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근 회심 조사를 통한 복음전도의 교훈

        김선일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7 복음과 실천신학 Vol.42 No.-

        본 연구는 2005년 이후 기독교로 회심한 303명의 이들에 대한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한국교회의 최근 회심자 현상과 전도의 교훈을 모색한다. 회심을 이해하는 것은 기독교 신앙의 정체성 이해를 증진시키는 동시에 우리가 어떻게 전도를 실천할 것인가에 선행한다. 본 연구는 2014년과 2016년 두 번에 걸쳐 실행된 회심자 설문 조사 결과를 토대로 최근 회심자들의 유형과 과정을 고찰한다. 최근 회심자의 기준은 지난 10년 이내에 세례를 받고 현재 교회에 출석하는 이들을 말한다. 이 두 가지 기준은 Gordon Smith가 말하는 온전한 회심을 이루는 외면적 요소 두 가지에 근거해서 정해졌다. 기독교로의 회심에 대한 연구가 서구에서는 Finding Faith Today나 Thom Rainer's Scale을 통해서 실행된 반면, 아직 한국에서는 이 영역에 대한 뚜렷한 조사가 없었다. 최근 회심자에 대한 조사는 한국교회의 선교와 전도 사역을 위해서 가치 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그와 같은 조사를 수행하면서 전도 사역을 위한 교훈을 진단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제시된 설문들은 Lewis Rambo의 회심의 단계 이론에 근거해서 만들어 졌으며, 여기에 Thom Rainer의 과거 불신자 분석을 위한 질문들도 참조하였다. 조사 결과에서는 Finding Faith Today와 Thom Rainer's Scale과 유사점 및 상이점이 나타났다. 예를 들어, 한국인이나 서구인 모두 관계에 의해서 교회에 나오게 되는 점은 유사하지만, 한국인은 가족과 특히 부모의 영향을 더 받는 경향이 있다. 대조적으로 서구인들의 경우는 원 가족 보다는 친구나 배우자의 영향이 더 두드러진다. 첫 번째 교회를 정하는데 있어서, 한국인과 서구인 모두 목회자의 설교를 가장 중시한다. 그러나 교회를 정하는데 두 번째 요인으로 한국인들은 교회의 분위기를 선택한 반면, 서구인들은 교인들의 친절함을 더욱 선호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최근 회심 조사를 기초로 효과적인 교회의 전도 사역을 위한 다섯 가지 교훈을 제시한다. 첫째는 복음 선포의 중심성, 둘째는 일상과 관계의 중요성, 셋째는 가족 전도를 위한 교회의 지원 필요성, 넷째는 전도에 있어서 목회자의 역할, 다섯째는 시설과 프로그램의 약한 기여도 등이다. 이러한 회심에 대한 연구는 향후 더욱 보완되어 교회만을 위한 교훈을 찾는 것이 아닌, 기독교 신앙의 사회적이며 공적인 가치를 진단하고 증진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plores 303 cases of recent conversion to Christianity in Korea since 2005. Understanding conversion precedes how we practice the ministry of evangelism while promoting the identity of Christian faith. I undertook a survey of 18 questions concerning the recent converts' journey to Christianity. The criterion to determine the convert to Christianity was whether they were baptized within the last 10 years and are currently attending the church. Whereas surveys of conversion to Christianity have been conducted in the western churches such as Finding Faith Today and Thom Rainer's Scale, there has been no such attempts in Korea. I think understanding of the recent conversion will be a worthwhile study for the missional and evangelistic ministry, because it would provide us with the realities of journey to the Christian faith. The questions presented were crafted on the basis of Lewis Rambo's stage theory of religious conversion with some reference to Thom Rainer's questions for the formerly unchurched. The results are both similar and different to Finding Faith Today and Thom Rainer's Scale. For example, while people both in Korea and in the west are motivated to churches by relationship, Korean tend to be more dependent upon families(parents in particular). On the contrary the western people tend to consider friends and spouses more than the family of origin. In choosing the first church, both Koreans and westerns consider foremost the sermon of the pastors. But the second factor is the atmosphere of a church for Koreans and the friendliness of the church members for the westerners(Rainer' Scale). In conclusion, five characteristics for the effective ministry of evangelism can be summed up from this conversion study: 1) The centrality of the gospel proclamation, 2) The importance of daily routines and relationship, 3) The church's support for family evangelism, 4) The role of pastors in evangelism, and 5) The relative unimportance of facilities and programs. Building on this study, a more in-depth and multi-dimensional study of religious conversion and its relationship to public life would be further considered.

