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역도의 지속가능발전 전략과 거버넌스 : 경상남도와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오수길(Soogil Oh),한순금(Soonkeum Han) 한국NGO학회 2020 NGO연구 Vol.15 No.3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채택과 국가 지속가능발전목표(K-SDGs) 수립에 따라 지방지속가능발전 거버넌스 구축 마련과 관련 지방 지속가능발전목표 이행전략 수립 추진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광역도의 경우 지속가능발전을 추진하면서 기초자치단체의 지속가능발전 추진에 대한 동력이 취약하고 지역민의 이해가 부족한 상태에서는 광역도만의 목표 수립이 의미가 없다는 지적이 있었다. 결국 광역도의 지속가능발전이란 기초자치단체의 지속가능발전, 지방행정체제 개편, 거버넌스 활성화가 통합적으로 이루이질 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서 경상남도와 충청남도의 사례를 비교하며, 광역도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광역-기초간 협력체계 구축, 기초 지자체의 거버넌스 구축, 행정-의회간 거버넌스 구축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광역도에서는 지속가능발전 추진의 절박성과 실용성을 효과적으로 조화시키면서도 도내 기초지자체, 지방의회, 지역 내 시민사회와의 협력과 연계를 강화해야 한다는 함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UN 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has been established in 2015 and K-SDGs (Korean SDGs) in 2018. In many local areas, the need for constructing governance for their SDGs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In metropolitan areas (Province areas in Korea), local SDGs need momentum of local governments in city or county areas for implementing SDGs and understanding of citizens. For the success of SDGs strategies in metropolitan areas, it requires sustainable development, reform local administrative system, and active governance for SDGs. This study analyzed the cases of Gyeongsangnam-do and Chuncheongnamdo focusing on collabaration systems among metropolitan areas and city or county areas, governance system of local governments of city or county areas, and governance system between the executive branch and the legislative branch for SDGs. We got some implications through this comparison that local governments in metropolitan area have to balance urgency and practiality, and strengthen collaboration and linkage with local governments of city or county areas, local legislatures, and local civil society.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학부모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최지연,이상원,유동현,황동국,이태석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3 實科敎育硏究 Vol.19 No.3

        이 연구는 초등학교 학부모들를 대상으로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 하게 하고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소개하기 위한 목적을 달성하 기 위해 개발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 개발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 그램을 분석하였고 학부모를 대상으로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대한 설문 조 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도출된 시사점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된 학부모용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은 지속가능발전의 사회, 생태, 경제, 정 치 영역을 고르게 반영하여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균형 있는 시각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학부모들이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도록 각 영역에 대한 이론을 체계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지식으로 익힌 내용을 생활 속 다양한 상황 가운데서 사례 를 통해서 확인하고 적용 및 실천할 수 있도록 하여 이론과 실천 활동을 병행하는 프로 그램으로 구성하였다. 셋째, 개발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에서 교사용 교수자료는 교수·학습개요, 지도 안, 활동지, 읽기자료를 포함하였고 학부모용 학습자료는 활동이 포함된 워크북, 자기평가 식의 브로슈어, 읽기자료 등으로 구성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SD program which helps parents of primary students get basic knowledge of ESD and put it in practice in their daily life. To achieve the goal, already developed ESD programs were analyzed. Next, a questionnaire survey about needs and recognition of ESD was carried out with parents who had primary students and its resul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implications, an ESD program for parents of early childhood and primary students was developed. The developed program had features that are following: First, the developed ESD program for parents helps have a balanced perceptive on ESD by including four categories of ESD evenly; society, ecology, economy, politics. Second, in order to help parents expand the understanding of ESD, theories of each category of ESD were provided. And an ESD program for parents of primary students was constructed, which helps combine theory and practical performance by allowing the parents to confirm the knowledge through various real cases of life, to apply and put it in practice. Third, in the developed program, teaching materials for teachers consist of lecture overviews, teaching plans, workbooks, and reading materials, and learning materials for parents include workbooks that contain performance, brochures that form self-evaluation, reading materials, etc.

