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敦煌 莫高窟의 華嚴經變相圖에 대한 考察

        전호련 한국불교학회 2014 韓國佛敎學 Vol.69 No.-

        This paper examines popularity, composition and contents of the illustrated Avataṃsakasūtra paintings in the twenty nine caves among the Magao caves, Dunhuang. The Avataṃsakasūtra paintings in the Magao caves had been prospered in Tang(唐) dynasty(15 caves) and been still painted in the Five dynasties(五代)(8 caves) and until the Song dynasty(6 caves). Most of these paintings are located on the north wall(18 caves) and the cave ceiling(7 caves) but sometimes shown on the south wall(1 cave) and the anteroom(2 caves). These paintings in the twenty nine caves are all based on the 80-volume Avataṃsakasūtra(tr. 695-699) and there is no painting based on the 60-volume Avataṃsakasūtra(tr. 418-420). This seems to be because the 80-volume Avataṃsakasūtra were prosperous in Tang dynasty when many illustrated sūtras paintings including Avataṃsakasūtra paintings being drawn in Dunhuang. Considering that the date when the first Avataṃsakasūtra painting(Cave No. 44) was drawn is during High Tang(盛唐), it is possible that the “Illustration of the 7 locations” drawn by Fa-tsang(法藏) in 708 had an influence on these Avataṃsakasūtra paintings. Although the Avataṃsakasūtra paintings in the Magao caves reveal various changes in terms of detail, they are comprised of mainly the “Illustration of the 7 locations and 9 assemblies” and the "“Illustrations of Sudhana's pilgrimage for the dharma teacher.” The arrangements of the 7 locations 9 assemblies in the paintings are diverse in various caves. The “Illustrations of Sudhana's pilgrimage for the dharma teacher” are also shown within the “Illustrations of the 7 locations and 9 assemblies” or it is separately drawn or sometimes it is not shown. It can be said that these Avataṃsakasūtra paintings had considerable influence on China after Song dynasty, Korea and Japan. Specifically, the Avataṃsakasūtra portraits of Buddha for altar in the later Chosun dynasty, Korea show creative variations on the “Illustrations of the 7 locations and 9 assemblies.” They are, however, originated from the Avataṃsakasūtra paintings in the Magao caves, Dunhuang. 본고는 敦煌 莫高窟의 29개 窟內에 그려져 있는 華嚴經變相圖의 유통과 구도 및 내용 등을 살펴 본 것이다. 막고굴의 화엄경변상도는 唐代(15굴)에 성행하였고, 五代(8굴)를 거쳐 宋代(6굴)에 이르기까지 그려졌다. 그리고 화엄경변상도는 주로 굴의 북벽(18굴)과 천정(7굴)에 그려졌으며, 남벽(1굴)과 前室(3굴)에 그려지기도 하였다. 이러한 29개굴의 변상도는 모두 80권 『화엄경』(695-699번역) 七處九會의 변상도이다. 60권 『화엄경』(418-420번역)의 변상도는 전혀 보이지 않는다. 그것은 돈황 천불동에 화엄경변상도와 아울러 經變이 그려지던 唐대에 80권 『화엄경』이 크게 유통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막고굴의 화엄경변상도는 세부적으로는 비록 다양한 변화가 보이나 전체적으로는 7처9회도와 善財求法圖로 되어 있다. 7처9회의 배열은 굴에 따라 다르지만 제1회는 언제나 하단의 중앙에 자리하고 있다. 9회의 자리를 알 수 있게 하는 도상의 문자 중에 아직 판독되지 못한 글자를 많이 밝혀봄으로써 9회의 해당처소를 재확인하였다. 그리고 비록 9회의 배열과 문자의 분량은 달라도 경문에서 서술한 회처의 세계를 어떻게 이해하여 변상도로 나타내려 했는지 그 요점을 파악하게 되었다. 善財求法圖 또한 다양하게 펼쳐져 있다. 7처9회도 內에 선재구법의 여정이 함께 그려져 있기도 하고 따로 그려져 있기도 하다. 그리고 선재와 선지식의 만남이 비교적 단순하게 묘사되어 있기는 하나, 각 선지식의 특징과 아울러 선재가 주인공임을 분명히 드러내고 있음이 돋보인다. 이러한 화엄경변상도는 宋代 이후 중국 뿐만 아니라 한국과 일본 등에 미친 영향도 적지 않다고 하겠다. 특히 조선후기의 7처9회도인 華嚴經變相圖 탱화는 독특한 형태를 보이고는 있으나, 그 始原은 막고굴의 화엄경변상도의 영향을 간과할 수 없다고 하겠다.

