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철학) : 율곡이 수용,전개한 공자의 효사상(상)

        김익수 ( Ik Soo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6 韓國思想과 文化 Vol.33 No.-

        공자(孔子 B.C.551-479)는 유교(儒敎)의 창시자이며 육례(六禮)를 연구하였고 仁義道德을 매우 강조하였다. 공자의 중심사상은 인(仁)이며 교육과 실천철학의 중핵(中核)인 효사상(孝思想)을 전개하였다. 한국도 삼국시대(三國時代)에 유교가 들어오면서 경전(經典)을 통해 전수되어 본래의 실천적인 고유도덕사상의 기반위에 이론을 갖춘 ``한국적 효사상``으로 재정립(再定立)되어 전체 한국 사상사에서 그 위상이 아주 높다. 그 공능은 윤리 교육과 철학의 기저(基底)를 이루어 왔고 인류평화사상으로 확산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동방문화(東方文化)가 서방문화(西方文化)보다 우수성은 효사상(孝思想)과 효문화(孝文化)에 있다고 하여도 과언은 아니다. 인류의 스승인 孔子는 말하기를, "내 뜻은 『춘추(春秋)』에 있고 행실은 『효경(孝經)』에 있다. (吾之在春秋 行在孝經)"고 하였다. 오늘날 정신적 문화의 병폐는 치유하기 어려운 지경에 이르렀고 청소년 교육문제는 심각한 기로에 놓여 있다. 이러한 현실은 서구사상과 문화의 비판 없는 수용과 경제적 가치에 치중해 온 결과이다. 인류문명의 새 기운을 열고 인류역사에 일대 전환의 길은 도덕교육과 효사상과 효문화 재정립에 관건이 있음을 본고에서 천명하고자 한다. 율곡(栗谷, 성명은 李珥 1536~1584)은 조선조 중기에 국정(國政)이 문란한 때에 국정개혁책(國政改革策)으로 그의 특유의 문화철학(文化哲學)을 실행하여 공자의 효사상을 한국적으로 재정립하였다. 그 수용·전개양상을 논고하여 새 문화 창조의 기틀을 삼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의도이다. 21세기는 문화에 관건이 있으니 오늘날 시대에 맞게 재정립해야 할 필연성은 절대적이므로 본 연구의 가치는 현실적으로 매우 크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가정 청소년자녀를 위한 성경적 효교육

        박행님 한국효학회 2011 효학연구 Vol.0 No.13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한국사회에서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은 교육의 현장과 한국 교회의 중요한 구성원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제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확고히 정립하는 동시에 한국사회의 일원으로서 건강하게 적응하고 성장 하도록 도와야 하는 것은 한국사회와 교회의 책임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의 청소년들로 하여금 한국사회의 일원 으로서, 또 교회의 구성원으로서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서 성경적 효교육에 대해 살펴보았다. 정체성 형성에 있어서 결정적 시기에 있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에게 한국문화의 기 저를 이루고 있으며 한국사회가 인간교육의 핵심으로 여겨온 ‘효’에 관해 교육하는 것은 한국사회 적응과 한국국민으로서의 정체성 형성을 지원하는 효율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위한 성경적 효교육의 궁극적 목적은 ‘성경적 효에 대한 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의 생활문화와 가치규범에의 적응과 그를 통한 한국국 민으로서, 또 하나님의 자녀로서의 바른 정체감 확립’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를 위한 성경적 효교육의 목표는 부모 공경을 통하여 하나님을 경외하는 법을 배 우게 하는 것, 부모를 공경함으로써 어른을 섬기며 가족을 사랑하게 하는 것, 부모 공경의 효가 이웃사랑과 나라사랑으로 확장되어 실천되도록 하는 것, 그리고 효의 정신이 자연보호와 인류봉사로 확장되어 실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곧 성경적 효교육의 내용인 대리의 효, 순종의 효, 친애의 효, 존속의 효로 연결된다. 본 연구 에서 제시하고 있는 성경적 효교육의 목적과 목표, 그리고 내용을 바탕으로 다문 화가정 청소년을 위한 성경적 효교육의 방법을 구상하고 실천함으로써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건강한 정체성 형성과 성경적 가치관 확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된다.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s putting down roots as important members in education field and Korean church. Now, it becomes the responsibility of Korean society and church to help to establish identity of adolesc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firmly and to adapt and growth as members of Korean society. This study examined the biblical Hyo(filial piety) education as a device for helping adaptation of adolesc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as members of Korean society and church. Adolescence is a critical period for formation of identity. Hyo(filial piety) education for adolesc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can be the effective way for support of adaptation in Korean society and formation of identity. Because of Hyo(filial piety) is the basis of Korean culture and core of human education of Korean society. The ultimate goal of biblical Hyo(filial piety) education for adolesc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is the adaptation in Korean life culture and the standard of value and the identity formation as the Korean people and people of God through the right understanding of biblical Hyo(filial piety). And the objectives of biblical Hyo(filial piety) education are to learn the fear of God through the respect for parents, to love families and to care the elderly on the basis of the respect for parents, to love neighbors and nation, to protect nature and to serve mankind as a extension and practice of Hyo(filial piety). These objectives are connected directly with the contents of Hyo(filial piety) education, that is Hyo of representation, Hyo of obedience, Hyo of affection, Hyo of continued existence. The plan and practice for the biblical Hyo(filial piety)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goal, objectives and contents of biblical Hyo(filial piety) education suggested in this study is respected to contribute to the identity form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biblical values for adolesc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효 문화 대중화’의 의미와 청소년 교정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남병훈(Nam Byong Hun) 한국교정복지학회 2008 교정복지연구 Vol.- No.13

