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평택 · 당진항과 대산항의 수출행태의 비교분석

        모수원(Soowon Mo) 한국항만경제학회 2013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29 No.3

        평택·당진항과 대산항은 지리적으로 지근거리에 있는 항만이다. 그러나 평택·당진항의 수출물동량은 전국 항만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비중도 수직 상승하고 있는데 비해 대산항은 상대적으로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본고는 두 항만의 수출물동량의 비교 분석을 통해 두 항만이 수출품목과 계절성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으며, 평택·당진항의 수출에서는 특정 품목의 비중이 크게 감소하고 있으나 대산항은 특정 품목에 대한 수출비중이 지나치게 높다는 것을 보인다. 오차수정계수를 도출하여 일시적 괴리의 조정속도가 평택·당진항이 더 늦어 물동량 부족이 발생할 경우 대산항보다 물동량 회복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특징이 있음도 밝힌다. 환율계수는 대산항이, 경기계수는 평택·당진항이 더 크나 두 항만에서 경기계수가 환율계수보다 훨씬 더 크기 때문에 경기측면에서 평택·당진항이 상당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더욱 시간이 흐름에 따라 평택·당진항의 경기계수는 커지는데 비해 대산항의 경기계수는 작아진다는 것도 밝힌다. 충격반응분석을 통해 경기충격은 대단히 오랫동안 지속되나 환율충격은 빠르게 쇠퇴하여, 평택·당진항에서 경기충격은 환율충격의 약 10배에 달하며, 대산항에서는 경기충격이 환율충격보다 5배라는 점도 밝힌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xport behavior of port of Pyeongtaek-Dangjin and Daesan. The monthly data cover the period from January 2002 to December 2012. This paper tests whether the exchange rate and the industrial production are stationary or not, rejecting the null hypothesis of a unit root in each of the level variables and of a unit root for the residuals from the cointegration at the 5 percent significance level. The error-correction model is estimated to find that Daesan port is faster than Pyeongtaek-Dangjin in adjusting the short-run disequilibrium. This paper finds that the exchange rate coefficient of Daesan port is higher than that of Pyeongtaek-Dangjin port, while the industrial production coefficient of the former is much smaller than that of the latter. The industrial production coefficient is, however, much higher than the exchange rate coefficient in both ports. The rolling regression shows that the influence of exchange rate and industrial production tends to increase in Pyeongtaek-Dangjin port but tends to decrease in Daesan. The impulse response functions indicate that export volumes respond much greater to the positive shocks in industrial production than in exchange rate, and the exchange rate shock decays very fast, while the industrial production shock lasts very long.

      • KCI등재

        평택당진항의 갈등 원인과 거버넌스 접근을 통한 해결방안

        이동현(Dong-Gyon Lee) 한국항만경제학회 2013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29 No.3

        평택당진항은 매립지 관할권, 국제여객터미널 건립, 연육교 건설 등 주요 사안에서 해양수산부, 경기도, 충청남도, 평택시, 당진시, 아산시 등의 의견이 갈려 갈등이 일어나고, 심각한 경우에는 법적 분쟁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갈등의 원인을 거버넌스 차원에서 해석하면 2가지 문제점이 지적될 수 있다. 첫째, 현행 평택당진항의 거버넌스 구조는 참여주체 간, 이해관계자 간 충돌 및 분쟁 가능성이 높은 구조로 되어 있다. 둘째, 현행 평택당진항의 거버넌스 구조는 평택당진항의 미래 발전을 책임지고 이끌어갈 수 잇는 주도기관의 부재가 중요한 문제점으로 거론된다. 이에 따라 충돌가능성을 저하하고, 주도기관이 존재하는 거버넌스를 설립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충돌가능성을 저하하는 방안으로는 갈등조정기구의 설치, 항만개발 및 운영에 관한 사실관계 및 관련 법규의 명확화, 이해관계자 간 교류의 활성화 등이 제시되었다. 주도기관을 설립하기 위한 거버넌스 도입 방안은 단일 거버넌스의 도입, 평택당진항 항만공사(PA) 의 신설, 중앙-지방 연합형 거버넌스의 도입, PA에 대한 실질적인 권한의 전면 부여 등이 검토되었다. There have been many conflicts in Pyeongtaek-Dangjin Port among central government, metropolitan council, and cities over the jurisdiction of reclaimed port area, an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construction and a bridge between the port and Dangjin area. This study found out two caused for the conflicts in terms of governance. First, the current governance structure of Pyeongtaek-Dangjin port has high levels of conflict and disputes among stakeholder. Second, there is no leading agency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port. It is very important to decrease the possibility of conflict and to establish leading agency. Measures to decrease the likelihood of conflict include establishment of conflict resolution mechanism, the clarification of the facts and applicable law, mutual exchanges between stakeholder. Measures to establish a leading agency include the introduction of a single governance, establishment of Pyeongtaek-Dangjin Port Authority, central-local combined governance, and empowering PA to do all port management.

