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술화행의 개념과 범주에 관한 연구

        김미령 우리말학회 2017 우리말연구 Vol.50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oncept and category of statement speech act. On this study, I analyzed the character of statement speech act, and established the concept and category of it. The way of establishing the category of statement speech act is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s among the similar speech acts on the same position of the conversation. So I compared a number of utterances in the position of preceding and following that have special function, such as ‘providing information’, ‘expressing emotion’, ‘requiring’, ‘response for request’, and ‘response for message’. Therefore, statement speech act’s concept is as follows : statement speech act is the utterances that express speaker’s own thoughts and feelings about the speaker, or the work of the speaker, the object around the speaker at the beginning of the conversation. And statement speech act is different from information 1 speech act, information 2 speech act and request speech act at the beginning of the conversation. Also statement speech act is different from conformity speech act, cynic speech act at the following of the pre-utterance. 이 연구에서는 우리말 대화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진 술화행’에 대해 살피고자 하였다. 이에, 대화에서 실현되는 ‘진술’표현들 을 대상으로 화용론적 관점에서 특성을 분석하여 개념을 정하고, 인접 화 행들과의 구분을 통해 범주를 설정하여, ‘진술화행’에 대한 명확한 규정과 체계를 정립하고자 하였다. 먼저 ‘진술화행’의 개념에서는 화용적 특성으 로서의 내용과 기능, 화자의 태도와 의도를 청자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이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진술화행’의 범주에서는 이와 구분이 필요한 인 접 화행들을 선행발화와 후행발화의 위치로 나누어서, 선행발화 위치에 서는 ‘정보 알림’, ‘감정 표출’, ‘요청’ 기능을 하는 화행들과 구분하였고, 후행발화 위치에서는 ‘요구에 대한 반응’, ‘전달에 대한 반응’ 기능을 하는 화행들과 구분하여 ‘진술화행’의 범주를 설정하여 보았다.

      • 한국어 설명화행의 의미와 체계에 관한 연구

        정종수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한국미래문화연구소 2021 미래문화 Vol.0 No.2

        본고는 진술화행의 하위화행인 설명화행을 정의함으로써 그 의미를 명확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서 특정한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설명화행의 하위화행을 세분화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설명화행이란, 정보를 쉽고 자세하고 명확하게 알리는 것이다. 설명화행은제보화행(⊂진술화행)의 하위화행이기에 [정보내용]와 [진술화행]의 함축을갖는 것이다. 여기에 더하여서 설명화행은 [용이(容易)방식], [상세(詳細)방식], [명확(明確)방식]라는 함축을 더 갖는다. 본고에서는 설명화행을 [대상] 과 [방식]을 기준으로 정의화행, 묘사화행, 분류화행, 분석화행, 해석화행, 소개화행, 측정화행, 부연화행의 8개 하위화행으로 분류하였다. 이 분류의검증에는 수행동사의 뜻풀이가 화행에 포함되는지를 살펴보는 수행동사 뜻풀이 확인법과 함께 암시적 수행문이 화행의 의미에 부합하는지를 살펴보는 암시적 수행문 확인법과 명시적 수행문의 간접인용절의 내용이 화행의의미에 부합하는지를 살펴보는 명시적 수행문 확인법을 사용하였다. This study clarified the meaning of the explaining speech act, which is dealt with in the way of contents development in secondary education. Also, by applying specific criteria to explaining speech acts, it was also subdivided into sub-specified speech acts. The explaining speech act is to inform the information easily and in detail and clearly. The explanatory speech act is a sub-speculation act of the explanatory speech act, which has the implication of [information] and [statement]. The statement speech act is a speech act in which the speaker informs the information or speaks the opinion. The description act has more [easily], [detailedly], [definitely] implications. The explaining speech act was classified into nine sub-speech acts: defining speech act, description speech act, classification speech act, analysis speech act, interpretation speech act, introduction speech act, measurement speech act, introducing speech act, and propaganda speech act based on object and method. The verification of this classification was performed by the confirmation of meaning of performative verb and the confirmation of indirect quotations in the use of performative verb. And the appropriate conditions of explaining speech act were revealed by summarizing the previous discussions, and the comparison and contrast between explaining speech act and the contests development method of secondary education were conducted.

