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업성숙도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 연구

        김정학,박종철 한국유통경영학회 2019 유통경영학회지 Vol.22 No.4

        본 연구는 창업자들의 지속적 창업 멘토링 수행에 따른 창업능력 성장지표 측정을 위한 창업성숙도 척도 개발을 목표로 진행되었다. 최근 들어 창업에 대한 요구 및 수요가 커짐에 따라 다양한 창업 멘토링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창업 멘토링이 창업 과정 중에 차지하는 비중과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고, 이에 따라 창업 멘토 역량, 창업 멘토링 기능과 창업자 특성, 창업 멘토링에 따른 창업성과(재무적성과 및 비재무적성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창업 멘토링을 통하여 창업자들의 창업능력 성장지표, 즉 창업성숙도 척도에 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연구 목표의 달성을 위해 문헌 연구와 선행 연구의 분석을 통해 창업 능력 성장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창업성숙도 척도 개발을 위한 설문 문항을 도출하고, 설문을 진행하여 창업성숙도 이해타당성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도출을 위해 1단계로 먼저 문헌 연구를 진행하고, 2단계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측정 문항을 개발하고, 3단계 측정 문항 검토 및 수정을 통해 내용 타당도 분석 하였으며, 4단계와 5 단계에 걸쳐 1차 및 2차 예비조사를 통한 문항분석 및 수정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개발된 설문지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원 기관인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 산하 K-ICT창업멘토링센터 9기(2017년 하반기), 10기(2018년 상반기), 11기 멘티(2018년 하반기) 멘티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186부). 6단계로 이를 통해 도출된 사업수행능력, 시장 경쟁력, 사업화 가능성, 기술 경쟁력의 4개의 요인 24개의 측정문항에 대한 요인들 간의 신뢰도 및 상관관계,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창업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새로운 요인으로 창업성숙도 개념을 도입하고, 이에 대한 척도 개발을 통해 창업 능력을 단계별로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고, 이에 맞는 맞춤형 창업 멘토링을 제공하여, 향후 창업 멘토링, 창업지원 정책 및 프로그램 운영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developing a measure of start-up maturity and to measure the growth index of start-up ability based on the continuous mentoring of start-up entrepreneurs. Recently, a variety of mentoring activities have been actively carried out due to the growing demand for start-ups. Mentoring of start-ups is increasing in importance during the start-up process, and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the ability of start-up mentors, according to the start-up mentoring the functions of start-up mentor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start-up entrepreneurship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are clearly stated. However,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growth index of entrepreneurs' ability to start their own businesses or measures of maturity, through mentoring start-up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of the research, the survey questions were drawn,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a start-up's proficiency in order to develop a measure for the growth of a start-up's ability through analysis of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In order to der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a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step 1) and a measurement question was developed through a prior study analysis (step2). Further, the content validity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he review and modification of the measurement questions (step 3), the first and second preliminary surveys and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step4 & step5).

      • KCI등재

        전문사용자 창업의 창업동기와 성공요인:

