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전기 사림(士林)ㆍ사림정치(士林政治) 연구의 쟁점과 전망

        김정신 ( Kim Jeong Shin ) 한국사상사학회 2020 韓國思想史學 Vol.0 No.64

        조선전기 핵심 정치세력이라 논해지는 ‘사림’에 대해서는 방대한 연구가 집적되었으며, 많은 핵심적 논제들이 이미 해명되었거나 논쟁이 되고 있다. 1970년대부터 본격화된 ‘사림’·‘사림세력’ 연구는 그 대응 세력으로서 훈구세력을 설정하고, 조선전기 지배세력을 ‘훈구세력’과 ‘사림세력’으로 이분화하는 가운데, 16세기 말 사림세력의 정권 장악을 훈구세력으로부터 사림세력으로의 ‘지배세력 교체’로 간주하고 이를 ‘성리학’과 ‘중소지주의 승리’라고 규정하였다. 이와 같이 훈구세력과 사림세력의 대립이라는 조선전기 정치사의 통설적 이해에 대해서는 일찍부터 비판이 제기되었다. 즉 ‘사림’의 개념이 부정확하게 사용되고 있고, 사림에 대한 설명에 실증적 근거가 부족한 측면을 지적함과 동시에 지배층으로서 훈구·사림의 동질성을 강조하는 연구들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조선전기, 나아가 한국 지배세력의 장기적 지속성·연속성을 강조하는 가운데 15·16세기의 조선사회 및 정치세력을 너무 정태적으로만 파악하거나 시대의 역사성을 간과하고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지금은 훈구세력과 사림세력을 도덕적으로 준별하는 이분법적인 인식을 지양하면서도 동시에 분명히 존재하고 있는 조선전기 지배층 내부의 정치적 대립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에 문제의식이 모아지고 있다. 사실로서 ‘사화’가 보여주듯이, 지배층 내부에서 현실 지배질서에 대한 이해를 달리하고, 정치운영의 지향을 달리하여 갈등하고 대립하였다는 것은 분명한 ‘역사적’ 사실이다. 그동안 15·16세기 조선전기는 고려적 유제를 청산하고 중세사회를 새롭게 재편하였던 시대로서 그 역사적 의미가 조명되어 왔다. 조선전기 지배층이 이른바 ‘경국대전체제’의 동요에 맞서, 서로 다른 집권화 방안으로 문제를 수습하고 집권질서를 재정립하려 하였던 것도 큰 틀에서는 중세사회를 재편하고자 하였던 노력의 일환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즉 조선전기 지배층의 갈등과 대립은 단순히 상대방에 대항하기 위한 권력 다툼 차원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공히 자신들 내부의 정치질서, 정치운영에 근거를 둔 ‘국가상(國家像)’의 수립이라는 차원에서 진행된 것이었다고 하겠다. 이렇듯 조선전기 지배층이 구상하였던 국가상의 다양한 내용과 면모를 시대적 좌표로서 복원해낸다면, 한국 중세 정치세력·정치사상이 조선전기 사회의 다양하고 역동적인 변화에 조응하여 발전하고 있었음을 동태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Muc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Sarim (士林), the main political force in the early years of the Joseon dynasty, and many of the core issues surrounding this force have been studied in detail or are currently being debated. Research on the Sarim and the Sarim faction that began to take off in the 1970s situated the Hungu faction as the counterforce to the Sarim. This vein of research established the Hungu and Sarim factions as the ruling power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Accordingly, the Sarim faction’s seizure of power at the end of the sixteenth century has been considered the turning point at which the ruling power passed from the Hungu faction to the Sarim faction. This shift has been described as the victory of neo-Confucianism and small and medium-sized landowners.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of early Joseon political history holds up the conflict between the Hungu and Sarim factions as a manifestation of the confrontational landscape of the political forces at the time. However, this understanding has been criticized for being innately and excessively formulaic and for involving an ethical value judgment. Other perspectives have emphasized the homogeneity of the Hungu and Sarim factions as both made up of members of the ruling class. These perspectives treat the differences and directions in political thought that arose during this period as arising from differences in the duties of court officials and the Three Offices. These perspective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arise from strictly impartial empirical research techniques. However, they are also problematic in that they understand Joseon society and political powers only from a static perspective by overly emphasizing the long-term persistence and continuity of the ruling power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by extension, Korea. These perspectives carry the risk of concluding that these ruling groups fully represent the identity of the Joseon dynasty. As such, the focus of the current study on the Sarim faction rejects the dichotomous perception base on moral standard of the Hungu and Sarim factions examines the political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factions. As literati purges shows, the two factions had different understandings of the ruling order and for this reason came into conflict. This conflict is thus a clearly a historical fact. Thus, the task of research is to provide a dynamic and systematic understanding of how political power and thought in medieval Korea were developing in correspondence with the various and dynamic changes taking place in early Joseon society.

