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청학사서(淸學四書)>에서 실현된 만주어의 시상법 연구(1)-특이한 "-ha", "-habi" 구문을 중심으로-

        황국정 ( Kuk Jung Hwang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2 인문학연구 Vol.0 No.22

        본고는 淸學四書에서 실현된 만주어의 시상 체계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연구의 주된 대상으로 삼은 시상 체계는 ``-ha``, ``-habi`` 구문에서 실현된 만주어의 시상 체계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논의된 사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淸學四書에서 실현된 만주어의 시상법에서 미래의 일어나지 않은 미연의 상황이라 하더라도 화자가 과거 상황만큼이나 기정적이거나 확정적인 사실로 파악할 경우는 과거의 ``-ha``나 ``-habi``가 시제가 아닌 미래완료, 현재완료의 상의 기능으로 실현될 수 있음을 고찰할 수 있었다. 이처럼 과거 시제 표지나 현재 시제 표지로 미래 시간의 상황을 지시함은 한국어뿐만 아니라 여러 언어에서도 관찰되는 양상이다. 그러므로 만주어의 ``-ha``, ``-habi``는 시제와 상의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system of tense and aspect in the Manchu. In particular, it focuses on the syntactic structures of ``-ha``, ``-habi``. Preceding researches insisted that grammatical function of the ``-ha``, ``-habi`` is preterite, past tense. According to researches on The Four Books of Qing Studies(淸學四書), however, the ``-ha``, ``-habi`` had been used both in the future situation and present situation. Therefore, it can be assumed that ``-ha and ``-habi`` are endowed to function as both tense and aspect.

      • KCI등재

        淸學四書 滿洲語의 한글 轉寫 연구

        심영환(Shim, Young-hwan) 역사실학회 2016 역사와실학 Vol.60 No.-

        淸學四書란 『八歲兒』·『小兒論』(1977), 『淸語老乞大』(1765), 『三譯總解』(1774)를 가리킨다. 이들 책은 사역원의 만주어 학습 교재였을 뿐만 아니라 譯官 시험의 寫字를 출제하는 문제지의 역할도 하였다. 또한 본문이 ‘만주어-한글 전사-한글 번역’으로 구성되었기에, 이상적인 만주어 학습서의 기능을 현재까지 지니고 있다. 청학사서에 나타나는 만주어의 한글 전사(Hangul transliteration)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만주어의 모음(vowels) 6자는 각각 /a/-/아/, /e/-/어/, /i/-/이/,/o/-/오/, /u/-/우/, /ū/-/우/로 한글 전사에 대응되었다. 이러한 기본적인 원칙 외에 만주어의 자음 /d/와 /s/의 뒤에 나오는 모음 /e/가 /으/로 발음되는 것은 빠르게 발음하기 때문이다. 이중모음 /oo/가 /ao/처럼 발음되는 것은 당시 차용어의 현실 발음을 고려하여 발음하였기 때문이다. 또, 만주어 모음 /ū/가 자음 /y/의 뒤에서 /우/가 아닌 /워/로 발음되는 사례인 /yū/-//를 소개하였다. 이는 동시대 몽골어 교재인 蒙學三書에 나타나는 몽골어의 원순모음 /ö/-/워/와 音價가 같다는 것을 지적하고 후일의 연구를 기약하였다. 만주어의 자음(consonants) 19자는 각각 /n(a)/-/나/, /k(a)/-/카/, /g(a)/-/가/,/h(a)/-/하/, /b(a)/-/바/, /p(a)/-/파/, /s(a)/-/사/, /š(a)/-/샤/, /t(a)/-/타/, /d(a)/-/다/, /l(a)/-/라/, /m(a)/-/마/, /c(a)/-/챠/, /j(a)/-/쟈/, /y(a)/-/야/, /r(a)/-/라/,/f(a)/-/파/, /w(a)/-/와/(/w(e)/-/워/), /(a)ng/-/앙/으로 한글 전사에 대응되었다. 만주어의 모음 /ū/는 軟口蓋字音 /k, g, h/ 뒤에서 /kū, gū, hū/-/쿠, 구, 후/로 나타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그런데 /tūci/-/투치/(기본형 tūmbi: 치다[打])와 같이 齒音인 자음 /t/ 뒤에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ūng/-/웅/은 단독으로 등장하지 않고 /kūng/-/쿵/과 /gūng/-/궁/으로만 나타났다. 자음 /k/와 /t/가 終聲일 때 한글 전사가 /ㅋ/와 /ㅌ/가 아닌 /ㄱ/과 /ㄷ/으로 나타나는 것은 『訓民正音解例』에서 규정한 八終聲法 때문이었다. 주의할 점은 묄렌도르프(Möllendorff)의 만주어 표기에 나타나는 /c/와 /j/는 몽골어의 /č/와 /ǰ/와 유사한 음가를 지닌다고 하였다. 곧, /ca/는 /*차/가 아니라 /챠/가 되며, /ja/는 /*자/가 아니라 /쟈/로 전사된다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만주어에는 모음과 자음 외에도 외래어의 표기를 위한 특수문자가 있다. 모두 10개의 특수문자가 있는데 각각 /k‘(a)/-/카/, /g‘(a)/-/가/, /h‘(a)/-/하/, /ts‘(a)/-/차/,/ts/-/츠/, /dz(a)/-/자/, /ž(a)/-//, /sy/-/스/, /c‘y/-/치/, /jy/-/시/로 한글 전사에 대응되었다. 특수문자의 한글 전사에서는 특이하게 /ž/음에 대하여 半齒音 /ㅿ/을 설정하고 있는데, 이는 자음 /j/나 특수문자 /dz/와 구별하기 위하여 고심하여 도입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 KCI등재