        박태영(Park, Tae-Young),박병진(Park, Byung-Jin) 한국창업학회 2017 한국창업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는 최근까지 연구가 미비했던 전문사용자 창업에 대한 창업동기와 성공요인을 설명하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자 노력했다. 이 같은 노력을 위해 치과 의료기기 산업에서 성공한 전문사용자 창업의 일곱 사례를 대상으로 탐색연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치과 의료기기 산업에서의 전문사용자 창업은 외생적 요인보다는 내생적 요인에 의해 더 많이 동기부여가 되었고, 내 생적 요인 중에서도 ‘즐거움(enjoyment)’이 가장 큰 창업동기 요인이었다. 즉, 문제를 해결하고 해결한 결과를 상업화하는 그 과정 자체가 즐겁기 때문에 창업을 했다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전문사용자 창업의 핵심 성공요인으로 다음 세 가지를 발견했다. 첫째, 상업화 이전과 이후모두에서 활발한 사용자 커뮤니티 활용 둘째, 치과의사, 대학, 연구소, 정부, 구매자 등 다양한참여자들과의 강력한 네트워킹 형성 셋째, 높은 교육 수준보다는 오랜 기간의 병원 운영과 발명의 경험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전문사용자 창업이 최종사용자 창업, 기술기반 창업, 일반창업과 어떻게 다른지 창업동기, 사용자 커뮤니티, 네트워킹, 관련 경험, 교육수준 관점에서 서로 비교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new perspective to explain the motivation and success factors for professional-user entrepreneurs (PUEs), which has not been studied until recently. For achieving this purpose, we have studied seven cases of PUEs in the dental device industry. As a result, PUEs in dental device industry was more motivated by intrinsic factors than extrinsic factors, and ‘enjoyment’ was the most motivating factor of entrepreneurship among intrinsic factors. In other words, the process of solving problems and commercializing the results of solving them is a pleasure to PUEs, and that s why they started their own business. We also identified the three key success factors of PUEs: 1) utilizing active user community both before and after commercialization stage; 2) establishing strong networking with various participants such as dentists,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es, government and buyers; 3) the importance of long-term practice and invention experience rather than longer education. Finally, we compared how PUEs differs from end-user entrepreneurs(EUEs), technology-based entrepreneurs, and general entrepreneurs regarding entrepreneurial motivation, user community, networking, relevant experience, and educational level.

      • KCI등재

        디자인 전문대학에서의 창업교육프로그램 고찰

        이영선(Lee, Young-sun) 한국창업학회 2017 한국창업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는 디자인 전문대학의 창업동아리 학생들이 창업교육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창업의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리고 어떠한 영향요인이 작용하고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규명해 보고자하는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동아리의 초기 과정으로부터 실제창업을 하는과정에서 창업교육 및 창업지원프로그램의 활동경험에서 나타나는 창업의도의 다양한 변화 양상을 조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창업동아리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재학생 7명을 선정하여 질적 연구방법의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그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창업동아리 팀의 참여자들은 초기에 세운 목표와 동기를 창업활동을 통해서 구체화하여 발전시키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창업동아리팀은 구성원 간의 팀워크와 커뮤니케이션의 정도에 따라 팀 체제의 유지와 결과물의 성과가 좌우되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창업동아리팀은 창업활동 과정에 참여하며, 팀원 간의 교류와 협력 그리고 상호작용을 통해 아이디어와 아이템의 진보를 이루었다. 넷째, 창업동아리 팀은 창업 활동의 과정에서 창업캠프, 경진대회, 멘토링 등의 프로그램에 의해 창업의욕의 고취를 경험하였는데, 그 영향요인은 ‘타인과의 교류’와 ‘다르게 생각하는 것’ 등이었다. 다섯째, 창업팀들은 창업의 결정부분에서는 ‘자금부족’, ‘자신감 결여’, ‘정보부족’, ‘지적재산권 등록’ 등의 선결과제를 해결한 후에 창업을 한다는 신중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는 창업동아리가 창업의 이론강좌가 아닌 팀 활동, 창업캠프, 창업경진대회, 워크샵, 멘토링 등의 창업지원프로그램 체험을 통한 실질적인 경험의 축적에 의해 성장하게 되며, 그들의 창업의도가 강화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디자인전문대학 창업동아리 팀의 활동과정에 포커스를 맞추어 그들의 변화과정을 관찰함으로써 창업동아리의 역할과 가치를 살피고, 이를 토대로 창업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창업지원계획 수립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The study is concentrated on figuring out how intentions of startups change in the course of taking part in startup education in colleges on the part of students in startup associations in design junior colleges in addition to in-depth examination on factors influencing them. The study aims to turn a spotlight on diversified aspects of changes in intentions of startups found in experiences in startup education and startup support programs with regard to the entire processes from the earlier stage of startup associations to actual startup. Toward this end, the study selected 7 students proactively participating in club association activities to conduct in-depth interviews 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analyze data.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s have been found out. First, participants in startup association teams crystalized and advanced initial objectives and motivations through startup activities. Second, startup association teams showed that teamwork and communications within startup associations determine fate of the maintenance of teams and performance of end results. Third, the startup association teams made a progress in terms of ideas and items through exchanges, cooperation and interaction among team members in the course of taking part in startup activities. Fourth, startup association teams experienced encouraged motivation for startup based on such programs as startup camps, contests and mentoring in the course of startup activities, and factors influencing them included ‘exchanges with others’ and ‘a different way of thinking.’ Fifth, startup teams took a prudent attitude by starting business after resolving such prerequisite tasks as ‘a shortage of fund,’ ‘a lack of confidence,’ ‘insufficient information’ and ‘registr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 It shows that the startup associations experience growth by accumulating actual experiences through experiences in such startup support programs as team activities, startup camps, startup contests, workshops and mentoring instead of lectures on startup theories and indicates that the intention of startups can be further strengthened. The study is focused on examining effects of startup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and support programs on startup association activities in colleges based on startup association activities in addition their roles and values, and it also carries significance in that it can contribute to developing startup education programs and establishing startup support plans.