      • KCI등재

        평택당진항의 자동차 물류 클러스터 구축방안

        백종실(Baik, Jong-Sil) 한국항만경제학회 2019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35 No.4

        본 논문은 평택당진항의 자동차 물류 클러스터 구축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평택당진항은 자동차관련 부가가치 물류서비스를 바탕으로 활성화되고 발전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각 지자체마다 앞다퉈 자동차 관련 산업단지 육성에 나서고 있다. 또한 향후 국산 자동차 수출 전망은 어둡지만 평택당진항을 비롯한 여러 항만이 수출입과 환적 자동차를 유치하기 위해 부두시설을 확충하는 등 자동차 항만으로서 위상을 확보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다. 평택당진항은 현재 1위 자동차 항만으로서 자동차 물류클러스터를 구축하기 위한 좋은 여건을 갖추고 있다. 쌍용자동차와 기아자동차, 그리고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가까이 위치하고 있고, 향후 항만배후단지 개발을 통하여 충분히 자동차 물류 클러스터 구축에 소요되는 부지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단순한 물류 거점으로서만이 아니라 다양한 문화와 체험이 가능한 자동차 물류거점을 조성함으로써 미래 모빌리티 발전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평택당진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This paper explores strategies for building an automobile logistics cluster in PyeongtaekDangjin Port, which needs to be developed and operated for automobile related value-added logistics services. The future of Korean automobile exports seems gloomy, but many domestic ports, including PyeongtaekDangjin Port, are struggling to secure a position as automobile ports by expanding port facilities to attract exports and transshipment vehicles. PyeongtaekDangjin Port is currently the best automobile port as it is under good conditions for building an automobile logistics cluster. Ssangyong Motor Co., Kia Motors Corp., Samsung Electronics Co., and LG Electronics Inc., which are located nearby, can secure enough land to build an automobile logistics cluster by developing a port distribution complex in the future. This will promot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PyeongtaekDangjin Port by creating a logistics hub, specifically an automobile logistics hub, which would allow diverse cultures and experiences to respond appropriately to future mobility development.

      • 평택,당진항의 활성화 전략

        현인규 ( In Gyou Hyun ),박소진 ( So Jin Park ) 순천향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9 사회과학연구 Vol.15 No.1

        본 논문에서는 평택과 당진의 황해경제자유구역 선정으로 인한 황해경제권의 변화를 둘러싸고 황해경제권의 대표항인 평택·당진항 개발의 활성화를 위한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평택시와 당진군 내 산업단지의 현황을 파악하고 평택·당진항을 SWOT 분석하였으며, 이에 따른 전략과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항만이지만 수도권이 인접해 있고 중국과의 지리적 접근성이 뛰어난 평택·당진항이 국제항으로서의 역할이 증대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다수의 배후 산업단지는 물류중심지로의 성장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평택시와 당진군 두 지역에 분산되어 운영되어 오던 행정상의 문제를 차별화 하여 특화함으로써 행정능력과 지역 발전 도모를 꾀함으로서 평택·당진항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oint of this paper is activation strategy of Pyeongtaek·Dangjin Port. Because recently port industries are confronted with enormous changes like globalization, to cope with this changing harbors business environment, liners have pursued economies of scale, and they also have dealt with shippers requirements with efficiency of their hub system Not only is Pyeongtaek·Dangjin Port situated at the northeast part of Korea and close to Metropolitan area, but also Pyeongtaek·Dangjin port has a geographical accessibility to China Moreover Pyeongtaek·Dangjin Port is the best physical distribution area that can decrease distribution cost because easy to connection with automobile, road, railroad, air traffic. In this study, grasping the industry present condition of Pyeongtaek·Dangjin city and SWOT analysis are suggested for competitive advantage strategy and development plan by Pyeongtaek·Dangjin Port. Also, this study suggests the future port policy and development plan. And asking for the close business cooperation and differentiating harbor service offer for successful harbor management. As well as, we will continue persistent study for efficient Pyeongtaek·Dangjin Port development.