      • KCI등재후보

        회심의 경험 ―종교심리학적 조명

        박종석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1 神學과 宣敎 Vol.39 No.-

        Conversion in Christian education is important because it is a base and starting point of education. Because the conversion is considered as a psychological event, this article takes religious psychological approach to conversion. Conversion is not restricted to any particular period. In general, conversion experience is possible in any time of adolescence. Radical conversion is high probability for the relatively low level intellectual, other people were most likely in a gradual conversion. Especially, a lot of people who grew up in the atmosphere of religious freedom, was shown in gradual conversion. Through these facts on the conversion, It is known that conversion and human development are closely related. The gradual conversion in stability and order is more desirable rather than the sudden enthusiastic conversion experience in terms of education for religious maturity. Though conversion and education have different dimensions and can not be parallel in general recognition, both establish contact in terms of dealing transcendent dimension. So Christian Education let the rapid conversion to happen for the radical conversion, conversion must be supported by faith community for gradual conversion. 기독교교육에서 회심은 교육의 출발점이며 바탕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회심은 아무래도 심리적인 사건이라 여겨지는 까닭에 이 논문은 회심에 대해 종교심리학적으로 접근한다. 회심은 어느 특정 시기에 국한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청소년기 이후 어느 시기에도 가능한 경험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비교적 지적인 수준이 낮고 감정적인 사람들에게 급격한 회심의 가능성이 높고,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점진적 회심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유로운 종교적 분위기에서 성장한 사람들에게 점진적 회심이 많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런 사실들을 통해 회심은 인간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교육적인 면에서는 열광적이고 급격한 회심 경험보다는 안정되고 질서 있는 점진적 회심이 종교적 성숙의 관점에서 볼 때 더 바람직하다. 전통적으로 회심과 교육은 차원이 다르고 병행을 할 수 없다는 인식이 있지만, 회심과 기독교교육이 둘 다 초월적인 차원을 다룬다는 면에서 접촉점이 마련된다. 그래서 기독교교육은 급격한 회심에 대해서는 회심이 일어나도록, 점진적 회심에 대해서는 회심을 지원해야 하며 그와 같은 일은 신앙공동체 안에서 일어나야 한다

      • KCI등재

        에큐메니칼 운동에서 본 한국 기독교의 회심과 변혁의 과제

        황홍렬(Hong Eyoul Hwang)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6 선교와 신학 Vol.40 No.-