      • KCI등재

        경영시뮬레이션게임을 활용한 문제중심학습(PBL) 기반의 창업교육 사례 연구

        김영천(Kim, Young-Cheon) 한국창업학회 2017 한국창업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는 경영시뮬레이션게임을 활용하여 문제중심학습(PBL)기반의 창업 교육 과정을 설계하고 이를 창업 수업에 적용한 사례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창업경영시뮬레이션게임을 대학의 정규 학기 창업 수업에서 활용하였다. PBL의 핵심 요소인 ‘실제 문제’, ‘참여’, ‘협동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수는 창업 기업의 경영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실제 문제들을 개발하였고, 학생들은 가상 창업기업을 경영하면서 제시된 문제들을 함께 해결하였다. 학기 수업 종료 후 창업경영시뮬레이션게임을 활용한 PBL기반 교육에 대해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시사점을 도출 하였다. 연구 결과, 경영시뮬레이션게임은 문제중심학습 방법으로서 창업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교육 도구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의 의견수렴을 통해서도 능동적 참여를 통해 실제와 유사한 문제들을 함께 해결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용 솔루션을 활용하여 창업교육에 PBL의 개념을 접목한 최초의 논문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창업경영시뮬레이션게임과 같은 교육 솔루션의 개발 및 PBL 기반 교육 방법 개발 등에 관한 향후 연구에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problem-based learning curriculum, in start-up education, and to present a start-up class using a business simulation game. To this end, we used a business simulation game in a university regular start-up course. In order to enable real problems, participation, and cooperative learning, which are the core elements of PBL, the professor developed realistic problems that could occur in the management process of the start-up company. Students solved the problems while running the virtual start-up business. After the semester class, we collected students opinions about PBL-based education using the business simulation game in order to find out the implications of its use. We found that the business simulation game is a useful educational tool that can be utilized in start-up education as a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As a result of students opinions, active participation contributed positively to solving similar problems. This is the first study to apply the PBL concept to start-up education by using a business simulation solu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futur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solutions such as start-up business simulation games and the development of PBL-based education methods.

      • KCI등재

        장애유형별 창업아이템 선정과 창업성공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오동훈(Dong-Hun Oh),김창완(Changone Kim) 한국창업학회 2017 한국창업학회지 Vol.12 No.3

