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치경 마찰음 지각 오류에 대한 음운론적 접근-구성원소 이론을 바탕으로-

        상향함 한중인문학회 2020 한중인문학연구 Vol.6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honological processing and the phonological motive in which typical perception errors regarding word-initial onset alveolar fricatives and the word-internal onset alveolar fricatives of Korean based on Element Theory. For this aim, this study derived the relevant typical perceptual errors that have been covered in existing studies. Then, this study identified the phonological processing and the phonological motive of the perceptual confusion errors “ㅅ⇆ㅆ” in word-initial onsets and the perceptual alternation error “ㅆ→ㅅ” in word-internal onsets. Results show that when Chinese learners perceive Korean alveolar fricatives, reinterpretations take place due to composition(addition of the element |H|) and decomposition(loss of the element |ʔ|). 본 연구는 구성원소 이론을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어두 초성 마찰음과 어중초성 마찰음의 전형적인 지각 오류 양상이 일어나는 음운구조 처리 과정과 음운론적 동인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 연구에서 다루어진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어두 초성과 어중 초성에서의 마찰음의 전형적인 지각 오류 양상을 도출한다. 그 다음 도출된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어두 초성에서의 ‘ㅅ⇆ㅆ’와 같은 지각 혼동 오류 및 어중 초성에서의 ‘ㅆ→ㅅ’와 같은 지각 대치 오류가 발생하는 음운구조 처리 과정과 음운론적 동인을 밝힌다. 그 결과,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치경 마찰음을 지각하는 데 주로 ‘구성원소의 결합(기식성 구성원소 |H|의 첨가)’과 ‘구성원소의 분해(긴장성 구성원소 |ʔ|의 탈락)’로 인해 재해석 과정이 발생한다.

      • KCI등재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어두 치경 마찰음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장혜진 민족어문학회 2022 어문논집 Vol.- No.94

        이 연구는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어두 치경 마찰음을 실험음성학적인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여 발성유형의 구별 및 조음 위치의 실현 양상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베트남인 학습자는 /ㅅ/와 /ㅆ/의 마찰구간과 기식구간 길이 차이가 한국인 화자에 비해 작고, 길이의 분포가 대부분 겹쳐 나타나 /ㅅ/와 /ㅆ/를 명확히 구별하여 발음하지 못한다. 특히 /ㅅ/의 기식구간 길이가 짧게 실현되어 이로 인해 /ㅅ/와 /ㅆ/가 명확히 구별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베트남인 학습자는 /ㅅ/와 /ㅆ/에서 후행 모음의 종류에 따른 마찰소음 중심주파수 값의 차이가 뚜렷하게 관찰되지 않으며, 한국인 화자와는 다른 범위에서 중심주파수가 실현되는 경우도 관찰되었다. 향후 베트남인 학습자의 마찰음 발음 교육에서는 /ㅅ/의 기식구간을 길게 발음하게 하여 /ㅅ/와 /ㅆ/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하며, 마찰음의 후행 모음 종류에 따른 조음 위치 차이를 인지하고 이를 정확하게 발음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ttern of pronunciation errors and acoustic characteristics of Vietnamese Korean learners by analyzing the Korean word-initial alveolar fricatives using an experimental phonetic research methods. Vietnamese Korean learners have a smaller difference in length in frication and aspiration between /s/ and /s*/ compared to Korean speakers, and have a distribution of overlapping lengths. In particular, since the aspiration duration of /s/ is short, it cannot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s*/. Also, in /s/ and /s*/,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following vowel was not clearly observed, and a case where the centroid frequency was realized in a range different from that of Korean speakers was observed. In the fricative pronunciation education for Vietnamese learners, It is necessary to make the pronouncing aspiration duration of /s/ long to distinguish between /s/ and /s*/, and to pronounce accurately the articulation posi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following vowel of the fricative.

      • KCI등재

        서울 코퍼스와 벅아이 코퍼스에서의 한국어와 영어 치경 마찰음 연구

        황선미,윤규철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人文硏究 Vol.- No.80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examine the English and Korean alveolar fricatives from the Buckeye([21]) and Seoul([20]) corpus. Such parameters as the center of gravity and the fricative duration were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various factors including sex, age, the manner and place of articulation, the location in a word or an utterance and the type of following vowels. Most of the findings agreed with those from earlier studies on the two languages and new discoveries were also made. The center of gravity values for the women and younger speakers were higher, and the COG values for the word- or utterance-initial location were also higher. The COG values and fricative durations were higher for fricatives followed by high vowels. 본 논문은 한국어와 영어의 치경 마찰음을 자연발화 한국어 음성코퍼스인 서울 코퍼스와 영어 코퍼스인 벅아이 코퍼스에서 중력중심값과 마찰음 길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성별, 연령별, 조음 방법과 위치, 단어와 발화 내 위치 등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영어 [s, ʃ]의 중력중심값은 각각 3900Hz와 3300Hz 정도의 값을 보였고, 한국어 [s, s*]는 각각 2400Hz와 5200Hz 정도의 값을 보였다. 어두나 발화 초의 중력중심값이 어중 어미나 발화 중 위치보다 큰 경향을 보였고, 성별과 연령에 따라서는 여성과 낮은 연령대의 중력중심값이 더 높은 양상을 보였다. 영어의 경우 후행 모음이 고모음일 때 중력중심값이 더 커지고 마찰 소음의 길이도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