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도 방언의 확인의문문 연구

        김미진(Kim, Mi-jin) 중앙어문학회 2016 語文論集 Vol.65 No.-

        이 연구는 제주도 방언에서 확인의 기능을 갖는 형태의 의문문을 살펴보고 그 특징을 분석해 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성별에 따른 확인의문문 사용 특징이 제주도 방언에서 어떻게 드러나는지 살펴보았다. 확인의문문은 문장형식으로는 의문문이며 내용면에서는 화자가 청자에게 자신이 알고 있는 사실을 확인하고 동의를 구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확인의문문은 부가의문문이며 그 외의 확인의문문은 확인의 의미를 나타내는 종결어미를 사용하는 형태 등으로 나타난다. 제주도 방언의 부가의문문에 결합하는 용언은 표준어와 다르다. 표준어는 ‘그렇다’를 사용하여 부가의문문을 만들지만 제주도 방언은 ‘기다’와 ‘경허다’ 두 가지 형태로 결합이 가능하다. ‘기다’는 ‘명사+이다’ 서술문 뒤에서 주로 나타난다. 또한 표준어에서 ‘-지 않니?’가 줄어서 ‘-잖니’의 형태가 되지만 제주도 방언에서는 다른 형태로 축약이 일어난다. ‘경허지’ 혹은 ‘-허지’가 탈락되어 ‘-지 안헤’, ‘경 안헤’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부가의문문에 시제나 존칭을 나타내는 것도 표준어와 다른 방식이 제주도 방언에서 나타난다. 표준어는 앞의 서술문에 시제를 나타내고 뒤의 부가문에는 시제를 나타내지 않는 반면 제주도 방언에서는 서술문과 부가문 두 곳에 시제 선어말어미를 추가한다. 또한 존칭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첨사 ‘-양, 예’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문장이 마지막에 첨사를 추가하는데 부가문이 추가되는 경우에는 부가문에 첨사를 추가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기존 연구에서 여성이 확인의문문을 많이 사용한다고 논의되었는데 이는 자신의 발화에 확신이 없고 청자에게 동의를 구하려는 여성 화자의 특징이라고 했다. 그러나 제주도 방언 실제 조사 자료를 통해 알아본 결과 여성화자의 확인의문문 사용 비율은 남성화자보다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더 이상 여성의 발화가 소극적이고 의존적인 발화가 아님을 보여준다. 제주도의 지역적인 특징인지 시대적 특징인지 앞으로 더 많은 통계적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and analyzes confirmative interrogative sentences in the Jeju dialect of Korean. We also examine gender-related differences in these sentences. A confirmative interrogative sentence is a type of interrogative sentence that is used when the speaker intends to confirm a fact and ask for a listener’s assent. The typical confirmative interrogative sentence is a tag question. Other forms of confirmative interrogative sentences use endings that contain a confirmative meaning. The confirmative interrogative sentence in the Jeju dialect is structurally different from that of standard Korean. In the standard language, geureota is used to form a tag question; however, two forms can be used in the Jeju dialect: gida and gyeong heoda. Gida is frequently used finally in Noun + ida declarative sentences, and it is sometimes also used finally in declarative sentences, in the predicate. In the standard language, -anhni? is shortened to -janhni, but other abbreviatory forms are used in the Jeju dialect. Gyeong heoji or -heoji is omitted and rendered as -ji anhe or gyeong anhe. The expression of tense and honorific titles in tag questions also differs between the standard language and the Jeju dialect. In the standard language, tense is used in the initial portion of a declarative sentence and not used in the final part of a tag question. In the Jeju dialect, in contrast, a tense ending is used in both declarative sentences and tag questions. In addition, an additional expression such as -yang, -ye is widely used to show respect. In this case, such expressions are used in the initial part of a declarative sentence. When an additional expression is used in the final part of a tag question, a tag question using gida is appropriate. In previous studies of confirmative declarative sentences, it has been stated that females often use confirmative declarative sentences because they are not certain of their articulation and ask the listener for assent. However, in a study of actual Jeju usage, the percentage of female speakers using confirmative declarative sentences was markedly lower than that of male speakers. This lower rate of usage reflects characteristics of proactive and independent Jeju females, which would not be expected if females were passive and dependent.