      • KCI등재

        평택 · 당진항의 항만발달과 화물유동에 의한 항세권 변화

        韓柱成(Ju-Seong Han) 대한지리학회 2010 대한지리학회지 Vol.45 No.6

        본 연구는 비교적 개항의 역사가 짧은 평택 · 당진항의 항만 발달과정과 화물유동의 항세권 변화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택 · 당진항의 항만발달과 배후 · 지향지 변화와의 관계를 보면, 개발기에서 성장기로 나아가면서 배후 · 지향지의 지역적 범위는 크게 변함이 없으나 1차 배후 · 지향지의 화물 집중률은 낮아지고 주변지역에서의 비중이 증가하는 것은 자동차와 연료 · 에너지의 수출입화물 구성비가 낮아진 반면 수입하는 철강, 기타 섬유제품 · 넝마, 유기화합물, 수출하는 1차 금속산업제품의 점유율이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이는 개발기에 중국과 미국으로의 수출, 성장기에 중국으로부터의 수입 증가와 연료와 에너지의 수입국 다변화가 이와 같은 항세권 변화를 나타내게 하였다. This study seeks to clarify the process of development and the change of freight flows in the influence areas of Pyeongtaek and Dangjin Port, which opened lately.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rom development period to growth period, the relation between the development of the port and the change of the hinterland and foreland shows no great change and the freight concentration rates of the first hinterland and foreland decreased, but those of periphery region increased. While the composition rate of import and export freight of vehicle, fuel and energy decreased, the rate of imported freights (iron or steel, other textile articles, rag and organic compounds) and exported freight (manufacture of basic metals) increased. The reasons for such changes in influence areas of port were the increase of export to China and the U.S.A. in the development period, the increase of import from China in the growth period and the diversification of nations from which fuel and energy were imported.

      • 평택ㆍ당진항 자유무역지역 활성화방안

        노윤진(Yoon-Jin Roh),김승철(Seung-Chul Kim) 영남대학교 산경연구소 2008 영상저널 Vol.1 No.1

        재화와 서비스의 자유로운 이동에 따라 통합된 운송네트워크와 정보통신서버스가 무역과 운송산업에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기엽으로 하여금 생산라인에 있어서 일관운송, 통관제도 등에 새로운 변화를 야기시켰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각국은 항만지역 또는 항만배후지역에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지역을 건설하거나 예정중이며 이러한 변화는 한국에도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평택당진항 자유무역지역의 활성화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 부가가치물류창조형 자유무역지역, 대 중국 교역기엽의 SCM(Supply Chain Management)의 거점과 기업유치, 장단기적인 마케팅 전략의 구축 및 실행, 효율적인 자유무역지역 관리주체 설정 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Liberalization of trade in goods and services, new integrated transport networks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developments have created unprecedented business opportunities for the trade and transport industry. These trends in logistics and supply chain management are accelerating as tariff and non tariff barriers, induding customs procedures, are streamlined and simplified, particularly through bilateral, subregional and multilateral facilitation agreements. In line with these trends, and to meet the demands of business, many countries have established intends to establish special value-adding zones in port areas or in the wider hinterland with high expectations of the economic benefits that these zones would bring.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uccessful guidelines for activation strategies of PyeongtaekㆍDangjin port Free Trade Zone. To examine key alternatives and suggestions for the activation of Pyongtaekㆍdangjin Free Trade Zone, field survey was conducted. The analysis result revealed that the construction of VAL FTZ, the hub of SCM for China, Marketing plan based on Short & Long Term, establishment of effective governing body for FTZ are important.

      • KCI등재

        평택·당진항의 화물유동에 의한 항세권의 계층성

        韓柱成(Ju-Seong Han) 대한지리학회 2011 대한지리학회지 Vol.46 No.6

        본 연구는 평택·당진항을 대상으로 화물수송량에 의한 밀집도로 항세권의 계층성을 파악하고, 항만의 수출입량 증대를 위한 활성화방안을 알아보고자 한다. 중국과의 무역증대를 예상하여 건설된 평택·당진항은 자동차, 천연가스를 주축으로 수출입히는 항구로서의 기능이 더욱 강화되어 배후지와 지향지의 항세권은 확대되고 있으나 여전히 반경 70km의 핵심권에서 무역량이 많아 전국적인 항만으로 나아가는 데는 항로의 다변화와 더불어 여러 지역의 화주와 운송업자 및 선사로부터 인정받는 항만의 활성화 정책이 실행되어야 국제적 중심 항으로서의 위상과 기능이 제고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grasp the hierarchy in the influence areas of port by the intensity of freight shipments and to seek the activating methods for the increase of export and import volumes of Pyeongtaek and Dangjin port, Pyeongtaek and Dangjin port whose major import and export freights are natural gas and automobile, were constructed for the increasing trade with People's Republic of China. This port is expanding the influence in the hinterland and foreland of the port, but core influence area of Pyeongtaek and Dangjin port is rich in trade volume within the radius of 70km. To become international as well as national ports, Pyeongtaek and Dangjin is required to execute the active policy to receive many-sideness of sea route and the recognition of freight holders, forwarders and ship companies in many regions.

