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행(兩行), 두 길로 가는 진인

        박민철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8 생명연구 Vol.50 No.-

        Zhuangzi’s philosophy is no use. This is a critique, which had already been raised by Huizi during the life of Zhuangzi and is being repeated until today. In this point of view, Zhuangzi won’t handle the practical world but escapes to the spiritual world. This paper responds to this age-old critique by analyzing the concept of Walking a Double Path in ‘Discussion on Making All Things Equal’ in Zhuangzi. Walking a Double Path is a behavioral mode offered by Zhuangzi, in which a ideal human character is willing to acknowledge the inevitable mode of life, while pursuing the path to Dao. According to Zhuangzi, human has limitations caused by being in human form. However, Zhuangzi doesn’t regard those limitations as something that has to be transcended but as conditions on which True Man can wander freely and easily. Zhuangzi never turns his back from the practical condition of human but he removes the false conditions of the practical conditions, walking toward Dao. Walking a Double Path is a concept that reveals how Zhuangzi connects the practical world to the spiritual world. True Man preserves his body and mind by Walking a Double Path, while opening the possibility of self-transformation to others. 장자철학은 쓸데가 없다. 장자의 생전에 혜자가 이미 제기한 이러한 비판은 정신세계로의 도피라는 형태로 오늘날에도 계속해서 반복되고 있다. 본 논문은 『장자』 「제물론」편의 조삼모사 이야기에 등장하는 양행(兩行) 개념을 분석함으로써 이 오래된 비판에 답한다. 양행은 장자가 제시하는 이상적 인간상의 행동방식으로, 인간이기에 부득이한 삶의 양태들을 기꺼이 인정하는 동시에 도를 향한 길을 추구한다는 뜻이다. 장자는 사람의 형태를 가지는 것에서 유래하는 한계들을 초월해야할 대상으로 여기지 않고, 진인이 소요할 수 있는 조건으로 삼았다. 장자는 결코 인간의 현실적 조건으로부터 등을 돌려 정신세계로 도피하지 않았다. 다만 도를 향해 걸으면서 현실적 조건으로부터 허위적 조건을 찾아 제거했을 뿐이다. 양행 개념은 장자가 현실 세계와 정신세계를 어떻게 연결시켰는지 보여준다. 진인은 양행함으로써 자신의 몸과 마음을 지키는 한편, 타인에게 스스로 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 KCI등재