      • KCI등재후보

        새로 발굴한 방언(6)

        박경래,곽충구,이기갑,강영봉 한국방언학회 2010 방언학 Vol.0 No.1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nd investigate the new dialect words that are used in a regional dialect in Korea. Seventeen dialect words are introduced in this paper. This seventeen dialect words are all the important linguistic material from the lexical point of view. This dialect materials were recorded from native speaker's dialogue, dictation. This twenty dialect words include five new words in Chungcheong-do dialect, six new words in Hamkyeong-do dialect, four new words in Jeolla-do dialect and five new words in Cheju-do dialect. Chungcheong-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Park Kyeongrae(Semyung University), Hamkyeong-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Kwak Chunggu(Sogang University), Jeolla-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Lee kigap(Mokpho University) and Cheju-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Kang Youngbong(Cheju University). We set out the standard word corresponds to dialect, a part of speech, a definition of the dialect word, a diversity forms of the each dialect word, related area, illustrative sentences and explanation to each dialect word. We can find through this work that the new dialect words makes significant contribution to study of the dialect. And the new dialect words enrich our vocabulary. 이 글은 “새로 발굴한 방언”이라는 제목으로 연재하는 여섯 번째 연재물로 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새 방언 어휘들을 발굴하여 해설하고 소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여기에 소개하는 방언들은 지역에 거주하는 토박이 화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고 있거나 사용하던 단어들이다. “새로 발굴한 방언(6)”에서는 국어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고 다른 연구물에서 소개된 적이 없는 것들로 골랐다. 대부분 급속한 사회변화와 함께 소멸의 마지막 단계에 놓인 것들이거나 생활양식의 변화로 새 말로 대체되어 가는 과정에 있는 것들이다. 그러나 사회와 생활양식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왕성한 생명력을 유지하면서 사용되는 것들도 있다. 어떻든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방언형들을 발굴하여 소개하는 일은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인 동시에 국어 어휘를 풍부하게 하고 우리말을 살지게 할 것이다. 이 글에는 대응 표준어를 찾기 어려운 방언 어휘들도 있고 대응표준어가 있지만 의미나 형태면에서 완전히 이질적인 것들도 있다. 방언은 그 방언이 사용되는 지역민의 생활상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방언 어휘가 사용되는 사회적인 맥락과 문맥에서 그 방언 어휘들을 가장 잘 이해할 수 있고 그 맛과 멋도 가장 잘 드러내준다. 여기에서 소개하는 방언 어휘들도 그것들이 사용되는 지역의 문화나 그 지역 주민들의 정서를 잘 반영하고 있는 것들이다. 이 글에는 충청도와 함경도, 전라도, 제주도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 가운데 국어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어휘들을 가려 뽑았다. 이번 호에는 충청도 방언 다섯 개, 함경도 방언 여섯 개, 전라도 방언 네 개, 제주도 방언 다섯 개 등 모두 스무 개의 방언 어휘를 소개하였다. 여기에 소개된 방언 어휘들은 주로 필자들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에서 조사한 자료 가운데서 선정하였다. 다만 함경도 방언 어휘는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에서 조사한 자료다. 연변조선족자치주에서 조사한 방언 어휘의 사용의 지역에는 제보자들의 원적지를 표시하였다. 따라서 여기에 제시한 방언들을 이용할 경우 표제어로 제시한 방언 어휘가 사용되는 지역을 뜻하는 ‘관련지역’에 표시된 지역 이외의 지역에서도 이들 방언이나 방언의 이형태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 KCI등재

        새로 발굴한 방언(15)

