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궁중 인문보자기 연구

        권혜진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23 한국 복식 Vol.- No.49

        Bojagi, which was popular among the royal family and the private sector during the Joseon Dynasty, was not only used as a daily household item, but also as a ritual item used for ceremonies with courtesy or wrapping precious gifts. Inmoon-bojagi, decorated by a royal painter with a lucky pattern using colored pigments, is a beautiful cultural heritage that shows the high-quality packaging culture of the Joseon royal family as a ritual item prepared for royal weddings in the Joseon Dynasty. Research on the most formative and colorful Royal inmoon-bojagi among the Royal Bojagi is only a study of 14 Royal inmoon-bojagi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In this research, we will study the customs and formativeness of Royal Inmoon-bojagi in the Joseon Dynasty centered on the Duckon princess’ Inmoon-bojagi by comparing the traditional Royal Inmoon-bojagi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and the Inmoon-bojagi in the Seoul Craft Museum. Through literature studies on royal weddings, including National Wedding Ceremony , we want to find out the socio-cultural value of Royal Inmoon-bojagi in the royal packaging culture that reveals the production process, use, and size of the royal Inmoon-bojagi, which has limitation to reveal through the analyzing a small number of relics. Research on royal wedding records shows that Royal Inmoon-bojagi is a royal wedding product prepared through a careful production process by experts at a large cost to package precious gifts used in royal weddings. Royal Inmoon-bojagi, packed with various patterns symbolizing the couple’s love and happiness, the meaning of defeating ghosts or bringing good luck, has repeatedly used motifs such as phoenixes, flowers, fruits, treasures, and geometry, but all express various sculptures with different combinations and unique expressions. The formative beauty of Royal Inmoon-bojagi, which is beautifully designed with a certain format and content within a given canvas, can appreciate its design value from a modern perspective. 조선시대 왕실과 민간에서 애용되었던 보자기는 일상 생활용품으로 사용된 것뿐 아니라 예의를 갖추어의례를 행하거나 귀한 선물을 포장하는 일에 사용되었던 의례용품 이기도 하다. 궁중 화원이 채색 안료를사용해 길상무늬를 그려 넣어 장식한 인문보자기는 조선시대 왕실 혼례를 위해 마련된 의례용품으로써 조선왕실의 품격 높은 포장문화를 보여주는 아름다운 문화유산이다. 궁중보자기 중 가장 조형미가 뛰어나고 화려한 궁중인문보자기에 대한 연구는 국립고궁박물관 소장의 궁중인문보자기 14점에 대한 연구에 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덕온공주의 인문보자기를 중심으로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창덕궁 전래 궁중인문보자기와 서울공예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인문보자기 유물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 조선시대 궁중인문보자기의 풍속과 조형적 특징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국혼정례 를 비롯한 「궁중 발기」의 기록과 「가례 등록」 등의 왕실 혼례 관련 문헌 연구를 통해 적은 수량의 유물 분석으로 밝히기에 한계가 있는 궁중인문보자기의 제작과정과 쓰임새 그리고 그 규모를 밝혀 왕실의위엄과 품격을 드러내는 왕실 포장 문화에서 궁중인문보자기가 차지하는 사회문화적 가치를 알아내고자 한다. 또한 국립고궁박물관 외에 국내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인문보자기를 실견 연구하여 조형미와 조형적가치를 규명하고자 한다. 왕실 혼례 관련 기록의 연구 결과 궁중인문보자기는 왕실 혼례에 사용되는 귀한 예물을 포장하기 위해 큰 규모의 비용을 들여 전문가들의 분업과 정성스러운 제작과정을 통해 마련하는 왕실 혼례용품임을 확인할 수 있다. 부부의 사랑과 행복, 벽사와 길상을 상징하는 다양한 무늬로 꽉 찬 궁중인문보자기는 봉황무늬와 꽃무늬, 과일무늬, 보물무늬, 기하학무늬 등 같은 모티브를 반복해서 사용했지만 모두 다른 조합과 개성 있는 표현으로 다양한 조형미를 표출하고 있다. 주어진 화폭 안에 일정한 형식과 내용을 담아 아름답게 기획된 궁중인문보자기의 조형미는 현대의 시각에서도 그 디자인적 가치를 높이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궁중혼례용 ‘진주선(眞珠扇)’의 받침못을 통해 본 감장(嵌裝)기법 고찰