      • KCI등재

        조선전기 "훈구(勳舊)","사림(士林)"의 출처론(出處論)과 공신관(功臣觀)

        김정신 ( Jung Shin Kim ) 한국사상사학회 2011 韓國思想史學 Vol.0 No.37

        조선전기는 변칙적 왕위계승이 빈번하게 일어났다. 권력체계의 안정이 이루어지지 못한 시대적 특수성 속에서, 군주로서는 왕권을 성공적으로 구축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자신의 집권을 지지하는 정치적 협력 집단의 창출이 필수적일 수밖에 없었다. 조선 전기 다수의 功臣 배출은 그 결과였다. 이 속에서 執權層은 많은 유동성을 지니면서 형성의 과정을 거치고 있었고, 거듭된 공신의 양산은 ``功業``을 중시하는 출처론으로써 뒷받침되었다. 이에 따라 사대부에게는 가능한 한 높은 지위에 올라 자신의 능력과 의지로 크나큰 공업을 쌓을 것이 요구되었다. 사대부로서 오를 수 있는 최고의 자리는 곧 공신이 되는 것이었다. 단순히 높은 지위만이 문제가 아니라 그 지위가 현세에 끼치는 공업과 연관되어야 함을 고려할 때 공신은 이 양자의 조건을 모두 충족시키는 자리였던 것이다. 훈구세력들은 ``封建``을 매개로 공신의 세력을 확대, 世臣으로 좌정하게 하고 이로써 천하의 기강을 유지하고 군주의 고립을 방지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른바 세신정치론이었다. 공신·훈벌은 봉건의 이념과 원리에 근거한 세신정치로써 군주에게 가장 믿을 수 있는 측근이자 정치적 동반자로 자리하게 되었다. 나아가 세신정치론은 그 자체로 조선전기 공신의 지속적인 배출을 합리화하고 정당화하는 논거가 되었다. 이들의 세신정치론은 군주의 고립을 방지하고 왕권의 안정을 뒷받침한다는 ``성취``의 측면에도 불구하고, 조선전기 공신의 지속적인 배출을 합리화하고 그 정치·경제적 특권을 정당화하는 ``한계``를 함께 지니고 있었다. 한편 사림세력은 의리의 담당을 자임하는 출처론을 전개하였다. 출처의 기준을 道·義의 실천에 두었던 사림세력에게 출처의 방식은 처음부터 관직에 나아가지 않는 경우를 비롯하여 관직에 나간 이후의 거취와 관직에서 물러난 이후의 처신까지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었다. 특히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도덕적 수양에 전념하는 士의 ``處``가 ``出`` 못지않게 긍정되고 있었던 점은 도·의를 중시하는 출처론의 주요한 특징이었다. 도·의를 중심에 놓는 사림세력의 출처론은 훈구세력이 주장한 공신 중심의 봉건의식을 대체하기 위한 이론적 기반이 되었다. 사림세력은 세조대 이래 공신들을 利慾과 탐욕의 소산으로 보았다. 그들은 또한 공신의 존재가 利를 추구하는 풍조를 확산시킴으로써 종국에는 군주의 자리를 찬탈하고 나라를 혼란에 빠뜨릴 위험성을 가지고 있음을 경계하였다. 군주는 공신이 많으면 많을수록 돕는 사람이 많아진다고 생각하여 공신을 우대하고 世臣을 양성하지만, 세신을 근간으로 한 정치의 운영은 결국 군주보다 권세가 높고 세력을 키우는 신하를 계속해서 양산하는 것에 불과하다는 것이 사림세력의 생각이었다. 이처럼 사림세력은 사대부의 사명과 역할을 강조한 道·議의 출처론을 통하여 훈구세력을 권력을 이용하여 私的 이해에 몰두하는 정치적 이익 집단으로 비판하였다. 특히 훈구공신에 대한 ``僞勳`` 삭제를 집요하게 제기하고 관철시켜 나감으로써 공신의 권위와 위상을 부정하였다. 이를 통해 사림세력은 사대부의 정치·사회적 책무와 정국주도를 전제로 하여, ``公論``을 바탕으로 국왕과 신료 사이의 권력균형과 양반지배층 전체의 권익 균점을 보장하는 정치방식을 추구하였다. 사림세력은 국가의 집권력을 훈구공신을 중심으로 하는 소수 특권 양반층의 이해로부터 강화시키는 한편 그들 자신이 현실정치의 담당주체로서 자임하고 항구적으로 정치에 참여할 수 있는 정치체제·권력구조를 제시해나가고자 하였다. Anomalous succession to the throne had occurred frequently in early Choseon period. It was considered as an inevitable procedure for the king to create a political group who would support him in an attempt to strengthen the royal authority and to sustain the power under the circumstances of instable power structure. As a result, the numberous meritorious vassals(功臣) were produced in this period. Not only the ruling elite was in the formation process with flexibility in the way, but also it was backed up by chulcheoron(出處論) which lay stress on the exploits by a vassal. The nobility was required receiving credit for meritorious deed by seeking a highest position. In other words, becoming meritorious vassals was the highest honor for the nobility. However, it could become a satisfactory position only if a nobility holds a suitably high position and a meritorious deed to be remembered. Hungu group emphasized that the stability of world and prevention of isolating king would be achieved only when it had expanded the influence of meritorious retainer and rightly govern in accordance with feudal system. It is called the theory of saeshin(世臣) governing. According to the principle and idea of feudal system, meritorious vassals and the blue blood had become as the most reliable and trustworthy political partner. Although saeshin political theory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stabilizing royal authority and preventing the