          한국은 효 문화를 전통적으로 오랫동안 간직해오고 있다. 오늘날 이 효 문화를 보다 적극적으로 가르치고 소개하여 현대인이 효 의식을 가지고 이것을 삶의 기본적인 가치관으로 삼아 이상적인 인간관계를 형성해나감으로써 살기 좋은 사회를 형성해가는 것을 지향하는 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어떻게 효를 가르치고 삶에 적용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달리 말해서, 효 문화의 대중화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때 효에 기초한 윤리의식이 이 사회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BR>  효 문화란 효 사상, 효 교육, 효 예절, 효 풍습 등을 비롯해서 정신문화와 물질문화를 모두 포함한다고 볼 수 있는데, 간단히 말해서, 부모공경의 가치를 소중히 여기며, 가정예절과 이웃에 대한 존중의 태도를 갖고 살아가는 것으로서 정신과 행동과 예술을 포함한 총체적 양식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문화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현대의 효 문화는 좁은 의미에서 유행성 문화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폭넓게 따를 수 있는 효의 규범이나 가치관을 제시하는 것이며, 고급이나 저급이나 상관없이 일반인 누구나 따를수 있는 문화로서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가운데 사회적 변화와 발전에 부응하는 삶의 공존 방식을 제시하고 가르치는 것으로 제시될 필요가 있다.<BR>  이러한 효 문화를 대중화하기 위해서는 연령과 계층 간에 의사소통과 더불어 효과적인 교육이 실행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서, 인터넷 세대를 고려하여 효 문화콘텐츠를 개발하고, 영상과 음향을 활용하여 스토리텔링 기법으로써 효의 내용과 방법들을 가르치고, 행동주의 원리에 입각한 효교육을 위해서 객관적 강화조건들을 형성하여 합리적인 효 문화를 이루어갈 수 있도록 한다. 그 구체적인 적용으로서 교정시설에 수감된 청소년을 위한 방법을 모색해보았다. 이들은 그 특수한 환경으로 인해서 비교적 효 문화의 수용과 교육 효과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BR>  앞으로 신세대가 효 문화에 관심을 갖고 구체적으로 효를 실천해나가고 기성세대가 이에 부응하여 효교육에 힘쓰고, 효 의식으로 새롭게 형성된 화합 사회의 비전을 제시할 때 비로소 효 문화는 이 시대에 부합하는 한국의 대표적인 문화로서 그 역할을 다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된다.   Korea has been famous for its traditional Hyo (filial piety) culture. Nowadays some people have the perspectives that if Hyo culture is well educated to modern people, they might consciously regard Hyo as their moral values and have the vision of harmonious living-together on the basis of ideal human relationship. But, the question is how you can teach Hyo to be adapted to your daily life. In other words, successful popularization of Hyo culture would help to make the formation of moral consciousness based on Hyo thought - the ideal relationship of people.<BR>  Hyo culture contains both spiritual culture and material culture including Hyo thought, Hyo education, Hyo proprieties, Hyo custom, etc. In short, Hyo culture is the holistic form of values, behavior and arts, and it is the lifestyle of loving and respecting family members and neighbors which comes from the values of honoring parents. There are several ways of understanding or interpreting cultures. We may define modern "Hyo culture" as the norms or values which can be accepted to people in general, not as pop culture in narrow sense of the word. Without the classification of its lower or higher levels, Hyo culture needs to be presented as a general culture which everyone needs and can take in. We could teach it as the lifestyle of harmonious coexistence according to social changes in postmodern era.<BR>  For the goal of the popularization of Hyo culture, we need to start teaching for all age groups with the help of mutual communication. For example, developing the digital contents of Hyo culture for young netizens, telling Hyo stories with the help of visual and sound effects, and using behavior technology and operant conditioning of Hyo in schools and homes could help us to make Hyo culture reasonable and scientific. By applying to juvenile delinquents, the effectiveness of the methods was presented. As these young adults are confined in a special environment, easy acceptance of Hyo culture and effective Hyo education is expected.<BR>  If the young generation become interested in Hyo culture and start to practice it, old generation would put forth their strength to teach Hyo and try to offer the vision of harmonious society for future generation. Then, Hyo culture could perform an active and central role for the present times and the commg years.

