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태안해안국립공원 및 한려해상국립공원에 생육하는 해초류의 분포 및 생육환경 특성 연구

        이규성(Gyu-sung Lee),오선관(Sun-kwan Oh),홍성원(Seung-won Hong),정주학(Joo-hak Jeong) 국립공원연구원 2011 국립공원연구지 Vol.2 No.1

        태안해안국립공원과 한려해상국립공원에 생육하는 해초류의 분포와 생육환경을 14개 지역에서 조사하였다. 태안해안국립공원에서는 거머리말과 새우말 2종이 출현하였으며, 한려해상국립공원에서는 거머리말, 포기거머리말, 수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 4종이 출현하였다. 조사대상인 두개의 국립공원에서는 거머리말이 가장 우점종으로 분포하였다. 태안해안국립공원에는 소규모의 초지와 패치 형태로 생육하였으나, 한려해상국립공원에서 출현한 해초는 초지형태로 대부분 생육하였다. 태안해안국립공원의 거머리말과 새우말은 조간대에서 출현하였다. 새우말은 조간대 암반의 조수웅덩이에 생육하였으며, 다른 해초류들은 사질, 사니질, 니사질에서 생육하였다. 한려해상국립공원의 거머리말, 수거머리말과 포기거머리말은 조하대에서 출현하였으며, 애기거머리말은 조간대에 생육하였다. 태안해안국립공원의 4개 해초지에서는 총 16종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이 출현하였으며, 한려해상국립공원의 5개 해초지에서는 총 22종이 출현하였다. Distribution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the seagrasses were investigated in the 14 sites of Hallyeohaesang and Taeanhaean National Park. Zostera caespitosa, Zostera caulescens, Zostera japonica, Zostera marina were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and Zostera marina, Phyllospadix iwatensis in Taeanhaean National Park. Zostera marina was the dominant species among the surveyed sites. The most common habitat type was bed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whereas bed and patch type were common in Taeanhaean National Park. Zostera caespitosa, Zostera caulescens, Zostera marina were located in subtidal areas and Zostera japonica was located in intertidal areas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Zostera marina and Phyllospadix iwatensis were in intertidal area in Taeanhaean National Park. Phyllospadix iwatensis was in rocky tidal pool and other seagrasses were in sand, muddy sand and sandy mud. In the benthos survey of seagrass habitat, 22 species were surveyed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and 16 species in Taeanhaean National Park.

      • KCI등재후보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조간대 태형동물 분포상

        민범식(Bum Sik Min),양호진(Ho Jin Yang),채현숙(Hyun Sook Chae),노건우(Geon Woo Noh) 국립공원연구원 2022 국립공원연구지 Vol.13 No.1

        한려해상국립공원 조간대의 태형동물 분포 연구를 위해 2019년부터 2020년까지 한려해상국립공원[2019년 7월, 10월 한려해상국립공원(동부), 2020년 5월, 9월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연안과 도서지방의 20개 지점으로부터 채집된 재료들을 동정한 결과 총 2강 3목 28과 30속 37종(한려동부: 2강 3목 22과 23속 27종 113군체, 한려: 2강 3목 26과 28속 33종 550군체)이 조사되었다. 지구별 종수로는 통영⋅한산지구 2강 20과 20속 23종, 거제도⋅해금강지구 2강 2목 11과 11속 13종, 사천지구 2강 3목 17과 17속 20종, 남해대교지구 1강 2목 3과 3속 3종, 상주⋅금산지구 2강 3목 23과 24속 26종, 오동도지구 1강 2목14과 14속 15종을 확인하였다. 한려해상국립공원 조간대에 서식하는 태형동물의 종 목록을 제시하고, 도판을 작성하였다. 위 결과는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조간대에 서식하는 태형동물만을 확인한것으로 조하대에 서식하는 태형동물을 추가적으로 조사한다면 더 많은 종수가 포함될 것이다. The intertidal bryozoan fauna of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Korea.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diversity of intertidal bryozoans which were collected from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Korea. A total of 37 species, 30 genera, 28 families, 3 orders and 2 classes of intertidal bryozoan were found in 20 locations (Tongyeong, Geoje, Sacheon, Namhae, and Yeosu) of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from (July, October) 2019 to (May, September) 2020. Tongyeong⋅Hansan: 23 species, Geoje⋅Haegeumgang: 13 species, Sacheon: 20 species, Namhae: 3 species, Sangju⋅Geumsan: 26 species, Odongdo: 15 species were inhabited by region. The intertidal bryozoan of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are provided with distributional data and detailed illustrations herein.

