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한민국임시정부의 1920년도 대한민력 발행과 그 의미

        김시덕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9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65

        처음으로 공개되는 「대한민력」(1920)은 임시정부가 처음으로 발간한 역서이다. 「대한민력」은 북간도의 명문사학이었던 명동학교를 1973년 대룡동으로 이전할 때 발견되었다. 「명동학교건축기」를 기록한 종이가 바로 「대한민력」(1920)의 뒷면이었다. 임시정부의 「대한민력」 발간에는 여러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첫째, 세계 보편적 표준시간의 공유였다. 임시정부는 서기와 중화민국 기년을 적용하여 국제정세에 대응하고, 단기를 사용하여 민족국가로서 한민족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대한민국연호와 기년법을 사용하여 비록 임시지만 독립국의 의지를 분명히 하였다. 둘째, 기념일을 통한 국민통합 정치였다. 개천절과 독립선언일을 국경일 혹은 기념일로 정하고 성대한 기념식을 거행하여 국민들에게 독립의 희망과 집단적 단일성을 부여했다. 국경일과 기념일을 표기한 「대한민력」은 독립국가의 기억을 소환하여 국민을 통합하는 임시정부의 통치행위였다. 셋째, 국민주권 보장의 민주공화정치였다. 임시정부도 주권이 국민에게 있다는 것으로 헌법으로 규정하였다. 임시정부는 국민들이 임시정부와 동일한 시간체계를 공유하도록 「대한민력」부터 발간하여 배포하였다. 임시정부가 ‘국민주권’을 보장하기 위해 할 수 있는 최소한의 민주공화정치였다. 넷째, 국내진공작전 그림으로 독립전쟁의 의지를 담았다. 독립문을 통과하여 국내로 진공하는 끝없는 군대행렬과 이를 환영하는 군중을 그린 「대한민력」의 그림이 그것이다. 임시정부가 추진하는 독립운동노선을 세계 각지의 국민들에게 전파하고, 전 국민이 독립전쟁에 나서도록 독려한 것이다. 다섯째, 독립운동 전선을 통일하는 매개체라는 것이다. 임시정부는 경성을 표준시로 하는 독립국가임을 「대한민력」에 명시하였다. 「대한민력」은 독립운동 작전을 수행하는 독립운동가와 단체가 사용하는 시간체계를 통일하는 기준이었다. 이것이 일제가 「대한민력」을 ‘불온문서’로 압수하는 이유였다. 「대한민력」은 세계 각지의 한인들을 하나로 통일하고 연결하는 연계망이자 매개체였다. 이처럼 「대한민력」에는 임시정부가 추진한 독립운동의 다양한 의지가 들어 있었다. 한마디로 「대한민력」은 국민주권을 보장하는 임시정부의 통치행위 중의 하나였다. The first “Korean Calendar(DehanMinryeok, 大韓民曆)” was published by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PGRK) in 1920. The “Korean Calendar” was founded when Myeong-dong school was relocated to Deryong-dong in 1973, Myeong-dong school was a prestigious school in North Gando. “The architectural archives” was written on the back side of the “Korean Calendar”. I firmly believe that “the Korean Calendar” has some significant implications. First, it provides a universal standard time. The PGRK responded to the international situation by applying the B.C and the Republic of China calendar system. The PGRK also emphasized on the Korean people as a nation state by using Dangi(檀紀). And even if it was provisional, the PGRK made clear the will of the independent state through using Korean imperial era name(年號) and the calendar era system(紀年法), Second, the Korean Calendar may be an attempt to unify the Korean people and inspire their patriotism. It is because it made the National foundation Day of Korea and Declaration of Independence holiday. In so doing, the calendar intended to commemorate the grand ceremonies in order to give the people hope of independence and collective unity. The “Korean Calendar”, which marked National Holidays and anniversaries, was the administrative act of the PGRK that recalled the memories of the independent state and integrated the people. Third, it can be regarded as a democratic republic of national sovereignty. The popular sovereignty was guaranteed in the constitution of the PGRK. The PGRK published and distributed the “Korean calendar” to share the same time system with the PGRK. It was the minimum democratic republic that the PGRK could do in order to guarantee ‘sovereignty’. Fourth, the picture of the domestic advancing operation in the Korean Calendar shows the will of the Independence War. The picture depicts an endless army procession that advance to domestic passing through the Independence Gate and a crowd welcoming it. It propagated the independence movement battlefront promoted by the PGRK to the people of all over the world and encouraged the whole people to go to war of independence. Fifth, it can be considered a medium to unify the independence movement battlefront. The PGRK stated in the “Korean calendar” that the Republic of Korea is an independent nation with Kyungsung Standard Time. The “Korean Calendar” was a standard for unifying the time system used by independent activists and groups performing independence movements. This was a clear reason why the Japanese imperialists confiscated the “Korean Calendar” as a “loose document”. The “Korean calendar” was a network and a medium for unifying and connecting the Korean people from all over the world. In this way, the “Korean Calendar” show the will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promoted by the PGRK, in various ways. In short, the publication of the “Korean Calendar” was one of the administrative acts of the PGRK guaranteeing popular sovereignty.