isolation of the king, it could also be used as a justification for the continuously increasing number of meritorious vassals and the political and economic privileges for hungu faction. On the contrary, sarim(士林) faction developed, chulcheoron, a theory based on Justice and Moral obligations. A group of sarim elites who designed the theory was considering it as the practice of morally righteous·justice whether serving under the government or not. One of the main emphasis for cheolchulron, emphasizing both morally righteous and justice, had not only affirmed chul(出)but also insisted the morally cultivate according to cheo(處)of sa(士). Chulcheoron, emphasizing righteousness and justice, had become the theocratical base for sarim replacing feudal minds of hungu who stressed an important role of meritorious vassals. Sarim thought the meritorious vassal had become avaricious and covetous since Sae-jo period. They also expected that existence of meritorious vassals would emphasize natural principle(理) in the society and it might lead to the dethronement of king and state into the chaos. Sarim faction thought that even though a sovereign king gives preference to meritorious vassals, the politics base on the saeshin will only fostering the civil servants who eventually surpass the authority of king. Therefore, sarim faction, on the standpoint of chulcheoron, criticized hungu group as a political faction who seeks only private interests. Sarim faction denied the legacy and power of meritorious vassals by arguing to withdraw medal of hungu. Particularly, Sarim group, on the assumption of the political and social duties by the ruling elite, sought an ideal politics by balancing of power between king and subject according to gongron(公論)and dispersing the power among civil servants. Sarim faction, on the one hand, made an effort to strengthen the state power by minimizing the rights of privileged elites, and the other hand they proposed a political system and power structure operating mainly by themselves.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초기 정국의 추이와 용헌 이원의 대응

        이병휴 ( Byung Hyoo Lee ) 역사교육학회 2004 역사교육논집 Vol.32 No.-

        From the Presbyterians objecting to being separated from the Anglican Church to all kinds of separate religious sects such as the radical Quakers, Baptists etc, various religious sects came to belong to an artificial and legal category through the Clarendon Code, specially Act of Uniformity. They consisted of various religious sects, so they didn`t have anything in common with each other. But, as time went by, the hostilities against the Anglican Church, the basic assumptions they shared and Anglican Church`s persecutions made them create their own identity. Though they didn`t become an unified organization, they had some traits of their own ways. Those traits were strict time management, flexible and indestructible educational system and comparatively high status that women enjoyed in their societies.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se dissenters were suppressed by a series of laws called the Clarendon Code, they survived the Restoration period thanks to loose enforcements of laws and Charles Ⅱ`s attempts of toleration. Though they were just 4% of the whole population, they got England to be divided religiously and politically and caused some big issues which often disturbed violently the English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