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주 舟尾寺址와 신라의 熊州 지배

        김창석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8 백제문화 Vol.0 No.58

        Silla established Soburi-ju in the capital city of Baekje and organized a new corps with the remnants of Baekje in 672. This iss why Soburi-ju is believed to have had a military function. Afterwards, Silla established other Ju(州. Prefecture)s by 6th. year of King Sinmun’s reign, where 2 secondary capitals(小京), 38 districts(郡), and 103 counties(縣) worked in order to rule the ex-Baekje people. The change in the feature of Ju lay in the background where 200 Seong(城)s were reorganized into 103 counties. For example, Woongcheon-ju was implemented as a regional administrative prefecture that did not have to have as many counties as the prefectures did in Baekje. Over the half of the Seongs and Chon(村)s that were not raised to counties played a great role in controlling the villages around them. The Buddhist temple built in current site of Jumisa(舟尾寺) appears to have founded in the Unified Silla period. According to the inscription found in this ruin, the family members were from Jingol(眞骨.True bones) status, who moved to Woong-ju area from the capital city. Two women were Ani(阿尼), which means a female Buddhist monk(比丘尼). An additional example of Ani was confirmed on Musul-Ojak stele(戊戌塢作碑). She led the craftsmen to build a levee. These materials indicate that female Buddhist monks were engaged in various jobs in addition to their religious duties, which could facilitate the policy of ruling the remnant people of Baekje. 舟尾寺址에 있던 사찰은 통일신라 시기에 초창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 절은 17세기 말 이후 어느시기엔가 폐사되었다. 672년 신라가 所夫里州를 설치하고, 같은 해 白衿誓幢을 조직한 것으로 보아 소부리주는 군사 거점의 성격이 강했다. 신라는 이후 神文王 6년까지 熊川州, 完山州, 武珍州를 설치하고, 그 관하에 2小京, 38郡, 103縣을 두어 백제 고지를 통치했다. 웅천주 지역을 살펴보면, 백제 사비기의 지방행정구역은신문왕이 설치한 郡 縣級의 행정구역과 비교하여 큰 변동이 없었다. 백제 말의 城級 행정 단위는 신라의 지방제도가 시행되면서 縣으로 개편되는 것, 郡 또는 小京으로 승격되는 것, 그리고 縣이 되지못하고 城 村으로 남는 세 경로를 거쳤다. 백제 말의 200개 城이 신문왕대 이후 103개의 縣으로 개편된 배경에는 신라 州의 성격 변화가 자리 잡고 있었다. 웅천주의 州治가 변하지 않은 사실은 초기의 군사적 주가 아니라 廣域州였음을 시사한다. 광역주는 관내의 행정구역 간 위계가 분명하고 조직체계가 유기적으로 운영될 수 있으므로 縣 과 같은 하위 행정단위는 그렇게 많이 필요하지 않다. 縣으로 재편되지 못한 절반 정도의 성, 촌이지방의 기층 조직으로 남아서 자연 촌락을 통솔하는 중심 역할을 수행했을 것이다. 주미사지에서 발견된 통일신라 銘文石片의 남성 인물들은 眞骨 출신이라고 보이고, 일족이 王京에살다가 熊州로 이주했다. 金良武는 주치의 州助 혹은 직속 縣의 장관이고 金奉昌 역시 웅주의 지방관으로 복무했을 가능성이 높다. 김양무의 부인과 김봉창의 부인은 出家하여 ‘阿尼’, 즉 비구니가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大邱 戊戌塢作碑 가 주목되는데, 종래 阿尺干이라고 판독한 것은 ‘阿尼 ’라고 읽어야 한다. 오작비에 보이는 慧藏은 비구니로서 도유나의 역할을 수행했으며, 대구 지역의 匠人을 이끌고 수리시설 축조에 참여했다. 주미사지 출토 명문석편에 보이는 두 夫人 역시 웅주 지역에서 종교, 신앙의 차원을 넘어서는 영역에서 활동했으리라 여겨진다.

      • KCI등재

        『삼국사기』 온조왕본기 영역 획정 기사의 성립 시기

        임기환(Lim, Ki-hwan)(林起煥)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3 역사문화연구 Vol.47 No.-

