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 초등교사가 실천한 경제수업 사례연구 : 합리적 선택을 중심으로

        송하인(Song, Ha In),최고은(Choi, Go 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한 초등학교 교사가 사회과 경제수업을 구성하면서 가지는 어려움을 어떻게 극복해가는지에 대한 미시적 탐구이다. 이를 위해 한 교사가 경제수업을 구성한 과정을 자기 회상자료로 만들고 수업을 실행하기까지의 과정을 질적 사례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연구참여자가 초등학교 경제수업을 하는 데 가장 큰 어려움은 교과서 내용배열의 모호성, 경제교육이 빠진 활동 중심수업,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부재였다. 교과서의 내용배열이 애매할 경우 수업을 구성하는 교사는 어떻게 내용을 재구성해야 할지, 어떤 방법을 사용해야 할지에 대해서 혼란을 느끼게 된다. 둘째, 활동의 본질적 의미를 깨닫지 못하고 단순히 학생들의 흥미를 끌기 위해 활동 중심수업을 전개할 경우 경제교육이 빠진 경제수업이 진행된다. 셋째, 학교 내에서 경제교육의 관점에서 수업에 도움을 주는 전문적 학습공동체가 구축되지 않으면 수업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교사는 경제교육의 관점에서 수업에 대한 어떠한 도움을 받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본 연구는 초등학교 경제수업을 하는 과정에서 한 교사가 가지는 어려움을 통해 초등학교 경제수업이 올바르게 진행되기 위한 몇 가지 조건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로 경제수업을 하는 현장 교사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설계하는 연구자들이 초등학교 경제수업에 관한 내용을 조직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 microscopic exploration of how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overcame the difficulties of organizing economic classes of social studies. For this purpose, the process of a teacher organizing economic classes were made as self-recall data and we examined the process until the classes were practiced through qualitative case studies.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biggest difficulties for the participants in the economic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were the ambiguity of the contents arrangement in textbook, the activity based classes without economic education and absence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hen contents arrangement in textbook is ambiguous, teachers who organize classes were confused about how to reorganize contents and what kind of method to use. Second, if teachers conduct activity based classes merely to attract student s interest without realizing the essential meaning of activities, economic classes without economic education will be carried out. Third, whe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at can help classes with the perspective of economic education is not organized within the school, the teacher cannot receive any help on the classes with the perspective of economic education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classes. This study suggested a few conditions for economic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to be properly conducted through the difficulties of a teacher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economic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This study can not only help teachers in field who conduct economic classes, but also help researchers who design curriculum and textbooks to organize the contents of economic class in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교육대학에서 교양 경제 수업을 어떻게 할 것인가?

        최은경(Choi Eunkyung)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6

        이 논문은 교육대학의 경제 교양수업에 관한 연구이다. 교육대학은 심화전공이 아니면 경제 수업을 배우는 것이 쉽지는 않으나 교양 경제는 일반대학처럼 선택만 하면 누구나가 들을 수 있다. 글로벌 위기 이후 초등경제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예비교사들의 경제 능력 함양을 위해서 교양 경제 수업이 가지고 있어야 할 수업의 방향과 교육대학만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초등교과와 연계된 강의콘텐츠 개발의 필요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우선, 전국 교육대학교 교양 경제 관련 강좌 개설현황과 현행 초등 사회과 경제 교과서를 점검하고 실질적으로 교양 경제 수업에서 초등 사회과 과목을 접목한 강의 계획서와 수업 예시를 보였다. 예비교사의 함양을 위해서 해결책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상 교양 경제 수업 시수 또는 수강인 원을 증가시키는 양적인 확대를 동시에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교양 경제 수업에서 초등경제 수업내용을 다루는 교육대만의 강의콘텐츠를 개발하여 질적인 향상을 준비하여야 하며 그리고 여기에 세 번째는, 가능하다면 예비교사의 경제 수업을 필수교양으로 하고, 차선책으로 특강이라는 방법을 통해서라도 초등 경제 수업 과정을 이수하는 과정을 강구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This thesis is the study on economics offered as general education in a university of education. It is not easy to take a class in economics unless it is an intensive major course. However, anyone can take an economics class as general education if he or she chooses it, just as they would at any other general university. The importance of elementary economics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since the global crisis. Accordingly, in order to cultivate a grounding in economics among pre-service teachers, this study researched the direction of economics class offered as general education,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lecture contents affiliated with an elementary curriculum, considering the speciality of courses offered at education universities. First of all, this study researched the current state of course offerings for economics as general education in a university of education throughout the country, as well as current economics textbooks within elementary social studies programs. This study then suggested a lesson plan of economics affiliated with elementary social studies courses and its class example. The solution to cultivate a grounding in economics among pre-service teacher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frequency of economics as general education and the number of students attending a clas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economics as general education dealing with elementary economics, in order to improve its overall quality. Third, it is necessary to designate economics as required general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and to have students complete an elementary economics class as a special lecture in order to provide students with an alternative to their regular courses.