      • KCI등재

        개성공업지구 부속의원에 내원한 환자의 임상양상에 대한 고찰

        박준석,김현종,김경환,신동운,김훈,전우찬,박준민,이한종 대한의사협회 2016 대한의사협회지 Vol.59 No.8

        The Kaeseong Industrial District (KID) is a special economic zone that is being managed in partnership by North Korea and South Korea. The Kaeseong Industrial District Medical Clinic (KIDMC) was founded to deliver healthcare services to South Korean workers staying at the KI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linical manifestations of the patients who visited the KIDMC from January 2013 to November 2014. All data were collected by analyzing the medical records of the patients. Gender, age, vital signs, and causes of visits were collected. The causes of visits to the clinic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Causes of Death and Disease, 6th edition.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s who underwent emergency evacuation from the KID to South Korea was reviewed in depth. The number of patients included in this study was 1,199. The total number of clinic visits was 2,548 and 3,873 in 2013 and 2014, respectively. The most common reason for a visit was respiratory problems (34.99%). During the study period, 103 patients underwent emergency evacuation from the KID during the study period. The most common reason for evacuation was trauma (20.39%). The mean time of emergency evacuation from the KIDMC to the southern office of Customs, Immigration and Quarantine was 176 minutes. We concluded that the KIDMC must obtain medical equipment and human resources for patients with various health conditions. Furthermore, equipment and medical staff should be obtained, and a system established, for fast, safe evacuation. We expect that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that would be valuable for such efforts. 개성공업지구(Kaeseong Industrial District)는 흔히 개성공단으로 불리며,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합작으로 운영하는 경제특구이다. 개성공업지구는 2000년 남북간 개발 협의를 시작하여 2003년부터 본격적으로 개발이 진행되었고, 이후 2004년부터 시범 운영을 거쳐 2014년12월에는 124개 기업이 입주하여 경제 활동하는 지역으로성장하였으나, 이후 남북관계의 경색으로 2016년 2월부터현재까지는 운영을 중단하고 있는 상태이다[1,2]. 이 지역에는 남측 근로자가 평일 기준 약 600-800여 명이상주를 하는 동시에 북측 근로자 5만 4천여 명이 출퇴근을하여 일개 중소도시 규모의 인구를 유지하고 있었다[2]. 개성공업지구는 지리적으로는 북한에 속해 있어, 출입 시 반드시 남측과 북측의 출입국사무소를 거쳐 미리 신고한 날짜에만 출입할 수 있었다. 그 과정에서 세관신고 및 검역을 포함한 행정 및 검문 절차를 거쳐야 했으며, 적절한 조건을 갖추지 못했을 경우 출입이 제한되거나 보류되었다[3,4]. 까다로운 출입 절차 때문에 개성공단 내에서 남측 근로자가 아프거나 상처를 입더라도 원하는 시기에 남측에 있는 의료기관을 이용하기 어려워 개성공업지구 내 남측 근로자들을 전담하여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기관에 대한 요구가 꾸준하게 있었다. 이런 배경 하에 2012년 12월에 개성공업지구 부속의원(이하 부속의원)을 설립하고 1개 대학병원에 위탁하는 방식으로 의료기관의 운영을 시작하였다[5]. 부속의원은 개성공단 내의 남측 근로자들만 전담하여 진료를 담당하는 유일한 일차의료기관인 동시에 남측으로 후송이 필요할 정도의 환자에 대해서 초기 안정화를 담당하는응급의료기관의 성격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엄격한 출입절차 등으로 인해 인적 물적 자원의 조달이 원활하지 않아, 부속의원은 다양한 질환과 응급상황을 예측하고 그에 가장적절한 자원을 개원 전 준비해야만 했으나 이를 위한 기본자료, 즉 환자군의 특성과 발생 가능한 응급상황 등에 대한조사가 사전에 없어 효율적인 준비가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부속의원을 방문한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분석하여 내원 환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진단명에 따른내원 사유를 조사하였고, 원래 정해진 날짜 이전에 의료 상의 이유로 남측으로 긴급히 후송하여야 하였던 경우를 분석하여, 이후 개성공단이 운영 재개되었을 때, 남측 근로자의 건강관리와 응급상황 대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해방 이후의 민간역서와 달력 시간의 혼종성