      • KCI등재후보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운영 개선에 관한 연구: 인천광역시 부평구를 중심으로

        오수길(Soogil Oh),김은경(Eunkyung Kim),황순원(Soonwon Hwang) 한국NGO학회 2016 NGO연구 Vol.11 No.2

        이 연구는 지난 2010년 이래 지속가능발전을 추진해 온 인천광역시 부평구 지속가능발전위원회의 운영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운영의 개선방 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평구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위원들과 관련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지속가능발전위원회 회의에 참여함 으로써 참여관찰을 수행하였다. 설문조사와 참여관찰에 의한 진단을 통해 지속가능 발전위원회의 역할과 목적을 공유하기 위한 사전 지원 방안과, 심의 방식의 개선 및심의 여건의 개선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주민들의 정책 지지 기반을 확대하고 광범위한 참여를 보장하는 것도 부평구의 지속가능발전 추진을 활성화하는 데 필요한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to improve operation of Committe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Bupyeong-gu in Incheon by analyzing current operation of the organiz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ince 2010. Bupyeong-gu has initiated local strategy and implementation framework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or this, we surveyed committee’s civic members and related civil servants, and conducted participant observation to analyze mechanism of the Committee. As a result, in the aspect of anticipation of the roles of the Committee, there were some gaps between civil society members and related civil servants. To fill the gap, we suggested it require to share the purposes and roles of the Committee, to upgrade method of the meetings, and to improve condition for meetings. Finally, we advised that Bupyeong-gu has to the Committee has to expand the basement for policy support of residents and guarantee broad civil participation for implementation framework of sustainable development.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 개념의 법적 지위와 적용사례 분석

        金寄順(Kisun Kim) 대한국제법학회 2007 國際法學會論叢 Vol.52 No.3

        개발은 빈곤을 타파하고, 경제적 이익뿐만 아니라 인간의 행복과 복지 향상을 제공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개발권은 인간에게 양도할 수 없는 인권이다. 그러나 환경을 도외시하는 개발은 전 지구적인 환경파괴를 일으키며, 절대빈곤의 악순환을 되풀이하게 한다. 인간은 자연환경에 대한 과도한 개입을 통해 생태계파괴와 환경오염을 초래해 왔으며, 폭발적인 인구증가와 이로 인한 개발활동의 확대는 지구의 생태적 한계를 넘어서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제사회에서는 환경을 보호하는 범위 내에서 개발을 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대되었으며, 이러한 배경에서 지속가능발전의 개념이 대두되었다. 지속가능발전은 경제적, 사회적 개발과 환경을 조화시키고, 현세대와 미래세대의 필요를 형평하게 고려하는 개념이다. 지속가능발전은 각 국가에 개발주권을 인정하되, 환경보호와 조화를 이루는 범위 내에서 개발활동을 할 것을 요구한다. 지속가능발전을 통해 사회적 형평을 실현하고 미래세대와 현 세대의 필요를 형평하게 충족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인류의 지속적인 성장과 번영도 가능하게 된다. 지속가능발전 개념은 국제사회에서 광범위하고 일반적인 승인을 얻고 있으며, 많은 국제협약과 지역협정, 국제선언 등에 영향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ICJ등 국제법원의 판결과 WTO 항소기구의 판정 및 국가관행에도 수용되고 있다. 그러나 지속가능발전에 대해 비판적 입장도 있으며, 개념 자체의 근본적인 불명확성이 한계로서 지적되고 있다. 국제사회에서는 지속가능발전 개념을 구체화하고 명확하게 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국제법원도 지속가능발전의 상세한 기준을 제시하지 않고 있으나, 차츰 발전적인 입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 논문은 지속가능발전 개념의 법적 성격과 그 한계를 분석하고, 이 개념이 국제 협약, 국제선언. 국제기구 및 국제 판례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발전되고 있는가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지속가능발전 개념의 역사적 발전과 정의(II)를 검토하고, 법적 지위(III)를 분석하며, 법적 요소(IV)를 검토함으로써 지속가능발전 개념을 구성하는 원칙과 이에 대한 국제협약, 지역협정, 국제선언 및 국제기구의 적용을 고찰한다. 끝으로 ICJ의 Gab?kovo-Nagymaros 사례에 대한 판결, 핵무기의 위협 또는 행사의 적법성에 관한 권고적 의견, WTO 항소기구의 새우-바다거북 사례 등 국제법적 적용사례(V)를 분석함으로써 ICJ와 WTO 항소기구가 이 개념을 어떻게 적용, 발전시키고 있는가를 고찰한다. 앞으로 지속가능발전의 문제점은 국제사회의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이행을 통하여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국제법은 지속가능발전 개념에 구체적 내용을 부과함으로써 개념의 기준과 정의를 구체화하는 역할을 해야 하며, 환경협약의 명문화와 법원 또는 국제기구의 법 해석 및 적용을 통해 지속가능발전과 그 구성요소를 발전시키고 법적 구속력을 확보해 나가려는 노력을 계속해야 할 것이다. 또한 지속가능발전 개념을 확보하기 위해 환경영향평가, 환경정보의 수집이나 배포, 의사결정과정에의 참여 등 제도적 보장을 확대하고, 지역발전을 위한 정책적 실천과 적용을 통해 국내적 . 국제적 차원에서 지속가능발전이 뿌리 내리기 위한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Sustainable development refers to the reconciliation of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with the protection of environment and gives equal weight to the needs of the present and future generations. It acknowledges the sovereign right of the states to exploit their natural resources according to their own policies, if within the limit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Sustainable development makes it possible to realize social equity, to meet the needs of the present and future generations equally, and to contribute to the continuous growth and prosperity of human beings.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has acquired wide and universal recognition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has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fields of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international economic law, and international human law. It has affected numerous multilateral international conventions, regional agreements, international declarations, and has been invoked by international court, such as the ICJ, and the WTO Appellate body. There are, however, critical opinions. Critics point to the ambiguity of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tried to specify and clarify the defini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but has been unsuccessful in doing so. Although the international courts do not provide the detailed criteria of the concept yet, they are gradually making progress. This paper focuses on the analysis of the legal nature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ts limitations, and on the examination of its application and evolution in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Firstly, Part ‘II’ deals with the historical background, the definition, and the limitations of sustainable development. Secondly, Part III analyses the legal status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irdly, Part ‘IV’ examines the legal elements of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application of these elements by the international conventions, regional agreements, international declaration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Lastly, Part ‘V’ analyses international cases, such as the Gab?ikovo-Nagymaros case, the advisory opinion on the Legality of the Threat or Use of Nuclear Weapons of the ICJ, and the Shrimp-Sea Turtle case of the WTO Appellate Body, and examines how ICJ and WTO Appellate Body invoke and develop this concept. The limitations of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should be overcome with its substantial and continuous implementation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Particularly, international law has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solidifying the criteria and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by giving it concrete contents. It should also try to advanc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ts elements through the adoption of the international conventions and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international court and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e institutional guarantee scheme, which includes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he collection and the dispersion of relevant information, and the participation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should be expanded. Efforts should be continuously made to strengthen sustainable development at the international and national levels through actual political practices and policy application for local development.