      • KCI등재후보

        한려해상국립공원 내 팔색조(Pitta brachyura) 분포 현황

        권영수(Young-Soo Kwon),김한진(Han-Jin Kim) 국립공원연구원 2010 국립공원연구지 Vol.1 No.3

        본 연구는 2008-2009년에 한려해상국립공원 내 학동 동백림에서 서식하는 팔색조 서식현황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팔색조는 국제적인 보호종이며 환경부지정 멸종위기II급으로 지정되어 있다. 조사결과 2008년과 2009년에 각각 1개체의 울음소리를 확인하였지만 번식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학동동백림은 1959년에 3개체가 확인된 이래로 지속적으로 소수가 관찰되고 있는 보호지구이다. 앞으로 팔색조 서식지 보호를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심을 갖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한려해상국립공원에 도래하여 서식하는 팔색조의 현황을 파악하여 멸종위기종 보호 및 공원관리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a cited literature of habitat status of Fairy pittas (Pitta brachyura)breeding at Hagdong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Fairy pittas were designated as endangered species by Ministry of Environment. In 2008 and 2009, a call of Fairy pitta was identified in Hagdong but breeding nests were not found. Since 1959 (3 individuals identify), Hagdong dongbaekrim was designated as the natural conservation zone. These results will be provided with foundation data for conservation of Fairy pittas.

      • KCI등재

        한려해상국립공원 지형・지질경관 자원의 분포와 관리방안-동부 지구를 중심으로-

        신재열(Shin, Jae Ryul),홍영민(Hong, Yeong Min),추창오(Choo, Chang Oh),이진국(Lee, Jin Kook) 한국지역지리학회 2020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6 No.1

        본 연구는 한려해상국립공원 동부 지구를 대상으로 보전 가치가 높은 지형・지질경관 자원을 발굴 및 조사하고 분포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동부 지구의 특성에 적합하고 유용한 관리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지역의 대표적인 지형・지질경관 자원은 신선대 일대에서 관찰된다. 신선대 일대에서는 다양한 지질 구조들과 공룡발자국 및 새발자국 화석이 분포하고 있어 교육적 활용도가 매우 뛰어나며 다양한 지형 자원들이 위치하고 있어 경관적 다양성이 매우 우수하다. 이를 활용한 탐방 프로그램 개발은 관광지로서 한려해상국립공원 동부 지구의 저변 확대와 발전에 큰 기여를 할 것이며, 지형・지질경관 자원을 보존・관리하는데 있어서도 매우 효과적이다. 더불어 지역공동체의 소득 향상을 촉진하여 지형・지질경관 자원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관심과 책임을 고취시킴으로써 공원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 resources in the eastern district of Hallyeohaesang Marine National Park. Based on this we also propose a management plans that are suitable and useful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stern district. In the study area, the most representativ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 resources are observed in the Sinseondae area. The various geological structures and fossils of dinosaur and bird footprint around the Sinseondae area are educationally available, and many geomorphological landscape resources form a beautiful landscape and scenic diversty. The development of exploration programs utilizing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 resources will greatly contribute to the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the eastern area of Hallyeo Marine National Park as a tourist destination and also very effective in preserving and managing resources. In addition, it will contribute to enhancing the efficiency of park management.

      • KCI등재후보

        한국 한려해상국립공원 서부 조간대 저서다모류 동물상 연구

        이건혁(Geon Hyeok Lee),이하은(Ha-Eun Lee),지수정(Su-Jung Ji),채규석(Kyu-Seok Chae),민기식(Gi-Sik Min) 국립공원연구원 2021 국립공원연구지 Vol.12 No.1

        본 연구는 한려해상국립공원(서부) 경성조간대와 연성조간대의 저서성 다모류에 대한 종류상, 분포상 그리고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2020년에 조사를 시행하였다. 저서다모류의 출현종수는 6목28과121종, 개체밀도는 188.8개체/㎡로 확인되었다. 경성기질에서는 굵은석회관갯지렁이(28.4%), 연성기질에서는 얼굴갯지렁이류(20.9%)가 우점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체정점에 대한 우점도는 0.21, 다양도는 3.38 그리고 종풍부도는 22.90으로 확인되었다. 다양한 생태지수를 고려해 보면, 남해대교지구(st. 5, 6)에 비해 사천지구(st. 1, 3)와 상주·금산지구(st. 7, 8)의 다모류 군집이 생태학적으로 안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출현종과 개체밀도에 따른 집괴분석 결과는 생태기질의 종류에 따라 조사정점들이 묶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고착성으로 알려진 다모류 군집이 생태기질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pecies composition, distribu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polychaetes in the western intertidal zones of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in 2020. The total number of benthic polychaetes was 121 species of 28 families in 6 orders. The mean density of community was 188.9 individual/m2. The major dominant species was Spirobranchus cf. kraussii (Baird, 1864) (28.4%) in the hard substrate, and Aonides aff. oxycephala (Sars, 1862) (20.9%) in the soft substrate. The biodiversity index and richness index for all sites were calculated as 3.38 and 22.90, respectively. Considering the various ecological indices, the polychaete communities of Sacheon district (st. 1, 3) and Sangju-Geumsan district (st. 7, 8) are more ecologically stable than those of Namhae Bridge district (st. 5, 6). From the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species composition and population density, study sites were grouped into ecological clades according to the type of ecological substrates. It seems that the polychaete communities are highly influenced by ecological substrates.