        박경래,김정대,곽충구,강영봉 한국방언학회 2016 방언학 Vol.0 No.2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nd investigate the new dialect words that are used in a regional dialect in Korea. Twelve dialect words are introduced in this paper. This twelve dialect words are all the important linguistic material from the lexical and cultural point of view. This dialect materials were recorded from native speaker's dialogue or dictation. This dialects include three new words in Chungcheong-do, Kyeongsang-do, Hamkyeong-do and Cheju-do dialect respectively. Chungcheong-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Park Kyeongrae(Semyung University). One word relate with a goods for child care and two words are adverb denotes degree and cause respectively. Kyeongsang-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Kim Jeongdae(Kyeongnam University). Three words include relate with a sort of soybean paste, a noun denotes specific place and parts of facility. Hamkyeong-do dialects words were written by Kwak Chunggu(Sogang University). These three words include relate with a the Manchu language loan, widely differentiated noun and a goods for life. Cheju-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Kang Youngbong(Cheju University). Three words are all related with traditional house. We set out the standard word corresponds to dialect, a part of speech, a definition of the dialect word, a diversity forms of the each dialect word, related area, illustrative sentences and explanation to each dialect word. We can find through this work that the new dialect words makes significant contribution to study of the dialect. And the new dialect words enrich our vocabulary. 이 글은 일상생활에서는 쓰이고 있지만 국어사전에는 등재되어 있지 않거나 국어사전에 등재되어 있더라도 의미나 형태 또는 용법이 다른 방언 어휘를 새로 발굴하여 소개하는 열다섯 번째 연재물이다. ‘새로 발굴한 방언(15)’에 소개하는 어휘는 관련지역의 토박이 화자들이 현재에도 사용하고 있으면서 지금까지 학계에 소개된 적이 없는 것이다. 어떤 어휘는 소멸 위기에 처해 있거나 새 말로 대체되어 가고 있기도 하고, 어떤 어휘는 지금도 일상생활에서 활발히 쓰이고 있다. 여기에서 소개한 방언 어휘는 충청도, 경상도, 원함경도(이하 함경도), 제주도 지역에서 발굴한 열두 개다. 이들 어휘는 대응 표준어를 찾기 어렵거나 대응 표준어가 있더라도 의미나 형태, 용법 면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는 것들이다. 충청도 방언 어휘는 충청북도 보은과 제천 지역 화자에게 조사한 것으로, 하나도 빠짐없이 모두를 뜻하는 부사와 어떤 일의 원인이나 까닭을 나타내는 부사, 어린아이를 업을 때 쓰는 유아용품을 가리키는 말 등 세 항목을 소개하였고, 경상도 방언은 가정에서 만든 식품 이름, 집 지을 재료를 가리키는 말 그리고 어떤 한 곳을 나타내는 말 등 세 항목을 소개하였다. 함경도 방언 어휘는 중국 조선족자치주에 거주하는 원함북방언 화자들이나 중앙아시아 고려인들이 쓰는 것으로, 만주어에 기원하는 말과 역사적으로 다양한 어휘 분화를 보여주는 생활 관련 다의어, 바느질 도구 등 일상생활과 관련된 어휘 세 항목을 소개하였고, 제주도 방언은 가옥의 구조 중 지붕의 골격을 나타내는 말과 집안 출입문, 외양간 출입문을 가리키는 말 등 집과 관련된 어휘 세 항목을 소개하였다. 이 글에 소개한 방언 어휘 가운데 어원(語源)은 같지만 지역에 따라 형태나 의미 면에서 다양한 분화를 보이는 것, 어원은 다르지만 의미가 같은 것 그리고 어휘체계에 차이를 보이는 것들이 있다. 그리고 방언 어휘 간에 의미 차이를 보이는 것들은 사회문화적인 배경을 반영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방언형과 표준어를 고식적으로 대응시키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 일인지 알 수 있다. 또한 이 글에서 소개한 방언 어휘 가운데 사용 지역으로 언급한 지역 외에서도 사용될 수도 있고, 지역에 따라 형태나 의미, 용법 면에서 여기에 소개한 표제어와 다를 수도 있고 표준어와 동일한 형태로 쓰이지만 기능이나 용법이 다를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 KCI등재