        <淸學四書>에 나타난 만주어의 격 체계 연구-근대 한국어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황국정 이중언어학회 2011 이중언어학 Vol.45 No.-

        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case system of Manchu and Korean, on the foundation this, we clarify genetic relevances of two languages. In order to this investigation, we organized Manchu verbs constructions from qing studies four books. 八歲兒, 小兒論, 淸語老乞大, 三譯總解, and on the basis of this works we would like to investigate Manchu case system synthetically, systematically. To summarized, like following this. Firstly, Both Manchu and Korean were realized subjective genitive construction. Secondly, it is possible that the objective case and genitive case were ellipsis. Thirdly, it is possible that subjective case and objective case were duplicate. Fourthly, the objective case ‘-be’ took direction besides theme, dative case ‘-de’ took ‘instrument’, ‘theme’, ‘reason’ besides indirection, and instrumental case took ‘instrument’, ‘indirection’ etc. By this analysis, we confirmed similarities between Manchu and Korean. By Contrast, we examined differences of Manchu and Korean in various aspects. For example, the subjective case were realized ø morph in Manchu. Furthermore, ellipsis of the dative case and the instrumental cases were acceptable.

      • KCI등재

        일반논문 : 조선 지식인들의 청대(淸代) 만주어(滿洲語) 수용 연구

        김양진 ( Ryang Jin Kim ),신상현 ( Sang Hyun Shin ) 한국실학학회 2015 한국실학연구 Vol.0 No.30

        이 논문은 청대 만주어가 어떠한 양상으로 조선에 수용되었는지에 대해 고찰한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조선에서의 滿洲語(淸語) 수용 과정과 그 실상을 살펴보고, 이러한 실상이 조선 지식인들의 관점에서 어떻게 자기화 하여 받아들여졌는지를 알아보았다. 조선의 만주어에 대한 초기의 인식은 정묘호란(1627)과 병자호란(1636)을 겪으면서 만주족과의 교류를 통하여 시작되었다. 당시에 만주족은 기존의 여진문자를 버리고 새로 도입한 有圈點만주문자로 만주어를 표기하였는데, 조선에서는 이에 대한 이해가 거의 없었다. 그러나 점차 만주어 이해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司譯院을 중심으로 교육 체제를 갖추고, 만주어 구사자를 확산시켜 나갔다. 그리고 만주어 확산을 위해 만주어 학습서를 편찬하여 간행하게 되는데, 이를 주도한 사람은 申繼暗이었으며, 그가 편찬한 만주어 학습서는 그 뒤에 개정을 거듭하여 『八歲兒』·『小兒論』·『三譯總解』·『淸語老乞大』로 이루어진 < 淸學四書 >로도 불리는 『淸語總解』(1703)로 발전하게 되며, 조선말까지 만주어 학습서의 근간을 이룬다. 한편 청나라는 만주어의 문화어 격상과 보급을 위해 『御製淸文鑑』이라고 불리우는 백과사전식 만주어 사전인 Han i araha manju gisun i buleku bithe(HMB, 1708)를 간행하게 되고, 乾隆36년(1771)에 이르러서는 증보판인 『御製增訂淸文鑑』이편찬된다. 조선에서는 淸學檢察官金振夏등이 『어제증정청문감』을 저본으로 한문과 한글로 뜻을 달고 한글로 만주어 발음을 표기하여 『漢淸文鑑』(1779)을 간행하게 된다. 이후로 조선후기 지식인들의 만주어에 대한 표준은 『한청문감』을 통해 제시되었다. 그리고 조선후기 지식인들은 이렇게 편찬된 『한청문감』을 통하여 청나라의 지식체계를 수용하고자 하는 움직임을 보이는데, 만주어로 기록된 백과사전식 지식체계를 바탕으로 자신들의 지식 체계를 구축하는 데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한다. 그 대표적인 학자로 星湖李瀷을 비롯하여 靑莊館李德懋, 茶山丁若鏞, 李圭景등이다. 이들은 『한청문감』과 『어제증정청문감』의 만주어 지식 내용을 인용하여 새로운 만주어휘를 비롯하여 物名, 人名, 度量衡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고증 작업에 활용하였다. 이러한 사실로 볼 때, 병자호란 이후의 조선은 내적 논리는 명나라에 대한 명분론이 앞섰으나, 그 실제에 있어서는 청나라를 중심으로 하는 동북아시아의 문화적 재편에 빠르게 흡수되어 갔음을 청대 만주어의 수용 과정을 통해 알 수 있다. 그리고 그 바탕에는 사역원을 중심으로 한 만주어 通事및 만주어 구사자 양성, 만주어 학습서인 『청어총해』(1703)와 『한청문감』(1779)의 간행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HMB(1708)와 『어제증정청문감』(1771)의 출간과 맞물리면서 청나라의 만주어 규범화 정책 및 확산 정책이 조선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수용되었는 지를 잘 말해주고 있는 것이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study on Aspect of Acceptance of Machu Language in the Joseon(朝鮮) Dynasty. First for this purpose, understood the social and cultural facts about the Machu Language of Joseon government and intellectuals. Next, investigated how Joseon government and intellectuals accepted these facts as a viewpoint of themselves. First stage’s recognition about Manchu Language began to interact with the Manchu People after the First Manchu Invasion of 1627(丁卯胡亂) and the 2nd Manchu Invasion of 1636(丙子胡亂). At that time, Manchu People using new script that was convert the Mongolian alphabet to make it suitable for the Manchu people by Dahai(達海), known as “tongki fuka sindaha hergen”(有圈點滿洲文字, script with dots and circles). Nevertheless, Joseon government and intellectuals did not understand almost the new script. But the necessity of the understanding about Machu Language is risen gradually, so trained who can speak Machu Language having an education setup Sayeokwon(司譯院) centered. And published textbooks for the spread of Machu Language by Shin Kye-Am(申繼暗), it was revised the Chengeo Chonghae(淸語總解), so calledChenghak Saseo(淸學四書). Meanwhile, Knagxi(康熙) issued a royal command to compile Manchu Language dictionary of Yuzhi Qingwenjian(御製淸文鑑, Han i araha manju gisun i buleku bithe) at 1708, it was revisedYuzhi Zengding Qingwenjian(御製增訂淸文鑑) by Qianlong(乾隆) at 1771. In Joseon, based on Yuzhi Zengding Qingwenjian, compiled Hancheng Mungam(漢淸文鑑) at 1779, since it provided the standard of Manchu Language and Knowledge to Joseon intellectuals. Besides, Manchu Language and Knowledge which is accepted to such aspect, they begin to use for knowledge system setup, and to research philologically and linguistically in a variety of areas. Fore example, Yi Ik(李瀷), Yi Deuk-Moo(李德懋), Jeong Yak-Yong(丁若鏞), Yi Kyu-Gyong(李圭景), and so on. As such facts, we can understand through acceptance process of Language and Knowledge that after the 2nd Manchu Invasion of 1636(丙子胡亂) Joseon Society and Joseon intellectuals be culturally assimilated the Qing Dynasty. It is based on training of Machu Language speaker having an education setup Sayeokwon centered and publishing of Chengeo Chonghae (淸語總解), Hancheng Mungam(漢淸文鑑).