        0과 1의 해석학-수학, 디지털 및 양자정보, 그리고 주역과 노장

        오태석 한국중국어문학회 2018 中國文學 Vol.97 No.-

        This paper mainly put emphasis on the concept of ‘ambiguity’ and ‘ambivalence’, not on‘clarity’ in regard to information theory. The specific contents are about the humanistic implies ofthe numbers ‘0 and 1’. I describe it into three parts as follows: ① Many interpretations ofhumanistic math about ‘0 and 1’ which could be extended to the circle and wave in TaiJI(太極)and its center line and its augural meaning of differential equation; probability; set in regard toGeorge Cantor’s diagonal argument; and exponential function and log function which are relatedwith the concept of information bit. ② A comparison of information theory about ‘0 and 1’ indigital computer’s bit with quantum computer’s qbit. ③ Mathematical semiotics of Yin and Yangin Book of Change(Yi-Jing), and Laozhuang’s view of ‘liangxing(兩行)’, i.e. going two-wayssimultaneously from the aspect of information theory. In this paper I maintain 3 points as follows: ⓐ Similarity of ambivalence(兩價性) between 0that includes nothing and infinity and concept of ‘Wu’(無) in Laozi(老子). ⓑ digital computer’soperating system is alternative algorithm i.e. {0/1}. Meanwhile quantum computer is simultaneouslyambivalent taking algorithm i.e. {0&1}, which is based on quantum superposition and quantumentanglement. In other words, digital computer is based on the way of optional choice, andquantum computer runs in two different ways simultaneously. I think quantum computer’s operatingsystem is much similar to the process of “Yang from Yin(陰中陽)” and “Yin from Yang(陽中陰)”in YiJing(易經), which is operated in intrinsically mutual complementary way. ⓒ For hundreds ofyears Western thoughts made much of rational clarity, and in result the thoughts of ambivalence’(兩價性) in East Asian traditional thoughts are neglected relatively. I think from the impact of Einstein’s Relative Theories and Quantum Mechanics in earlydecades of 20th century, people start ringing that rational clarity is not always superior toambivalence and ambiguity, especially in modern science. In this paper I considered the matter of26 中國文學 第97輯humanistic implies about ‘0 and 1’ especially from information theory. And I would like to evokethe changing situation in recent recognition on ‘ambiguity’ or ‘ambivalence’, unlike past centuries. 본고 〈0과 1의 해석학〉은 ‘0과 1’의 다양한 인문수학적 함의, 이 숫자들에 기초한 디지털컴퓨터와 양자컴퓨터의 구동방식의 비교, 그리고 주역 음양론과 노장 세계인식의 중요한 특징으로서의 양가성(兩價性)과 양행의 독법을 정보이론의 관점에서 풀어 해석하고자 했다. 제2장에서는 ‘0과 1’의 의미를 0의 양가성, 원과 파동, 확률, 집합론, 그리고 지수⋅로그(log)의 정보 단위로서의 bit와의 관련성 등을 인문수학적으로 고찰하였다. 제3장에서는 0과 1의 선택(0/1)에 기초한 디지털컴퓨터와, 양자역학의 기본 속성인 양자중첩에 기초해 0과 1을 동시에취하는(0&1) 양자컴퓨터의 알고리즘 구동 방식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이어 행할 주역 및 노장사유와의 상호 관련성을 가늠할 기초 자료로 삼았다. 제4장에서는 음과 양 혹은 0과 1의 이진법으로 운용되는 동아시아 주역 음양기호학의 괘의 확장과 전개가 방식으로 구동되며, 동시에 0과 1이 복희육십사괘도에서 보듯이 ‘음중양,양중음’의 내적 상관성 속에 움직이는 점, 그리고 노장이 공히 인식한 상도(常道)적 잠재계와가도(可道)적 현상계, 그리고 이 둘의 양면 구동인 양행(兩行) 병작(並作)의 사유가 양자택일적 디지털 컴퓨터보다는 양자컴퓨터와 더 근접함을 보았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 서구 르네상스 이후 전개된 근대이성 중심의 세속주의(secularism) 및데카르트와 뉴턴 이래 가속화한 분과주의 및 기계론적 이분법의 독점적 지배가 20세기초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으로 흔들리기 시작하면서, 장기간 홀시되었던 동아시아 사유의 이중성과 모호성의 양가(兩價)⋅양행(兩行)의 사유가 새로운 조명을 받을 충분한 시점에 이르렀다고논증하였다.

      • KCI등재

        李康洙 교수와 郭象의 『莊子』 知識論에 관한 비교 고찰

        서대원(徐大源) 한국도교문화학회 2005 道敎文化硏究 Vol.23 No.-

        본 논문은 『장자』지식론을 연구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이강수 교수와 곽상이 바라보는 ?장자?의 지식론을 살펴보았다. 왜냐하면 곽상의 『장자주』는 『장자』 연구에 있어 가장 권위 있는 참고서라 할 수 있고, 이강수 교수의 ?장자? 해설은 현대 한국 ?장자? 연구의 길잡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두 권위가가 바라보는 『장자』의 지식론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이강수 교수에 의하면, 『장자』의 지식론은 두 부분으로 구별된다. 즉 지식의 영역과 지혜의 영역이다. 지식은 본질적으로 상대주의적이고 불가지한 반면 지혜는 절대적이고 可知的이다. 그러므로 『장자』 지식론의 특징은 불확실한 지식을 버리고 지혜를 터득하는 것이다. 곽상에 의하면, 『장자』가 말하는 지식은 세 층차로 나눌 수 있다. 즉 有是有非, 無是無非 그리고 無是無非라는 기초 위에 있는 有是有非이다. 이 중 有是有非와 無是無非를 동시에 아는 것을 ‘兩行’이라 한다. 『장자』가 추구하는 지식론은 ‘兩行’의 지식론이다. 이강수 교수가 보기에 『장자』 지식론은 결국 확실한(hard) 지식에 대한 체증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곽상이 보기에 『장자』 지식론의 목적은 유연한(soft) 지식을 구축하는 데 있다.