      • KCI등재

        돈황(敦煌) 막고굴(莫高窟)의 『화엄경(華嚴經)』 칠처구회도(七處九會圖)에 대한 고찰(考察)

        김선희 ( Seonhee Kim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5 강좌미술사 Vol.45 No.-

        본고는 敦煌 千佛洞인 莫高窟 『화엄경』 칠처구회도의 29 개 窟 중 펠리오의 도록(M. Pelliot:Les Grottes de Touen-Houang)에 제시한 화엄경변상 칠처구회도 제 8 굴·제 102 굴·제 117 굴·제118F 굴·168 굴 등을 대상으로 『화엄경』의 성행과 함께 칠처구회도가 어떻게 형상화되어 표현되었는가를 살피고, 그 도상특징에 대하여 고찰한 글이다. 막고굴 칠처구회도는 唐代에 성행하였고, 五代를 거쳐 宋代에 이르기 까지 變相圖가 계속 그려졌으며, 당시 80 권『화엄경』(695-699 번역)의 流布와 더불어 활발하게 조현됨에 60 권『화엄경』(418-420 번역)의 변상도는 전혀 보이지 않고 80『화엄경』 변상도만 그려졌다는 것을 재확인 하였다. 이 화엄경변상도는 주로 굴의 주실과 전실(7 개 굴)에 그려졌고, 석굴 주실 내에는 거의 북벽(18 개 굴)에 그려졌으며, 그 위치가 빈번하게 법화경변상도와 마주보게 관계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것은 조사 지의(智의)(538~597 년)가 설파한 화엄, 법화 양 교의 친근성이 이 돈황에서 화엄학파의 전성기라고 생각되는 五代까지 잔존하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宋代에 속하는 제118F 굴의 천정면 그림은 사다리꼴 모양의 화면에 9 회 전부를 함께 그리기도 하였다는 점에서 전대와 차이가 있다. 막고굴 칠처구회도는 80 권『화엄경』 중 39 품에 걸쳐 풀이된 교설에 따라 지상과 천상에서 설법한 내용 즉, 부처의 신통과 보살의 공덕을 서술한 경전의 의미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화면의 중단을 기준으로 7 처 9 회를 좌우대칭으로 배치하였다. 7 처 9 회도의 배열은 굴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보이고 있으나 대체로 ‘毘盧遮那佛과 善財求法圖’, 그리고 須彌山, 香水海의 ‘蓮華藏刹海圖’가 한화면에 충실히 묘사되었다. 이와 다르게 선재구법도만 따로 그려지기도 하였는데, 이는 ‘십지’ 또는 「십지품」의 회화화로 이해될 수 있으며, 왜 「입법계품」(정신세계로 입도)을 변상도로 나타내려 했는지 그 요점을 파악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비로자나불 연화장세계’가 각 시대에 따라 어떻게 가시화되고 이상화되었는가를 파악하는데 일조하리라 생각된다. This essay considers how the Chilcheoguhoedo (七處九會圖; the painting depicting 9 Buddhist congregations in 7 venues), the Byeonsang (變相; marks of transformation) of the Flower Adornment Sutra (the Avatamsaka Sutra) was created and illustrated as this Sutra became widesprea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conography are discussed, focusing specifically on caves No.8, No.102, No.117, No.118F and No.168 as defined in Pelliot’s book (M. Pelliot: Les Grottes de Touen-Houang) which are among 29 caves which have the Chilcheoguhoedo of the Flower Adornment Sutra in Mogao Caves (莫高窟), the Thousand Buddha Caves (千佛洞) in Dunhuang (敦煌). The Chilcheoguhoedo in Mogao Caves came into vogue in the period of Tang Dynasty and the Byeonsangdo (變相圖; the painting of marks of transformation) painted between the Five Dynasties to the Song