      • KCI등재후보

        한국 남해안 다도해·한려해상국립공원 도서의 해조상 및 군집구조 변화

        오지철(Ji Chul Oh),김호연(Ho Yeon Kim),조현근(Hyun-Geun Cho),김철도(Cheol Do Kim),안중관(Jung Kwan Ahn) 국립공원연구원 2015 국립공원연구지 Vol.6 No.3

        We investigated species composition and variation of benthic marine algae between 2014 at southern coast island, Korea. Coarsely branched form seaweeds were dominant functional group comprising 47.73% in species number, whereas filamentous form (18.64%), sheet form (11.82%), thick leathery form (9.55%), crustose form (6.82%), jointed calcareous form comprised 5.45%. C/P, R/P and (C+R)/P values were 0.33, 0.96 and 2.57, respectively. Such fast growing ESG II (ecological state group) was 22.65% and slow growing perennial algae, ESG I was only 77.35%. 본 연구는 14년 남해 연안 도서에서 조하대 해조류 종구성과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기간 출현한 해조류는 총 220종(녹조 20종, 갈조 60종, 홍조 140종)이 출현하였다. 해조류의 기능형은 성긴분기형(47.73%), 사상형(18.64%), 엽상형(11.82%), 다육질형(9.55%), 각상형(6.82%), 유절산호말형(5.45%)으로 구분되었다. 해조상의 지역적 특성을 나타내는 C/P값은 0.33을 보였고, R/P값은 0.96, (R+C)/P값은 2.57로서 혼합형 해조상을 보였다. 또한, 환경상태와 밀접한 관련을 보이는 ESG II의 비율은 약 22.65%를 보여 해조상을 통해 파악된 국립공원 내 도서지역 환경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 한려해상국립공원 동부 조간대 해산식물상

        안중관(Jung-Kwan Ahn),김병국(Byeong-Kuk Kim),정승진(Seung-Jin Jeong),최인영(In-Young Choi),정원옥(Won-Ok Jeong) 국립공원연구원 2013 국립공원연구지 Vol.4 No.1

        2012년 계절별로 한려해상국립공원 동부 조간대지역 해산식물상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총 145종(녹조류 18종, 갈조류 40종, 홍조류 87종)의 해조류와 애기거머리말(Zostera japonica)과 거머리말(Z. marina)이 출현하였다. 중요치에 의한 우점종은 지충이(Sargassum thunbergii), 톳(S. fusiforme), 작은구슬산호말(Corallina pilulifera) 등이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Intertidal marine benthic flora in eastern part of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were undertaken seasonally from February to November 2012. As a result, a total number of 145 species of benthic marine algae (18 green, 40 brown and 87 red algae) and 2 seagrasses (Zostera japonica, Z. marina) were identified. Dominant species in important value were Sargassum thunbergii, S. fusiforme, Corallina pilulifera.