      • KCI등재후보

        다문화사회 융화를 위한 동아시아 속 孝에 대한 노래연구 - 부모를 기리는 노래를 중심으로 -

        김신혜 한국효학회 2012 효학연구 Vol.0 No.15

        요즘 전 세계적으로 경제활동을 목적으로 하거나 교육을 위해 인구이동이 현저히 일어나고 있다. 한국에서도 근대화·산업화·세계화과정에서 1980년 후반 이후 이주 노동자와 결혼 이주여성의 증가로 인구이동이 크게 나타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한국 사회는 다문화 사회로 급속히 변해가면서 사회의 소통과 융화에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여러 문제들이 야기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다문화 가족을 이루는 사람들과의 다문화이해를 통한 서로의 소통의 사회로 가야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 사회가 좀 더 융화하기 위해 서로의 공통된 문화를 찾아보아 서로의 공감대를 형성하여 소통하는 사회의 정신을 세우고자한다. 그 정신의 핵심은 우리나라 뿐 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정신문화이며 실천 문화인 효(孝)문화로 보았다. 현재 다문화가정을 이루는 결혼이주 여성의 여러 나라의 ‘어머니날’ 노래나 ‘부모를 기리는 노래’에서 효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 나라의 노래에서 찾아보고 그 사회의 정신과 문화를 좀 더 이해하여 같은 효문화를 갖고 있는 문화인들로서 건설적인 다문화사회를 이룩하고자 하는 것이다. Nowadays marked movement of population is taking place globally for the purpose of economic activities or education. Such population movement has been occurring to a great extent in Korea as well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industrialization, and globalization due to an increase in immigrant workers and married immigrant women since the late 1980's. Because of this, our society is undergoing rapid changes toward a multicultural society, which causes much difficulty in communication and harmonization of the society along with social problems. Amidst these changes, therefore, we as well as those who form multiculture families should be adapted to the society and move to the stages of harmonization.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search fo mutually common cultures and establish the social spirit of communication through formation of a mutual bond of sympathy for the greater harmonization of our society. The core of such spirit has been considered as the culture of filial duty, which constitutes a spiritual and practicing culture of not only our country but also East Asia. Thus it is aimed at finding from the country's songs how the filial duty is revealed in the songs of 'mother's day' or 'remembrance of parents' in the countries of married immigrant women forming the multiculture families, and establishing a constructive multicultural society as cultural people with the same culture of filial duty through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pirit and the culture of their societies.

      • 효문화예술 콘텐츠의 전개와 미래의 전망

        박희원 한국예술융합학회 2023 예술융합연구 Vol.6 No.-

        ‘효’라는 글자는 생기 전부터‘효행위’가 있었다는 180만 년 전의 화석에서 그 증거를 추론할 수 있다. 또한, 인류 발전 풍습에 따라,‘부모를 잘 섬기는 일’이라거나, ‘입신양명’,‘계지술사’의 의미 등으로 인류 문명의 발전에 따라 효행의 의미가 변천되어 오는 등 다양한 의미가 있다. 근대를 깃점으로 전근대와 탈근대의 시대적 패러다임에 따라 효의 궤적을 문화예술 작품을 통하여 살펴본다. ‘문화예술’이라 함은‘문화’보다는 좁고,‘예술’보다는 큰 의미로 받아들이기로 하고, 고고학 자들이 발견한 네안데르탈인의 유골의 일부는 심각한 신체적 장애를 지니고도 오래 생존한 것으로 판명되었는데, 이것은 친척이 돌보았다는 증거로부터 효의 의미를 추적한다. 먼저, 농업혁명의 단초가 된 청동기 및 철기의 발명은 농업 생산성이 높아지면서 혈연 중심 의 기초적 집단의 협업에 수월한 규율이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 규율은 가족 과 집단을 결속할 수 있는 가공의 접착제가 필요하였기 때문이며, 이 가공의 접착제가‘효’이 었을 것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한편, 농업 위주의 정주사회이었기에 가족의 협동과 조상을 숭배하는 사상이‘효’라는 실천 적 삶으로 나타난 것과 인간을 홀론으로 설명하는 사례를 참조할 필요가 있다. 전근대의 효 문화예술은 주로 그림과 설명의 방식으로 전수되었으며, 24효와 삼강행실도, 오륜행실도 등 으로 집약되어 전해 온다. 이는 유교의 정신이 집중적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불교와 다른 종 교에서의 효행위 등도 문화예술의 작품으로 전해진다. 근대에 접어들면서, 영화 등의 미디어 발달에 따른 문화예술 작품으로 확장되었으며, 탈근대에 이르러서는 과거의 문화예술 작품 을 수용하면서 확장 발전시키는 양상으로 발전하였다. 각 시대에 부합하는 효문화예술작품을 통하여 효의 발전을 살펴 정리함에 본 연구에 의의가 있다. The word hyo can infer the evidence from fossils from 1.8 million years ago that there was a hyo-practice even before its birth.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ustoms of human development, the meaning of filial piety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human civilization, With modernity as the focal point, the trajectory of filial piety is examined through cultural and artistic works according to the paradigm of the pre-modern and post-modern times. Culture and art is narrower than culture and will be accepted in a greater sense than art, and some of the Neanderthal remains discovered by archaeologists have been found to have survived for a long time despite serious physical disabilities, tracing the meaning of filial piety from evidence that relatives cared for. First of all, it can be assumed that the invention of the Bronze Age and Iron Age, which were the starting points of the agricultural revolution, formed a rule that was easy for collaboration between basic groups centered on blood ties as agricultural productivity increased. The rule was due to the need for a processed adhesive that could bind families and groups, and it can be explained that the processed adhesive would have been 'hyo'. On the other hand, since it was an agricultural-oriented settlement society, it is necessary to refer to the fact that the idea of family cooperation and worshiping ancestors appeared as a practical life of hyo and the case of explaining humans as holons. Pre-modern filial piety, culture, and art were mainly transmitted in a way of painting and explanation, and 24 filial piety are concentrated and handed down. The spirit of Confucianism is intensively transmitted, and filial piety in Buddhism and other religions is also transmitted as a work of culture and art. In the modern era, it was expanded to cultural and artistic work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media such as movies, and in the post-modern era, it developed into an expansion and development pattern while accepting cultural and artistic works of the pas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and organizes the development of filial piety through filial piety culture and art works suitable for each era.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 사학(史學) : 대전의 효문화 전통과 효문화 인프라