      • KCI등재

        장자의 인식론에서 상대주의와 보편주의의 문제

        이진경(Lee Jin-Kyung) 한국도교문화학회 2011 道敎文化硏究 Vol.34 No.-

        이 글은 장자의 상대주의적 인식론과 보편지에 대한 모순적 관계를 구명해보기 위한 것이다. 장자의 인식론은 학자들 간에서 상대주의로 보는 견해와 보편주의로 보는 견해로 갈라져 있다. 그런데 인식론에 대한 이러한 논쟁은 인식 차원의 차이를 무시하고 일원적 관점에서 논의함으로 인해서 생긴 오류이다. 장자의 인식론은 상대주의와 보편주의가 교묘하게 얽히면서 상호 보완적인 양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서 어느 한편으로만 규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논자는 장자의 인식론을 통일적 상대주의1)로 정의하고자 한다. 장자의 통일적 상대주의는 도의 보편적 원리와 사물의 상대적 현상을 동시에 포착하는 포월(包越)적 인식방법이다. 그리고 이것은 인식 주관의 틀과 규정을 넘어서 존재 그 자체를 드러내는 존재론적 인식이다. 장자가 한편 상대주의적으로 인식을 이해하는 것은 현상 사물을 인식할 때 주관에 포착되는 인식의 상대성을 주목한 것이다. 그리고 또 한편 그가 보편주의적 인식의 태도를 보이는 것은 현상 사물로부터 연역되는 도의 보편성으로 세계와 사물을 이해하기 때문이다. 즉 장자는 이 두 관점(以道觀之와 以物觀之)을 동시에 사용하여 세계와 존재가 ‘묘요현동(妙玄同)’함을 통일적으로 인식한다. 장자는 상대성과 보편성, 사물과 도를 동시에 포착하는 인식 방법으로 ‘이명(以明)’과 ‘우저용(寓난庸)’을 제시한다. 이명은 존재에 대한 객관적 직관을 말하는데, 존재에 대한 직관을 통해 현상 사물과 사물의 존재 원리인도를 동시에 포착할 수 있다. 그리고 우저용은 인식 주체의 실존적 일상성과 대상의 구체성을 동시에 의미한다. 따라서 장자에게서 인식의 보편성은 인식 주체의 구체적 실존 위에서 대상의 본성을 객관적으로 포착함으로써 발견된다. 이 보편성이 바로 도이며 자연이다. 그리고 양행(兩行)과 제물론(齊物論)은 이러한 도의 보편성과 사물의 상대성을 보완적으로 구사하는 관용적이고 통일적인 인식 행위이다. Zhuangzi’s epistemology cannot be defined by one specific approach, for it is the intricate aggregation of both relativism and universalism. I defines Zhuangzi’s epistemology as unified relativism. Zhuangzi’s unified relativism is an encompassing method of cognition that simultaneously captures the universal fundamentals of Taoism as well as the relativistic phenomena of objects. And this is a type of existential cognition that breaks loose from the boundaries and regulations of the cognitive subjectivity and reveals existence itself. The reason that Zhuangzi, on the one hand, interprets cognition from a relativistic perspective is because he focused on the relativity of the cognition that is found in the subjectivity of perceiving an object phenomenon. And the reason that Zhuangzi, on the other hand, reveals a universal interpretation of cognition is because he understands that the universalism of Taoism, which lead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world and objects, is deduced from the object phenomenon. Zhuangzi proposes ‘Yi-Myung(以明)’ and ‘Woo-Zhe-Yong(寓난庸)’ as a method of perception that can simultaneously encompass relativism, universalism, object, and Taoism. The ‘Yi-Myung’ implies the objective perception of existence and allows the capsulation of both the object and its corresponding Tao, which is the principle behind its existence. Moreover, ‘Woo-Zhe-Yong’ implies the existential commonality as well as the object’s detailedness. Commonality can be discovered by objectively depicting the perceived object’s nature on top of the detailed existence. This commonality is in essence Tao and nature itself. Also, Yang-Haeng(兩行) and materialism(齊物論) are lenient and unified cognitive practices that reinforces universalism of Tao and relativism of object.

