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내증식 대반하의 상토 조성별 괴경 비대 조건 비교를 통한 최적 배양묘 생산 조건 확립

        이가연,민지윤,김미선,문병철,강영민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6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0 No.2

        대반하[大半夏: Pinellia tripartita(Blume) Schott]는 천남성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써 중국, 일본,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전역에 분포하며 꽃과 전초가 아름다워 최근 원예용으로도 많이 이용 되고 있으나 체계적인 대량번식 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배양을 통해 증식된 대 반하 기내 식물의 토양조성별 괴경 생육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기내 증식된 대반하 괴경의 크기에 따 라 직경이 1cm 이상인 경우 TypeⅠ, 1cm 이하를 TypeⅡ로 나누어 6종의 조합상토에 파종하여 괴경의 비대와 생육을 조사하였다. 괴경의 비대와 전초의 생육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초장, 잎 수, 마른 잎 수, 괴경 수, 괴경 크기, 생체중 및 건물중을 8주간 변화를 측정한 결과, Type I와 II 모두 코이어 68.0%, 피트모스 14.7%, 펄라이트 3.0%, 버미큘라이트 7.0% 및 제오라이트 7.0%로 구성된 조합상토 B에서 가장 우수한 생육을 보였다. 특히 TypeⅠ은 조합상토 B에서 괴경 크기와 생체중이 각각 45%와 101%를 보였으며, 이는 생육이 가장 좋지 못했던 처리구인 조합상토 E(코이어 14.3%, 피트모스 14.3%, 펄라이트 42.9%, 버미큘라이트 14.3% 및 제오라이트 14.3%)와 약 2배의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종자번식이 어려운 대반하의 기내 대량증식을 통한 육묘에 있어 안정적인 토양 순화와 대규모 배양묘 생산을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inellia tripartita(Blume) Schott is a herbaceous perennial plant belonging to the Araceae and distributed on Asia including of Korea, Japan, and China. P. tripartita is often used for gardening but has not been developed mass-breeding methods.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tuber growth in different combinations of mixed soils used six compositions. Tubers used to study was cultured in vitro and divided into two groups. TypeⅠ was diameter more than 1cm and the group of TypeⅡ was diameter below than 1cm. Enlargement of tubers and growth of aerial parts were measuring the plant height, number of fresh leaves and dead leaves, number of bullets, tuber size, and fresh / dry weight. The size/weight and numbers of tubers from the mixed soil B (coir 68.0%, peat moss 14.7%, perlite 3.0%, vermiculite 7.0% and zeolite 7.0%) were the best grown up for eight weeks. In case of TypeⅠ, GI (Growth index) of tuber size and weight were 45% and 101%, respectively. The difference of growth was doubled compared to the bad growth treatment as the mixed soil E(Coir 14.3%, peat moss 14.3%, perlite 42.9%, vermiculite 14.3%, and zeolite 14.3%).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similar experimental design for the P. ternata.

      • KCI등재

        기내증식 대반하의 상토 조성별 괴경 비대 조건 비교를 통한 최적 배양묘 생산 조건 확립

        이가연,민지윤,김미선,문병철,강영민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6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0 No.2

        대반하[大半夏: Pinellia tripartita(Blume) Schott]는 천남성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써 중국,일본,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전역에 분포하며 꽃과 전초가 아름다워 최근 원예용으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체계적인 대량번식 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배양을 통해 증식된 대반하 기내 식물의 토양조성별 괴경 생육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기내 증식된 대반하 괴경의 크기에 따라 직경이 1cm 이상인 경우 TypeⅠ, 1cm 이하를 TypeⅡ로 나누어 6종의 조합상토에 파종하여 괴경의비대와 생육을 조사하였다. 괴경의 비대와 전초의 생육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초장, 잎 수, 마른 잎수, 괴경 수, 괴경 크기, 생체중 및 건물중을 8주간 변화를 측정한 결과, Type I와 II 모두 코이어68.0%, 피트모스 14.7%, 펄라이트 3.0%, 버미큘라이트 7.0% 및 제오라이트 7.0%로 구성된 조합상토B에서 가장 우수한 생육을 보였다. 특히 TypeⅠ은 조합상토 B에서 괴경 크기와 생체중이 각각 45%와101%를 보였으며, 이는 생육이 가장 좋지 못했던 처리구인 조합상토 E(코이어 14.3%, 피트모스 14.3%,펄라이트 42.9%, 버미큘라이트 14.3% 및 제오라이트 14.3%)와 약 2배의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종자번식이 어려운 대반하의 기내 대량증식을 통한 육묘에 있어 안정적인 토양 순화와 대규모배양묘 생산을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inellia tripartita(Blume) Schott is a herbaceous perennial plant belonging to the Araceae anddistributed on Asia including of Korea, Japan, and China. P. tripartita is often used forgardening but has not been developed mass-breeding methods.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tuber growth in different combinations of mixed soils used six compositions. Tubers used tostudy was cultured in vitro and divided into two groups. TypeⅠ was diameter more than 1cmand the group of TypeⅡ was diameter below than 1cm. Enlargement of tubers and growth ofaerial parts were measuring the plant height, number of fresh leaves and dead leaves, number ofbullets, tuber size, and fresh / dry weight. The size/weight and numbers of tubers from themixed soil B (coir 68.0%, peat moss 14.7%, perlite 3.0%, vermiculite 7.0% and zeolite 7.0%)were the best grown up for eight weeks. In case of TypeⅠ, GI (Growth index) of tuber size and weight were 45% and 101%, respectively. The difference of growth was doubled comparedto the bad growth treatment as the mixed soil E(Coir 14.3%, peat moss 14.3%, perlite 42.9%,vermiculite 14.3%, and zeolite 14.3%).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the basic informationfor the similar experimental design for the P. ternat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