        본 연구는 <<삼국사기>> 백제본기 온조왕 13년(서기전 6)조에 보이는 “北至浿河 南限熊川 西窮大海 東極走壤”이라는 강역획정 기사가 반영하는 시기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 기사에 대한 기왕의 견해는 온조왕대설, 고이왕대설, 근초고왕대설 등이 있으며, 고이왕대설이 통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론에 입각한 주장은 현재의 연구 성과에 「백제본기」의 사료를 꿰맞춘 결과로 생각한다. 오히려 「백제본기」의 자료가 보여주는 당시 백제인의 지리 인식을 추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浿河라는 지명은 고조선 혹은 낙랑 대방계 주민의 지리 인식으로서 그 위치가 역사상 변화되어 왔으며, 최종적으로는 대동강을 가르키는 지명이었다. 이러한 지명 인식의 관점에서 보면, 온조왕 13년 강역획정 기사의 패하는 대동강으로서 근초고왕대의 인식이 투영된 것으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물론 패하가 대동강전 유역으로 상정한 것은 아니고, 대동강 하류 즉 재령강과 대동강이 만나는 지점일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춘천으로 비정되는 走壤을 백제가 차지하는 시점 역시 307년(汾西王 7)에 樂浪西縣을 습격하는 기사 이후가 될 것이며, 그렇다면 역시 근초고왕대에서 그리 멀지 않은 시기로 추정된다. 따라서 앞의 패수 기사와 연관시켜 본다면, 走壤을 영역으로 확정하는 시기 역시 근초고왕대가 가장 타당할 것이다. 이와 같이 浿河와 走壤이 근초고왕대의 영역 인식을 반영하는 것이라면, 熊川도 금강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물론 안성천이 웅천으로 불리던 시점이 있으나, 백제의 영역 확장과정에서 금강도 역시 웅천으로 불리웠기 때문에 웅천의 지명이동을 상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백제본기」 온조왕대의 마한 관련 기사 역시 근초고왕대의 상황에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근초고왕대에는 고구려와의 전쟁, 신라와 외교교섭, 가야, 왜와의 교섭, 晉에 사신 파견과 책봉 등 주변국과 다양하고 뚜렷한 국제관계를 맺고 있다. 그 이전 시기와는 전혀 달라지는 이러한 국제관계를 맺는 과정에서 당시 백제인의 영역관이 새롭게 형성되었으며, 그것이 온조왕 13년조의 강역획정 기사로 표현되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not only to examine the period when the article on territorial demarcation was established as recorded in Baekje-Bongi(百濟本紀) of Samguksaki((三國史記) in the 13th year of the King Onjo’s reign (B.C. 6), but also to understand the Baekje’s territorial perception as reflected in its geographical names. The location of the Fae-ha River(浿河)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article on the war with Koguryo. For the location of the Woong-cheon River(熊川) and the time of its conquest, the article on the diplomatic relations with Mahan(馬韓) was examined. For the location of Ju-yang(走壤) and the time of its securement, the articles on the wars with Malgal(靺鞨) and Lelang(樂浪) were investigated. It was concluded that the Fae-ha River is the Dae-dong River(大同江) of today; the Woong-cheon River is the Keum River(錦江); and Ju-yang is Chun-cheon(春川). In addition, the period during which all these territories were finalized by Baekje was presumed to fall under the King Keunchogo’s sovereignty, so it seems that the article on territorial demarcation in the King Onjo Bongi of Samguksaki reflects the historical conditions during the reign of the King Keunchogo(近肖古王).

      • KCI등재

        공주 舟尾寺址 명문 석편을 통해 본 9세기 신라 지방 사회와 불교

        이장웅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4 한국고대사탐구 Vol.46 No.-

        공주 舟尾寺址에서 출토된 명문 석편은 9세기 신라 熊州(熊川州) 지방에서 벌어진 불교 사업에 참여한 이들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여기에는11등 奈麻와 12등 大舍의 관등을 지니면서 김씨 성을 가진 이들이 기록되었다. 이들은 眞骨 출신으로 왕경에 살다가 웅천주의 지방관으로 가족과 함께 파견되었을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9세기를 전후한 시기 신라의 지방 사회 모습을 살펴보면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9세기 신라의 지방에서 발견된 다른 금석문들과 비교해본 결과, 김씨와대사 관등을 칭하고 있는 이들이 중앙 진골 귀족의 것을 모방한 지방민이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들은 어려운 생활 속에서도 불교에 귀의하여복을 빌었던 사람들로 볼 수 있겠다. 舟尾寺址 출토 명문 석편에는 9세기에 ‘阿尼’를 칭하고 있는 여성 인물들의 명칭도 등장하고 있어 주목된다. ‘阿尼’는 신라 상고기부터 사제의 성격을 가진 여성의 이름에 사용되었고, 중고기에는 불교의 여성 승관인 都維那娘에 임명되면서 이후에도 꾸준히 나타나고 있다. 이에 필자는 ‘阿尼’가 비구니를 뜻하기만 한 것이 아니라, 토착 신앙을 지니면서 불교를 받아들인 원로 여성을 뜻하는 용어로 파악하였다. The Stone Fragment of Jumi-sa Temple(舟尾寺) Site in Gongju were found to show those who participated in Buddhist projects in the Ungcheonju(熊川州) region of Silla in the 9th century. Here, people with Kim's last name while having 11th place Nama(奈麻) and 12th place Daesa (大舍) were recorded. It is possible that they were from Jingol(眞骨) and lived in capital, and were dispatched with their families as local officials in Ungcheonju. However, if you look at the local community of Silla around the 9th century, it may not be so. Compared to other gilt-stone gates found in Silla's region in the 9th century, it is possible that the people who refer to Kim and Daesa(大舍) were local residents who copied those of the central noble clas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even if the central noble class migrated with their families, they were not the ones who could hav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ocal community. These can be seen as people who prayed for blessings by returning to Buddhism in a difficult life. In the Stone Fragment of Jumi-sa Temple(舟尾寺) Site, the names of female figures who refer to 'A-ni(阿尼)' in the 9th century are also noted. I understood 'A-ni(阿尼)' not only as a term for female monk, but also as a term for elderly women who have indigenous mountain beliefs and have accepted Buddhism.

