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竹崖任說의 拾遺作考察

        이연순(Lee Yeonsoo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5 동양한문학연구 Vol.41 No.-

        본고는 16세기 활발했던 契會가운데 湖堂修契에 참여하여『湖堂修契錄』이라는 座目에 이름이 올라 있으나, 문집이 남아 있지 않아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竹崖任說의 습유작을 발굴하고 그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에 죽애의 습유작을 所在別殘存狀況에 따라 분류하여 살펴보면서, 죽애와 金麟厚, 林亨秀, 鄭惟吉, 宋麒壽등 湖堂修契人들과의 교유뿐 아니라 丁熿, 曺植, 吳健, 柳希春, 盧守愼등과의 교유 관계를 파악하고, 그와 관련해 죽애의 삶과 문학에 대해 조금이나마 밝힐 수 있었다. 먼저 죽애가 1537년 호당에서 사가독서하며 1538년 사가독서하게 된 林亨秀와 호당에서 만나 이듬해인 1539년에 임형수가 회령판관에 제수되어 갈 때 지어준『五言排律百韻詩送林學士士遂通判會山(用杜工部韻)』를 통해서는 둘 사이의 깊은 정을 볼 수 있었다. 또한 1585년에 행해진 耆英會에 참석해『題耆英會圖詩』를 지었는데 이때 鄭惟吉과 함께 참석한 사실이 보인다. 그리고 호당수계인 외에 1572년 죽애가 경상도 관찰사가 되었을 때 南冥을 위해 지은 제문『祭南冥文』에서는 당대 학자인 曺植과의 직접적인 교유 사실은 확인할 수 없었으나, 1574年德溪吳健과 유람하며 換鵝亭에서 지은 樓亭 題詠詩『題換鵝亭詩』를 통해서, 경상도 지역에서 남명과 종유했던 덕계와 죽애의 교유 사실을 살필 수 있었다. 그리고 1586년에 盧守愼의‘十靑亭’에 초대되어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題十靑亭詩』에서는 노수신과의 교유도 각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 임열의 습유작에 대한 고찰을 통해 죽애와 호당수계 계원들간의 교유뿐 아니라, 당대 학자, 문인 등과의 교유, 그리고 당시 이들이 참여한 또 다른 契會활동에 대해서도 살필 수 있었다. 이로써 1541년 湖堂修契의 契員으로서, 문집이 남아 있지 않아 그동안 연구가 소홀했던 죽애 임열의 문학에 대해 새롭게 부각한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article was tried with the purpose to introduce and analyze the found work of Jukae(竹崖) Im Yeol(任說). Writings of Jukae(竹崖) Im Yeol(任說) does not remain. So far studies have not been done. This time, however, found the five works. As written order, First kept in the family, the second listed as an appendix to the Writings of friends, the third is recorded in the Sancheong Eupji(山淸邑誌), the fourth is up to the picture for meeting the old man(耆英會圖), and the last is appeared in the sihwajip SuchonManlok(水村謾錄) that the descendants wrote. So I looked at in detail for each. As a result, his literature was pursuing a pure aesthetics. And it was found that the time Jukae(竹崖) Im Yeol(任說) was befriended Lim Hyeongsu, Oh Geon, and No Susin. They were eminent contemporary scholars and writers.

      • KCI등재

        죽애(竹崖) 임열(任說)의 생애와 교유 양상

        이연순 ( I Yeonsun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6 한국문화연구 Vol.31 No.-