        정부에서는 장애인의 자립생활 기반 구축을 위한 경제활동 대안으로 장애인 취업을 적극 지원하고 있으나 장애인은 여전히 인식 및 편견으로 취업과 직장에서의 생활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러한 장애인 취업문제의 해결대안으로 창업이 제시되고 있으며 장애인 창업의 가장 큰 특징으 로는 비장애인기업 보다 장애인 고용률이 훨씬 높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 창업시 자신의 장애유형을 고려하여 사업아이템을 선정하는 것이 사업 지속기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2011년 1월 1일부터 2013년 12월 31일까지 재단법인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의 ‘장애인 창업점포지원사업’ 수혜자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조사대상자의 80% 이상이 자신의 장애유형을 고려하여 창업아이템을 선정 한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지체장애의 경우 대부분이 서비스업과 도‧소매업, 음식점업 및 비알콜 음료점업을 영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각장애의 경우 기본적으로 언어장애가 수반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창업아이템 선정에서도 고객과의 접촉이나 대화가 적은 단순 소매판매 등의 업종을 선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각장애의 경우 창업자는 모두 안마업 아이템을 선정하였다. 이는 시각장애 유형의 특성인 시각을 제외한 다른 감각기관을 활용 및 특화시켜 장애유형에 맞는 창업아이템 선정으로 창업성공률을 높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창업지원 시 장애인이라는 특수성을 감안하여 창업아이템을 선정하도록 제도적으로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lthough the government actively supports the employment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s an alternative to economic activities for building a basis for independent living, the disabled still suffer from difficulties in employment and life at work due to their perceptions and prejudices.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employment of disabled persons, entrepreneurship is suggested and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disability entrepreneurship is that the employment rate of disabled persons is much higher than that of non - disabled pers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a disabled entrepreneur s selection of a business item, taking his/her own disability type into account, in starting a business affected business duration. From January 1, 2011 to December 31, 2013, the following research was conducted for beneficiaries of the Disability Business Establishment Store Support Program of the Comprehensive Support Center for the Disabled.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more than 80% of the respondents selected entrepreneurial items considering their disability type. Most of the cases of handicapped persons are engaged in the service industry, In the case of the hearing impaired, most of the cases are accompanied by language impairment. In selecting the entrepreneurial items, it was found that they selected industries such as simple retail sales with less contact with customers or conversation. In the case of visual impairment, the founders selected massage items. It can be seen that the success rate of the start-up was increased by selecting the entrepreneur item that suits the type of disability by utilizing and specializing other senses other than the sight which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blindness typ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 policy that supports the institutional support for selecting entrepreneurial items is necessary in view of the specificity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when supporting entrepreneur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피아노 학원(교습소)의 창업 위험인식이 창업의도 및 창업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희승,정완규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9 음악교수법연구 Vol.20 No.2

        Globally, there has been the issue of job creation due to continuous economic recession and unstable employment, and business start-up is considered as one way to solve the problem positively. In order to activate business start-up, educational and supporting program are needed. However, music majoring students have few possibilities for education in the university course. Since then,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e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entrepreneurial risk recognition, intention and behavior regarding students majoring in piano performance. In addition, the perceived value of entrepreneurial risk recognition, intention, and behavior were examined. A survey was conducted in April 2019 and participants were fou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piano performance in Seoul and Kyunggi-do area(N=158). The results of the exploring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measures for study construct related to the level of composite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ity. A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risk recognition and intention, and entrepreneurial risk recognition and behavior. As a result, social locational risk perception is the strongest factor to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behavior. 전 세계적으로 최근 지속되는 경기침체와 고용불안정으로 각국 정부는 일자리 창출을 위한 방법을 고안하는 데 주력하며 창업이 이를 긍정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고려되고 있다. 창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창업 관련교육과 창업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지원 프로그램의 구축이 필요하다. 하지만 피아노를 전공으로 하는 학생들의 경우, 대학을 졸업한 후에 피아노 학원(교습소)에서 일하게 되는 경우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피아노 전공의 음악대학 교과과정 중에 이와 관련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창업위험인식, 창업의도, 창업행동에 대한 인식과 함께 창업위험인식이 창업의도 및 창업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연구 결과를 통한 피아노 전공 프로그램의 교과과정에 대한 제고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수도권에 위치한 네 개의 대학에서 피아노를 전공으로 하는 학부, 대학원생(N=158)을 대상으로 2019년 4월에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통해서는 문항들이 각각의 요인들(창업위험인식, 창업의도, 창업행동)에 적절하게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네 개의 창업 위험인식 가운데 사회적 위험인식이 창업의도 및 창업행동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창업성공요건과 창업존속요건이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명길(Seo, Myung Gil),박현숙(Park, Hyeon Suk) 한국창업학회 2017 한국창업학회지 Vol.12 No.3