        이 글의 목적은 WCC의 정의, 평화, 생명을 향한 회심과 변혁의 내용인 성(性)정의, 정의로운 평화, 경제정의, 기후정의와 생태정의의 관점에서 한국 기독교 에큐메니칼 운동을 평가하고, 그 대안을 한국 기독교의 회심과 변혁의 과제로 제시하고자 한다. 회심은 그리스도를 향한 돌이킴이며 회심과 변혁은 문화의 회심, 세계로의 회심을 포함한다. 회심과 변혁은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을, 역사적 차원과 종말론적 차원을 지닌다. 회심과 변혁의 문제는 ‘누가 누구를 변화시키는가?’라는 질문과 ‘무엇이 변화하는가?’라는 질문에 답변해야 한다. 회심과 변혁은 변화의 수행자가 현지인이고 현지의 우주론을 토대로 일어난다. 회심과 변혁은 정체성, 윤리, 정치의 상호작용이다. WCC의 회심과 변혁의 내용으로서 성정의, 정의로운 평화, 경제정의, 기후정의, 생태정의 등의 관점에서 한국 기독교 에큐메니칼 운동을 평가하면 첫째, 성정의는 교회가 스스로 변화시킬 수 있는 부문이지만 가장 변하지 않은 부문이다. 성정의는 여성의 문제가 아니라 교회론, 신학적 문제이다. 또한, 사회의 여성 의식이 변하고 여성 활동이 급증하는 가운데 교회 내에서 여성 차별이 광범위하게 이뤄져 감소 교인 중 여성의 비율이 높아 교회의 미래가 어둡다. 둘째, 한교협과 한국 에큐메니칼 진영은 정의로운 평화, 평화통일, 경제정의, 기후정의, 생태정의 등에 큰 기여를 해왔고 의의가 크다. 그렇지만 에큐메니칼 진영의 활동은 사건에 대응하는 데 치중되어 있어 중장기 전망 속에서 활동할 필요가 있다. 셋째, 중앙 에큐메니칼 운동과 지역 에큐메니칼 운동 사이에 서로를 강화시켜주는 선순환, 한교협의 에큐메니칼 활동과 회원 교단의 에큐메니칼 운동 사이의 선순환이 일어나도록 해야 한다. 넷째, 에큐메니칼 운동이 행동주의, 주지주의를 넘어서서 이성과 감성에 모두 호소하는 활동을 통해 교인들과 교회와 세계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변혁을 향한 에큐메니칼 행동과 활동이 예전과 영성에 뿌리를 두어야 한다. 다섯째, 정의, 평화, 생명의 풍성함을 위한 에큐메니칼 운동은 한국 기독교 전체로 보면 거의 교회 주변부에 속한 소수의 그리스도인들, 작은 교회, 소수의 기독교기관/NGO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대다수 교회는 이런 활동에 대해 무관심하거나 반대하고 있다. 이러한 괴리를 극복하는 것이 에큐메니칼 운동의 가장 어렵고도 시급한 과제이다. 한국 기독교 에큐메니칼 운동의 회심과 변혁의 과제는 교회일치(정체성)와 교회개혁(윤리), 정교분리와 민주화에 참여(정치), 변혁적 영성(정체성, 윤리, 정치를 연결)이다. 교회일치는 하나님의 선물이자 하나님이 주신 과제다. 이런 과제를 이루는 노력의 근거는 하나님의 선물로서의 일치다. 교회분열의 원인은 신학 노선 대립, 신사참배, WCC 관계 등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선물로서의 일치를 강조하고 한국교회사에 나타난 일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교회가 여·남 신앙공동체로 거듭나면 기독여성들이 정의, 평화, 생명을 향한 활동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교회일치가 교회개혁을 통한 윤리적 변화를 초래할 것이다. 정교분리에 대한 개념혼란을 바로 잡아야 교회/그리스도인의 민주화에 대한 기여가 활발해진다. 역사적 사실로, 법적 규범으로 정교분리는 종교에 대한 국가의 간섭을 배제하여 종교의 자율권을 획득하는 것이다. 그런데 일부 교회 지도자들이 정교분리를 교회/기독교인의 정치참여 금지라고 주장하는데 이러한 금지는 역사적, 성서적, 신학적 뿌리가 있다. 정교분리는 정치참여에의 자유를 부여한다. 기독교(인)/교회의 정체성, 윤리, 정치를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변혁적 영성, 신학적 회심, 성서의 해석학적 순환, 대안적 신비주의의 길 등이 필요하다. 회심과 변혁의 주체는 삼위일체 하나님이고 변혁의 내용은 정의, 평화, 생명이다. 변화의 수행자는 한국 교인들이고 평화와 관련한 변화가 일어나는 한국의 우주론으로 샤머니즘 무당(한의 사제)의 한풀이가 있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identify tasks of conversions and transformations of the Korean Christianity from the ecumenical perspectives. Conversion is not just a distinct moment but a continuous process of turning away from idols, toward Jesus Christ and the reign of God. Conversion is a historical process and an eschatological adventure toward the ultimate fulfillment of the reign of God. So conversion has personal and communal dimensions as well as eschatological and historical dimensions. And conversion is influenced by a larger interplay of identity, politics, and morality. The evaluations on the ecumenical movement of the Korean Christianity toward justice, peace and life from the WCC’s perspectives were: gender justice is the most underdeveloped area and it is not a woman justice issue but a theological/ ecclesiastical one; NCCK has contributed to just peace, economic justice, and climate justice but it needs medium-and long-term plan for the ecumenical movement; the ecumenical movement of Korean Christianity needs virtuous circles between NCC’s ecumenical movement and the local ecumenical movement and also between NCC’s ecumenical movement and the ecumenical movement of member churches; one of tasks of the ecumenical movement of Korean Christianity is to overcome activism and intellectualism; the most serious and urgent task of the ecumenical movement of Korean Christianity is to bridge the gap between ’mainline’ churches and ’marginal’ churches/Christian NGOs participating in the ecumenical movement. Tasks of the ecumenical movement of Korean Christianity are: to make an effort to keep a balance between church unity as a gift from God and church unity as a task, and to participate in the church renewal toward justice, peace and life through the works of the Holy Spirit; the right understanding of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in order for Korean Christianity to participate in democratization movement without government’s intervention for the reign of God deals with powers and principalities; for the sake of connecting the identity of Korean Christianity, its mora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urch and state need transformational spirituality, theological conversion, hermeneutic circle for the Bible and alternative ways of mysticism(Sölle).

      • KCI등재

        선교학의 회심

        방연상(Samuel Y. Pang),이만형(Man Hyung Lee)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6 선교와 신학 Vol.40 No.-