        본고에서는 문집이 없어 기존에 자세히 연구되지 못한 죽애 임열의 생애와 문학에 대해 우선 그 생애를 실증적인 방법으로 접근하여 살펴보며, 얼마 되지 않는 습유작을 통해 교유 관계에 대해서도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죽애의 생애 가운데 주목되는 사실로, 세 번이나 대과에 급제하며 문재를 드러내다, 28세 되던 1537년 가을, 호당에 선발되어 독서당에서 사가독서하며 최연(崔演), 엄흔(嚴昕), 송기수(宋麒壽) 등을 만나고, 이후 윤현(尹鉉), 임형수(林亨秀) 등과 교유하며 1541년에는 이들을 포함해 당대 쟁쟁한 문인 12인과 `호당수계(湖堂修契)`라는 계를 맺어 교유한 흔적을 밝혔다. 교유한 이들 중 특히 임형수에게는 회령판관으로 보내며 백운(百韻)의 시를 지어주고, 송기수와는 학문적인 내용의 편지를 주고받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죽애는 을사사화가 일어나기 한 해 전인 1544년에 우부승지가 되면서 이듬해 1545년 곧 인종 승하 후 명종 즉위와 함께 일어난 을사사화에서도 우승지로서 왕명 출납의 역할만을 다하였으리라 추정될 뿐, 적극적인 행보는 드러내지 않은 점에서 역사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받아왔다. 죽애는 이후로 외직과 내직을 반복하며 꾸준히 벼슬을 역임하면서 당대 문인들과 교유한 흔적을 남겼는데, 그들 중 유헌 정황, 미암 유희춘, 소재 노수신 등과의 교유가 주목된다. 이들은 모두 을사사화에 희생되어 유배 갔던 인물들로, 유배지에서, 또는 해배되어서도 죽애와 관계를 가졌다는 점에서 죽애가 을사사화로 희생된 인물들과도 인간적, 문학적, 학문적인 교유를 잃지 않고 친분을 유지하였던 면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는 을사사화 시기, 죽애가 적극적인 행보를 드러내지 않은 점으로 인해 기존에 부정적으로 평가받았던 데에 대해서 어느 정도 이해의 시각을 제시해준다고 여겨진다. This paper looked at the life and association of Jukae(竹崖) Im Yeol(任說) in 16C. But There is not Jukae(竹崖)`s personal anthology left. For that reason, historically Jukae(竹崖) could not be judged properly. In more detail, he has been negatively evaluated in history because he was presumed to have played only the role of the king in the kingdom as a royal majordomo in the period of civil war Eulsasahwa(乙巳士禍), and did not reveal any active steps. But According to th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he did not receive a prize as a reward for Eulsasahwa(乙巳士禍). Since then, he has repeated his career as a local administration and a member of a civil servant. At the same time he interacted with the characters of the exiled person, Jung Hwang(丁?), Yu Hee Chun(柳希春), Noh Susin(盧守愼). This is highly noted in existing negative evaluations about him. Then I studied in detail about the life and literature of Jukae(竹崖) using positive way. In this paper, the life and literature of Jukae(竹崖) Im Yeol(任說), which had no literary works, were examined in an empirical way. And I tried to reveal his co-relation through some of his a few works. In the process, I can Figure out about his companionship, and literary activities. As a result, from now on, I can said something important in his life. First, it is noted that he passed the national examination three times. Second, he was chosen at the age of 28 at the reading system for the servant and read in the reading room(Doksseodang, 讀書堂), and he met with Choi Yeon(崔演), Eum-kun(嚴昕), Song Kyu-su(宋麒壽). The following year he has joined with Yoon Hyun(尹鉉) and Lim Hyeong-su(林亨秀). In particular, he gave a poem of Baekun(百韻詩) to Lim Hyung-su(林亨秀), who was leaving for the local Administration of Hoeryong(會寧). The future in 1541, he participated in a series of works called "Hodang Shu Shuang(湖堂修契)" with 12 contemporary literary scholars including them. Among them he exchanged academic letters with Song Ji-su(宋麒壽). Finally he excelled literature, also maintained a friendship with the exiled people because of Eulsasahwa(乙巳士禍). Historically, he judged negatively, but the latter is the fact that we did not know about it properly. It is said that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Starting with the basic research that I tried in this paper, I hope that more active and in-depth research will be done in the future. It is a limitation that I can not emphasize the important point. In addition, it is the limit that I can not emphasize the problem consciousness by concentrating on basic research in this study.

      • KCI등재

        죽애<SUB>竹崖</SUB> 임열<SUB>任說</SUB>의 백운시<SUB>百韻詩</SUB> 고찰 ― 시간의 재구성과 대상에 따른 표현 방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이연순(李演淳) 한국국학진흥원 2020 국학연구 Vol.0 No.43

        본고는 죽애 임열의 백운시 한 편을 발굴하여 그 문학적 특징을 고찰하고 의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죽애 임열은 16세기 중반 중종조에서 사가독서하며 당대 쟁쟁한 문인들과 교유한 인물로, 문학에 안목과 성취가 있었으나 문집이 남아 있지 않아 그 생애와 문학의 일면만이 알려져 있는 형편이다. 특히 현재 습유한 작품 가운데 문학사적 의의가 크리라 예상되는 백운시 「송임학사사수통판회산(용두공부운)送林學士士遂通判會山(用杜工部韻)」 작품에 대해 본격적으로 다룰 필요성이 요구된다. 죽애의 백운시는 회령판관으로 떠나는 임형수를 전별하는 자리에서 지어졌고, 그때 참석한 문인들의 시는 임형수의 문집 『금호유고錦湖遺稿』의 부록 「제현수창諸賢酬唱」에 대부분 수록되어 있다. 그러나 죽애의 시는 『금호유고』 부록에 들어 있지 않고 문중에 소장되어 있어 일반에서 쉽게 접근하지 못한 채, 연구도 이루어지지 못한 형편이다. 이에 본고에서 죽애 백운시의 창작 배경을 살핀 후, 죽애 백운시의 문학적 특징에 대해 시간이 재구성되어 있는 점과 대상에 따른 표현 방식이 변화하는 점에서 살펴본 결과, 그 당대적 의의와 함께 후대에 끼친 영향 관계까지 추출할 수 있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book is to discover a poem with a hundred rhymes written by Im Yeol of Jukae and examine its literary features and reveal its significance. In response, I first looked at the background of the creation of the poem with a hundred rhymes of Jukae and noted the poem with a hundred rhymes of Du Bo, a Tang Dynasty poet who influenced the poem with a hundred rhymes of Jukae. I also noted the writers of Jukae’s friendship.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reveal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16<SUP>th</SUP> century poem with a hundred rhymes, which has been seen as a vacuum in the creation of the poem with a hundred rhymes, by looking at the poem with a hundred rhymes of Jukae created in the middle of the 16<SUP>th</SUP> century. Specifically, I looked at the literary features of the poem with a hundred rhymes of Jukae. So I found that the poem with a hundred rhymes of Jukae, as a whole, takes the reconstruction of time as a whole and recites it in an epic way, as in the present-the past-the present-the future. So I found a feature where the poem with a hundred rhymes of Jukae showed a partial change in the way that expressed the space of parting and the subject of parting. And I was able to extract the contemporary significance of the poem with a hundred rhymes of Jukae as well as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on later gener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