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논문(論文) : 독립운동가 윤희순(尹熙順)의 국내,외 항일독립운동

        강대덕 ( Dae Duk Kang ) 강원대학교 사학회 2011 江原史學 Vol.0 No.25

        19세기 말 일제침략으로부터 우리나라를 지키기 위해 올바로 인식한 대응책으로 다양한 형태와 방식의 하나로 전통적 가치관에 기반을 둔 민족주의 적인 위정척사사상이었고 이를 행동화시킨 민족운동이 바로 항일 의병운동이고 독립운동이었다. 우리나라 여성으로서 한말 최초 여성의병장 윤희순(1860~1935)은 華西學派의 華·重·省·毅門에서 함께 수학한 畏堂 柳弘錫의 며느리이고 지식인의 夫人으로서 抗日 女性義兵運動을 주도하였으며, 활발하게 抗日獨立運動을 전개하였던 대표적인 여성 독립운동가였다. 화서학파 지식인들은 男·女구분 없이 행동으로 실천하는 민족독립운동의 중심지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민족의 항일독립운동은 그 목표의강도와 성취도와 민족구성원의 감정상태에 따라서 다양하게 나타났었다. 특히 윤희순은 행동하는 지성으로 강원지역 전·후기 항일의병운동에서 여성의병장으로서 활동은 그 후 만주에서 민족학교를 설치 운영하여 항일독립운동에 앞장 설 청년들을 배출하는 교육운동과 나라를 빼앗긴 민족에 대한 계몽운동 등 국외에서 항일독립운동이었다. 그는 일본의 침략으로 이루어진 갑오왜란, 을미사변, 갑오·을미개혁, 단발령시행, 태양력사용, 을사늑약체결, 고종퇴위, 군대해산, 한일병탄 등 기존질서의 위기상황에 직면하여 개항전후 나타난 화서학파의 民族意識, 즉 對外危機意識에 따라서 형성된 尊華攘夷·衛正斥邪論의 논리를 배경으로 전개된 민족운동의 연장이었다. 19세기말 서구문물의 팽창이 가져다주는 민족의 정체성위기 앞에서 우리민족은 그때까지 지켜온 민족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일제 침략에 대항하여 국권회복을 위하여 독립운동으로 승화시킨 국내 抗日義兵運動 속에서 女性義兵將으로서 부녀의병대를 조직하여 전개한 의병활동과 만주지역 등 국외에서 민족학교 설립과 교육철학, 학교경영, 항일독립운동 등에서 그의 역할을 통해 독립운동가 윤희순의 성격과 의의를 규명하였다. 윤희순의 항일의병활동은 朝鮮中華의 自尊意識이 지니는 민족주체성을 남성만이 아닌 여성도 함께 지키기 위한 실천운동이었다고 평가 할 수 있다. 우리 민족의 주체성은 민족내부를 통합할 수 있는 통합의 원리를 통하여 민족의 역량이 결집되고 그것이 민족의식으로 定礎되어야만 진정한 의미를 지니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말 항일의병운동의 전개과정을 통해 국내의 특히, 강원여성의병은 근대적인 민족의식과 자주적인 주체성을 형성하게 하였으며, 국권회복과 민족국가 수립을 위해 항일독립운동을 전개토록 하였던 保國實踐運動으로 화서학파의 활동 중심지였던 강원 춘천지역 여성에 대한 여성독립운동사 연구이다. 이는 새로운 자료발굴과 새로운 시각에서 재해석이 그 어느 때 보다도 절실히 요구되는 시기에 독립운동가 尹熙順의 국내 抗日 婦女義兵隊 活動과 국외에서의 민족학교 경영 등을 통한 항일독립운동 활동은 한국 항일독립운동사의 역사적 의의가 있는 여성독립운동이었다. One of the Korean responses for protecting the country from the japanese invasion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as "defending orthodoxy andrejecting heterodoxy thought"(wijung chuksa sasang) based on Korean traditional value. And national movement to embody it was anti-japanese righteous army and independent movement. Yoon Hui-sun, the first Korean woman leader of righteous army, was a daughter- in-law of Yoo Hong-seok who was a confusion scholar of Yi Hwa-su school and wife of Yoo Je-won who was an intellectual. She was a representative independent fighter. Intellectuals of Yi Hwa-su school had