        한기범 ( Ki Bum Ha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1 No.-

        전통시대 대전인의 효행 중에서 특징적인 것은 은진송씨 3세효자, 여흥민씨 3세7효, 해주오씨 4세9효와 같이 3세 이상 대를 잇는 효가 여러 가문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는 점이다. 이는 대전이 효문화 전통이 출중한 선비의 고장이었음을 알게 하는 하나의 단서가 된다. 대전인의 효행의 유형은 대개 다음과 같았다. (1)전란 중 평생의 병을 얻기까지 헌신적으로 부모를 봉양한 민평의 효행, (2)미음으로 여묘살이를 계속하다가 상중에 35세로 죽은 민환의 헌신적인 효행, (3)비가 오나 눈이오나 고기낚시로 부모를 공양하였던 강운상과 오국환의 낚시 효도, (4)한글소설을 지어 어머니를 기쁘게 해 드린 김만중의 재능효도, (5)돌아가신 부모의 어려웠던 때를 생각하여 평생 요를 깔지 않고 잠자고, 또 아버지의 유모를 위해 묘비를 세워 아버지의 은혜를 대신 갚고자 했던 송시열의 의리적 효행, (6) 여성으로서 3년 여묘살이를 해낸 성씨부인의 효행 등이 그것이다. 이 중에서 오늘의 우리에게 가장 큰 울림이 되는 것은 효도하는 마음가짐이다. 그것은 공경하는 마음으로 부모를 봉양하고, 부모의 마음을 기쁘게 하는 데에 최고의 가치를 두는 효행들이다. 대전 선비 송기수가 ‘효도는 어버이의 마음을 자신의 마음으로 삼는 것‘이라 한 것은 효가 마음으로 소통되어야 할 것을 말한 것이다. 그것은 또한 위의 대전인들의 모범적인 효행들에서도 공감될 수 있는 바이다. 이렇게 부모와 자식간에 마음과 마음으로 통하는 효가 참된 효이다. 그것이 ‘소통의 효’이고 ‘지기(知己)의 효’이다. 옛 것을 모범으로 삼아 새 것을 창출한다는 ‘법고창신(法古創新)’의 정신으로 볼 때, 그것은 21세기에 요청되는 새로운 유형의 효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대전은 현대적으로도 효문화 인프라가 출중한 고장이다. 136개의 성관유래비가 서있는 뿌리공원과 효를 주제로 하는 효문화 뿌리축제, 그리고 500년 역사의 이사동 문중묘역 등은 세계 어디서도 찾기 어려운 훌륭한 효문화 자산이다. 대전의 풍부한 효문화전통을 응용하여 효문화콘텐츠를 개발하면서 그 효행의 연고지와 함께 뿌리공원과 문중묘역 등을 효문화 체험의 장으로 적극 활용한다면 대전은 효심을 진작하고 효문화를 선도하는 효의 성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출중한 효문화인프라는 대전인 만의 것이 아니라 전 국민적이고 세계시민적인 효의 체험장으로 육성되고 활용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Daejeon is the town of scholars with a prominent tradition of filial piety culture. It is noteworthy that filial piety had been performed over three generations or more at many different families including 3 Se Hyo(3세효) of the Eunjin Song family, 3 Se 7 Hyo(3세7효) of the Yeoheung Min family, and 4 Se 9 Hyo(4세9효) of the Haeju Oh family among the filial behavior of Daejeon people during the traditional era. The filial acts unique to Daejeon include the followings: (1) Minpyeong(민평) devotedly supported his parents until he contracted a lifelong disease during the war; (2) Minhwan(민환) ended his devoted filial piety at the age of 35 when he passed away in mourning after keeping the grave on the thin rice gruel; (3) Kang Woonsang(강운상) and Oh Gukhwan(오국환) demonstrated their filial piety through fishing by supporting their parents with the fish they caught whether it rained or snowed; (4) Kim Manjung(김만중) used his talent to perform his filial duties by making his mother happy with his novels in Korean; (5) Song Shiyeol(송시열) demonstrated loyal filial piety by sleeping on no Korean-style mattress for life, thinking of the difficult times that his late parents went through, and repaying the kindness of his father`s nanny for him by setting up her tombstone; and (6) Lady Seong(성씨부인) kept the grave of her parent as a woman for three years. There is no doubt that excessive or irrational filial acts should be excluded such as Jakjijinhyeol(斫指進血), which involves feeding one`s finger blood in a sick parent, Bunsang(糞嘗), which involves the diagnosis of a parent`s illness with feces, and Jongsa(從死), which involves a child choosing death after the death of his or her parent. The most prominent filial acts performed by Daejeon people placed the utmost value on supporting parents with respect and making them happy. The mindset of performing filial duties is important. Song Gisu(송기수), a scholar from Daejeon, said, "Performing filial piety is to stand in the shoes of parent," which suggests that filial piety should be communicated from mind to mind. When parents and children communicate from mind to mind, children can perform true filial piety. That is the "filial piety of communication" and "filial piety of self-knowledge." Given the spirit of "Beopgochangshin(法古創新)," which means creating something new on the model of something old, it can be a new type of filial piety proper for the 21st century. Daejeon also boasts its outstanding infrastructure of filial piety culture in a modern sense. Its remarkable assets of filial piety culture that cannot be found anywhere in the world include the Roots Park with 136 Seonggwanyuraebis(성관유래비), the Festival of Filial Piety Culture Roots on the topic of filial duties, and the family graveyard of 500-year history in Isadong(이사동). If Daejeon actively develops the content of filial piety culture by applying its rich tradition of filial piety culture and utilizes those places as the venues for the experiences of filial piety culture, it will be able to emerge as a world-renowned destination to promote filial affection and lead the filial piety culture.