      • 평택 · 당진항 공유수면 매립 부지의 관할권 재조명

        민창기 평택대학교 2005 論文集 Vol.19 No.-

        헌법재판소는 평택·당진항의 평택측 매립부지에 대한 관할권에 대하여 동 부지의 중간을 가르며 관할권이 있다고 심판하였고 또한 국토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경계의 재조정이 가능하다고 판시하였다. 이에 두 지자체의 갈등은 더욱 심화되어 가고 있다. 본 연구는 국토의 효율적 이용의 측면에서 기존 문헌과 의견을 검토하여 관할권을 재조명한다. 본 연구는 평택·당진항 내에서 평택과 당진의 공유수면 매립부지의 경계는 사회적, 경제적, 물리적, 자연·환경적 여건을 고려하여 볼 때, 당진쪽 삽교천 물길과 평택·당진항 서 부두와의 중간지점을 항구의 관할권의 경계로 함이 국토이용의 효율성의 문제나 지역간의 형평성의 문제를 고려하여 볼 때 합리적임을 발견하였다.

      • KCI등재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평택·당진항 수입 승용차 물동량 예측에 관한 연구

        이재구(Jae-Gu Lee),이기환(Ki-Hwan Lee) 한국항해항만학회 2020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44 No.6

        평택·당진항은 국내에서 가장 많은 완성차 물동량을 처리하는 항만으로 특히 수입 자동차는 국내 전체 물동량의 95% 이상을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2015년부터 수입 자동차 물동량 증가가 정체되고 있어, 항만 개발이나 자동차 관련 산업에 투자를 계획하고 있는 관계자들에게 새로운 물동량 추정이 필요한 시점이다. 한편, 자동차 물동량 예측 시 그동안 GDP(국내총생산) 등 경제와 관련된 변수가 많이 활용되었으나, 선행연구를 통해 선진국에서는 이러한 경제관련 변수가 자동차 물동량에 미치는 영향이 점점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짧은 시간내에 경제성장을 달성하고 선진국으로 진입한 경우에는 경제변수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가 직면하고 있는 인구감소를 주요 요인으로 하여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통해 평택·당진항의 수입 승용차 물동량을 예측하고자 한다. 예측결과 평택·당진항의 수입승용차 물량은 21년을 기점으로 조금씩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예측된 결과값의 정확도를 측정하기 위해 MAPE 검증을 실시하였고, 수입 승용차 점유율에 대한 시나리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Pyeongtaek·Dangjin port handles the largest volume of finished vehicles in Korea, including more than 95% of imported cars .However, since the volume of imported cars has been stagnant since 2015, officials planning to invest in port development or automobile-related industries must make new forecasts. Economic variables such as the GDP often have been used in predicting automobile volume, but prior research showed that the impact of these economic variables on automobile volume I has been gradually decreasing in developed countries. These variables remain important predictors, however, in developing countries that experience rapid economic growth .In this study, predicting the volume of imported passenger cars at Pyeongtaek· Dangjin port, the decreasing Korean population was a major factor we considered. Our forecast showed that the volume of imported passenger cars at Pyeongtaek·Dangjin port will gradually decrease -by 2021. The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MAPE) verification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accuracy of the predicted results, and the scenario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share of imported passenger cars.

      • KCI등재

        평택당진항 개발 방향의 우선순위 분석 연구

        정현재 ( Jung Hyun-jae ) 한국해운물류학회 2023 해운물류연구 Vol.39 No.1

        항만은 대외무역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에 필요한 주요 기반 시설이며 생산 증대 및 고용창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1986년 개항한 평택당진항은 최근 성장이 둔화되는 상황이며 재도약을 위한 국면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평택당진항을 발전시키기 위해 향후 추진해야할 과제를 중심으로 중요도를 분석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추진과제의 중요도를 분석하기 위해 AHP 기법을 활용하였으며, 분석결과 항만 경쟁력 강화(0.184), 네트워크 강화(0.128), 고부가가치 항만 육성(0.122) 순으로 중요도가 평가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평택당진항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항만 배후단지의 조속한 개발과 더불어 전기 및 전자, 자동차, 전자상거래 등 지역의 특화산업과 연계된 배후단지의 운영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또한 항만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항만 진입도로 확장 및 철도 인입시설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Ports are a major infrastructure necessary for economic growth in Korea, which is highly dependent on foreign trade, and Ports play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production and creating jobs. However, Pyeongtaek Dangjin Port, which opened in 1986, is experiencing a slowdown in recent growth, and it is time to change the situation for revitaliz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tasks to be promoted in the future to develop Pyeongtaek Dangjin Port. AHP technique was used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the task.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mportance was evaluated in the order of strengthening port competitiveness (0.184), strengthening network (0.128), and fostering high value-added ports (0.122).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Pyeongtaek Dangjin Port, it is argued that the need to operate hinterland complexes linked to local specialized industries such as electricity, electronics, automobiles, and e-commerce along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port hinterland. 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port accessibility, the necessity of expanding port access roads and developing railroad lead-in facilities was suggested as an impl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