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철학적 탐구 공동체 활동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에 미치는 효과

        신인숙,유연옥 미래유아교육학회 2003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0 No.1

        본 연구는 만 4세 유아들을 대상으로 유아교육기관과 가정에서 기본생활습관 형성에 토론의 두 유형인 철학적 탐구 공동체 활동과 그림자료를 이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의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기본생활습관의 4가지 덕목은 청결, 질서, 예절, 절약이다. 8주 동안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서 토론활동이 진행되었으며,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철학적 탐구 공동체 활동이 그림자료를 이용한 이야기나누기 활동보다 유아교육기관에서는 청결, 질서, 예절, 절약의 덕목에서, 가정에서는 청결, 질서, 예절의 덕목에서 그 효과가 검정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철학적 탐구 공동체 활동이라는 새로운 토론방법이 유아기에 기본새활습관 교육을 위한 바람직한 교육방법으로서의 적용 가능함을 시사한다.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community of philosophical inquiry on the formation of preschooler’s basic life habits at the preschool and home. Thirty-eight 4-year-olds who were attending the preschool located in Busan joined in this research. There were 19 children each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Whereas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joined in the activity of philosophical inquiry community, the children in the comparative group joined in the activity of discourse with pictures during 8 weeks. The results were revealed the following : First, on the formation of basic life habits at the preschool, the children in the activity of philosophical inquiry community showed higher scores of 4 contents of basic life habits(cleanness, order, propriety, saving) than the children in the activity of discourse with pictures. Second, on the formation of basic life habits at home, the children in the activity of philosophical inquiry community showed higher scores of 3 contents of basic life habits(cleanness, order, propriety) than the children in the activity of discourse with pictures. The implication of these results is that the activity of philosophical inquiry community is fully appropriate as an the formation of basic life habits on the early preschool children.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이 유아의 자기인식 및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안현정(Ahn, Hyun-Jeoung),권대원(Gwon, Dae-Wo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17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을 활용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이 유아의 자기인식 및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만 5세 유아 40명(실험집단 20명, 비교집단 20명)이 선정되었으며, 실험처치는 6주 동안 매주 3회씩 총 18회기로 진행되었다. 실험집단의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은 생활주제에 적합한 그림책을 선정한 후, 주제에 따라 집단 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그림책 탐구-철학적 토론활동-의미 확장활동’ 순으로 3일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비교집단에는 동일한 그림책을 사용하여 동화듣기, 동화내용 회상하기 등의 활동이 누리과정기반의 주간교육활동계획에 따라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분석은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그림책을 활용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이 유아의 자기인식과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사전 검사를 공변인으로 통제한 후 공변량분석(ANCOVA)으로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의 그림책을 활용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은 유아의 자기인식과 또래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뿐 아니라 그림책을 활용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이 유아의 자기인식과 또래상호작용 증진에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philosophical inquiry community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affect young children’s self-recognition and peer interaction. 40 children (20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20 assigned to a comparison group) were selected for the experiment, which was executed 18 times (3 times perweek for 6 weeks). Appropriate picture books about daily life issues were selected and used during the experiment for both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researching on picture books’, ‘a philosophical discussion’ and ‘a definition expansion activity’ based on the topic of the book as their research activity for three days. The comparison group performed ‘listening to a fairy tale’ and ‘recollection of the fairy tale’ based on the weekly education plan. SPSS was used to perform an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After the pre-examination was controlled by a disturbance factor,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was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This experiment proves that the philosophical inquiry community activities with picture book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recognition and peer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 and that this activity is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to improve young children’s self-recognition and peer evaluation.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이 유아의 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

        최선경 ( Sun Kyung Choi ),정대련 ( Dae Ryun Chu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2013년 11월부터 2014년 2월까지 서울시 강동구에 위치한 국공립 G 어린이집의 4-5 세 유아 67명을 대상으로 하여 그림책을 활용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이 유아의 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유아 정서능력의 6개 하위요인, 즉 자기정서 인식 및 표현, 감정 조절 및 충동억제, 자기정서의 이용, 타인정서 인식 및 배려, 교사와의 관계, 또래와의 관계 능력 등의 측면에서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그림책을 활용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이 유아의 정서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되는 바, 차후 그림책을 활용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이 유아교육 기관에서 정서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하나로서 역할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고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young children``s activities at a community of philosophical inquiry using picture books related to the living themes in Nuri-program design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n provide a foundation of effective children’s book activity materials applicable to young children’s educational institutions through research results about the effect of these activities on the emotional competence. Thus, as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selected 67 4 to 5-year-old children at a preschool in Gandong-gu, Seoul and conducted an experiment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As young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factors, there were self-emotion perception and expression, emotional control and impulse suppression, use of self-emotions, recognition and consideration of other``s emotions,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relationship with pe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It may be interpreted that the community of philosophical inquiry activity using picture books enhanced 4 to 5-year-old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Activities at a Community of Philosophical Inquiry using Picture Books’ will be used as a part of the educational program for young children at educational institutions to improve young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 KCI등재