      •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정책의 지향성 고찰

        강용배 대전대학교 지역협력연구원 2002 지역학연구 Vol.창간 No.-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에 관한 논의가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본 논문은 지속가 능한 지역발전의 본질을 구명하고 지역정책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논 문의 연구절차는 지속가능한 발전의 개념과 전개과정을 고찰해 보고 , 지역발전주체 들 (지방자치단체, 지역기업 , 지역주민 지역공동체)의 역할과 전략을 문석한 후, 지 속가능한 지역발전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과정을 거졌다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은 지 역차원에서 경제적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이다 즉 , ① 지역발전 주체들의 참여가 보 장된 가운데 , ②미래지 향적이고,③생태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④지역간 · 세대 간 계층간 부문간 성(性)간의 형평성을 유지하면서 , 궁극적으로는 ⑤삶의 질을 고려한 관리된 경제성장을 계속해 나갈 수 있는 지역발전이다 본고에서 제시된 지 속가능한 지역발전 정책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 지역멸 지속가능한 발전주체들 간의 거버넌스 형성 및 자치단체 들간의 파트너십 강화 둘째 , 삶의 질을 고려한 환 경친화적 지역경제 기반 확충 셋째, 복지사회 구현을 위한 지방행정의 녹색경영화 넷째, 지역환경의 생태조직화이다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은 거버넌스 형성 및 파트 너십 강화 등과 같은 조화와 합의 가 이루어진 가운데 , 복지와 녹색을 고려한 경영 마인드와 조직화된 행동이 대단히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지속가능한 지 역발전은 21 세기에도 우리가 지향해야 할 가능성 있고 가장 바람직한 지역발전 방 향이다,