        본 논문은 ‘회심’에 대한 기존 선교학의 이론과 이에 대한 기독교 인류학적 재성찰을 다룬다. 최근까지도 회심, 그리고 회심에 관한 이론들(회심론)은 선교학의 가장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주제로서 자리매김해왔다. 그러나 탈식민주의 사조와 남반구기독교의 성장, 그리고 서구 세속주의의 심화 등과 같은 새로운 물결은 회심에 대한 논의를 거북하게 만들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교학의 본질은 ‘그리스도로의 회심’을 목적으로 하는 학문이기에 회심론은 결코 소홀히 다루어질 수 없는 주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금까지 선교학에서 다루어져 왔던 회심론에 대한 역사적 · 서사적 고찰을 통하여 회심이 선교학의 연구주제로서 다루어지지 않게 된 배경과 지금까지의 회심론이 갖고 있던 주체중심적 · 서구중심적인 문제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앞선 문제점들에도 불구하고 회심론이 현대에 다시금 대두하게 된 배경으로서 세계기독교 현상과 기독교인류학의 회심에 대한 세속학적 연구방법론을 소개한다. 세계기독교 현상은 우리가 전통적으로 갖고 있던 서구 중심적 회심에 대한 개념 자체에 문제를 제기하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기독교 인류학과 세속인류학은 우리에게 회심론에 관한 연구대상을 ‘회심’한 개인이 아닌 회심한 ‘개인’으로 옮길 것을 요구한다. 그리고 선교학은 이러한 요구들에 대한 응답으로서 새로운 과제들을 갖게 된다. 회심과 삶의 변화와의 상관관계, 참된 회심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재정의 문제, 에큐메니칼 운동의 회심 개념,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의 회심 문제, 성화와 의화의 관계 정립 등 회심론은 단순히 실천적인 영역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결론적으로는 기독론에까지 이르는 기독교의 핵심적인 문제임이 드러난다. 그리고 인류학적 방법론은 이러한 회심에 대한 선교학의 재고찰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 줄 것이다. 결국 회심론은 희망의 인류학이며 이 희망의 종착역은 그리스도의 회심으로 귀결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예수 그리스도 자신이 죄 없음에도 불구하고 죄를 고백하는 세례의 장면은 진정한 회심의 의미를 우리에게 일깨우는 역설적인 변화의 사건임을 상기시키고, 이 사건은 선교학이 다시 한 번 회심론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임을 드러내고자 한다.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reflect the idea of conversion from the Anthropology of Christianity. Although ‘conversion’ has been the main agenda in the study of missions, the current academic trends of the postcolonial discourse and the rise of Southern Christianity including the secularization of the West have hindered to articulate the question of conversion. However, since the study of Christian mission and its goal is to articulate the idea of “conversion to Christ,” the theory of conversion should be remained as the most important subject. Therefore, this article is to evaluate the theory of conversion within the mission studies in the past, and to point out the reason why the conversion has not been seriously articulated. It will also articulate the problem of subjectivity, particularly the Western subjectivity and its problem in the study of conversion. And, although the study of conversion has its problematic nature, the study of conversion has re-emerged as an important subject within anthropology. In this way,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anthropological methodologies as a way to re-evaluate the traditional theory of conversion, and to suggest anthropology of Christianity to be an alternative methodology for the study of conversion; the subject of study is to move from the “conversion” of the individual to the “individual subject” who has converted. Therefore, the mission studies is required to answer to new agendas: “the correlation between conversion and the change of life;” “what is true conversion?” and etc. It also need to articulate the idea of conversion not only in terms of individuality, but also within the socio-political life of individuals; it suggests that the idea of conversion also should be articulated in terms of sanctification and glorification. It also suggest that the idea of conversion is argued not only the area of praxis, but at the end, it should to be connected the idea of Christology. Therefore, it suggests to take the anthropological methodology and approach as an alternative way of doing the mission studies, since it provides new perspective to reflect the idea of conversion in theology.

      • KCI등재후보

        사도 바울의 회심사상

        서동수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11 신학과 사회 Vol.24 No.2

        예수 그리스도의 첫 메시지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회심요청의 선포이다. 회심은 근본적으로 하나님을 향한 한 인간의 인격의 총체인 마음의 180도 전향을 뜻한다. 바울의 회심사상 역시 같은 맥락을 유지하고 있다. 유대교에서 인간의 마음은 지.정.의 3요소로 구성된 것으로 이해하는 것처럼 바울은 인간의 회심을 이에 따라서 지성적 회심, 감성적 회심, 의지적 회심으로 단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회심의 목적은 궁극적으로 그리스도의 형상에 도달하는 것으로 회심의 진정성은 율법의 완성으로서 이웃사랑 혹은 성령의 열매로 표현된 신앙의 도덕성 내지는 신앙인격의 성화로 판별된다. 그래서 회심은 단 한 번의 사건이 아니라 인간의 전 생애를 걸쳐 진행되는 구원의 과정이다. The proclamation of conversion is known to be the first message of Jesus Christ. Conversion means in essence the total about-face of the heart of the human being to God. Paul's thoughts on conversion remain in the same context as well. In Judaism, it is understood that the heart of a person is composed of 3 elements, namely intelligence, emotion(feeling) and intention(will). In accordance with this traditional viewpoint, Paul seems to have insisted on the threefold structure of the conversion of the human: intellectual conversion, emotional conversion, and intentional conversion. According to Paul, the goal of conversion is to conform to the image of Jesus Christ, and it's authenticity can be proved only through love of neighbor as fulfillment of the law, or through morality of faith or sacredness of the faith personality described as fruit of the Holy Spirit. Therefore conversion is not a single event, but an ongoing process of salvation developing over the lifetime of a human being.