      • KCI등재

        한국어 의문문 화행에 관한 통계 연구: 드라마와 영화를 중심으로

        임은영 ( Eunyoung L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고는 한국어 의문문 화행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 축적에 기여하고자 한국 드라마와 영화 속 의문문 발화(3,338개)를 분석하였다. 즉 본고는 상황별 화자의 핵심 의도에 따라 8개 화행(Qa, Qp, Sa, Sp, Oa, Op, Ra, Rp)으로 분류한 후, 사회적 변인(성별/친밀도/사회적 지위)에 따라 교차 분석하여 카이제곱(χ2) 검정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변인에 따른 한국어 의문문 화행의 실현 양상에 유의미한 차이가 전체적으로 있음이 밝혀졌고, 더 나아가 세부적으로는 ‘Qa, Qp, Oa, Op, Ra’에서 사회적 변인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다시 한 번 더 밝혀졌다. 본고는 ‘Qa, Qp, Oa, Op, Ra’에 대한 심화ㆍ보완된 연구로 기초 자료 축적에 기여할 것을 한국어 교육에 제언한다. This paper analyzed interrogative sentence utterances (3,338) in Korean dramas and movies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accumulation of basic data for education of Korean interrogative sentence speech act. In other words, this paper classified into 8 speech acts (Qa, Qp, Sa, Sp, Oa, Op, Ra, Rp) according to the speaker’s core intention by situation, and then crosses according to social variables (gender/intimacy/social status). After analysis, a chi-square (χ2) test was perform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alization pattern of Korean interrogative sentence speech act according to social variables overall, and in detail, in ‘Qa, Qp, Oa, Op, Ra.’ This paper suggests that Korean education will contribute to the accumulation of basic materials through more in-depth and complementary research on ‘Qa, Qp, Oa, Op, Ra.’

      • KCI등재

        한·미 의문문 화행에 나타난 성별의 차이에 관한 연구

        임은영 ( Eunyoung L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differences in I.S.S.A. (Interrogative-Sentence-Speech-Act) between Korean-American gender. To this end, this paper extracted discourses in the ‘same or similar context’ between Korean-American from the remake works, and then classified all interrogative sentence into four S.As. (Q, S, O, R: Question- speech-act of interrogative-sentence (Q), Statement-speech-act of interrogative- sentence (S), Order-speech-act of interrogative-sentence (O), Response-speech-act of interrogative-sentence (R)). And the chi-square test was conducted. As a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Korean,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merican, in particular, a high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erican ‘O’. This result implies the possibility of pragmatic failure in the Korean ‘O’ of the Americans learning Korean.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he need of the education on the Korean ‘O’ for Americans learning Korean and the future research tasks.

      • KCI등재

        남녀 분노 발화의 음성적 특징

        조성문,김미희 한국언어문화학회 2019 한국언어문화 Vol.0 No.68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phonetic characteristics of the anger utterance during the utterance of the male and female speakers in their twenties who have Korean as the mother language. In this paper, 20 female and 20 male and female residents of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were interviewed. Then, quantitative analysis which normalized the utterance and statistical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which examines the pattern of the representative utterance and the strong word pattern were carried out. As a result, the ratio of the female accent to the male accent was smaller than that of the male accent. In the group, the lower syllable pattern and the lower horizontal group appeared in the ‘low’ syllable, and the highest pitch was observed in the female group. However, in the case of a woman, the number of herringbone was lowered. In the judgment questionnaire, the slope of the whole sentenc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male, and showed a large pitch shift. The slope of the male and female pairs was larger than that of male, and the ratio of male and female pairs was short. In addition, the pattern of female and male tongue was different from that of female. In the explanatory questionnaire, the slope of the total sentence of the woma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male, showing a large pitch shift. However, unlike the previous study, in which the explanatory questionnaire was mainly emphasized on the slope of the bilateral amphibian, it showed a rise in the case of women and a lower emphasis on the case of men. The first syllable of the female showed high horizontal group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traditional group pattern. 본고는 억양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20대 남녀 화자의 발화중 분노 발화에 나타나는 음성적 특징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본고에서는 2대이상 서울과 경기 지역에 거주한 20대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주어진 상황에 맞게감정을 담아 발화하는 실험을 실시한 뒤, 해당 발화를 정규화하여 통계화한 양적분석과 대표적 발화의 억양구와 강세구 패턴을 살펴보는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평서문에서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문미 억양이 전체 억양에서 차지하는비율이 적었다. 강세구에서 남녀 모두 ‘저’ 음절에서 기존 성조패턴과 다른 낮은수평조가 나타났고, 억양구에서 최고 음높이가 나타났다. 다만 여성의 경우 억양구가 내리오름조로 나타나 남성에 비해 질책에 가까운 특징을 보였다. 판정 의문문에서는 여성이 문장 전체의 기울기가 남성보다 높은 수치로 나타나 큰 음높이변위를 보여주었으며, 억양구의 기울기가 남성보다 크고 억양구 비율은 짧아 문미억양에서 짧고 급격한 상승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강세구에서 여성과남성의 성조 패턴이 다르게 나타나고 억양구에서 여성이 더 짧고 급격한 상승조를 보였다. 설명 의문문에서는 여성의 전체 문장 기울기가 남성보다 높은 수치로나타나 큰 음높이 변위를 보여주었다. 그런데 억양구의 기울기에 대해서는 설명의문문이 주로 하강조를 이룬다는 기존 연구와 달리 여성의 경우 상승조, 남성의경우 하강조를 보였으며, 강세구에서도 여성의 첫음절 성조가 기존의 성조 패턴과다른 높은 수평조를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