Dynasty. It is confirmed that only the Byeonsangdo of the Flower Adornment Sutra in 80 fascicles (translated in 695-699) was painted due to being widely circulated at the time and had replaced the earlier, the Sutra in 60 fascicles (translated in 418-420). It was mostly painted in the main room and the front room (7 caves) and chiefly on the northern wall in the main room. It is usually located opposite to the Byeonsangdo of the Lotus Sutra (SaddharmapundarikaSutra). This is presumably because the affinity between the Flower Adornment (Avatamsaka) and the Lotus Flower (SaddharmaPundarika) taught by the Patriarch, Zhiyi (智의, 538-597) was still in favor until theFive Dynasties when the Huayan school (華嚴宗; the Flower Adornment school) is thought to have been in its golden days in Dunhuang. But the painting on the ceiling of the cave No.118F was painted containing all of 9 Buddhist congregations in a trapezium screen,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earlier period. The Chilcheoguhoedo in Mogao Caves has bilateral symmetry of 9 Buddhist congregations in 7 venues from the middle part of the picture screen, which was intended to show the meaning of the Sutra. It effectively describes the supernatural power of Buddha and the merits of Bodhisattva, the contents preached in both the earth and the heaven in accordance to the teachings explained through 39 chapters in the Sutra in 80 fascicles. We can see many variations of the arrangement of 9 Buddhist congregations in 7 venues from cave to cave but in general, there are described ‘Vairocana Buddha (毘盧遮那佛) and Sunjaegubeopdo (善財求法圖; the painting of Sudhana’s journey pursuing Dharma)’ and ‘Yeonhwajangchalhaedo’ (蓮華藏刹 海圖; the painting of the Land and the Sea of Lotus Flower of Vairocana Buddha) of Mt. Sumeru and Hyangsuhae (香水海; the Perfume Sea) in a picture. On the other hand, Sunjaegubeopdo is separately painted in some cases, which is understood as picturalizing‘the Ten Stages’ or ‘the chapter of the Ten Stages’ and shows the main points of the reason why the chapter of ‘Entering the Dharma Realm’ (入法界品) was painted into the Byeonsangdo. This study will help understanding how ‘the World of Lotus Flower (Padmagarbhalokadhatu) of Vairocana Buddha’ was visualized and idealized with the times.