      • 회심을 돕기 위한 Jonathan Edwards 의 설교 적용 방식에 관한 연구

        조성일 개혁주의설교학회 2023 더 프리칭 Vol.5 No.-

        포스트모더니즘 사상으로 다원화 되어가고 있는 세태 속에서 한국교회 안에는 참된 회심 을 좀처럼 찾아보기가 힘들다. 세속주의, 물질주의, 번영주의가 만연해 가면서 교회 안에서는 회 심 설교를 들어보기 어렵고, 그에 따른 영적 쇠퇴는 심화하여 가고 있다. 이 문제를 어떻게 풀어 가야 할까? 상황이 어떠하든지 간에 한국교회가 회복되기 위해서는 목회 현장에서 회심의 역사 가 멈추지 않고, 계속 일어나야 한다. 물론 이 회심의 역사는 성령이 주도적으로 일으키시는 영 적 현상이다. 인간이 주도적으로 할 수 있는 일은 아니다. 그럼에도 회심은 말씀(진리)이라는 매 개체를 통해서 분명히 이루어진다. 즉 여기에서 설교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따라서 이 같은 문제 를 해결하기 위해 강력한 부흥의 시대를 살았고, 다양한 회심 현상을 경험한 Jonathan Edwards 와 그의 설교로부터 그 답을 찾아보고자 한다. Edwards는 자신이 경험한 회심과 목회 현장에서 경험한 집단적인 회심의 현상을 바라보면서, 참된 회심의 촉매 역할을 했던 것이 바로 설교에 있 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정리하면 회심은 성령님의 주권적인 역사임을 인정하면서 더불어 강단에 서 선포하는 설교가 참된 회심을 이끄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 확신을 갖게 된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 부분에 초점을 두어 살펴보았다. 방법은 Edwards가 선포한 회심 설교를 분석하여, 그가 회심 설교에 어떤 방식을 사용하였는지 세 가지로 분류해 보았다. 그리고 이 세 가지 설교 방식을 활용한 설교가 시대를 뛰어넘어 오늘날에도 참된 회심을 이끄는 촉매 역할을 한다고 여기고, 한국교회 강단에 적용해 보고자 한다. In a world that is becoming increasingly pluralistic with postmodern ideas, true conversion is hard to find in the Korean church. As secularism, materialism, and prosperity become more prevalent, it is difficult to hear conversion sermons in the church, and the spiritual decline is deepening. Regardless of the situation, in order for the Korean church to be restored, the work of conversion must continue to take place without stopping in the pastoral field. Of course, this work of conversion is a spiritual phenomenon that is led by the Holy Spirit. However, it is clear that conversion takes place through the medium of the Word (truth). Therefore, to address this issue, we will look to Jonathan Edwards, who lived through a powerful revival and experienced various conversion phenomena. As Edwards looked at his own conversion and the collective conversions he experienced in his ministry, he found that the catalyst for true conversion was preaching. In sum, while recognizing that conversion is the sovereign work of the Holy Spirit, he became convinced that the preaching of conversion from the pulpit plays a significant role in bringing about true conversion. This is the focus of this paper. By analyzing Edwards's conversion sermons, I will categorize his sermons into three preaching styles, which I believe are timeless and still serve as catalysts for true conversion today, and apply them to the pulpits of the Korean church.

      • KCI등재

        Donald L. Gelpi의 회심이론과 그 성격

        심종혁(Sim Jong-Hyeok)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08 신학과 철학 Vol.- No.13