      • KCI등재

        사회과에서 범교과 학습의 맥락으로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현 가능성

        강운선(Kang Woon 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교사의 이해 수준과 실천의지의 분 석을 통하여 사회과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운영할 수 있는 가능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비확률 표집으로 대구, 경북, 울산 지역에서 재 직 중인 사회과 교사 30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측정도구는 설문지를 사용 하였으며, 이해 수준과 실행 의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교차분석과 분산분석을 실시 하였으며, 분석을 위한 처리도구로 SPSS Ver, 17.0을 사용하였다. 사회과 교사의 이해 수준과 실행 의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2년 이후로 지속가 능발전교육의 패러다임이 ‘환경과 경제발전의 균형’으로부터 ‘환경, 경제, 사회의 조 화로운 발전’으로 변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응답자들의 대부분이 ‘환경과 경제발전 의 균형‘ 추구의 개념으로 이해하고 있으며, ‘환경, 경제, 사회의 조화로운 발전’으로 이해하는 비율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경 영역의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에 대한 이해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제 영역과 사회 영역에 속하 는 내용에 대한 이해 수준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들은 지속가능 발전교육을 실행하는데 장애요인으로서 전문성 부족을 지목하였으며, 지속가능발 전교육을 시행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교사들은 시행하지 않는 이유로서 사회과의 관련성을 지목하였다. 넷째, 목표와 내용 요소에 대한 이해 수준은 낮지만 지속가능 발전교육을 실행하려는 의지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경력, 학교급, 성별 변인에 따라 이해 수준과 실천 의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하여 사회과 교사들이 전문성을 신장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한다면 범교과 학습 주제로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시행할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결론지었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범교과 학습으로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실효성을 거둘 수 있도록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련된 연수 프 로그램을 활성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possibility to integrat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in social studies through the level of social studies teachers’ understanding and practical willness toward ESD. For this I select 304 social studies teachers who are served in Daegu, Gyeongsangbuk-do and Ulsan area by nonprobability sampling.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item to measure conceptual definition of ESD, understanding on content of ESD, experience of ESD, barriers and teacher practical wilness toward ESD. The result are following. First, most of teachers answered that conceptual definion of ESD is balance of environment ptotec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a few teachers replyed that conceptual definion of ESD is balanced development among environment, economy, and society. Second, in terms of contents element of ESD, teachers discriminate contents of environment domain enough, their levels to recognize contents belonged to economy domain and society domain is very low. Second, teachers point out lack of expertise as barriers of educational practice. Third, in spite of their low understanding level, practical willness toward ESD is to appear high. Fourth,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as service career and whether teacher service middle school or high school influnced levels of understanding and pratical willness. Based on these results, I suggest hat implementation possibility ESD in social studies is enough, if only teachers have apportunity to strengthened a professionalism.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미술교육 방안

        장연자 한국조형교육학회 2015 造形敎育 Vol.0 No.5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effective education for sustainabledevelopment (ESD) that is applicable to art education. To this end, researchquestions were defined as follows: 1) What is the core contents of ESD? 2) Ispossible to form a link between art education and ESD? 3) What is effective ESDin art education? The study’s research contents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reviewed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SD as a theoreticalexploration regarding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xamined key factors for ESD,and then explored the link between ESD and art education. Second, this study suggested a practical case of ESD in art education. Itanalyzed the contents and results of a class run under the theme “ExpressingSocial Messages Using the Parodies of Famous Movies”, which was implementedtoward elementary school teachers during their occupational training. Third,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the values of ESD by suggesting thedirection of art education for substantiable development and the meaning ofsustainable develop 이 연구의 목적은 미술교육에 적용 가능한 효과적인 지속가능발전교육(ESD) 방안을 모색하는것이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문제를, 1)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핵심내용은 무엇인가?2) 미술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연계가 가능한가? 3) 미술교육에서 효과적인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은 무엇인가? 로 설정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발전에 관한 이론적 탐색으로서 지속가능발전(SD)과 지속가능발전교육(ESD)에대해 알아보고,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영역별 핵심내용을 고찰한 후, 지속가능발전교육(ESD)과 미술교육의 연계를 탐색하였다. 둘째,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미술교육적 실제를모색하였다. 즉, 초등 직무연수에서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명화 패러디로 사회적 메시지 표현하기>라는 제재로 진행한 수업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셋째, 지속가능발전미술교육의 효과와 미술교육적 의의를 제시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가치를 찾고자 하였다.

      • 기업, 정부, NGO 구성원의 지속가능발전 인식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은경 ( Eun-gyeong Kim ),강수돌 ( Su-dol Kang ) 고려대학교 세종경영연구소 2015 경상논집 Vol.35 No.1

