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 논문 : < 천연완월(天淵翫月) >에 표현한 퇴계(退溪)의 화열(和悅) 연구

        김병권 ( Byeong Kweon Kim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5 퇴계학논총 Vol.26 No.-

        퇴계(退溪) 선생은 학문에서 이(理)를 추구하는 것을 귀하게 여겼으며 마음에 대하여 관심이 많았다. 그리고 산과 물의 자연이 마음에 주는 즐거움을 말하지 않을 수 없어서 시를 짓는다고 하였다. 이렇게 시에 표현한 즐거움은 자연에서 구하여 얻은 즐거움이라고 볼 수 없고, 자연이 스스로 준 즐거움이라고 이해해야 한다. 자연이 준 즐거움은 인욕(人欲)에서 구하는 즐거움이 아니며, 천리가 주는 즐거움이다. 나아가 완전한 즐거움은 인욕이니 천리니 하는 경계에서 벗어났을 때 가능하기 때문에 이 경지에 이르기 위해서 마음을 다스리는 수양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대상은 퇴계의 < 천연완월(天淵翫月) >이다. 이 시의 내용은 “한 점 먼지라도 마음에 끼었다면 밤마다 새로워지는 이 대의 달을 보소. 쇄락하고 청진한저 경지를 모두 잡아 속된 인연 끊어버린 유인(幽人)에게 맡겼다네.”이다. 이 작품에서 마음에 낀 먼지는 사사로운 욕심인 인욕(人欲)이며, 밤마다 새로워지는 달은 유행이 활발한 자연의 이치이며 천리이다. 쇄락하고 청진함은 천리가 실현된 경지이며, 인욕을 버린 청정한 마음을 상징한다. 속된 인연은 현실 세계에 살면서 인욕을 이루려는 것이다. 유인(幽人)은 자연에 은둔해 세상의 인욕과 관련이 없는 사람이며, 시적 화자인 퇴계 자신이다. 그래서 < 천연완월 >은 자연의 이치인 천리가 은둔해 있는 퇴계에게 스스로 준즐거움을 표현한 작품이다. 퇴계는 이런 즐거움을 통해서 마음의 인욕을 없앤 천리의 본연을 추구하는 학문이 순천화열(順天和悅)하는 이상세계를 실현한다고 독자에게 전해준다. Toegye stated that the pleasure derived from nature itself spontaneously led him to compose poems. The pleasure expressed in Toegye’s poems was one that cannot be attained through exploration but from spontaneity. This pleasure does not come from human avarice but from natural law. By extension, nature can offer sheer pleasure to people if they become free from the boundaries between human avarice and natural law.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a Toegye’s poem, titled Cheonyeonwanwol. In this poem, a person’s mind covered with dust is likened to personal avarice, whereas the moon, which renews itself every night, symbolizes actively changing nature. Clearness and trueness represent perfection achieved in natural law, which is likened to a person’s mind without any avarice. Also, pursuing secular bonds in the mundane world is to seek human avarice. In the poem, a recluse stands for a person free from worldly avarice, mirroring the poetic narrator, Toegye himself. In sum, Cheonyeonwanwol expressed the pleasure that Toegye, who lived in seclusion, derived from natural law. Ultimately, Toegye teaches readers a lesson that individuals should throw away their avarice and discipline themselves, keeping away from secular bonds, in an attempt to seek natural law.

      • KCI등재

        퇴계(退溪)의 문학(文學)에서 유인(幽人)의 생활(生活) 담론(談論) 연구(硏究)

        金秉權 ( Kim¸ Byeong-kweon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0 퇴계학논총 Vol.36 No.-

        退溪의 聖學은 마음과 대화하며 사물의 이치를 知覺[깨달음]하는 마음공부이다. 마음의 구조는 虛靈하며, 그 기능은 대상의 이치를 知覺하는 것이다. 마음이 이치를 탐구하여 통달하고 그것을 익혀서 실천하는 사람은 무엇을 하든 어디로 가든 걸림이 없는 자유인이 된다. 따라서 마음공부의 목적은 자아의 맑고 깨끗한 本性을 발견하고 修養함으로써 自由自在한 聖人의 경지에 이르는 것이다. 退溪의 詩는 자연과 대화하며 山水가 마음에 저절로 준 즐거움을 말하지 않을 수 없어서 쓴 문학이다. 이때의 즐거움은 억지로 구하여 얻은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억지로 구한 즐거움은 마음의 집착이 되므로 無欲의 청정한 마음에서 일어난 즐거움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청정한 마음의 自由自在한 즐거움이 참된 즐거움[眞樂]이며, 이는 말로써 형언할 수 없으나 말하지 않으면 즐거움을 전할 수가 없으므로 비유의 형식인 詩로 지은 것이다. 退溪의 生活은 사람과 대화하며 道理를 지키는 德行의 실천이다. 그는 자기를 버리고 남을 따르지 못하는 것이 큰 病이라고 제자들에게 가르쳤고, 제자들은 退溪에게서 이것이니 저것이니 구분하는 境界가 없었다고 전한다. 구분은 공동체가 분열하는 원인이 된다. 남을 따르지 못하는 病은 구성원이 대립하는 원인이다. 따라서 퇴계의 생활은 분열하고 대립하는 현실에서 사회적 統合과 구성원의 和樂을 가르치고 실천한 의미가 있다. 이치에 통달하는 마음공부, 이치가 마음에 준 즐거움을 표현한 문학, 도리를 지키고 덕행을 실천한 생활은, 공동체의 화합과 즐거움을 지향한 인간의 本性的 價値를 合理化한 談論이다. 이러한 退溪의 談論은 인욕에 집착함으로써 인간성을 상실한 시대에 自我를 完成하고 他人과 調和를 이루며 살아가는 道理와 德行을 과거에도 안내해 왔으며 현재와 미래에도 안내할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退溪의 心學에 근거하여 그의 詩 가운데 幽人이 등장하는 「天淵翫月」에 표현한 즐거움의 본질을 분석함으로써 공동체의 和合을 지향한 談論을 도출하는 데 있다. This article draws a discourse of value rationality to pursue a cohesive community by reviewing Teogye’s poem, titled 天淵翫月(Cheonyeonwanwol) and analyzing it based on his theory of mind. In his poem, a metaphor is used to compare the clear moon symbolizing Toegye’s theory of mind and the moon blocked by the cloud describing any personal avarice such as obsession and greed. The theory of mind is based on two concepts: a structure of innocent mind and perception regarding how people perceive this structure as a matter of principle. These two essential concepts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behavioral ethics of studying a structure of mind and perceiving a principle. The behavioral ethics suggested by Toegye should be continuously exercised to prevent any personal avarice from differentiating between the two ideological hegemony. Then the innocent mind can be upheld by these efforts. Like the clear moon shining on the land, people following these behavioral ethics can enjoy an essential pleasure without worrying about personal avarice and ideological conflicts. Toegye’s life and pursuit of purpose can be inferred in his poem. Toegye, in his life, actually pursued his behavioral ethics, studying a structure of mind and perceiving a matter of principle by communicating with members of his community. He also had efforts to keep a lookout for personal avarice and to avoid differentiating between ideological conflicts. The poem, titled 天淵翫月 (Cheonyeonwanwol), reflecting an essential pleasure caused by his exercising behavioral ethics, implies how the transitional stage to transforming mechanized and digitalized society overcomes ideological conflicts and establishes a cohesive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