      • KCI등재

        백제 온조왕대 강역획정 기사의 제설 검토

        최범호(Choi, Beom-Ho) 백산학회 2010 白山學報 Vol.- No.87

        Baekje’s origin and establishment, and the process of its evolution could be traced through the records of “Baekje-bongi”(「百濟本紀」) in Samguksaki(『三國史記』). Baekje recorded in “Baekje-bongi” held a dominant position in relations with Lelang(樂浪), Malgal(靺鞨), Mahan(馬韓) and so on, and increased national power through using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Han River basin under the reign of King On-jo. Of the records of “Baekje-bongi”, the article of territorial demarcation in 6 B.C. was that the territory extended northward to the Fae-ha(浿河), southward the Woong-cheon(熊川), westward great sea, and eastward Ju-yang(走壞). Most of scholars doubted that the article was not the fact of the reign of On-jo, but the one of coming generations, and they presented a variety of views about time of territorial demarcation and position of territory. The first view about the time was to decide territorial demarcation in On-jo because in that time Baekje went beyond a step of walled-town state and came to territorial state as the mature stage in 6 B.C. The second one was to demarcate the territory in King Ko-i for in the time Baekje formed the confederated kingdom, established the nation and thus absorbed the surrounding powers and extended its territory on all sides. The third one was to circumscribed the territory in King Kunchogo for as conqueror Kunchogo largely extended its territory according to the article of “Baekje-bongi”. This fact went back to the one of On-jo. Moreover, there were the varied views about the position. For example, Fae-ha was regarded as Tae-dong River, Ye-seong River, or Im-jin River; Ju-yang as Chun-cheon or Ga-pyeong; Woong-cheon as An-seong River or Geum River. But each view involved a lot of controversial issues. Because the related view and awareness vastly were different, many problems were indicated. On this, if the article of territorial demarcation in On-jo was real, it represented the process of development that Baekje was established, absorbed the surrounding powers and extended its territory. Thus, the historical awareness seen in “Baekje-bongi”, if there were some controversies, was to lay emphasis on the fact that Baekje demarcated its territory in the times of King On-jo

      • KCI등재

        신라 경덕왕대 백제 고지 정책의 시행과 그 배경

        金康勳 ( Kim Kang-hu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1 大東文化硏究 Vol.114 No.-

        이 글은 신라 경덕왕대 백제 고지 지역을 대상으로 시행된 정책을 검토하고, 그것의 시행 배경을 신라인의 발해 인식과 관련하여 살펴본 것이다. 신라 지배층은 발해에 대해 말갈이 주도하여 건국한 국가로 인식하였는데, 752년 김태렴이 이끈 대일 사절단이 귀국하면서 발해를 고구려계승국으로 파악하는 인식이 왕경에 확대되었다. 이러한 인식은 발해에서 시작하여 일본을 거쳐 신라로 유입된 것이다. 신라는 사회경제적으로 열악한 처지에 있던 백제 고지 지역민이 이러한 인식에 영향을 받아 백제부흥의식을 표출하는 것을 억제할 필요가 있었다. 웅천주정에 장군 3인을 두어 반란에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체계를 갖추는 동시에 반란을 억제하는 효과를 노렸으며, 효행을 실천한 향덕을 포상하여 국왕에 대한 충성을 유도하였다. 경덕왕은 통제책과 회유책을 병행하여 백제 고지 지역을 안정시키고자 했던 것이다. This article analyzes politics implemented toward old territory of Baekje in King Gyeongdeok era and examines its background through cognition on Balhae in Silla. Silla's ruling class recognized Balhae as a country founded by Malgal. However, it changed in 752 when Kim Tae-ryeom Mission returned from Japan. Cognition that Balhae is successor of Goguryeo had rapidly spread in capital. This cognition began with Balhae and had flowed Silla via Japan. The people of the old territory of Baekje were in poor socioeconomic conditions. Silla tried to suppress they have consciousness of succeeding Baekje by the information of 'Balhae is successor of Goguryeo'. King Gyeongdeok had implemented control and conciliation policies. He announced the establishment of Janggun to counter a revolt in Woongcheonju-Jeong. In order to induce loyalty to the king, he rewarded Hyangdeuk handsomely for filial p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