        심명보,김선영 국립중앙박물관 2019 박물관보존과학 Vol.21 No.-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진주선은 궁중혼례에 사용된 화려한 보석장식 부채로, 현재는 보석 장식이 사라진 상태이다. 유물의 명칭처럼 진주선이 처음 제작 당시에는 진주 등의 보석이 감장되었는지를 유추하기 위해 현재 남아 있는 받침못의 표면관찰과 성분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유사한 기법의 유물들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받침못을 따라 둥글게 돌면서 표면을 덮고 있는 회색의 이물질은 주석(Sn)-납(Pb) 합금이며, 못의 꺾인 흔적이 찍혀 있는 점을 보아 납땜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난집이 적용된 유물들에서 보이는 충진재의 흔적을 통해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진주선은 처음 제작 당시에는 원통형의 난집에 주석-납 합금을 채워서 진주나 보석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감장기법이 사용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The term jinjuseon(眞珠扇), meaning literally a pearl fan, refers to a fan decorated with precious stones for use in royal wedding ceremonies. This study examined a jinjuseon housed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NPMK) which currently lacks jeweled ornaments.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pearls or other gemstone settings originally ornamented the fan, the surface and composition of the gray materials remaining on the washers were investigated and the fan was compared with other artifacts decorated using similar techniqu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gray materials visible around the round rims of the washers contain tin-lead alloys. The traces of folded nails suggest that soldering was not applied. The remains of the infill observed in other artifacts with bezel settings indicate that this jinjuseon in the NPMK collection was produced using abezel setting technique where in pearls or other gemstones were affixed by filling cylindrical bezels with tin-lead alloys.

      • KCI등재

        복온공주 활옷의 자수편과 문양 분석을 통한 연대 추정

        이은주(Lee Eun Joo),서지혜(Seo Ji Hye),손진(Son Jin) 국립고궁박물관 2021 古宮文化 Vol.- No.14

        국립고궁박물관 소장의 복온공주 활옷의 이음선에 주목해서 구성의 특징을 살펴보고 자수편을 분리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온공주 활옷은 궁중자수의 진면목을 보여주는 소중한 유물로, 섭성 풍속으로 인해 안동 김씨 집안에서 5대에 걸쳐 혼례복으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훼손됨에 따라 20세기 전기에 수선을 하였다. 둘째, 복온공주 활옷풍의 자수편이 부착된 국내외 유물을 3점 확인하였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활옷 1점, 브루클린박물관 활옷 1점, 시카고 필드자연사박물관 활옷 1점이다. 셋째, 복온공주 활옷에는 5단으로 구성된 분할구도의 문양이 사용되었다. 문양은 덕온공주의것보다 좀 더 다양하고 조밀한 특징을 보였다. 넷째, 복온공주 활옷의 겉감은 총 36편이나 되는 크고 작은 조각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 중자수편은 뒷길 3조각, 앞길 3조각, 뒷소매 5조각, 앞소매 2조각 등 총 13조각이었다. 다섯째, 자수편 13조각을 재배열해 본 결과, 좌우 소매의 통수 자수편, 앞스란 자수편, 뒷스란자수편, 소매아래 자수편 등 4종의 자수편으로 분류되었다. 특히 통수 자수편에서 90cm 이상의광폭 공단이 사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여섯째, 뒷길 소매와 앞 스란 부위에 장식된 접문은 복온공주의 방석에 장식된 접문과 조형적특징이 다름을 확인하였으며 비대해진 길상문 꼭지의 보개문은 20세기 이후 출현하는 것이 아닐까라는 의문을 제기하였다. The results from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ion and analyzing embroidery pieces of Princess Bokon’s wedding dress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are as follows. First, Princess Bokon’s wedding dress is a valuable relic showing the essence of royal embroidery. It was repaired in the early 20th century from damages received during the process of using it as a wedding dress over five generations of the Andong Kim family. Second, wedding dresses with embroidery pieces of Princess Bokon’s style were identified from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Brooklyn Museum, and the Chicago Field Natural History Museum. Third, a five-stage split pattern was used for Princess Bokon’s wedding dress. The patterns were more diverse and denser than Princess Deokon’s wedding dress. Fourth, the outer appearance of Princess Bokon’s wedding dress consisted total of 36 pieces. And the embroidery pieces consisted of a total of 13 pieces among them. Fifth, as a result of rearranging the 13 pieces of embroidery pieces, they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of embroidery pieces. Sixth, It was confirmed that the butterfly pattern differs from that of the Princess Bokon’s cushion. And the question was raised that canopy patterns decorated on the wedding dress appeared after the 20th century.

      • KCI등재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노의(露衣) 일습(一襲) 고증 제작

        김남희 ( Nam Hee Kim ),최연우 ( Yeon Woo Choi ) 한국의류학회 2018 한국의류학회지 Vol.42 No.2

        Noeui was a garment used for women's outfits and rob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was a special garment that could only be worn by the class belonging to the royal family. Noeui was especially prepared as a wedding dress, and was worn by the bride at the Chinyeong ceremony on the day of the wedding ceremony. Until now, Noeui did not have in depth research at the costume history despite its importance as a royal costume in the Joseon Dynasty. Thus, based on Uigwe for the Royal Wedding Ceremony of King Injo and Queen Jangryeol (which is the only material with a diagram of Noeui and its pattern) this study historically investigated and restored the Noeui set of Queen Jangryeol, which was arranged in 1638, when King Injo and Queen Jangryeol were married. This academic study is the first to historically confirm and restore Queen Noeui's set, and rigorously analyze the historical materials as well as provide new comments on the shapes of Noeui's Git and the front si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