      • KCI등재

        뉴스가 한려해상국립공원 탐방객 변동성에 미치는 충격의 추정

        모수원 ( Soo Won Mo ),이광배 ( Kwang Bae Lee ) 한국도서학회 2015 韓國島嶼硏究 Vol.27 No.1

        한려해상국립공원의 탐방객 수와 달리 탐방객 증가율에는 상당한 크기의 변동성이 존재한다. 분석기간 증가율의 변이계수(1.8)가 탐방객 수 변이계수(0.4)의 4배나 되어, 큰 기복없이 꾸준히 증가하는 형태를 갖는 탐방객 시계열 속에 커다란 변화가 숨겨져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변동성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지 않고서는 탐방객의 예측오류를 피하기 어렵다. 이에 본고는 한려해상국립공원 탐방객의 변동성을 GARCH 타입 변동성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그런데 변동성 모형에는 변동성의 대칭을 전제로 하는 표준 GARCH모형과 비대칭적 GARCH모형이 있는데, 본고에서는 비대칭 변동성 모형으로 EGARCH모형과 GJR모형을 이용하여 변동성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비대칭적 효과를 갖는 모형을 이용하여 음(-)의 충격이 동일 크기의 양(+)의 충격보다 더 큰 변동성을 야기함으로써 좋은 뉴스와 나쁜 뉴스가 변동성에 상이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밝히는 것이다. 먼저 탐방객의 예측불가능 부분이 집중현상을 보임에 따라 GARCH 모형을 이용하는 분석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왜도 통계량, 첨도 통계량, Jarque-Bera 통계량이 예측불가능 시계열이 정규분포하는 것으로 보여줌에 따라 가우시안, Epanechnikov, Triangular, 로지스틱, Flat, Parzen과 커널함수를 이용하여 재추정하였다. 시간변동 변동성이 존재한다는 것과 부호편의검정, 양의 규모편의검정, 음의 규모편의검정, 결합검정 모두에서 쇼크의 부호와 크기에 따라서 예측하지 못한 탐방객에 미치는 효과가 다르지 않다는 가설을 기각하여 GARCH모형과 비대칭 GARCH 모형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추정 결과 GARCH모형과 EGARCH모형은 일부 변수가 유의하지 않은데 비해 GJR모형에서는 모두 유의하고 예상과 일치하는 부호를 가져 변동성 모형으로 적합하며 비대칭 특성을 갖는다는 것을 밝힐 수 있다. 또한 부호편의검정, 규모편의검정, 결합검정은 모형의 설정오류가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에 따라 뉴스충격곡선을 도출하여 EGARCH모형과 GJR모형이 좋은 뉴스와 나쁜 뉴스에 대해 비대칭이나, EGARCH모형은 분산의 크기에 문제가 있어서 GJR모형이 적합한 변동성 모형이며, 탐방객이 나쁜 뉴스에 더 큰 반응을 보이나 그 차이가 크지 않다는 것을 밝혔다. A correctly specified volatility model is essential for applications requiring estimates of conditional volatilities since volatility can be regarded as a measure for information flow. We employed three models of predictable volatility and presented a news impact curve that characterizes the impact of past visitor shocks on visitor volatility of the volatility model. This paper suggests several diagnostic tests based on the news impact curve and compares the GARCH model with other volatility models that allow for asymmetry in the impact of news on volatility. The coefficients of skewness indicates that the distribution of unpredictable visitors is not skewed to any side. The kurtosis statistic also shows that the distribution of series is not leptokurtiv nor platykurtic. All the kernel density functions, such as Epanechnikov, Triangular, Logistic, Gaussian, Flat, and Parzen, have normal distributions. These statistics show that the GARCH model is inappropriate for estimating volatility. The Ljung-Box test statistic for twelfth-order serial correlation, however, showed significant serial correlation in visitor series after our adjustment procedure. The sign bias test and size bias test were also highly significant. This paper shows that the GJR volatility model is most appropriate in parsimoniously capturing the asymmetric effect and successfully reveals the shape of the news impact curve for conditional heteroskedasticity of the Hallyeo Marine National Park visitors.

      • 한려해상국립공원 상주·금산지구, 거제·해금강지구 어류 종조성 계절변화

        노형수(Hyung Soo Noh),권순열(Soonyeol Kwon),이창일(Chang-Il Lee) 국립공원연구원 2013 국립공원연구지 Vol.4 No.1

        한려해상국립공원 상주·금산지구와 거제·해금강지구에서 2012년 5월부터 2013년 2월까지 계절별로 이각망 등으로 어류를 채집하여 계절에 따른 종조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상주·금산지구에서 9목 35과 58종, 2,743마리, 68,531.2g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개체수에서는 전갱이가 42.1%(1,156마리)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고, 생체량은 성대가 24.5%(16,823.4g)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다. 거제·해금강지구에서는 10목 27과 48종, 1,779마리, 176,629.9g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개체수에서는 전갱이가 24.1%(411마리)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고, 생체량은 뱅에돔이 25.4%(44,839.4g)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다. 개체수와 생체량의 계절별 변화는 수온과 관련성이 있으며, 여름과 가을철이 겨울보다 개체수와 생체량이 높았다. 상주·금산지구와 거제·해금강지구에서의 어류의 종조성은 회유성 어류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 from the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Sangju · Gumsan and Geoje · Haegumkang region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were determined by the analysis of seasonal samples collected by fyke net etc. from May, 2012 to February, 2013. In this survey 9 order, 35 families, 58 species (2,743 individuals, 68,531.2 g) were collected in Sangju · Gumsan region. Of them Trachurus japonicus occupied 43.2% of total individuals and Chelidonichthys spinosus occupied 24.5% of whole biomass. In Geoje · Haegumkang region 10 order, 27 families, 48 species (1,779 individuals, 176,629.6 g) were collected. Of them Trachurus japonicus occupied 23.1% of total individuals and girella punctata occupied 25.4% of whole biomass.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biomass were higher in summer and autumn than in winter, and the seasonal variation may be related to the water temperature. Species composition of fish was affected by a migratory fish in Sangju · Gumsan and Geoje · Haegeumkang region.