        본 연구는 창업성공요건과 창업존속요건, 정부지원프로그램 및 재무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성공한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SPSS 18.0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창업자특성(전문성, 혁신성), 창업준비(자금관리, 사업계획서작성) 그리고 고객 중심철학(고객이해, 고객만족)은 재무성과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로, 경영관리는 창업자특성과 창업준비와 재무성과 간의 매개효과를 나타냈으나, 고객중심철학과 재무성과 간에는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못했다. 셋째로, 정부지원프로그램은 창업자특 성과 경영관리 간에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창업성공요건은 창업존속요건에, 창업존속요건은 재무성과에 순차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본 연구의 시사점은 예비창업자들이 준비와 계획을 통해서 일정수준 역량을 쌓는 가운데 창업성공요건, 창업존속요건 순으로 일정한 프로세스를 거치면 재무성과로 연결된다는 점이며, 정부기관에서 창업관련 정책수립시 본 연구가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the requirements for successful entrepreneurship, the requirements for the maintenance, government support programs and financial performanc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uccessful SPSS 18.0 statistical packag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s(specialty, innovativeness), entrepreneurial preparation(financial management, business plan) and customer - oriented philosophy(customer comprehension, customer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Second, business management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s, entrepreneurial preparation and financial performance, bu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oriented philosophy and financial performance. Third, government support program showe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s and business management. Finally, the requirements for successful entrepreneurship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requirements for the maintenance while the requirements for the maintenanc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preliminary founders are given a certain level of competence through preparation and planning, and the financial performance is given in the order of the requirements for successful entrepreneurship and the requirements for the maintenanc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of practical help when establishing policies related to entrepreneurship in government agencies.

      • 창업 한류 촉진을 위한 창업기획사 활성화 방안

        이윤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3 STEPI Insight Vol.- No.118

        박근혜정부의 창조경제 핵심은 창업이라 할 수 있으며, 일자리 중심의 창조경제 실현을 위해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 등 6가지 전략과 국정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도전정신으로 무장한 창업벤처들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고 이를 토대로 새로운 일자리와 신성장동력을 창출하는 전략이 창조경제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상황에서 최근 창업교육 및 멘토링과 투자가 연계된 창업기획 방식이 새로운 성공모델로 부각되고 있다. 한국은 이미 우리나라 연예기획사만이 갖춘 차별화된 경쟁력을 바탕으로 K-팝 한류를 이끈 저력이 있으며, 창조경제 실현 및 세계적인 창업국가로 가기 위해서는 한국형 창업 기획을 통한 창업 열풍 즉, 창업 한류를 일으켜야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우리나라 창업 생태계의 문제점과 문제점 해결을 위한 창업기획 필요성-연예기획 성공요인 벤치마킹, 해외 창업기획사(Accelerator) 사례를 살펴보고 창업 한류를 위한 중점 추진과제 5가지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과제 1] 창업기획사(Startup Accelerator) 시스템화 촉진 [과제 2] 글로벌 창업 인재양성 프로그램 개설 [과제 3] 특허 활용 글로벌창업경진대회 추진 [과제 4] 세컨더리펀드 확충 등 재투자 유인 강화 [과제 5] 연구개발특구를 글로벌 창업특구로 육성