      • KCI등재

        조선 후기 통도사 선묘(線描) 화엄경변상도의 도상해석학적 연구

        김선희(Kim, Seon-Hee) 동서미술문화학회 2017 미술문화연구 Vol.10 No.10

        조선 후기 통도사 선묘 화엄경변상도는 한국불교사상과 불교미술사에서 주목할 만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우선 『화엄경』의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시각언어 즉, 미술로 표현하였다. 이것은 불교도로 하여금 화엄사상에 대한 이해와 경전의 가르침에 따라 실천적 신앙으로 이끌어가는 역할과 작용을 하였다. 우리나라의 『華嚴經』 관련 불화의 제작은 대부분 영 · 호남 지역에 집중되어 나타나고 있다. 이들 지역은 18세기부터 호남지역의 송광사 · 선암사 · 쌍계사와 영남지역의 통도사와 같은 대찰을 중심으로 화엄경변상도가 집중적으로 제작되는 경향을 보인다. 19세기 초반에 조성된 통도사의 화엄경변상도는 한국화엄사상의 전래부터 조선 후기에 이르는 시기까지의 축적된 도상의 특징을 담고 있다. 이 불화의 화기를 판독한 결과, 1811년으로 해석되므로 조선 후기 선묘불화 중 가장 이른 시기의 작품으로 여겨진다. 화승은 천수, 관보, 승활, 지한, 성의 등이 통도사 화엄경변상도 제작에 참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통도사 화엄경변상도의 봉안처는 선승들의 수도처인 보광전에 봉안되었다가 현재는 양산 통도사 성보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이 화엄경변상도는 이전 시기의 화엄경변상도와 비교했을 때 새로운 도상의 출현과 7처9회의 구성, 필선, 문양장식 등에서 뚜렷한 특징을 지니고 있어 도상 및 양식적인 면에서 좋은 비교가 될 뿐만 아니라 한국불교미술사가 지닌 독자성과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Tongdosa line drawing Byeonsangdo of the Avatamsaka of late Joseon has remarkable characteristics in Korean Buddhist thought and Buddhist art history. First, the contents of the Avatamsaka Sutra are expressed in a visual language, that is, the fine arts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This served Buddhists the role of leading to practical faith in accordance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Avatamsaka philosophy and the teachings of the scriptures. Most of production of the the Avatamsaka Sutra‐related Buddhist paintings in Korea are concentrated in Yeongnam and Honam regions. Byeonsangdo of the Avatamsaka tends to be intensively built around large temples such as Songgwangsa, Seonamsa, Ssanggyesa in Honam region and Tongdosa in Yeongnam region from the 18th century. From the decipherment of this Buddhist painting year, it is interpreted as 1811, and it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earliest line drawing Buddhist paintings of the early 19th century.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painter monks such as Cheongsu, Gwanbo, Seunghwal, Jihan, and Seongui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of Tongdosa Byeonsangdo of the Avatamsaka. In addition, the enshrinement place of Tongdosa Byeonsangdo of the Avatamsaka was enshrined in Bogwangjeon, the place where the Zen Buddhist monks lead an ascetic life, and is now on display at the Seongbo Museum in Tongdosa, Yangsan. This Byeonsangdo of the Avatamsaka has distinctive features in the appearance of new iconography and Chilcheoguhoe"s composition, lines, patterns compared with the Byeonsangdo of the Avatamsaka in the previous period. It is not only a good comparison in iconography and style, but it is meaningful as well in that the identity and value of Korean Buddhist art history can be found.

      • KCI등재

        조선 후반기 80『화엄경(華嚴經)』 연화장세계도(蓮華藏世界圖)의 특질(特質)

        김선희 ( Kim Seon-hee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7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3 No.2