        전래동화를 활용한 철학적 탐구 공동체 활동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홍미혜 ( Hong Mi-hye ),유연옥 ( Yu Youn-oak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7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전래동화를 활용한 철학적 탐구 공동체 활동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과 변화과정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D시의 2개의 유치원 만 5세 16명으로 구성된 2개의 반이며,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임의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은 전래동화를 활용한 철학적 탐구 공동체 활동을, 비교집단에는 누리과정에 기초한 이야기나누기 활동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10주 동안 주 2회, 매회 40분씩 실시하였으며, 총 20회로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공분산분석과 내용분석을 적용 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배려적 사고 전체와 하위요인 모두에서 유의하게 점수가 높았다. 둘째, 실험집단의 활동이 거듭될수록 배려적 사고의 하위요인에서 의미 있는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즉, 자기중심적인 사고와 행동을 하던 유아들은 타인의 요구를 먼저 고려하려 하였고, 그들이 처한 상황에 공감하며 실천적인 배려자로서 행동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전래동화를 활용한 철학적 탐구 공동체 활동이 유아들의 배려적 사고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유용한 활동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philosophical inquiry community activity using Korean folk tales on 5-year-old children`s caring thinking and its chang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16 children for the experimental group at one kindergarten and 16 children for the comparative group at another kindergarten in D city.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hilosophical inquiry community activity, while the 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in storytelling activity based on the Nuri curriculum 20 times over 10 weeks. Data were analyzed using ANCOVA and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had higher scores for caring thinking and its subordinate thinking(appreciative, normative, affective, empathic, and active) than those of the comparative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eaningful and positive changes in their caring thinking as the activities progressed. Those children who had ego-centered thinking and behaviors started considering the needs of others during given situations and behaved as practical caring people while gradually empathizing with the thoughts and emotions of ot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philosophical inquiry community activity using Korean folk tales provide both positive and useful effects on improving young children`s caring thinking.

      • 전래동화를 활용한 철학적 탐구 공동체 활동을 통한 유아의 배려적 사고의 의미 탐색

        홍미혜,유연옥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7 No.-

        본 연구는 전래동화를 활용한 철학적 탐구 공동체 활동을 통해 유아의 배려적 사고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에 소재한 A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19명이며, 전래동화를 활용한 철학적 탐구 공동체 활동을 10주간 20회에 걸쳐 진행하였다. 배려적 사고(Lipman, 2003/2005)는 가치부여적 사고, 정서적 사고, 규범적 사고, 감정이입적 사고, 행동적 사고로 구성된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토론을 녹음하여 전사한 자료와 매 차시 교사저널을 수집하였고, 배려적 사고 하위요인에 따라 의미 있는 사례들을 추출하고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가치부여적사고와 정서적 사고의 변화과정에서 자기 생각과 감정에 집중하던 유아들은 타인의 기쁨과 행복에 더 가치를 두었고, 배려의 대상이 느끼는 감정을 인정하고 존중하려 하였다. 둘째, 규범적인 사고의 변화과정에서 유아들은 이상적인 배려의 행위를 위해서는 옳고 그른 것을 구별하여 행동해야 한다는 것을 알아가고 있었다. 셋째, 감정이입과 행동적 사고의 변화과정에서 유아들은 배려할 대상의 감정을 공유하고자 하였으며, 아를 통해 그들이 처한 상황을 세심한 행동으로 대처하기도 하였다. 실례로 한 유아는 “우리는 영역에 이름 붙여서 노는데요. 다른 친구가 와서 나 여기서 하면 안 될까 하면 내가 내 스티커 떼서 다른 데로 가줘요.”라고 이야기하면서 친구가 느낄 감정을 고려하여 배려하고 행동으로 제안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전래동화를 활용한 철학적 탐구 공동체 활동은 유아에게 타인을 존중하고 그들의 생각과 감정을 공감할 수 있는 배려적 사고 발달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