        지난 40년 동안 세계적으로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위기들이 중첩되면서 지속가능발전은 한 때의 흐름으로 지나갈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점점 더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시스템 전환을 체감하기 어려운 것은 지속가능발전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올바로 인식되지 못한 것이 주요 원인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무원, 기업 구성원, NGO 구성원의 지속가능발전 인식을 측정, 비교하고, 지속가능발전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탐색했다. 연구결과 NGO와 기업 구성원, NGO와 공무원 사이에는 지속가능발전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NGO와 다른 두 집단의 지속가능발전 인식은 단순히 평균값의 차이를 넘어 지속가능발전의 배경과 필요성에 대한 이해에도 근본적인 차이가 있었다. 또한 세계관에서도 NGO 집단에서는 기술중심 세계관에 대한 성찰을 통해 지속가능중심 세계관을 일관성 있게 유지하는데 비해, 다른 두 집단에서는 기술중심 세계관과 지속가능중심 세계관이 병존해 인식에 혼란이 크고 ‘경제성장 우선’에 대한 지지가 높게 나타나 선행연구에서 지적된 지속가능발전 개념의 변형이 존재함이 확인되었다.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로 밝혀진 지속가능발전 교육은 공무원 집단과 NGO에서는 지속가능발전 인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기업 구성원 집단에서는 오히려 경제성장에 대한 지지를 높여 지속가능발전 인식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세 집단의 지속가능발전 인식을 측정하고 그 차이를 실증적으로 제시했다는 점, 지속가능발전 인식의 변형을 한국의 경험 자료로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During the last four decades, global societies have experienced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crisis. Thus, as the solution of the crisis, the importance of sustainable development is grow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Korean public perceptions o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o compare their differences among members of three major stakeholder in Korean society: government, industry, and NGO.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fluencing on the public perceptions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to facilitate adoption of the sustainability paradigm in Korea. The research shows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ing the percep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between NGO staffs and two other stakeholders: government officials and industry employees. The differences i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perception between NGO and other two groups were related to qualitative aspects rather than quantitative; they differed fundamentally in understanding of historical background and necessity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These differences are mainly caused by their attitudes towards the technocentric world view which has been dominant in industrializing societies. The education experience with sustainable development was the most influential demographic variable on the perception of this research participants. However, it was an interesting finding that the education experience also correlated with the support of economic growth among corporate members. It is also remarkable that the type of industry influenced the employees’ perception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but publishing of sustainability report did not.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교육 관점에서 바라본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분석 연구

        윤문정 ( Yoon Moonjung ) 미래음악교육학회 2020 미래음악교육연구 Vol.5 No.3

        지속가능발전은 현세대와 미래세대를 위한 지속적인 발전을 의미하는 것으로, 초기에는 자연환경 분야를 중심으로 강조되었지만, 지금은 교육, 안전, 경제, 평화, 인권 등 사회 전반의 여러 영역에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UN은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교육과 예술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리고, 교육과 예술분야의 세계적 동참을 요청하였다. 우리나라도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2008년도에 ‘지속가능발전법’을 제정하였고,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지속가능발전교육내용을 범교과 학습주제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노력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은 현재 여러 교과에서 실행되고 있으며, 각 교과별로 학술적 연구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타교과에 비해 음악교과에서는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관심이 적고, 이와 관련된 연구는 그 수가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 관점에서 초등학교 4학년 음악교과서를 분석하여, 음악교과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서 교과서 제재곡에 등장하는 동식물과 생태계에 조사하고, 지속가능발전과 관련된 활동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4학년 음악교과서에 실려 있는 제재곡에는 다양한 종류의 동식물과 생태계가 등장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천적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접적인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활동도 일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Sustainable development means development for the present and future generations which started in the field of natural environment in the early days, but are now making effort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various areas, including the economy and society. The U.N. informed the world that education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recommended global participation. They also asked for active participation in the arts as well as in social and natural fields. While studies relat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are actively carried out in many subjects, the number of music departments is still small.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analyze music textbooks for fourth graders in term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xplore the possibility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in music subjects. According to the study, the songs in fourth grade music textbooks can naturally be taught sustainable development related to the environment by introducing various kinds of plants and animals and ecosystems.

      • KCI등재후보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실과교육의 관계

        이건남,정남용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0 實科敎育硏究 Vol.16 No.1

        이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실과교육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과정을 통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실과교육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목적 및 내용을 분석하였고, 기존에 수행하였거나 수행중인 지속가능발전교육을 고찰하였으며,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실과교육의 비교 분석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실과교육의 관계를 구명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이 달성하고자 하는 교육적 이념과 방법은 거의 일치하고 있다. 둘째,실과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내용은 보다 깊은 관련을 맺고 있어 실과교육을 이용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행 가능성은 매우 높다. 셋째, 실과교과를 근거로 하여 다양하게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할 수 있다. 넷째,지금까지의 결론을 바탕으로 볼 때 실과교육은 지속가능발전교육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으므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the relations betwee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by evaluating and analyzing both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objectives and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ere analyzed, previous and still conducting programs for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ere investigated, and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deology and the methods for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ere almost identical to each other. Second, the contents of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ere very highly related, so that it is very likely succeed for Practical Arts education in performing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ird, there were various ways to develop the programs for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based on the Practical Arts subject. Forth,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could take a pivotal role in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due to the close relations betwee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