        이 논문에서는 조선 후반기 80『화엄경』 <연화장세계도>의 미술사적 위치와 그 특질에 대하여 고찰함으로써 아래와 같은 내용을 파악할 수 있었다. 첫째, 조선시대 후반기는 불교미술을 포함한 모든 문화예술 전체가 가장 한국적인 특질을 보인 시기이며, 특히 80권『화엄경』의 <연화장세계도>는 화엄학의 유행과 함께 화엄사상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둘째, 조선 후반기 <연화장세계도>는 비로자나불의 서원과 수행으로 이룩된 비로자나불의 정토인 연화장세계에 대해 설한 내용이며, 최고의 찬술자와 화사들에 의해 다양한 문학적, 회화적 표현방법을 활용하여 여기에 담긴 함의를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셋째, 조선 후반기에 제작된 <연화장세계도>의 형식을 이 시기 불화에 나타나는 특징과 비교 고찰한바 조선 후반기의 <연화장세계도>는 모두 『화장세계품』의 연화장세계를 모티브로 앞 시기의 양식을 계승하여 다소의 변화를 보이기도 하며, 당시 유행하던 화승들의 표현양식이 그대로 드러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넷째, 조선 후반기 <연화장세계도>의 성립 근거로는 멀리 명대 행심이 편찬한 『현수제승법수』 「화장세계품」 1권과 명말에 간행된 『불조통기』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었으며, 직접적인 모본인 『화엄현담기』에 수록된 두 개의 <연화장세계도>를 통해서 조선 후반기 <연화장세계도>의 정착과정과 그 면모를 짐작할 수 있었다. 다섯째,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비로화장지도>는 19세기 말에 제작된 용문사 <화장찰해도>, 통도사 <화장찰해도>와 구성이 유사한 점으로 보아 연계성을 찾을 수 있었으며, 아울러 18세기-19세기에 이르러 <연화장세계도>가 가장 두드러진 변화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조선 후반기는 『화엄경』신앙을 기반으로 한 경전 제작이 활발히 이루어졌으며, 특히 사회변동이 심했던 시기로서 <연화장세계도>의 조성은 양적으로 현격히 줄었으나 사회 경제적 안정기를 맞이하여 기술이 숙련되었으며, 이러한 흐름 속에서 조선 후반기 불화 도상의 분화와 결합, 그리고 시기적 특질을 고스란히 보여준다는 점에서 당대의 수작으로 평가된다. This paper could understand the following contents by examining the art historical position and its characteristics of 80『Avatamska Sutra』 < The Lotus World Paintings of Dharmadhata > in the late Joseon Dynasty. First, it was suggested that the late Joseon Dynasty is the time when all cultural arts including Buddhist art showed the most Korean characteristics and especially < The Lotus World Paintings of Dharmadhata > of vol. 『Avatamska Sutra』 is based on the Avatamsaka thought along with the trend of Hyayan Studies. Second, < The Lotus World Paintings of Dharmadhata > in the late Joseon Dynasty is about the World of the Lotus Sanctuary, which is the Buddhist Elysium of Vairocana Buddha accomplished by Vairocana Buddha`s vows and practices and is noted in that the best anthologists and painters are revealing the implications herein by using various literary and pictorial expressions. Third, we compared and reviewed the format of < The Lotus World Paintings of Dharmadhata > made in the late Joseon Dynasty with the characteristics appearing in Buddhist painting in this period and it was found that < The Lotus World Paintings of Dharmadhata >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herited the style of the previous period and showed some changes with World of the Lotus Sanctuary of 『Avatamska Sutra』 as a motif and the expression patterns of monks artist that were popular at that time were revealed as they are. Fourth, the basis of formation of < The Lotus World Paintings of Dharmadhata > in the Late Joseon Dynasty can be found in 『Hyunsujeseungbeopsu』 『Hwajangsegyepum』 vol. 1 compiled by Haengsim during the Ming Dynasty and 『불조통기』 published in the late Ming Dynasty and the settlement process and its aspect of < The Lotus World Paintings of Dharmadhata > in the late Joseon Dynasty can be guessed through two < The Lotus World Paintings of Dharmadhata > contained in 『Hwaeomhyundamgi』, which is a direct example. Fifth, considering the similarities in configuration to < Hwajangchalhaedo > in Tongdosa Temple, < Hwajangchalhaedo > in Yongmunsa Temple made in the late 19th century, their connectivity with < Birohwajangjido > owned by the Seoul History Museum could be foun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 The Lotus World Paintings of Dharmadhata > showed the most remarkable change in the 18th century-19th century. Finally, the late Joseon Dynasty was the time when scriptures based on 『Avatamska Sutra』 faith were actively produced and social changes were especially severe and the creation of < The Lotus World Paintings of Dharmadhata > was significantly reduced quantitatively, but the technology was skilled at the time of socio-economic stabilization. In this flow, it is evaluated as a masterpiece of the time in terms of fully showing differentiation and combination,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Buddhist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 KCI등재