key roles in national independent movement without division of sex. National anti-japanese independent movement varied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purpose, levels of attainment and feeling of the people. Yoon Hui-sun was a leader of the former and latter anti-japanese righteous army in Kangwon province. And later, she founded and ran a school in Manjuria and fostered many future independence fighters. Moreover, she engaged in enlightenment movement for Korean immigrants who lost their country. Her anti-japanese activities in abroad were one of the national movements that developed based on the logic of national consciousness of Yi Hwa-su school that appeared in a dangerous situation including the Gabo Reform, the assassination of empress Myeongseong, the Ulmi reform, the ordinance prohibiting topknots, using of the solar calendar, Ulsa Illeagal Treaty, deposing of emperor, disbanding of national army, annexation of the country by the japanese invasion. When national identity confronted with a crisis by extension of western civilization in the end of the 19th century, Korean people confirmed their identity. When the country was invaded by Japan, activities of righteous army were developed into independence movement for recovering the country. At that time, Yoon Hui-sun organized righteous army with women in the country and founded a school in abroad. So, this paper determines her characters and importance as a Korean independent fighter. Her activities as an anti-japanese righteous solder showed that not only men but also women tried to keep their national identity of emphasizing independence. Korean national identity can get a meaning when all the people become one, their capacity is concentrated and it is set up as national consciousness. Through the developing process of anti-japanese righteous army in the end of the Choseon, this paper shows that women righteous army in Kangwon province helped to form modern national consciousness and independent national identity. Also, this discovers activities of Yoon Hui-sun as the first woman leader of righteous army and her activities as an anti-japanese independent fighter in Manjuria and determines her importance in the history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 KCI등재