      • KCI등재후보

        한려해상국립공원 거제⋅해금강 지구에 도래하는 아비과(Gaviidae) 조류 도래현황 및 해양환경인자 상관성 분석

        김재훈(Jae-Hoon Kim),홍길표(Gil-Pyo Hong),황보연(Bo-Yeon Hwang) 국립공원연구원 2022 국립공원연구지 Vol.13 No.1

        거제도 연안의 아비류 도래지는 국내 유일의 아비류 대규모 월동지로 한려해상국립공원 거제⋅해금강지구에 위치해 있다. 해마다 12월에서 익년 4~5월까지 거제도 해안을 따라 1,000~2,000개체 이상이 규칙적으로 월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국립공원연구원, 2017), 문화재청은 거제도 연안 아비도래지를 천연기념물 제227호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본조사는 아비류 월동현황 파악을 위해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차년 조사가 진행되었으며, 조사는 전년도 12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 각각 6개월간 진행되었다. 2019년에 월동하는 아비류 군집은 2018년 12월 중순 첫 도래를 기록하였고, 3월 초순에 개체수가 급등하여 4월 초순에 최대개체수(1,027개체)를 기록하였다. 2020년에는 당해연도 1월 초순에 첫 도래를 하였고, 4월 초순에 최대개체수(1,174개체)를 보였다. 2021년에는 1월 중순에 첫 도래를 하였고, 4월 초순에 최대개체수(825개체)를 나타냈다. 최대개체수로 군집된 아비는 서식지로 회귀하게 되므로 첫 도래부터 최대개체수가 나타난 시기의 범위를 대상으로 해양환경인자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2019년은 수온이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고, 2020년은 염분과 기온이 유의하였으며 2021년은 유의한 값이 없었다. 3년 간의 데이터를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 수온, 기온, 풍속이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2019년과 2021년은 회귀식 전체의 유의성을 판단할 수 없었고, 2020년은 염분, 수온, 용존산소 순으로 유의수준이 나타났다. 3년 간 종합한 데이터에 대한 전체 회귀결과는 높은 유의성을 나타냈지만 해양환경인자별 분석에선 유의한 값을 나타내지 않았다. 2월과 4월에 기록된 최대개체수와 해양환경인자의 분산 동질성을 분석한 결과 수온, 염분, pH, 클로로필-a 모두 최대개체수와의 각 유의한 분산 차이가 있다. The habitat of Gaviidae off the coast of Geoje Island is the only large-scale wintering site for Gaviidae in Korea and is located in the Geoje and Haegeumgang districts of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It is known that from December to April of the following year, more than 1,000 to 2,000 individuals regularly overwinter along the coast of Geoje Island.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has designated and protected the Gaviidae habitat along the coast of Geoje Island as Natural Monument No. 227. The first arrival was recorded in mid-December of the previous year (2018), and the population surged in early March, and the maximum number (1,027 indiv.) was recorded in early April. In 2020, it first arrived in early January of the year, and the maximum number (1,174 indiv.) was shown in early April. In 2021, it first arrived in mid-January, and the maximum number (825 indiv.) was recorded in early April. Since the Gaviidae clustered in the maximum number of individuals return to their habitat,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marine environmental factors from the first arrival to the range of the period when the maximum number appeared. In 2019, water temperatur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2020, salinity and temperature, and in 2021, there was no significant value. As a result of analyzing three years of data, water temperature, air temperature, and wind speed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In 2019 and 2021, the significance of the entire regression equation could not be determined, and in 2020, salinity, water temperature, dissolved oxygen in the order of significance level. The overall regression result for the three-year data collection showed high significance, but it did not show a significant value in the analysis by marine environmental factor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spersion homogeneity of the maximum population recorded in February and April and marine environmental factors, it can be said that water temperature, salinity, pH, and chlorophyll-a all had significant variance differences from the maximum pop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