        돈황(敦煌) 막고굴(莫高窟) 화엄경변상도(華嚴經變相圖)와 신라(新羅) 대방광불화엄경변상도(大方廣佛華嚴經變相圖)의 비교 연구

        김선희 ( Kim Seon Hee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8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4 No.1

        본고는 敦煌 莫高窟 華嚴經變相圖와 신라 大方廣佛華嚴經變相圖의 도상의 형식과 그 양식특징 등을 비교하여 살펴 본 것이다. 막고굴 화엄경변상도는 唐代(15굴)에 성행하였고, 五代(8굴)를 거쳐 宋代(6굴)에 이르기까지 29굴에 그려졌으며, 宋代이후 중국과, 한국, 일본 등에 전래되었다. 8세기 중엽 신라화엄경변상도는 인도와 중국에 연원을 두고 있으며 대승불교 경전인 80권 『화엄경』(695-699; 實叉難陀번역) 七處九會의 내용을 차용한 도상이다. 이와 같은 화엄의 비로자나불 도상의 수용은 신라적인 변용의 한 예로 해석되며 또한 당시 『화엄경』과 화엄사상이 널리 유포되어 신앙의 대상이 되고 있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돈황 막고굴 <화엄경변상도>는 須彌山과 蓮華藏刹海, 칠처구회, 선재구법 장면을 도회한 것으로 당 시기의 양식특징을 밝히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 주고 있다. 화면 구성은 각 굴마다 다르게 나타나지만 대체적으로 변상도의 좌우대칭과 상하균형, 필선의 반복과 중첩, 화면구성에서의 疏密등의 관계는 통일감과 균제미를 이루고 있으며 세부묘사의 정교함과 운필의 經重은 사실성과 생동감을 자아내고 있다. 또한 농후한 중채를 부여함으로써 찬란하고 화려하면서도 종교적 신비감을 더해 주고 있다. 신라화엄경변상도(754, 삼성리움미술관 소장)를 종합적으로 분석해본 결과, 전각內 비로자나불, 연화獅子座, 둥글고 원만한 신체형태, 복식, 영락장식, 정교한 필치, 문양 등의 특징은 당나라 작품과 영향관계를 살필 수 있었으며, 신라 관음보살도나 천수천안보살도, 금산사 미륵보살도, 법주사 석탑, 석남암사 여래형 비로자나불 양식과 궤를 같이 하고 있다. 끝으로 신라화엄경변상도는 불교신앙의 시대별 추이에 따라 화엄사상과 융화하면서 그 성격과 의미가 신라적으로 변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막고굴과 신라의 화엄경변상도는 미술사적 규명 이외에 경문의 내용과 일치하는 화면구성과 화엄사상을 극대화시켰다는 점에서 불교회화사적 意義를 찾고자 한다. This study compares the form of the iconography of Dunhuang Mogaoku Byeonsangdo of the Avatamsaka Sutra and Shilla Daebanggwangbul Byeonsangdo of the Avatamsaka Sutra and their characteristics. Mgaoku Byeonsangdo of the Avatamsaka Sutra were popular in Tang era (15 caves), and it was drawn to 29 caves through Oh era (8 caves) to Song era (6 caves). After Song era, it was transferred to China, Korea, and Japan. In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Shilla Byeonsangdo of the Avatamsaka Sutra was based in India and China and is an iconography borrowed from the contents of Chilcheoguhoe, 80 volumes of “the Avatamska Sutra (695-699; Siksananda translation)” that is Mahayana Buddhism sutras. This acceptance of Avatamska's Vairocana Buddha iconography is interpreted as an example of the transformation of Shilla style, and it also tells us that at that time “the Avatamska Sutra” and Avatamska thought were widely circulated and subject to faith. Dunhuang Mogaoku “Byeonsangdo of the Avatamsaka Sutra” is a collection of Sumisan and Yeonhwajangchalhae, Chilcheoguhoe and Seonjaegubeop scenes, providing important clues to reveal the stylistic features of the period. The screen composition is different for each cave, but in general Byeonsangdo's symmetry and up-and-down balance, repetition and overlap of Byeonsangdo, and Somil in screen composition have unity and symmetric beauty, and the sophistication of detail and the lightness and heaviness of the Unpil are both true and vibrant. It also gives rich Jungchae and adds splendor, glamor and religious mystique, adding to the religious mystique. In a comprehensive analysis of Shilla Byeonsangdo of the Avatamsaka Sutra (754, housed by Samsung Leeum Museum), the characteristics of Vairocana Buddha, Yeonhwasajajwa, round and smooth body form, costume, Yeongrak decoration, elaborate stroke of brush, and patterns in the engravings were shown to explore the influence relationship with the works of Tang dynasty, and these are in keeping with Shilla Avalokiteshvara Paintings, Thousandarms- and-eyes Avalokitesvara Paintings, Geumsansa Maitreya Bodhisattva Paintings, Beopjusa pagoda, and Seoknamamsa Yeorae-type Vairocana Buddha style. Finally, Shilla Byeonsangdo of the Avatamsaka Sutra can be regarded as a Shilla-like character whose character and meaning have been transformed into the Avatamska thought in accordance with the times of Buddhist faith. This study has a meaning in the Buddhist painting history in that Mogaoku and Shilla's Byeonsangdo of the Avatamsaka Sutra maximized the screen composition and Avatamska thought consistent with the contents of Buddhist scriptures in addition to identifying historical significance of Buddhist art history.