        경회(景晦) 김영근(金永根)의 한시에 투영된 위정척사(衛正斥邪) 정신

        이향배 ( Lee Hyang-bae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7 儒學硏究 Vol.38 No.-

        김영근은 중암 김평묵과 오남 김한섭의 제자로서 화서학파의 학맥을 계승한 학자로 평생동안 위정척사, 존화양이의 의리사상을 실천한 인물이다. 그는 어려서부터 천부적으로 시재가 있었으며 수많은 한시 작품을 남기고 있다. 그의 시에는 향토성이 짙은 작품이 많으며 자신의 포부와 위정척사의 의리 정신이 관철되어 있었다. 본고는 한시에 투영된 위정척사 정신을 살펴보았다. 첫째로 구한말에 김영근이 서양열강과 일본의 계략적으로 침탈당하는 나라의 현실을 걱정하는 면모를 분석하였다. 그는 국난을 구제해줄 영웅이 나타나주기를 바랬고, 외세에 맞서 싸워 일본과 서양세력을 척결하려는 위정척사의 정신을 발휘하기도 하였다. 외세에 대한 적극적인 배척은 도학의 존망이 달려 있다는 화이론적 관점에서 위기의식의 발로였다. 둘째로 을사늑약 이후에 김영근이 한반도를 유람하면서 일본이 경제적으로 군사적으로 조선을 침탈하는 현장을 목격하고 분개한 작품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일본군 병참이 설치되고 일본인들이 조선 경제를 침탈하는 모습을 보고 나라가 장차 처할 운명에 대해 걱정했다. 그래서 그는 의병을 통해 척결하려는 의기를 표출하기도 하였다. 셋째로 김영근이 일제치하에서 사는 것을 부끄러워하여 고향을 떠나 해외로 가려고 한 사실을 분석하였다. 조선의 선비로서 일본의 백성으로 살아가기를 거부한 그는 고향을 떠나려고 했지만 노모 때문에 떠나지 못하고 부끄러움을 견디며 살아갔다. 결국 노모가 세상을 떠난 뒤에 가족을 거느리고 간도에 갔지만 정착하지 못하고 1년 만에 돌아와서는 은둔하여 제자들을 가르치고 학문을 탐구하며 광복을 기다렸다. 넷째로 김영근이 서구 문화 유입으로 일어난 세태 변화에 대한 비판과 사도를 고수하는 면모를 분석하였다. 일본 관리가 부자들의 횡포를 방관하고 양반출신 여자들이 장사에 나서는 세태에 대해 비판했으며, 이혼가정이 늘고 부모를 봉양하지 않는 등 전통적 가족 제도가 무너지는 현상을 지적했다. 그래서 금수 사회로 떨어진 것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교적 질서의 회복을 강조했으며 위정척사 존화양이의 의리 실천을 통해 사도(斯道)를 고수하였다. 이와 같이 김영근의 한시에 투영된 위정척사의 정신은 그가 철저하게 화서학파의 의리사상을 실천하며 살아왔음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그의 한시 세계는 일제 강점기를 살아 가야만 했던 전통지식인들의 삶과 고뇌를 잘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가 있다. As a scholar he was indoctrinated in the ways of Hwa-seo School, student to Jungam Kim Phyeong-Muk and Onam Kim Han-Seob, Kim Young-Geun is someone who practiced the principle of Zongfa-yangi, righteous austerity in thought, his whole life. He was a poetic genius and left us many Korean poems. Much of his poetry is flavored with the local context of things happening around him while being heavily influenced by the principles he believed in, righteousness thought of Wijeongchuksa.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spirit of Wijeongchuksa reflected in this poetry. First, this study analyzed Kim Young-Geun`s work demonstrating his concerns in response to the arrival of Western influence and the invasion of Japan. He wanted to inspire his followers during a time of national crisis, in hopes that the spirit of Wijeongchuksa would aid them in the fight against western influence foreign powers and to defeat Japan. The aggressive denunciation foreign power was an expression of awareness of a crisis from a perspective of Hwairon (a theory ascribing Civility to one group and Barbarism to the rest) which later gave way to Dohak. Second, this study focused on Kim Young-Geun work depicting his observations of Japan`s financial and military invasion and the outrage he felt while he traveled Korea following the Japan-Korea Treaty of 1905. He was concerned for his country`s future welfare as he witnessed the occupation of the Japanese military and their (the Japanese`s) immersion into the Korean economy. Kim Young-Geun went on to express the need to fight through a Righteous Army. Third, this study analyzed how Kim Young-Geun considered it grossly humiliating to live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and his attempts to escape. As a scholar of Joseon, he refused to live as Japanese citizen and tried to leave his hometown. However, he was forced to live in shame as he could not abandon his elderly mother. After the death of his mother, he went to Gan-do with his family, but was unable to settle down. After a year, he came back, deciding to live in seclusion while teaching students, studying, and waiting for the liberation. Forth, the study focused on how Kim Young-Geun openly criticized society`s departure from Confucianism following its exposure to Western culture. He criticized how Japanese officials just sat and watched the tyranny of the rich, especially when women from noble classes tried to do business. Moreover, he spoke out against the collapse of the traditional family system, resulting in of divorces and failure to care for elderly parents. Thus, in hopes of raising society from failing morally, he emphasized a restoration of Confucian ideals and did his best to practice the precepts of righteous thinking daily. And so we see how the spirit of Wijeongchuksa reflected in Kim Young-Geun`s Korean poetry is the evidence that he lived practicing the Zongfa-yangi of the Hwa-Su School. His Korean poetry is meaningful as it portrays the life and agony of a traditional intellectual who had to endur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