      • 시조(時調)와 효(孝) 문화의 동시진흥방안 연구

        곽종형 ( Kwak Jong Hyoung ),이군익 ( Lee Gun Ig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21 사회복지경영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우리 민족은 근본이념인 '홍익인간'(弘益人間)을 구현하기 위하여 정신적 교화의 바탕을 이루어 왔던 효(孝) 문화의 기원을 문헌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그리고 또 하나의 소중한 정신 문화유산인 우리 고유의 정형시로서의 시조(時調)를 통한 효 문화의 진흥을 위한 선조(先祖)들의 고심과 노력의 자취를 찾아보았다. 그 과정을 통하여 ‘효 문화’를 기반으로 한 우리의 민족문화유산의 세계화 가능성에 대한 자존감을 고취하고, 미래의 정신문화를 선도하는 대한민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시조를 통한 효 문화의 진흥’을 위한 방안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우리 고유의 정형시로 민족문화의 꽃으로 피어난 ‘시조(時調)의 세계화’를 통하여 우리 문화의 진흥과 효 문화의 진흥이 함께 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고려 말 학자인 우탁(禹倬)이 최초로 지었다는 한글시조 ‘탄로가(嘆老歌)’는 100여 년을 구전으로 전해져 오다가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한 이후에 문자로 기록되었다. 이는 세종대왕의 한글창제와 더불어 고유의 정형시를 통하여 민중의 계몽과 성리학적 사유의 세계를 표현한 세계 유일의 문학세계를 형성한 찬란한 문화의 탄생이라 할 수 있다. 그 후 시조(時調)는 충절과 효(孝), 자연과 사랑 등을 노래하는 무한한 상상력과 반전의 묘미가 있는 독특한 문학으로 계승되어, 불굴의 민족정신과 충효의 정신을 노래하며 독립운동의 열망에 불을 지피기도 하였다. 최근 미국의 고등학교에서는 우리나라의 시조(時調)를 배우며, 미국 전역에 걸쳐 영시조 경연대회를 하고 있다. 효 문화를 주제로 한 시조 경연대회를 매년 개최할 경우 효 문화와 시조 문학의 동시 진흥을 위하는 첩경이 될 것이며, 우리 문화의 세계화를 통하여 남북한의 동질성을 회복하고 분단의 아픔을 치유해 나아감으로써 세계 평화에 이바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studied the origin of filial piety culture, which was the basis of spiritual enlightenment, in order to realize the fundamental ideology of the Korean people, "Humanitarianism." We also found traces of the efforts and efforts of our ancestors to promote filial piety through poetry with a fixed form, another precious cultural heritage. Through this process, we studied ways to promote filial culture through progenitor" in order to promote self-esteem about the possibility of globalization of our national cultural heritage based on "HYO culture" and to become a leading nation in the future." In addition, the promotion of our culture and the promotion of filial piety culture were studied through the Globalization of Sijo, which bloomed as a flower of national culture with our own orthodox poem. The Korean sijo "Tanro," which was first built by Wutak, a scholar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has been oral for more than 100 years and was recorded as a letter after King Sejong created Hangeul. Along with King Sejong's creation of Hangeul, Sijo was the birth of a brilliant culture that formed the world's only literary world that expressed the world of folk enlightenment and Neo-Confucian reasons through its own traditional poetry. Since then, Sijo has been inherited as a unique literature with infinite imagination and unexpected charm of singing loyalty, filial piety, nature and love, and set fire to the desir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singing the spirit of indomitable national spirit and loyalty. Recently, high schools in the U.S. are learning the progenitor of our country and are competing in English progenitor competitions throughout the U.S. If Korea holds an annual progenitor contest on the theme of filial piety,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promote filial piety and progenitor literature at the same time, and it is hoped that it will contribute to world peace by restoring the homogeneity of the two Koreas and healing the pain of division.

