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남 교산동 건물지의 조사성과와 역사적 가치 및 활용 방안

        황보경 ( Hwangbo Kyung ) 중부고고학회 2024 고고학 Vol.23 No.1

        하남 교산동 건물지는 1999년부터 2003년까지 시굴 및 발굴조사가 진행되어 크게 세 동의 건물지가 평면 ‘ㄷ’자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고, 담장지와 연못지, 요지, 할석유구 등도 발굴되었다. 조사내용은 종합보고서를 포함하여 모두 4권으로 간행되었고, 하남시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글에서는 교산동 건물지에 대한 조사성과를 비롯하여 건물지의 변천과 역사적 가치, 당면 과제 및 활용방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먼저, 교산동 건물지의 변천과정은 크게 3기로 나눠지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제1기는 서쪽과 동쪽건물지 등과 건물지를 둘러싼 토루가 함께 조영되었고, 토기 및 기와 그리고 ‘城達’과 ‘哀宣’명 기와, 해무리굽 청자 등이 출토되어 남북국시대 말기~고려 초기에 운영된 것으로 보인다. 제2기는 ‘ㄷ’자 형태의 건물 배치가 완성되었고, ‘廣州客舍’·‘官’명 기와 및 분청사기와 조선 관요에서 생산된 백자 등이 출토되어 광주객사로 운영된 것으로 보고 있다. 제3기에도 서쪽·동쪽·남쪽건물지가 조영되었고, 담장지는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일부 보수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건물지의 건립시기는 ‘別’자가 시문된 백자와 청해파문 바탕에 ‘廣’·‘官’명 인장와가 포함되어 있어 광주관아가 남한산성으로 이전되기 전까지인 17세기 전반까지 관영 건물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항공사진을 바탕으로 토루의 존재와 출입구 위치, 좌향에 대한 검토를 해 보았고, 남쪽담장지 밖에도 건물지가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다. 교산동 건물지의 역사적 가치를 네 가지로 요약해 보았는데, 첫째, 광주 객사지로서 가치가 있음을 설명하였다. 둘째, 남북국시대 한산주(한주)의 관영건물지이자 평지성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교산동 건물지의 제1기 건물지와 토루가 이 시기에 축조되었는데, 특히 건물지를 둘러싼 장방형의 토루 존재는 읍성으로 발전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후삼국시대에 활동했던 인물들이 건물 조영에 관여한 점에서 역사적 가치가 있는데, 성달과 애선의 이름이 시문된 명문기와가 교산동 건물지와 광주향교 등 교산동·춘궁동 일원에서 출토되고 있는 점에서 그들의 영향력과 왕규와의 정치적인 관계가 밀접했음을 설명하였다. 넷째, 교산동 건물지는 주변 유적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매우 중요한 가치가 있다고 보았다. 당면 과제로는 교산동 건물지에 대한 추가 정밀조사가 필요함을 언급하였고, 유적의 보존과 탐방객을 위해서 기본적인 시설 정비가 시급함을 지적하였다. 활용방안은 단기·중기·장기로 제시해 보았는데, 단기적으로 교육 및 답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추가 조사를 거쳐서 건물의 중복 관계와 구조를 보다 확실하게 규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중기적으로 건물지 유구를 그대로 노출시켜 보존하되 전시관을 신축하거나 일부를 볼 수 있도록 전시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장기적으로는 탐방객들이 체험을 할 수 있도록 ‘객사(관아)스테이’의 장소로 활용하는 방안도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The Gyosan-dong building site in Hanam, excavated from 1999 to 2003, revealed that three buildings were arranged flat in a shape resembling ‘ㄷ’, akin to a three-sided square with one side open. The excavation also uncovered fences, ponds, and kiln sites in addition to the building sites. This article examines the investigation results of the Gyosan-dong building site, alongside its changes, historical value, challenges, and a plan for its utilization. The transformation of the Gyosan-dong site was categorized into three distinct periods. The first period featured the construction of the west and east buildings, as well as the earthen wall that encircled the site. This era is presumed to range from the late North-South States period to the early Goryeo period, evidenced by excavated items such as tiles engraved with ‘城達’ (Seongdal) and ‘哀宣’ (Aeseon), along with blue celadons. During the second period, the unique ‘ㄷ’-shaped layout of the buildings was completed. Excavations yielded tiles bearing ‘廣州客舍’(Gwangju Gaeksa) and ‘官’ (Gwan), grayish-blue powdered celadons, and white porcelain from the Joseon Dynasty, indicating the site’s use as Gwangju Gaeksa. The third period witnessed the construction of the western, eastern, and southern building sites, with renovations to the walled area that preserved its original form.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se sites dates back to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as suggested by the discovery of white porcelain and seals inscribed with ‘廣’ (Gwang) and ‘官’ (Gwan). Further analysis, including aerial photography, provided insights into the earthen wall’s existence, the site’s entry and exit points, and its direction toward the left.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Gyosan-dong site is summarized in four key aspects: firstly, as the Gwangju Gaeksa site; secondly, its importance as a government building site and a flatland castle in Hansanju (Hanju) during the North-South States Period. The presence of an oblong earthen wall at the Gyosan-dong building site is judged to show the stage of development into a town village; thirdly, the involvement of historical figures such as Seongdal and Aeseon in the construction during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adds to its historical importance; and fourthly, the site's value i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with adjacent ruins. The article highlights the urgent need for further in-depth investigation of the Gyosan-dong site. Emphasis is placed on the immediate preservation of the ruins and the maintenance of basic visitor facilities. Several utilization strategies are proposed, aimed at enhancing the site’s value in the short, medium, and long term.

      • KCI등재
      • KCI등재

        복합환승센터 권역을 중심으로 살펴본 3기 신도시의 복합화ㆍ입체화 공간계획 특성 연구 - 인천 계양, 남양주 왕숙, 하남 교산 신도시를 중심으로

        이지은,주혜린,전아현,김홍기,김벽연 한국도시설계학회 2022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대중교통 거점시설 권역을 중심으로 3기 신도시의 복합화ㆍ입체화 공간계획 특성을 파악하여 이에 관한 기초자료를 수립하고자 한다. 문헌연구를 통해 설계공모 지침서에서 강조된 3기 신도시의 복합화ㆍ입체화 설계방향과 과제를 이해하고 네 가지 분석항목을 도출하였다. 이를 중심으로, 인천 계양, 남양주 왕숙 1, 하남 교산 신도시의 설계공모 당선작에 실린 계획안과 토지이용계획도를 분석하고, 다음과 같이 세 가지 계획특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대중교통 거점시설 및 이를 중심으로 형성된 보행권 안에 주거와 직장뿐만 아니라 문화여가와첨단산업까지 용도복합의 대상을 확대하였다. 둘째, 수평방향에서의 적극적인 용도혼합을 통해단일용도의 지역과 블록 구획을 지양하였으나, 대중교통 거점시설 내에서 수직방향으로의 용도혼합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하층에서 지상2층까지 이동수단별로 분리된 대중교통망과 녹지 중심의 공중보행로를 구축하고, 이를 대중교통 거점시설로부터 도시 전체로 연계ㆍ 확장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