      • KCI등재

        0과 1의 해석학 ―수학, 디지털 및 양자정보, 그리고 주역과 노장

        오태석 ( Oh Tae-suk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8 中國文學 Vol.97 No.-

        This paper mainly put emphasis on the concept of ‘ambiguity’ and ‘ambivalence’, not on ‘clarity’ in regard to information theory. The specific contents are about the humanistic implies of the numbers ‘0 and 1’. I describe it into three parts as follows: ① Many interpretations of humanistic math about ‘0 and 1’ which could be extended to the circle and wave in TaiJI(太極) and its center line and its augural meaning of differential equation; probability; set in regard to George Cantor’s diagonal argument; and exponential function and log function which are related with the concept of information bit. ② A comparison of information theory about ‘0 and 1’ in digital computer’s bit with quantum computer’s qbit. ③ Mathematical semiotics of Yin and Yang in Book of Change(Yi-Jing), and Laozhuang’s view of ‘liangxing(兩行)’, i.e. going two-ways simultaneously from the aspect of information theory. In this paper I maintain 3 points as follows: ⓐ Similarity of ambivalence(兩價性) between 0 that includes nothing and infinity and concept of ‘Wu’(無) in Laozi(老子). ⓑ digital computer’s operating system is alternative algorithm i.e. {0/1}. Meanwhile quantum computer is simultaneously ambivalent taking algorithm i.e. {0&1}, which is based on quantum superposition and quantum entanglement. In other words, digital computer is based on the way of optional choice, and quantum computer runs in two different ways simultaneously. I think quantum computer’s operating system is much similar to the process of “Yang from Yin(陰中陽)” and “Yin from Yang(陽中陰)” in YiJing(易經), which is operated in intrinsically mutual complementary way. ⓒ For hundreds of years Western thoughts made much of rational clarity, and in result the thoughts of ambivalence’ (兩價性) in East Asian traditional thoughts are neglected relatively. I think from the impact of Einstein’s Relative Theories and Quantum Mechanics in early decades of 20th century, people start ringing that rational clarity is not always superior to ambivalence and ambiguity, especially in modern science. In this paper I considered the matter of humanistic implies about ‘0 and 1’ especially from information theory. And I would like to evoke the changing situation in recent recognition on ‘ambiguity’ or ‘ambivalence’, unlike past centuries.

      • KCI등재

        동아시아 시공간의 과학철학적 독법

        오태석 중국어문연구회 2019 中國語文論叢 Vol.0 No.96

        This paper examines East Asian Traditional Perspectives on Space-Time in connection with the splendid achievements of contemporary Physics such as Einstein’s Theory of Relatives and Quantum Mechanics. As the second of three articles on time and space, this paper discusses traditional East Asian perspectives of space-time from the meta-science aspect. The three main topics are the Western theories of time and spa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st Asian perspective of space-time, and the space-time representation of the East Asian literature and arts from the convergent perspective of science and humanities. The big change in the way we look at time and space began with Einstein’s theory of relativity. The main concept of this is that time and space are relative and are no more the discrete absolute subject, but rather geometric curvature that energy and density of matters produce. In my opinion, this is not a dichotomy of the formal logic of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in Western intellectual history, but rather an epistemological shift to a internal and transcendental dichotomy of mutual harmony. And these internal and transcendental thoughts were already deeply imprinted on the main thoughts of East Asia: The Book of Change, Laozi-Zhuangzi, and Buddhism. This paper is an reinterpretation from the combined viewpoints of the Modern Physics and Traditional East Asian Thoughts. And the interpretation of Ji(卽) as a Collapse of Wave Function, I.e.. immediate presentation from the field of potentiality. In regard to perspective of space-time I inquired into three main texts, i.e., The Book of Change, Laozi-Zhuangzi, and Buddhism and and Nagarjuna ZhongLun(中論) as below. ①The Book of Change: 0 and 1, yin-yang semiotics, The Book of Change, super-dichotomy of yin-yang, equivalent meaning of Taiji(太極) and Wuji(無極).② Laozi-Zhuangzi Taoism: intertextuality of visible and invisible worlds, i.e., Changdao(常道) and Kedao(可道). These are represented as World of Existing(有) and Nothing(無) also. and interpretation of Wuhua(物化) seen in Zhuangzi’s story of ‘Dream of Butterfly’(蝴蝶夢). ③ Perspective of Emptiness(空) in Prajnaparamita(般若) Sutra and Nagarjuna(龍樹) ‘Zhonglun’(中論) in Buddhism, Co-arising and Co-relating of all Things in the World from Indra’s Net. I think tangential thoughts and interpretations in this paper suggest a sort of connecting possibility of open sight between two different modes of thought, i.e., Western Science and East Asian humanities. We need to investigate further in various areas for tangential research like this in the middle of the vision of a cultural integ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