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남 탈춤에 나타난 덧배기춤의 배김새 분석

        강인숙 국립무형유산원 2023 무형유산 Vol.- No.14

        There is a saying in Korea that goes, “Yeongnam is dance, and Honam is sound.” In this saying, Yeongnam’s dance refers to a type of dance called deosbaegi , which is a folk dance that anyone from the Yeongnam region can perform. Deosbaegi was naturally passed down through the daily lives of Yeongnam people and was a folk dance of Yeongnam’s folk culture. However, with changes in the living environment, the natural transmission of deosbaegi has been disconnected, and now it is no longer a dance that anyone can perform. exists only in certain dances, such as the Ogwangdae and Yaryu dances, which are types of mask dances, and the Dongraehak dance.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existence of autonomy, individuality, and unstructured movements in deosbaegi, which was once a dance that anyone could perform. To achieve this goal, the researchers focused on the movements of current deosbaegi and analyzed the movements of mask dances performed in the Yeongnam region. This is because mask dances in Yeongnam are based on deosbaegi, and the dance movements of mask dances in Yeongnam are the same as those of deosbaegi. However, deosbaegi dances can be divided into unstructured and structured movements, and the current transmitted dance is the structured movement. The researchers compared the dance movements of Ogwangdae and Yaryu in the Yeongnam region based on the transmitted structured movements. They divided the movements into preparation, execution, and completion stages and further categorized the execution stage into different levels of movements, such as bending, stretching, and twisting, to analyze the movements. As a result, the researchers found that he primary movement of deosbaegi, which involves forcefully stamping the ground, differs in each region, indicating regional differences rather than differences between Ogwangdae and Yaryu. Such regional differences in mask dances reveal the identity of Yeongnam’s mask dances. “영남은 춤이요. 호남은 소리이다.”라는 말이 있다. 여기서 영남의 춤은 덧배기를 의미한다. 덧배기는 영남 지역민이면 누구나 출 수 있는 춤으로, 영남사람의 일상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전승되는 춤이었다. 즉, 영남 민속 현장에서 현존하는 민속춤이었다. 그러나 생활환경의 변화와 함께 덧배기의 자연 전승은 단절되었고, 덧배기는 이제 누구나 출 수 있는 춤이 아니다. 현재 덧배기는 영남지역 탈춤인 오광대와 야류, 그리고 동래학춤과 같은 일부 춤의 춤사위에 하나로만 존재한다. 이 논문은 누구나 출 수 있는 자율성·개성·비정형화된 덧배기에 존재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현행 전승되는 덧배기의 배김새에 관심을 두고, 영남지역에서 연행되는 탈춤의 배김새를 분석하였다. 이는 영남지역 탈춤이 덧배기를 기본으로 구성하였고, 영남지역 탈춤의 춤사위가 덧배기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덧배기춤은 비정형화된 허튼춤과 정형화된 배김새로 구분되는데, 현재 전승되는 춤은 정형화된 동작인 배김새이다. 연구자는 전승되는 배김새를 준거 틀로, 영남지역의 오광대와 야류의 춤동작을 비교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배김새를 진행 과정에 따라 준비단계·배기는 단계·푸는 단계로 구분하였고, 배기는 단계를 다르기, 배기기, 어르기의 3단계로 세분화하여 배김새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배김새의 주요 동작인 땅을 힘차게 내딛는 동작이 지역마다 각기 서로 다름을 드러냈는데, 이는 오광대와 야류의 차이가 아닌 지역별 차이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런 지역별 탈춤의 다름은 영남 탈춤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 KCI등재

        달구벌 덧배기춤의 미적(美的) 고찰(考察)

        백현순 ( Hyun Soon Baek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5 한국무용연구 Vol.33 No.3

