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최치원의 발해관과 그 의미

        장일규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7 한국학논총 Vol.29 No.-

        Choi Chi Won composed an article about Balhae which has the contents about Shinla's jostle with Balhae for a national prestige. However this article were written with diplomatic document which was announcing King Jin Sung passed thrown on to King Hyo Kong. Therefore the view point of Choi Chi Won related closely with succession to the thrown. Choi Chi Won had written about balhae from 884 to 898. Prefrences about Balhae were included into a letter to Emperor or government agent of Tang. Although Choi Chi Won explained Balhae as the descenant of Ko Ku Ryu, he defined them as Mal Gal(粟末靺鞨) in the documnet which was written in King Hyo Kong period. Choi Chi Won had dual recognition about Balhae. Choi Chi Won stressed that Shinla and Balhae both accepted the enlightenment of the Tang Emperor. This came into real by students studying abroad who were sent to Tang. He emphasized Shinla sent students more often than Balhae. Especially this could be possible because of King Kyoung Moon's royal family; such as king Kyoung Moon, King Hun Kang, King Jin Sung, etc. Shinla were invaded by Mal Gal (黑水靺鞨) in King Jin Sung period and started loosing control power as powerful clan(豪族) rose up. Choi Chi Won worked hard to change these situation and his mind appeared in his writing. He stressed Shinla was better than Balhae as a country of virtue to reaffirm Shinla‘s royal family in Tang. Also he pointed up the fact that Shinla had accepted Emperor's enlightenment, by doing that he tried to hold each powerful clan(豪族) in check. Especially he raised achievement of royal householder with King Kyoung Moon for controling Jingol(high noble status) which surrounded King Hyo Kong The Recognition of Choi Chi Won to Balhae was appeared very sensitively following political situation at the time. 신라 말에 신라와 발해는 국가의 위상을 다투었다. 최치원은 두 나라의 경쟁을 당 황제와 관인에게 보내는 글에서 언급하였다. 최치원이 지은 글을 통해 두 나라의 ‘쟁장사건’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최치원의 발해 관련 글은 신라 진성왕과 효공왕의 왕위계승 과정과 맞물려 작성되었다. 최치원의 글은 신라의 발해인식을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당시 신라 정국의 동향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최치원은 당 황제에게 보내는 표문이나 장문 뿐만 아니라 당의 관인에게 보낸 글에서도 발해를 언급하였다. 발해에 대한 언급은 재당시절에 작성한 글은 물론 효공왕 초년까지 쓰여진 글에도 나타났다. 그의 발해관은 당시 당과 신라에서 발해를 인식하는 모습을 그대로 담았다. 최치원은 발해를 고구려의 후예, 혹은 속말말갈의 나라로 표현하였다. 그는 숙위학생으로 활동하면서 당시 당나라 사람들이 가졌던, 당 중심의 세계관 속에서 신라와 발해를 이해하는 경향을 그대로 이어받았으며, 발해보다 신라의 위상을 강조하는 이중적인 발해관을 가졌다. 그러나 효공왕이 왕위에 오른 뒤에는 발해를 이전부터 부르던 ‘북국’이 아닌 신라의 위계를 받은 ‘적국’으로 폄하하면서, 발해가 신라의 속번으로 애초부터 신라와 비교될 수 있는 대상이 아님을 지적하였다. 신라를 중심한 발해관은 숙위학생의 파견과 관련하여 제시되었다. 자연 그의 발해관은 당시 신라의 국내외 상황에 적지 않은 영향을 받았다. 최치원은 경문왕계 왕실의 측근 문사로 활동하였다. 그는 외교문서에서 경문왕, 헌강왕, 진성왕, 효공왕 등이 숙위학생을 파견하여 황제의 교화를 이루는데 진력하였음을 강조하였다. 이것은 경문왕계 왕실의 위상과 권위를 다시 한번 강조하기 위한 것이었다. 곧 최치원의 발해관은 당과 발해에 제후국 신라와 신라의 속번인 발해의 실상을 구체적으로 알리려는 의도를 담았다. 또한 헌강왕의 서자로 왕위에 오른 효공왕의 정통성을 확보하고 왕실의 안녕을 해치는 귀족세력을 견제하려고 의도하였다. 나아가 견훤과 궁예 등 신라 왕실의 권위와 위엄에 도전하는 호족세력에게 신라 왕실이 당의 공식적 인정을 받은 유일한 나라임을 알리려는 뜻도 담았다. 최치원의 발해관에는 헌강왕 말년부터 효공왕 즉위 초년까지 자신이 겪은 신라의 국내외 상황이 반영되었다.