      • KCI등재

        대전의 효문화 전통과 효문화 인프라

        한기범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1 No.-

        Daejeon is the town of scholars with a prominent tradition of filial piety culture. It is noteworthy that filial piety had been performed over three generations or more at many different families including 3 Se Hyo(3세효) of the Eunjin Song family, 3 Se 7 Hyo(3세7효) of the Yeoheung Min family, and 4 Se 9 Hyo(4세9효) of the Haeju Oh family among the filial behavior of Daejeon people during the traditional era. The filial acts unique to Daejeon include the followings: (1) Minpyeong(민평) devotedly supported his parents until he contracted a lifelong disease during the war; (2) Minhwan(민환) ended his devoted filial piety at the age of 35 when he passed away in mourning after keeping the grave on the thin rice gruel; (3) Kang Woonsang(강운상) and Oh Gukhwan(오국환) demonstrated their filial piety through fishing by supporting their parents with the fish they caught whether it rained or snowed; (4) Kim Manjung(김만중) used his talent to perform his filial duties by making his mother happy with his novels in Korean; (5) Song Shiyeol(송시열) demonstrated loyal filial piety by sleeping on no Korean-style mattress for life, thinking of the difficult times that his late parents went through, and repaying the kindness of his father's nanny for him by setting up her tombstone; and (6) Lady Seong(성씨부인) kept the grave of her parent as a woman for three years. There is no doubt that excessive or irrational filial acts should be excluded such as Jakjijinhyeol(斫指進血), which involves feeding one's finger blood in a sick parent, Bunsang(糞嘗), which involves the diagnosis of a parent's illness with feces, and Jongsa(從死), which involves a child choosing death after the death of his or her parent. The most prominent filial acts performed by Daejeon people placed the utmost value on supporting parents with respect and making them happy. The mindset of performing filial duties is important. Song Gisu(송기수), a scholar from Daejeon, said, "Performing filial piety is to stand in the shoes of parent," which suggests that filial piety should be communicated from mind to mind. When parents and children communicate from mind to mind, children can perform true filial piety. That is the "filial piety of communication" and "filial piety of self-knowledge." Given the spirit of "Beopgochangshin(法古創新)," which means creating something new on the model of something old, it can be a new type of filial piety proper for the 21st century. Daejeon also boasts its outstanding infrastructure of filial piety culture in a modern sense. Its remarkable assets of filial piety culture that cannot be found anywhere in the world include the Roots Park with 136 Seonggwanyuraebis(성관유래비), the Festival of Filial Piety Culture Roots on the topic of filial duties, and the family graveyard of 500-year history in Isadong(이사동). If Daejeon actively develops the content of filial piety culture by applying its rich tradition of filial piety culture and utilizes those places as the venues for the experiences of filial piety culture, it will be able to emerge as a world-renowned destination to promote filial affection and lead the filial piety culture. 전통시대 대전인의 효행 중에서 특징적인 것은 은진송씨 3세효자, 여흥민씨 3세7효, 해주오씨 4세9효와 같이 3세 이상 대를 잇는 효가 여러 가문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는 점이다. 이는 대전이 효문화 전통이 출중한 선비의 고장이었음을 알게 하는 하나의 단서가 된다. 대전인의 효행의 유형은 대개 다음과 같았다. (1)전란 중 평생의 병을 얻기까지 헌신적으로 부모를 봉양한 민평의 효행, (2)미음으로 여묘살이를 계속하다가 상중에 35세로 죽은 민환의 헌신적인 효행, (3)비가 오나 눈이오나 고기낚시로 부모를 공양하였던 강운상과 오국환의 낚시 효도, (4)한글소설을 지어 어머니를 기쁘게 해 드린 김만중의 재능효도, (5)돌아가신 부모의 어려웠던 때를 생각하여 평생 요를 깔지 않고 잠자고, 또 아버지의 유모를 위해 묘비를 세워 아버지의 은혜를 대신 갚고자 했던 송시열의 의리적 효행, (6) 여성으로서 3년 여묘살이를 해낸 성씨부인의 효행 등이 그것이다. 이 중에서 오늘의 우리에게 가장 큰 울림이 되는 것은 효도하는 마음가짐이다. 그것은 공경하는 마음으로 부모를 봉양하고, 부모의 마음을 기쁘게 하는 데에 최고의 가치를 두는 효행들이다. 대전 선비 송기수가 ‘효도는 어버이의 마음을 자신의 마음으로 삼는 것‘이라 한 것은 효가 마음으로 소통되어야 할 것을 말한 것이다. 그것은 또한 위의 대전인들의 모범적인 효행들에서도 공감될 수 있는 바이다. 이렇게 부모와 자식간에 마음과 마음으로 통하는 효가 참된 효이다. 그것이 ‘소통의 효’이고 ‘지기(知己)의 효’이다. 옛 것을 모범으로 삼아 새 것을 창출한다는 ‘법고창신(法古創新)’의 정신으로 볼 때, 그것은 21세기에 요청되는 새로운 유형의 효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대전은 현대적으로도 효문화 인프라가 출중한 고장이다. 136개의 성관유래비가 서있는 뿌리공원과 효를 주제로 하는 효문화 뿌리축제, 그리고 500년 역사의 이사동 문중묘역 등은 세계 어디서도 찾기 어려운 훌륭한 효문화 자산이다. 대전의 풍부한 효문화전통을 응용하여 효문화콘텐츠를 개발하면서 그 효행의 연고지와 함께 뿌리공원과 문중묘역 등을 효문화 체험의 장으로 적극 활용한다면 대전은 효심을 진작하고 효문화를 선도하는 효의 성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출중한 효문화인프라는 대전인 만의 것이 아니라 전 국민적이고 세계시민적인 효의 체험장으로 육성되고 활용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효 문화진흥원 설치를 위한 소론 - 효 문화진흥원 설치의 필요성과 운영방안을 중심으로 -