        이 논문에서는 무엇이 과연 진정한 그리스도교적인 회심체험이며 회심한 그리스도인의 삶의 자세는 어떠해야하는가 라는 질문을 가지고 미국 가톨릭신학자인 도날드 젤피 의 회심이론을 그의 저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의 회심이론은 종교체험 연구의 선구자인 윌리엄 제임스의 자아 통합과정으로서의 회심에 대한 기본 견해를 전제로 버나드 로너간 의 회심이론에 기반하여 확장시킨 이론이라 할 수 있다. 로너간은 지성적 도덕적 종교적 회심을 구분하는 가운데 이중 종교적 회심을 그 정점에 두고있다. 그리고 로너간은 후기에 심리적 또는 감성적 회심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젤피 역시 이러한 필요를 수용하여 감성적 회심을 자신의 회심이론에 추가했다. 그는 인간 경험의 영역을 감성 사변 도덕성 그리고 종교성으로 구분하고 지평의 변화라는 로너간의 개념을 확대하여 규범적 틀의 변화라는 시각에서 책임감 있는 태도로의 변화로 회심을 정의했다. 회심이란 인간 모든 경험 영역에서 무책임한 행위로부터 책임 있는 행위로 나아가려는 결정이다. 여기에서 핵심 개념은 책임감이다. 그리고 인간의 경험의 영역을 감성, 지성, 양심,사회적 관계 ,종교성으로 구분하여 로너간이 제시되지 않았던 사회정치적 영역을 추가했다. 또한 그는 각 영역의 회심이 다른 영역과 무관하게 발생할 수 있다고 전제하면서도 이들 상호간의 역동적관계를 그려냈다. 회심의 역동성이란 서로 다른 회심들이 서로 간에 영향을 주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때 젤피는 종교적 회심의 역동성을 세단계로 제시하면서 첫 두 단계의 역동성은 종교적 회심에서 다루고 다른 하나의 역동성인 지성적 회심의 정보 제공 기능은 자연적 회심의 영역에서 다루었다. What do we say about the authentic Christian experience of convers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real everday life attitude? Having this question in mind, and American Catholic theologian, Donald Gelpi's theology of conversion is investigated based on his Committed Worship : A Sacrramental Theology for Converting Christians. His conversion theology is grounded on the prominent scholar of religious experiences, William James' idea of conversion as a self-unifying process, and is expanded further from Bernard Lonergan's transcendental understanding of conversion experience. Lonergan distinguished conversion into three different levels according to his own division of human consciousness, ie, intellectual, moral, and religious conversion. Among these, the religious conversion is at the center of importance. Later he realized the need for an another dimension of conversion in affective level of human consciousness. Gelpi, too, upon recognizign the same need, added the affective conversion into his construction of conversion theology. he distinguished the level of human experience as affection, intelligence, conscience, social relationship, and religiosity, and then expanding Lonergan's idea of 'change of horizons', the key to Lonergan's conversion theology, to the change of normative sturcture of consciousness and reponsible attitude. He defines conversion as "the decision to pass from irresponsible to responsible behavior in some distinguishable realm of human experience." The key to this understanding is 'responsibility'. And he added the socio-political conversion, which does not appear in Lonergan, due to his division of the realm of human experience. He further explains the dynamic relationship among the five conversions in 7 different ways. By the dynamics of conversion he means the way in which the different forms of conversion mutually condition one another. Specifically, be expains the dynamics of religious conversion in 3 levels, among which the first two are described in religious conversion, and the other one, the intellectual conversion's function of informing is in natural conversion.

      • KCI등재

        회심곡과 서울굿 바리공주의 음악적 비교

        박정경 한국민요학회 2011 한국민요학 Vol.32 No.-

        This study is comparatie study about Hwesimgok and Barigongju in Seoul Gut; Shaman ritual in Seoul area, based on diversity of musical formations performed for many hours by vocal solo. It began from the supposition that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their musical characteristics, because both of Hwesimgok and Barigongju are passed down through the area of Seoul and they have similar process of perform. But the result has several differences between Hwesimgok and Barigongju. Hwesimgok is Buddhist music with pure Korean lyrics, unlike Beompae, Buddhist music with Sanskrit. Kinds of Hwesimgok are Hwacheong Hwesimgok sung by buddhist monks and folk song style sung by folk musicians of Seoul area. While Barigongju transmissed by only shamans in Seoul. The method of perform is representative point of sameness. Both of them performed by vocal solo with self-accompaniment of percusion instruments. Difference is kinds of the instruments; Jing in Hwacheong Hwesimgok, Kwenggwari in folk song style of Hwesimgok, and small bells and Janggu in Barigongju. In rhythmic patterns, Hwacheong Hwesimgok has regular Jangdan Eonmori contrary to others; flok song style of Hwesimgok and Barigongju. The mode of these songs is Gyeong tori; style of folk song in Gyeogngi and Seoul area or similar Gyeong tori. Hwacheong Hwesimgok and Barigongju has the middle register of music and simple vocalism. Meanwhile, folk song style of Hwesimgok is sung with whole register of music containing high range and polished ornaments; for example skip and syncopation. Musical formations of Hwacheong Hwesimgok and folk song style of Hwesimgok is one verse with coherent story, but Barigongju has refrain of the same lyrics and melod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deemed monotonous music is well worth enough to shed new light. For vocal solo music like Hwesimgok and Barigongju is very important to find out the essences and origins of general music. 이 연구는 가창자 혼자 무반주로 장시간 긴 노래를 연행하는 형태의 음악이 여러 종류 존재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회심곡과 서울굿 바리공주를 비교한 논문이다. 당초의 가정은 두 음악은 많은 공통점이 존재하리라는 것이었다. 모두 서울·경기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전승되고 있고 연행 방식이 유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세밀하게 분석해 본 결과 외형적으로 드러나는 것 외에 음악적으로는 많은 차이가 있다. 회심곡은 범어로 되어 있는 범패와 달리, 쉬운 우리말로 되어 있는 불교음악인 화청의 한 종류로 볼 수 있다. 회심곡은 절에서 승려들이 부르는 화청회심곡과 탁발승이나 걸립승이 민가를 돌아다니며 부르는 염불회심곡으로 나누어진다. 염불회심곡은 경기민요 소리꾼들에 의해 민요화되어 지금의 민요 회심곡으로 변모하였다. 한편, 서울굿 중 바리공주는 특수집단이 무당에 의해 발생되었고, 지속적으로 전승되어 왔다. 연행방식은 회심곡과 서울굿 바리공주의 눈에 띄는 공통점 중 하나다. 두 음악 모두 한 사람의 창자가 별도의 반주 없이 타악기를 두드리며 노래한다. 두드리는 악기의 종류와 두드리는 방식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이는데, 화청회심곡은 징을, 민요 회심곡은 꽹과리를, 서울굿 바리공주는 방울과 함께 장구를 세워놓고 북편만을 사용한다. 화청회심곡은 엇모리 또는 3·2·3·3·2·3의 16박이 사용되는 비교적 규칙적인 음악이다. 그에 비하여 민요 회심곡은 3소박을 기본으로 하되 가사의 길이에 따라 장단이 달라지고 리듬형에도 변화를 주는 불규칙한 음악이며, 서울굿 바리공주도 경기민요 회심곡과 마찬가지로 장단의 규칙을 찾을 수 없는 음악에 속한다. 음조직은 전형적인 경토리로 되어 있거나 경토리에 가깝다. 단, 화청회심곡의 경우 영남지방에서 전승되는 것은 메나리토리를, 호남지방에서 전승되는 것은 육자백이토리를 따른다. 선율진행 방식에 있어서, 화청회심곡과 서울굿 바리공주는 중간음역에서 담당하게 불려지지만 민요 회심곡은 고난이도의 도약진행, 고음진행, 당김음과 같은 리듬형의 변화로 세련미와 대중성을 가미하였다. 화청회심곡과 민요 회심곡은 반복구나 후렴구가 없이 통절형식으로 구송되는 반면, 서울굿 바리공주의 음악적 형식은 긴 서사무가의 내용을 처음부터 끝까지 순차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반복구를 삽입하여 단락을 구분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서울굿 바리공주는 통절형식이 아니라 유절형식에 가깝다고 보았다. 이 연구는 음악적으로 ‘단순하다’고 인식되어 음악학 분야에서 자칫 소홀해지기 쉬운 음악이 사실은 모든 음악적 요소를 충실히 보유하고 있고, 단순함 속에 내재되어 있는 다양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회심곡, 서울굿 바리공주와 같은 형태의 음악은 병창, 제창, 메기고 받는 소리 등 여럿이 함께 부르는 노래에 비하여 음악의 본질과 원형을 파악하는데 효율적이기 때문에 향후에도 중요하게 다루어질 장르 중 하나다.