      • KCI등재

        朝鮮 後半期 華嚴七處九會圖에 대한 考察

        김선희 한국불교학회 2017 韓國佛敎學 Vol.82 No.-

        Buddhist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influence was seriously eroded with the advent of the Joseon dynasty which adopted an official policy of venerating Confucianism and suppressing Buddhism. However, with the active role of the Buddhist societies, as well as securing the social status of monks, Buddhist art also entered a new era. The Avatamsaka Chilcheoguhoedo Buddhist Pictures are located at Songgwangsa, Seonamsa, Ssanggyesa and Tongdosa trmple and were created in the late 18 th and early 19 th centuries. They depict the accumulated iconography that began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Avatamsaka Sutra (華嚴經) to Korea up to the late Joseon. In particular, the propagation and the recitation of the Avatamsaka Sutra in the late Joseon Buddhist world, which as already stated was subject to oppression and alienation, also promoted the formation of the Byeonsangdos (變相圖, the paintings of marks of transformation). These Byeonsangdos have great significance in that not only the style of them can be compared to that of the Byeonsangdo originating in the Dunhuang Mogao Caves but also they can give us insight into the identity and the value of Korea Buddhist art history. 조선 개국과 더불어 전개되는 숭유억불 시대로 말미암아 정치⋅사회⋅경제적인 상황 하에 불교의 세력이 크게 위축되었으나,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때 나라를 구하고자 하는 불교계의 적극적인 활약으로 승려들의 사회적 지위 확보는 물론 불교미술 조성활동 또한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게 된다.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초반에 조성된 송광사⋅선암사⋅쌍계사, 그리고 통도사의 화엄칠처구회도는 한국화엄사상의 전래부터 조선 후반기에 이르는 시기까지의 축적된 도상의 특징을 담고 있다. 특히 탄압과 소외를 받던 조선 후기 불교계에서 『화엄경』의 유통과 성행은 변상도의 조성을 촉진시키기도 하였다. 이들 변상도는 그 시원인 돈황 막고굴의 변상도와 그 양식 면에서 좋은 비교가 될 뿐만 아니라 한국불교미술사가 지닌 독자성과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 KCI등재

        조선 후기 화엄칠처구회도(華嚴七處九會圖)의 양식 연구

        김선희 ( Kim Seonhee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7 강좌미술사 Vol.48 No.-