        오장근 한국효학회 2009 효학연구 Vol.0 No.9

        본고는 지난 2007년 7월 2일 국회를 통과한『효행 장려 및 지원에 관한 법률』(2008년 8월 4일 시행)에 기초하여, 그 설치가 요구되는 『효 문화진흥원(Korean Hyo Culture Contents Agency : 이하 KHCCA)의 구성 체계 및 운영 방안에 대한 로드맵을 제시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를 위해 본고는 논의를 크게 세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전개하였다. 본고는 먼저 오늘날 사회 문제로 손꼽히는 고령화 문제, 가족 문제 그리고 시대 윤리의 문제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시된 우리의 효 문화를 재조명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효 문화를 장려하기 위한 효 문화진흥원 설치의 필요성을 되짚어보고, 이어서 효 문화진흥원의 올바른 운영을 위한 방향성을 명시하였다. 특히, 효 문화진흥원의 운영과 정책을 다루는 제3장에서는 효 문화진흥원의 역할을 분명히 밝히는 데 초점을 두면서, 효 문화진흥원이 한국 사회 내에서 그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효과를 ‘효 문화진흥원 설치를 통한 산출물’이라는 제목으로 제시하였다. 이는 크게 6가지 분야로 나눌 수 있었는데, 각 분야가 고유의 산출물을 배출하는 동시에 자기 완결적 선순환을 이룰 때 그 효과가 가장 클 수 있음을 주장한다. 본고는 또한 효 문화진흥원의 구체적인 운영 방안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이는 앞 장의 효 문화진흥원의 운영 방향과 계하는데, 본고는 이 운영 방안을 3가지의 하위 분야로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실시하고, 각자의 성격에 맞게 운영되며 연계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본고에서는 운영안의 효과적인 실행을 위해 효 문화진흥원 운영조직화 사업의 중장기 목표와 로드맵을 제시함으로써 그 운영의 실효성을 극대화시키고자 하였다. This paper has been proposed on the basis of the 『‘Law on Hyo11): Law on encouraging and supporting Hyo』that has passed the National Assembly in July 2nd 2007. It provides a road map for the system and administration of KHCCA: Korean Hyo Culture Contents Agency』. The issues regarding the matter are stated in three chapters. First, the paper deals with controversial issues on aging society, family problems and ethics. Then, it suggests our 'Hyo culture' as a solution to the issues. Through this it points out the necessity to establish KHCCA, and demonstrate a general direction for its administration. In particular, it focuses on clarifying the role of KHCCA, and presents the expected results of KHCCA if it is properly performed its role in the Korean society, in the title of 'Products of establishing KHCCA'. This could be divided into six categories, and the thesis stresses that the best results will come out provided that each categories produce the best output on their own as well as working together as a whole to form a positive and complete cycle of synergy. Second, the paper provides a specific plan to administer KHCCA. This part is related to the general direction for its administration stated in the previous chapter. Here, it has classified the plan to three phases, and proposes that we execute the plan in steps and the three phases run in connection with each other. Lastly, the paper sets a long-term objective and a road map for systemizing KHCCA to confirm that the plan works most effectively.