      • KCI등재

        회심과 자기정체성 확립

        최재락 한국실천신학회 2012 신학과 실천 Vol.0 No.31

        인간은 성장할 때 자신의 내면에서 느끼는 모순과 충동을 극복하지 못할 경우 자기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어려움을 느낀다. 그러나 인간이 회심의 경험을 통해 하나님을 만나고 궁극적 가치를 체현할 수 있다면 이것은 자기정체성을 형성해 나가는 과정에서 큰 영향을 줄 것이다. 이 논문은 회심에 대하여 설명할 때 신학과 행동과학으로서의 심리학 사이에 존재하는 긴장을 극복하고 상호대화적인 간학문적 방법에 기초하여 연구되었다. 이러한 현대적인 접근방법에 따르면 회심에는 여러 요인들, 즉 갈등과 신경증, 초정상적 경험, 박탈감, 사회적·종교적 배경, 그리고 연령 등이 있다. 회심의 요인은 사람에 따라 다양하지만, 회심의 결과는 사람들 사이에 공통적인 면을 보여준다. 회심에는 성숙한 회심이 있는가 하면, 또 한편으로는 퇴보적이고 병리적인 유형의 회심이 있다. 전자의 경우에 회심은 분열된 자아를 통합시킴으로써 성장을 촉진시키고 정체성을 확립시킨다. 이러한 회심은 하나님에 대한 신뢰 속에서 거짓된 자아를 포기하고 참된 가치를 추구하게 한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에서 회심은 퇴보적인 유형의 지나친 신념, 강박적인 전도, 과장된 반이성, 경멸, 신앙을 위한 엄격한 처벌과 같은 태도를 보여준다. 우리는 이러한 결과에 기준하여 자신의 회심이 건강한 것인지 아니면 마술적인 것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간과할 수 없는 것은 한국 교회가 부흥회를 통하여 시도하고 있는 회심에는 깊이 생각해야 할 문제점이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흥회는 인간의 종교경험에 고유성과 다양성이 있음을 고려하지 않는다. 제도적으로 유도된 계획된 회심은 하나님 앞에서 인간 영혼의 정직한 내적 투쟁을 약화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 병리적 유형의 회심으로 변질 될 가능성이 있다. Human beings feel difficulty in establishing self-identity when they cannot overcome inner contradiction and conflict in the growing process. But if human beings can meet God and embody ultimate value through conversion experience it is influential in establishing their self-identity. This study is researched on the basis of interdisciplinary method which overcomes the tension between theology and psychology as a behavioral science. According to this modern methodology, there are such factors as conflict and neurosis, transcendental experience, deprivation, social-religious background, and age in conversion experience. The result of conversion shows common aspects among people. There are mature conversion and pathological conversion. Mature conversion makes it possible to promote growth and synthesize divided ego. This type of conversion makes human being abandon false ego and investigate true value in trust for God. But pathological conversion shows such regressive attitude as excessive belief, obsessive mission, exaggerated antireason, contempt, strict punishment for belief. People can distinguish between wholesome conversion and magical conversion according to those results. Here we cannot overlook that the programmed conversion has the problem which needs to be criticized. Generally revival meeting does not consider variety and uniqueness of religious experience. Institutionally programmed conversion can weaken honest struggle of human soul in face of God. Further there is possibility which it can be deteriorated into pathological type of conversion.