        김미화 ( Jin Meihua ) 한국사회사학회 2021 사회와 역사 Vol.- No.130

        같은 달력을 쓴다는 것은 같은 시간질서에 따르고 시간과 관련된 문화적 상징을 공유하는 것이다. 전통시대의 달력은 ‘역서’ 형태였고, 그것의 간행은 국가가 독점했다. 태양력 도입 이후에도 식민지기에 총독부는 전통적인 책자 형태의 역서를 독점간행했다. 해방 이후 역서 출판이 자유화되면서 남한에서는 다양한 민간역서가 대거 등장했다가, 1960년대부터는 명문당과 남산당 두 출판사가 시장을 거의 점유했다. 이들 민간역서는 제사나 택일 등과 관련한 전통적 ‘음력’의 수요에 부응하면서, 매 순간에 다른 의미가 매겨지는 질적 시간관을 온존시켰다. 시계 시간이 획일화되면서 정밀해진 것과 달리, 현대 한국에서 달력 시간은 비동시적인 것들의 공존, 다차원의 혼종성을 보인다. To use the same calendar is to follow the same temporal order and share cultural symbols of temporality. The calendar of the traditional period was created in almanac form, and the state monopolized its publication. Even after the inception of the Gregorian (solar) calendar, the General Government exclusively published official almanacs of traditional design during the colonial period. After liberation in 1945, the ban on the private publication of almanacs was lifted, which led to the popularity of various privately published almanacs emerging in the country. But starting from 1960s, two publishers, Myeongmundang and Namsandang, cornered the market in almanac sales and distribution. The popular almanacs met the needs of those people wishing to perform traditional lunar calendar-related ancestral rites. The almanacs also remained viable for crucial day-selections while preserving a qualitative conception of time. Unlike the uniformity and precision of clock-based perceptions of time, calendar time still allows non-simultaneous things to coexist, and produces multidimensional hybridity in modern Korea.

      • KCI등재

        이청준 소설에 나타나는 제주,제주민 의식 -「이어도」와 『신화를 삼킨 섬』을 중심으로-

        이성준 ( Sung Jun Yi ) 우리어문학회 2015 우리어문연구 Vol.53 No.-

        Yi Chung-jun is a special interest and affection for Jeju has had two novels and creative. Relatively early work can be called ‘이어도(Yieodo)’ and his later work in “신화를 삼킨 섬(Island swallowed Myths)” has a Jeju·Jeju residents are reflected in consciousness. ‘이어도(Yieodo)’ through the duality associated with the legendary island of Jeju Yieodo draw residents found the life and consciousness. In addition, “신화를 삼킨 섬(Island swallowed Myths)” through the wounds of the tragic recent history of Jeju 4·3 movement, the history of Jeju, Jeju residents found to draw consciousness. Two text that appears in the consciousness of the residents of Jeju, the first is a longing for the land. Trapped on the island, far from the land, must bear all the suffering and the pain came back to get away from the fate of parties expressed the desire of the residents of Jeju. Next, the reluctance of outsiders due to exclusivity. Historically, since the Goryeo Dynasty, occupied most of the outsiders have come to Jeju people, or the people who ruled Jeju residents, or those who suppressed the people of Jeju or Jeju residents was the exploitation of people. Thus, the resistance of the outsiders characteristics of Jeju residents can be called. Third, refusal·resistance against what is unjust. In particular, for the unfair denial of fate and destiny, and exposed to the resistance through out the text. As fate or destiny, but humans can not possibly avoid rejection and resistance because it is bound to have a limit. After all the frustration and resignation to fate, which is in compliance with this last drawn. This consciousness is the natural environment of Jeju residents, historical and socio-cultural situation and came to get it to be in inseparable, Jeju residents in the study of consciousness and there searchers pointed out that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of Jeju. Thus, both the text, Jeju and Jeju residents as well as the background of consciousness and reason, which is relatively more drawn and, as the author``s love and concern for Jeju, Jeju residents through a variety of materials are the result of consciousness called to be identified b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