        본 연구는 달구벌 덧배기춤의 미적 특성을 밝혀 실기연행에 필요한 춤의 토대를 세우는데 있다. 특히 춤사위의 구성과 관련하여 달구벌 덧배기춤에 내재된 춤사위의 미적 특성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한다. 춤의 외적 형태미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춤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 춤 고유의 미의식을 통해 내재적 해석이 표현으로 발현되기 때문이다. 연구내용으로는 우선 문헌자료를 토대로 달구벌 덧배기춤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성립되었는지 그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이 춤의 특징을 논의한 후, 그리고 이 춤을 구성하는 춤사위의 근거를 추적하여 그 미적 특질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달구벌 덧배기춤은 대구의 천왕매기굿에서 춤의 역사적 맥락을 찾을 수 있었다. 그리고 춤사위는 허튼춤 계열, 들놀이 계열, 천왕매기굿 계열로 구성하여 대구의 특성이 반영되었고 이 춤의 미적특질은 배김새를 통한 호방과 완곡의 미의식이 민중들의 인간적인 삶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으며 허튼춤에서 보여주듯이 삶의 애환에서부터 초탈된 자유로운 생명력을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was to build a foundation of the dance needed for practice by reviewing the aesthetic elements of Dalgubeol Deotbaegi dance. To attain this purpose,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history of this dance based on references and suggested theoretical grounds and explained features. Furthermore, this study explore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base of dance moves that form this dance. As a result, the historical context of Dalgubeol Deotbaegi dance was historically linked to Cheonwangmaegi Gut of Daegu. Dalgubeol dance`s broad-minded and euphemistic elements reflected the plain life of the ordinary people and it showed a vitality transcending joys and sorrows of life like those shown in Heotten dance.

      • KCI등재
      • KCI등재

        최현 작품 < 비상 >에 나타난 춤동작 특징 연구

        정혜진 ( Hye Jin Jeong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6 한국무용연구 Vol.34 No.1

        1970년대부터 활동했던 한국 창작 춤의 개척자 최현은 ``옛 정신을 담은 새로운 춤의 창조``를 주장했고, 과거 동작의 나열로 구성되었던 전통춤을 시대에 맞는 주제, 내용, 표현적 움직임으로 재창작하여 무대에 올리는 작업의 중요성을 알리고자 하였다. 최현의 창작적 의지가 돋보이는 대표 작품이 바로 < 비상 >이다. 1976년 작 < 비상 >은 갇힌 공간에서 창공의 학을 바라보며 새처럼 자유롭게 날아오르고 싶은 인간의 염원과 의지를 그린 작품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현의 무용사적 의미와 가치를 알아보고, < 비상 >의 춤동작 분석을 통하여 최현이 영남지역의 전통춤과 그가 습득한 여러 전통춤에서 발전시킨 독특한 호흡법과 움직임을 보여주고자 한다. 그 연구방법으로는 < 비상 >공연의 즉흥적 특성을 고려하여, 분석의 대상을 1998년 영상촬영 된 최현의 < 비상 >으로 제한하고 영상에 나타난 음악, 의상, 무대동선, 춤동작, 호흡 등을 분석하였다. 최현의 춤 특유의 형식적 특징을 밝힘으로써 ``시대적 변화를 반영한 전통의 재창조``로서 한국 창작 춤이 나아가야 갈 길과 발전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앞으로 지속될 최현 춤의 후속연구에 기여하고자 한다. As a pioneer of Korean creative dance, Choi Hyun (1929-2002) insisted on the "creation of a new dance containing the age-old spirit." He recreated Korean traditional dance, formerly composed of a series of movements, in the timely manner fit for the contemporary, in terms of theme, content and expressive moments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taging such works. Representing his endeavor of showing his creative intention is the work < Bisang > created in 1976. In this study, to learn the meaning and value of a private dance, Choi shows the unique breathing and movement evolved from traditional dances. As a method of research, this study limited the subject of the analysis to Choi`s < Bisang > performance video-recorded in 1998 and analyzed the music, costume, ground plan, dance movements, breathing, etc. in the video. By clarifying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Choi`s unique dance and as part of the re-creation of tradition reflecting generational changes, this study attempts to seek a way to the future for Korean creative dance and its direction of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