      • KCI등재

        신라 경덕왕대 백제 고지 정책의 시행과 그 배경

        金康勳 ( Kim Kang-hu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1 大東文化硏究 Vol.114 No.-

        이 글은 신라 경덕왕대 백제 고지 지역을 대상으로 시행된 정책을 검토하고, 그것의 시행 배경을 신라인의 발해 인식과 관련하여 살펴본 것이다. 신라 지배층은 발해에 대해 말갈이 주도하여 건국한 국가로 인식하였는데, 752년 김태렴이 이끈 대일 사절단이 귀국하면서 발해를 고구려계승국으로 파악하는 인식이 왕경에 확대되었다. 이러한 인식은 발해에서 시작하여 일본을 거쳐 신라로 유입된 것이다. 신라는 사회경제적으로 열악한 처지에 있던 백제 고지 지역민이 이러한 인식에 영향을 받아 백제부흥의식을 표출하는 것을 억제할 필요가 있었다. 웅천주정에 장군 3인을 두어 반란에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체계를 갖추는 동시에 반란을 억제하는 효과를 노렸으며, 효행을 실천한 향덕을 포상하여 국왕에 대한 충성을 유도하였다. 경덕왕은 통제책과 회유책을 병행하여 백제 고지 지역을 안정시키고자 했던 것이다. This article analyzes politics implemented toward old territory of Baekje in King Gyeongdeok era and examines its background through cognition on Balhae in Silla. Silla's ruling class recognized Balhae as a country founded by Malgal. However, it changed in 752 when Kim Tae-ryeom Mission returned from Japan. Cognition that Balhae is successor of Goguryeo had rapidly spread in capital. This cognition began with Balhae and had flowed Silla via Japan. The people of the old territory of Baekje were in poor socioeconomic conditions. Silla tried to suppress they have consciousness of succeeding Baekje by the information of 'Balhae is successor of Goguryeo'. King Gyeongdeok had implemented control and conciliation policies. He announced the establishment of Janggun to counter a revolt in Woongcheonju-Jeong. In order to induce loyalty to the king, he rewarded Hyangdeuk handsomely for filial piety.

      • KCI등재

        新羅 中代 渤海關의 變遷과 그 意味

        조이옥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05 新羅文化 Vol.25 No.-

        This paper is to study the development of the cognition on Balhae in the Midle Ages of Silaand its significance. At that time, Sila united neighboring countries and their people, kept the political stability, and also developed their culture. At the same time, Balhae, which the majority of Goguryeo's and Malgar's people lived in, was located on the north of the United Sila. Therefore, it has been thought that the understanding of Balhae during the Middle Ages must have functioned as the important parameter in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n the United Sila and the BalhaeAfter Balhae had ben established, the Sila's views on the Balhae must have ben changed. On the whole, in the early times of the establishment of Balhae, Sila considered Balhae as a state which was built by the people who was called the Malgarian race. However, it could be found out that Balhae was the country which suceded Goguryeo from the mid-eighth century. The change of the Sila's thought about Balhae must have become the important turning-point which found the negotiations out of the conflict betwen the two states. To sum up, this paper could discover the important evidence of the theory on the era of the South-North state throughout the development of the Sila's cognition on Balhae in the Midle Ages of Sila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