        새로 발굴한 방언(7)

        박경래,곽충구,강영봉 한국방언학회 2011 방언학 Vol.0 No.1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nd investigate the new dialect words and proverbs that are used in a regional dialect in Korea. Ten dialect words and eight proverbs are introduced in this paper. This eighteen dialect words and proverbs are all the important linguistic material from the lexical and cultural point of view. This dialect materials were recorded from native speaker's dialogue and dictation etc. This eighteen dialect words and proverbs include five new words in Chungcheong-do dialect, eight new proverbs in Hamkyeong-do dialect and five new words in Cheju-do dialect. Chungcheong-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Park Kyeongrae(Semyung University), Hamkyeong-do dialect proverbs were written by Kwak Chunggu(Sogang University) and Cheju-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Kang Youngbong(Cheju University). We set out the standard word corresponds to dialect, a part of speech, a definition of the dialect word and proverb, a diversity forms of the each dialect word and proverb, related area that dialect and proverb are used, illustrative sentences and explanation to each dialect word and proverb. We can find through this work that the new dialect words and proverbs makes significant contribution to study of the dialect and culture of that area. And the new dialect words and proverbs enrich our vocabulary. 이 글은 “새로 발굴한 방언”이라는 제목으로 연재하는 일곱 번째 연재물이다. 이 글에서는 방언 어휘와 속담들을 발굴하여 해설하고 소개한다. 여기에 소개하는 방언 어휘와 속담들은 지역에 거주하는 토박이 화자들에게서 수집한 것으로 국어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으며 다른 연구물에서도 소개된 적이 없는 것이다. 이들 방언 어휘와 속담은 대부분 급속한 사회변화로 소멸 위기에 처해 있거나 생활양식의 변화로 새 말로 대체되어 가는 과정에 있는 것들이지만 여전히 왕성한 생명력을 가지고 사용되는 것들도 있다. 이들 방언은 우리말을 살지게 할 것이다. 이 글에는 대응 표준어를 찾기 어려운 방언이 대부분이고 대응 표준어가 있는 경우도 의미나 형태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 글에서 소개하는 방언 어휘와 속담은 그것이 사용되는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사회적 맥락과 생활상을 잘 반영해 준다. 따라서 여기에 제시된 방언 어휘나 속담은 그것들이 사용되는 지역의 정서나 문화를 잘 반영하고 있는 것들이다. 이 글에는 충청도와 함경도, 제주도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 가운데 국어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어휘와 속담을 가려 뽑았다. 이번 연재물에는 충청도 방언 어휘 다섯 개, 함경도 방언 속담 여덟 개, 제주도 방언 어휘 다섯 개 등 열 개의 방언 어휘와 여덟 개의 속담을 소개하였다. 이 글에 소개한 방언 어휘와 속담은 현지에 거주하는 제보자들로부터 조사한 자료 가운데서 선정하였다. 특히 함경도 방언 속담은 중국 길림성 조선족자치주에서 조사한 자료다. 이 속담 자료에는 제보자들의 원적지를 표시하였다. 따라서 여기에 제시한 방언 자료들을 이용할 경우 표제어 방언 어휘나 속담이 사용되는 지역을 뜻하는 ‘관련지역’에 표시된 지역 이외의 지역에서도 이들 방언 어휘나 속담뿐만 아니라 이들의 이형태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새로 발굴한 방언(4)