      • KCI등재후보

        동아시아 소통 공감의 인성코드 효문화 탐색 - 전통적 효개념의 다의성과그 사회적 적용 가능성 검토 -

        김덕균 한국효학회 2016 효학연구 Vol.0 No.24

        효사상은 모든 종교·문화·사상의 저변에 깔려 있음에도 전통적 효에 대한 오해가 심하다. 효의 규범적·사회적·경제적 효과가 긍정적 요소보다는 부정적 요소가 많다는 지적이다. 권위주의 시절 이데올로기로 활용된 효의 역기능을 말한다. 하지만 한국인의 ‘집합의식’ ‘사회자본’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 효정신이 과연 부정적인 요소일 수밖에 없을까? 거기엔 이 사회 긍정적으로 작용했던, 또 작용할만한 가치는 없을까? 여기서는 크게 세 가지 측면에 치중했다. 첫째, 효개념의 다의성을 인문적·사회적 가치차원에서 그 의미를 찾아보았다. 효를 단지 부모자녀간의 윤리적 차원에서만이 아닌 좀 더 다양한 가치를 두고 정리해 본 것이다. 둘째, 전통적 효를 보통 부모 말씀에 순종·복종하는 것으로 이해하는데, 때에 따라서는 불순종·불복종도 효가 될 수 있음을 고전을 토대로 정리하였다. 합리성을 전제로 하는 상황에 따라 때론 불순종·불복종도 효가 됨을 찾으면서 효의 다의성을 확인하는 일이었다. 가부장적 권위주의 시절에는 이치에 어긋나더라도 순종과 복종이 효라고 생각했지만, 그래서 일방적인 헌신·봉사·희생을 강요당했지만, 이미 당대 그렇지 않은 합리적 논의가 있었음을 확인 정리하였다. 셋째, 효문화가 유교적 가치와 맞물려 혈연주의·연고주의의 폐단을 가져오긴 하였지만, 한편에선 근현대사회 ‘사회자본’으로 긍정적 역할도 하였다는 것이다. 기독교 윤리가 서구 자본주의 정신으로 작용하였다는 막스 베버의 이론에 근거, 동북아시아에서는 유교가 급속한 경제발전의 원동력이 되었고, 그 가운데 특히 ‘기억과 재현’(추모와 제사)으로 표현될 수 있는 효문화가 중요한 정신적 요소로 작용하였다는 것이다. 넷째, 현대 오늘날 우리사회의 다문화·다민족사회 소통 공감코드로 효문화가 갖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다섯째, 복지지향의 사회에서 복지를 보완할 정신적 가치로서 효문화가 어떤 기능을 할 수 있을지를 모색해 보았다. 한국사회가 효복지사회로 가야할 의미와 내용을 생각해 본 것이다. 현대적 관점에서 심각한 폐단과 문제를 낳았던 효문화, 노동집약적 농경사회의 가족윤리에 기반 했던 효사상이 지식정보사회로 접어든 오늘날 왜 다시 필요한가를 정리한 것이다. 복지사회이자 다문화·다민족사회에서 효가 갖는 규범적 의미와 사회 통합적 소통·공감의 가치를 찾아 다시 활용할 수 있는 여지를 만들어보려는 뜻이다. There has been some misunderstanding on the traditional Filial piety(HYO: Harmony of Young & Old, 孝). It is true that most religions, cultures, and even some ideologies were at least partially based on HYO spirit.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HYO has shown some negative aspects, especially during the authoritarianism period. This study discussed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HYO which has significantly affected the Korean society. Three aspects of HYO were evaluated in this study. First, HYO may be understood as a few different meanings, such a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humanities and socioeconomic. HYO, of course, includes the ethical value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n this study some socioeconomic values were also discussed. Second, traditional HYO usually means that children obey their parents. However, some classical literature reported that disobedience could also be HYO. This literature suggested that the disobedience due to the rationality and consideration of others could a way to express a variety of HYO. In patriarchal social order, only obedience was HYO. In this social system, the sacrifice and obedience of children were forced by the social system. Interestingly, during the same time period, some people were against this traditional HYO. This new movement was discussed in this study. Finally, when HYO and Confucianism were merged, the favoritism by blood, school, regional and even vocational connections caused lots of negative consequences in the society. This study discussed not only this negative aspect of HYO, but also some positive roles of HYO even in the Confucianism dominated society. We now live in a multicultural, multiracial and welfare society. If the HYO spirit was combined properly in this society, HYO may help advance the society with social norm, which may be safer and more valu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