 바람길이 흐르는 곳에 위치해 있는 의정부시는 남쪽 외곽에서부터 유입된 찬공기가 의정부시 전체 바람길 계획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서쪽의 사패산 일대에서 생성된 찬공기는 시청 인근의 중심상업지구까지 유입되고 있어 도심의 열환경을 조절하는 주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의정부시 동쪽지역은 바람길 이용이 원활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 동쪽의 관악산과 서쪽의 청계산 등에서 생성된 찬공기 흐름은 과천시의 북쪽 지역에서 가장 활발하였는데, 이 흐름은 안양천 및 양재천·탄천 유역 전체에서도 주요한 바람길이다. 이에 비해, 찬공기 흐름이 원활하지 않은 남쪽지역에‘과천지식정보타운 공공주택지구’조성이 계획되어 있어 향후 이 지역의 주거환경이 저하될 가능성이 크다. 향후, 이 지역을 개발할 경우 상세한 바람길 분석을 통한 바람길 활용 계획을 추가적으로 수립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cold air characteristics in the watershed areas and to suggest strategies for utilizing them in urban ventilation corridor plans. For this purpose, the Jungnangcheon watershed and Uijeongbu-si in the northern part of Gyeonggi province, and Anyangcheon watershed as well as Yangjaecheon·Tancheon watershed and Gwacheon-si in the southern part were selected as study areas. We used KALM (Kaltluftabflussmodell), a cold air simulation model developed in Germany and identified both the cold air flow and the height of cold air layer generated during 6 hours at night. Uijeongbu City is located on the main stream of the Jungnangcheon watershed, and the local cold air from the southern outskirts is an important part of Uijeongbu-si's overall ventilation corridor planning. In addition, the cold air generated in the vicinity of Mt. Sapae flows into the central business district near the city hall and plays a major role in regulating the thermal environment of the city. But, the cold air flows in the eastern part of Uijeongbu-si was not smoothly. The cold air flow generated in the east of Gwanak Mountain and in the west of Cheonggye Mountain was the most active in the northern part of Gwacheon-si. This flow is also a major ventilation corridor in Anyangcheon watershed as well as Yangjaecheon·Tancheon watershed. But, the southern part where the cold air flow is not smooth is planed to be developed as 'Gwacheon Knowledge Information Town Public Housing District', so rapid development is expected in the future. Hence, it is suggested that an additional ventilation corridor plan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the detailed local wind flow analysis.

      • KCI등재

        도시환경개선을 위한 산림 기반 바람길 관리 계획- 낙동정맥을 사례로 -

        성욱제,손정민,엄정희,민진규 한국지리정보학회 2023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6 No.1

        This study analyzed the cold air characteristics of the Nakdong Jeongmaek, which is advantageous for the formation of cold air that can flow into the city, in order to suggest the wind ventilation corridor plans, which have recently been increasing interest as a way to improve the urban thermal environment. In addition, based on the watershed analysis, specific cold-air watershed areas were established and management plans were suggested to expand the cold air function of the Nakdong Jeongmaek.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cold air in the Nakdong Jeongaek, cold air was strongly generated in the northern forest of the Jeongamek, and flowed into nearby cities along the valley topography. On average, the speed of cold air was high in cities located to the east of the Jeongmaek, while the height of cold air layer was high in cities located to the west. By synthesizing these cold air characteristics and watershed analysis results, the cold-air watershed area was classified into 8 zones, And the plans were proposed to preserve and strengthen the temperature reduction of the Jeongmaek by designating the zones as‘Conservation area of Cold-air’,‘Management area of Cold-air’, and ‘Intensive management area of Cold-air’. In addition, in order to verify the temperature reduction of cold air, the effect of night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was compared with the cold air analysis using weather observation data. As a result, the temperature reduction of cold air was confirmed because the night temperature reduction was large at the observation station with strong cold air characteristic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in establishing a systematic pre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to expand the cold air function of the Nakdong Jeongmaek. 본 연구는 도시 환경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바람길 관리방안을 제안하고자, 도시로 유입될 수 있는 찬공기 형성에 유리한 낙동정맥을 대상으로 찬공기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유역 분석을 기반으로 낙동정맥의 구체적인 바람길 유역을 설정하고 유역별 찬공기 기능 확대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낙동정맥의 찬공기 분석 결과, 찬공기는 낙동정맥의 북부 산림에서 강하게 생성되었으며, 계곡 지형을 따라 인근 도시로 유입되었다. 평균적으로는 낙동정맥의 동쪽에 위치한 도시에서 찬공기 풍속이 높았으며, 반면 서쪽에 위치한 도시에서는 찬공기층 높이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찬공기 특성 및 유역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낙동정맥의 바람길 관리유역을 8개로 분류하였으며, 이를‘찬공기 기능 보전유역’,‘찬공기 기능 관리유역’,‘찬공기 기능 집중관리구역’으로 설정하여 정맥의 기온 저감 기능을 보전 및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찬공기의 기온 저감 기능을 검증하고자 기상관측 정보를 활용하여 야간 기온 저감 효과를 찬공기 분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찬공기 특성이 강한 지점의 관측소에서 야간 기온 저감 효과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 찬공기의 기온 저감 기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낙동정맥의 찬공기 기능 확대를 위한 체계적 보전 및 관리계획 마련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도시환경 여건분석에 기초한 바람길숲 조성계획 연구 -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

        성욱제(Sung, Uk-Je),엄정희(Eum, Jeong-Hee),손정민(Son, Jeong-Min),김주은(Kim, Ju-Eun),민진규(Min, Jin-Kyu),마동욱(Ma, Dong Uk),김진우(Kim, Jin Woo),정동수(Jung, Dong Soo),김성규(Kim, Sung Kyu) 한국측량학회 2021 한국측량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1 No.11

        최근 폭염, 미세먼지 등 도시의 환경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마련되고 있는 가운데, 산림청에서는 도시 바람길숲 조성사업을 전국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바람길숲 조성사업 추진 도시 중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바람길숲 조성 여건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종합하여 바람길숲 조성계획을 마련하였다. 이를 위해 세부적으로 환경취약지역 분석, 바람길 분석, 바람길숲 분석을 진행했으며, 이를 종합하여 대구광역시의 전반적인 바람길숲 조성 여건 파악 및 세부 권역별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구광역시는 외곽에 위치한 바람 생성숲이 풍부하여 바람형성이 원활했으나, 시가지 내부의 디딤·확산숲 및 연결숲이 부족하여 찬공기의 흐름이 도심까지 이어지지 못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계획마련이 요구되었다. 또한 권역별 특징에 따라 적합한 바람길숲 조성 전략을 제시했는데 그 중 중부권의 경우 신규 바람길숲 조성을 위한 공간이 부족하므로 기존 건축물을 대상으로 옥상녹화 및 벽면녹화를 제안했으며, 신천대로, 달구벌대로 등 주요 도로 및 하천의 식재를 보완함으로써 바람흐름을 연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구광역시의 원활한 바람길숲 조성사업 추진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 내 녹지를 체계적으로 확대할 수 있는 관련 사업의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