      • KCI등재

        예비교사교육에서 수업비평공동체 활용사례 연구: 초등 사회과 경제영역을 중심으로

        김영현 ( Kim Younghyu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교사교육연구 Vol.6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교사교육과정에서 수업비평 공동체 활용사례를 분석하여 예비교사의 수업에 대한 인식과 관점의 변화와 그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A교육대학교 예비교사들을 참여자로 하여 수업비평공동체 활동에 기반한 사회과 교육의 실제 강의를 구성하고 운영한 뒤 수집한 연구자료인 수업에세이, 수업비평문, 수업설계 및 시연영상, 수업비평공동체 활동에 대한 소감문 등을 근거이론연구의 개방코딩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예비교사교육에서 수업비평공동체는 예비교사들에게 수업에 대한 경험과 의미를 공유함으로써 수업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수업비평문을 공유하는 과정을 통해 수업을 반복적으로 간접체험하며 수업에 대한 인식의 차이와 다양한 관점을 자연스럽게 경험할 수 있었다. 향후 예비교사교육에서 수업비평공동체가 보다 유의미하게 활용되기 위해서는 예비교사에게 입체적인 해석이 가능한 다양한 관점의 수업비평영상이 요구되며 수업비평을 수업의 잘못된 점을 찾아 비판하는 것이라 생각하는 예비교사들의 오해가 수정되어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the use of the instruction criticism community on the change of perceptions and perspectives of pre-service teachers for teaching. A preparatory teachers at the University of Education collected research data after experiencing a lecture based on the activities of the instruction criticism community. Research data were analyzed using open coding of the grounded theory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lass criticism community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llowed pre-service teachers to share their experiences and insights about class and to make various interpretations of instruction possible. The process of sharing instruction criticism is to experience the class repeatedly. In addition, pre-service teachers can experience differences in perception and various perspectives on the instruction. In order for the instruction criticism community to be meaningfully utilized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videos that can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are required for pre-service teachers. Finally, it is necessary to correct the misconception that instruction criticism is only focused on for finding faults.

      • KCI등재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초등학교 경제 수업 사례 연구

        권정현(Kwon Jung-Hyun),문영빛(Moon Young-bit)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6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이 1개의 직업을 갖고 생산과 소비 활동 모두를 경험하는 시뮬레이션 수업 사례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학생들은 시뮬레이션 수업 절차에 따라 상황 설정하기, 직업 선택하기, 직업인으로서 경제 활동하기, 평가하기 순으로 수업에 참여하였다. 수업은 10 ~ 11월까지 총 16시간 동안 이루어졌다. 결과 학생들은 직업을 갖고 다른 학생들이 소비할 만한 물건이나 서비스를 생산했고, 자신에게 필요한 것을 소비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경제’란 용어를 자신의 말과 글로 설명할 수 있었다. 결론 이 수업에서 연구자는 다음 2가지 점에 유의하여 수업을 계획하였다. 첫째는 학생들이 수업 내용을 자신의 눈으로 볼 수 있게 수업을 계획하였다. 두 번째는 자신이 본 수업을 자신의 말로 설명할 수 있도록 수업을 구상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case of simulation-learning in which each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a job and an activities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Methods The students learned according to the simulation instructional procedure that is in the order of setting situations, choosing jobs, working economically as professionals, and evaluating them. The instruction were held for a total of 16 hours from October to November. Results Each students got a job, and produced goods or services that other students would consume, and consumed what they needed. Based on these experiences, they described ‘economy’ in their own words. Conclusions In this instruction, the researcher planned the instruction with two points in mind: First, the classes was planned so that students could see the contents of the instruction with their own eyes. Second, the researcher designed the classes so that students could explain their experience of the classes in their own word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