      • KCI등재

        창업환경 요소가 기술경쟁력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길호(Chong, Kil-Ho),김병근(Kim, Byung-Keun) 한국창업학회 2017 한국창업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는 기술창업기업의 창업환경요소인 창업자의 역량과 조직문화, 외부협력, 창업지원활용이 기술경쟁력과 기업성과간의 관계를 실증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여 창업연구에 기여한다. 본 연구는 창업자의 역량, 조직 문화, 외부협력 및 창업지원을 포함한 기술 창업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알아보았다. 데이터는 기술창업 관련 128명의 설문 조사를 통해 응답한 자료를 회수하여 구조 방정식 모델링을 통해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창업자의 역량, 조직 문화, 외부협력 및 창업 지원은 기술 경쟁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기술 경쟁력은 창업 기업의 성과에도 영향을 주었다. 통제변수로 연구원 출신여부, 성별, 학력 등을 사용했지만 연구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또한 경로분석을 통해 매개효과 분석을 한 결과, 독립변수인 창업자의 영향요인은 기술경쟁력이라는 매개요인을 통해 간접적으로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와 함께 대부분의 기존 기술창업기업 관련 논문들이 창업가 개인역량 및 개인적 특성, 네트워크 환경 등 특정한 요인들에 초점을 둔 연구가 대부분이다. 또한 기술 창업기업의 내부 자원,조직문화, 외부 협력, 창업지원 활용 등 체계적으로 접근한 연구는 많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학술적 기여부분으로는 첫째, 기술창업의 특성을 반영하여 기술경쟁력의 매개효과로 보았다. 둘째, 창업팀 들의 내부적인 요소인 창업자 역량, 창업팀 조직문화와 외부적 요소인외부협력, 창업지원 활용을 통해 창업자 개인적인 면과 팀적인 면을 살펴보았다. 셋째, 대표적인 정부출연연구기관인 ETRI의 창업기업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study of entrepreneurship by presenting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trepreneus’competence, organizational culture, collaboration and government supports for entrepreneurship on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and corporate performance of technology start-ups. This study examines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 start-ups including the entrepreneurs’ competence, organizational culture, collaboration and government support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urvey on technology start-ups. Survey data of 128 respondents were analys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entrepreneurs’ competence, organizational culture, collaboration and government supports positively influences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and technology competitiveness affects the performance of start-ups. We used the researcher s background, gender, and academic ability as control variables, but did not affect the research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through the path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 factors of the entrepreneurial who are the independent variables indirectly affect corporate performance of technology start-ups through mediating factors of technical competitiveness. Furthermore, most of the papers related to the existing technology start-up companies focus on specific factors such as the entrepreneur s personal capacity,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network environment. Moreover, there are not many researches systematically approached such as internal resources of technology start-up companies, organizational culture, collaboration and government supports. The academic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and is considered as mediating effect of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Second, we examined the individual aspect and team aspect of the entrepreneurial through the internal factors of entrepreneurial teams, entrepreneurial capacity, organizational culture of start-up team and external factors, collaboration and government supports. Third, we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f ETRI s start-up companies, which are representative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 KCI등재

        대학 창업보육센터의 사후 지원에 대한 졸업기업의 성과에 관한 연구

        김성민(Kim, Sung-Min),임욱빈(Leem, Wook-Bin),안상봉(An, Sang-Bong) 한국창업학회 2017 한국창업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보육센터의 졸업 기업이 졸업 이후 창업보육센터의 지원이 졸업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창업보육센터가 지원하는 서비스가 졸업기업의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보육센터의 졸업기업들에 대한 기술적, 경영적 그리고 행정적 지원은 모두 기업 성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설문 조사결과 지속적으로 기업을 운영하고 있는 졸업기업들은 창업보육센터의 도움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보육센터는 입주기업을 지원하는 목적으로 설립이 된 운영기관으로 3년간 사후관리의 의무를 지니고 있으나 사후관리 방안이 명확하지 않아 졸업기업에 대한 지원은 제한적이다. 따라서,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을 지원하는 창업보육센터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졸업 이 후 지역경제 발전을 위해 창업보육센터 졸업기업의 자생력을 키워주기 위한 창업보육센터와 지자체 그리고 중앙정부의 노력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s the status of graduated start-up company which are graduated from university business incubator in Gyeonggi province. If they are supported by the management or support from their previous business incubator after graduation, check whether they affect the overall operation or performance of the graduates through their support. And this study also deduces improvement plan of their sustainability after graduation from business incubator and studies necessity of POST business incubator rol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echnical, manager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of graduate companies in incubation center did not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company. However,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 that the graduates who are continuously operating the business are receiving help from the incubation center. The Incubator center is an operating organization that was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tenants, but it has the obligation of post-management for three years, but the support for the graduates is limited due to the lack of clear management plan.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the incubation center that supports entrepreneurs in the incubation center is important, but after the graduation, the incubation center, the local governments and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endeavor to nurture the self-sustenance of the entrepreneu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