      • KCI등재

        조선(朝鮮)후기 청(淸)나라 만주어(滿洲語) 수용의 정치 문화적 함의 - 역관(譯官) 교육을 중심으로 -

        김은희 ( Kim Eun-hee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6 호남학 Vol.0 No.60

        청대 당시 만주족은 명실상부한 지배층으로서의 우위에 있었으며 주변 국가와의 관계에 있어서도 자신들의 입지를 공고히 하는데 주력하였다. 주변국의 하나인 조선도 청나라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할 수밖에 없었던 정치 문화적 상황에 놓여 있었다. 여러 문헌을 통해서 알 수 있는 내용은 조선에서의 만주어 수용은 당시 양국 관계 하에서 자발적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수요는 양국 관계가 공고해짐에 따라 증대될 수밖에 없었으며, 청학사서 등의 만주어 학습 교재 편찬은 이를 잘 말해준다. 청나라 자국 내에서는 강압적인 언어 정책에 의한 한족들의 만주어 학습이 이루어졌다면, 조선에서는 비록 소수이기는 하나 국가적 수요에 맞추고자 하는 역관들의 자발적인 만주어 학습을 통하여 언어 문화적 소통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The Manchurians were undoubtedly the acknowledged dominant ruling class during the Qing Dynasty (China). Based on such circumstances, they mainly concentrated on solidifying their incumbent position in terms of its relations with other neighboring countries. Among the countries, the Joseon Dynasty (Korea) was one of the countries where the Qing Dynasty(China) had to maintain strong diplomatic ties. It is against this background that this paper looks into just how much the Joseon Dynasty acknowledged and accepted the Manchurians as the dominant party in terms of its relationship with China. Incidentally, the focus of this paper is to take a closer look at the contents related to the Manchurian language which was the language of the Qing Dynasty amongst the influx of the Qing culture during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existing literature, we are able to see that the Manchurian language was taught and learned according to the national policy. In addition, it is worth noticing that the demand for the Manchurian language increased during the period where the Cheonghak (the study of interpretation of Manchu Language) textbooks were created and published. It is also salient to note that while the Manchurian language learning was forced upon the ethnic Korean people within China during the Qing Dynasty under the implementation of the language policy, a voluntary movement of learning the Manchurian language amongst a small number of interpreters in the Joseon era to meet national demand materialized during this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