        조선 후기 송광사·선암사·쌍계사, 그리고 통도사의 화엄칠처구회도는 한국불교사상과 불교미술사에서 주목할 만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우선 『화엄경』이 차지하고 있는 사상적, 신앙적 가치는 중국뿐만 아니라 한국불교사에서도 독보적이다. 화엄경변상도의 조성은 그 사상과 신앙에 대한 이해와 실천을 구체화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18 세기 후반과 19 세기 초반에 조성된 송광사·선암사·쌍계사, 그리고 통도사의 화엄칠처구회도는 한국화엄사상의 전래부터 조선 후기에 이르는 시기까지의 축적된 도상의 특징을 담고 있다. 특히 탄압과 소외를 받던 조선 후기 불교계에서 『화엄경』의 유통과 성행은 변상도의 조성을 촉진시키기도 하였다. 당시 조성된 화엄칠처구회도는 이전시기의 그것과 비교했을 때 그 구도와 형태, 그리고 색채나 필선·문양 등에서 뚜렷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18 세기 세 사찰의 화엄칠처구회도는 둥글면서 갸름한 인물 형태에 전통적인 담채기법을 채용하여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 색채 등은 앞 시기의 양식적 특징을 보이는 반면, 복잡한 구도 및 코발트계열의 청색·남색·분홍색·옥색 계열의 색채 구사와 더불어 가늘고 유연한 흰색 필선과 그물장식문양을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반면 19 세기 통도사 화엄칠처구회도는 반원형 구도, 상·중·하 3 단의 배치 등은 불화의 규모가 소형화됨에 따라 일부 표현이 간략화 되는 한편, 내용은 더욱 복잡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이들 변상도는 그 시원인 돈황 막고굴의 변상도와 그 양식 면에서 좋은 비교가 될 뿐만 아니라 한국불교미술사가 지닌 독자성과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Chilcheoguhoedo Buddhist pictures of the Avatamsaka Sutra in Songgwangsa (1770), Seonamsa (1780), Ssanggyesa (1790), and Tongdosa (1811) in the late Joseon has remarkable characteristics in the Korean thought of Buddhism and Buddhist history. First, the "Avatamsaka Sutra" occupies an ideological and religious value in the history of Buddhism not only in China but also in Korea. The composition of the illustration of the Avatamsaka Sutra was effective in shaping the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its thoughts and beliefs. Chilcheoguhoedo Buddhist pictures of the Avatamsaka Sutra in Songgwangsa, Seonamsa, Ssanggyesa, and Tongdosa, which were composed in the late 18th and early 19th centuries, featured the accumulated characteristics of iconography from the time of the Korean thought of the Avatamsaka Sutra to the late Joseon. In particular, the distribution and performance of "the Avatamsaka Sutra" in the late Joseon Buddhist world which was subject to oppression and alienation, also promoted the formation of Byeonsangdo. The Chilcheoguhoedo Buddhist pictures of the Avatamsaka Sutra, shaped at the time, hav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 composition, form, color, Brushstrokes and patterns co mpared with those of the previous period. In Chilcheoguhoedo of three temples in the 18th century, by adopting the traditional coloring technique in the form of a round and slender figure, while the color that gives a soft feeling shows the stylistic characteristic of the previous period, it is characterized by using thin and flexible white lines and netting patterns along with the coloring of the light blue series as well as the complex composition and the cobalt blue series of blue, navy blue and pink. On the other hand, in Cholcheoguhoedo in the 19th century, the semicircular composition, and arrangement of three phases of high-middle-low, etc., some expression of the Buddhist paintings is simplified as the scale of the Buddhist paintings is reduced, while the contents tend to become more complicated. These Byeonsangdos are not only a good comparison with Byeonsangdo of the origins of Duhaung Mogao Caves, but also meaningful in that they can discover the identity and value of Korea history of Buddhist 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