      • KCI등재

        Biblical Paradigms of Christian Conversion: Encounter and Process Conversion

        Sung Hyuk Nam(남성혁)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9 선교와 신학 Vol.48 No.-

        기독교회에서 회심에 대한 이해를 논할 때 지배적으로 사용되는 사례는 바울의 회심 사건이다. 성경에 등장하는 회심의 다양성에 대해 숙고보다는, 극적이고 즉각적인 바울의 즉각회심이 기독교인들의 회심에 대한 이해에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 인문과학에서의 회심에 관한 연구는 종교에서의 회심이 신비적 사건인 동시에 우리의 이해를 넘어 발생한다는 점에서 기독교 회심을 충분히 설명할 수 없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성경에 등장하는 회심에 대해 모델들을 탐색하고자 한다. 회심에 관한 학자들의 연구 공통점은 회심이 바울의 경우처럼 일회성이기도 하지만 대다수 예수의 제자들에게 있어서는 과정이었다는 점이다. 결국, 회심은 한 가지 모델로만 설명해서는 안 되며, 성경에는 즉각회심과 더불어 과정회심이 등장한다. 그 동안 교회들은 바울의 다메섹 회심의 사건을 근거로 즉각회심이 거의 유일한 이해였으며, 이는 교회의 전도와 목회 활동을 결정하는 데 많은 영향을 주었다. 리처드 피스(Richard Peace)의 연구를 통하여, 성경적 회심이 바울의 경우뿐 아니라 오히려 열두제자의 사례를 통하여 조명해야 함을 주장한다. 왜냐하면, 열두제자의 회심은 과정으로서 회심을 이해함으로 교회의 전도 활동에 새로운 이해를 공급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를 통해 실제 교회의 전도 활동이 회심에 대한 이해에 따라 지배를 받고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더 나아가 잊혔던 과정회심을 통하여 불신자들과의 관계를 형성하고, 그동안 정죄의 종교로 비추어졌던 기독교의 전도 활동의 오해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개인의 영역으로 치부하던 회심이 공동체의 영역이 확장되며, 교회 외부인들을 위한 활동으로 제약되던 회심과 전도가 더 나아가 교회 내부인과 제자도와 깊은 연관성이 있음을 깨닫게 한다. 결론적으로 과정회심은 교회들이 사로잡혀 있던 즉각회심을 통한 전도 활동의 한계를 극복하게 해주며, 성경적 회심의 균형을 회복하여 하나님 나라 확장에 이바지하게 도와준다. The dominant case used in the Christian community to discuss an understanding of conversion is the case of Paul’s. Rather than pondering the diversity of conversion appearing in the Bible, the dramatic and immediate Pauline conversion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Christians’ understanding of conversion. The study of conversion in human science can not fully explain Christian conversion in that it is both a mystical event and beyond our understanding.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explore models of biblical conversion. What scholars have in common is that while conversion is an instantaneous event as in the case of Paul, it was a process for the majority of Jesus’ disciples. After all, the conversion should not be explained by only one model, and in the Bible, there is an instant event as well as process conversion. In the meantime, churches have had just no immediate conversion based on the case of Paul’s Damascus Road experience, which has had much influence in determining evangelistic and pastoral activities. Richard Peace’s study suggests that biblical conversion should be illuminated not only in the case of Paul but rather in the case of the Twelve. Because the Twelve’s conversion, as a process, provides a new understanding of the church’s evangelical activities. The study finds that actual church evangelism is dominated by an understanding of instantaneous conversion. Furthermore, through the forgotten piece of process conversion, we can build up relationships with the unchurched and the dechurched and remove the misunderstanding of Christian evangelical activities that have been regarded as judgmental and coercive. It also makes people realize that conversion, which used to be regarded as individual realm, extends the community’s territory, and which were constrained by activities only for outsiders in the church, is further connected with the church’s inner circle for continuing discipleship. In conclusion, the process conversion allows churche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ir preaching activiti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vent conversion and helps restore the balance of biblical conversion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he kingdom of G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