        박경래,강영봉,김정대,곽충구 한국방언학회 2009 방언학 Vol.0 No.10

        이 글은 “새로 발굴한 방언”을 소개하는 네 번째 연재물이다. 이 연재물에서는 국어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고 다른 연구물에서도 소개되어 있지 않은 새로운 방언을 발굴하여 소개하는 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지만 사전에 등재되어 있거나 학계에 소개되었더라도 풀이가 잘못 되었거나 의미나 용법이 달라 새롭게 이해하고 바로잡기 위한 목적도 있다. 이 연재물에서 소개하는 방언들은 토박이 화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던 단어나 형태소들이다. 이들 단어나 형태소들 가운데는 농업 기반 사회에서 산업 사회로 변하면서 생활양식이 바뀜으로써 지금은 잘 사용하지 않아 소멸 위기에 처해있는 것들도 있고, 사회와 세상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토박이 화자들의 일상생활에서 여전히 왕성한 생명력을 유지하고 사용되는 것들도 있다. 국어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거나 소개되지 않은 단어나 형태소들을 발굴하여 널리 알림으로써 급속히 소멸되어가는 지역어를 문자로 고정시켜 국어 어휘를 풍부하게 하고 방언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주게 될 것이다.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은 새로운 방언 어휘나 형태소 또는 속담이나 관용어 들을 발굴하여 알리는 작업은 우리말을 풍부하게 해준다. 새로 발굴한 방언 어휘는 국어사전의 어휘를 확장해 줄 수 있고 국어연구의 지평을 넓혀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또한 사회의 변화와 함께 소멸 위기에 처한 방언을 발굴하여 정착시킨다는 점에서도 매우 중요하고 뜻 깊은 일이다. 이런 점에서 방언 어휘의 의미는 물론이고 문법적인 기능과 용법, 어휘체계 등에 대하여 자세히 기술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는 대부분 대응 표준어를 찾기 어려운 방언 어휘들이 소개되어 있지만 일부 방언 어휘는 표준어와 관련이 있는 것도 있다. 표준어와 관련이 있는 방언형은 표준어와는 형태가 다르지만 개념적인 의미에서는 연관성이 있어 보이는 것이다. 실제 사용되는 맥락이나 상황은 다르지만 기능 면에서는 유사한 경우라고 할 수 있다. 형태는 같지만 의미나 용법이 다른 경우도 있고 형태도 다르고 의미나 용법에서도 차이가 있을 수 있고 방언과 방언 간에도 용법이나 의미에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방언형과 대응하는 표준어가 있는 경우나 방언형과 유사 대응 표준어가 있는 경우에는 좀 더 면밀한 검토와 주의가 요구된다. 방언 어휘나 형태소는 그 어휘나 형태소가 사용되는 사회적인 맥락과 문맥에서 가장 잘 이해될 수 있고 그 맛과 멋도 가장 잘 드러내 준다. 이 글에서 소개하는 방언 어휘들도 그것들이 사용되는 지역의 문화나 주민들의 정서를 가장 잘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방언은 그 방언이 사용되는 지역민의 생활상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글에는 충청도, 제주도, 경상도, 함경도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 가운데 국어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어휘들을 각 지역별로 다섯 개씩 뽑아 모두 스무 개의 방언 어휘를 소개하고 있다. 여기에 소개된 방언 어휘들은 주로 필자들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에서 발굴 조사한 것들이다. 따라서 여기에 소개되는 방언이 사용되는 지역을 뜻하는 ‘관련지역’에 표시된 지역 이외의 지역에서도 이들 방언이나 이형태들이 사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nd investigate the new dialect words that are used in a regional dialect in Korea. Fifteen dialect words are introduced in this paper. This fifteen dialect words are all the important linguistic material from the lexical point of view. This dialect materials were recorded from native speaker's dialogue, dictation. This fifteen dialect words include five new words in Chungcheong-do dialect, fiver new words in Cheju-do dialect, five new words in Kyeongsang-do dialect and Hamkyeong-do dialect. Chungcheong-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Park Kyeongrae(Semyung University), Cheju-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Kang Youngbong(Cheju University), Kyeongsang-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Kim Jungdae(Kyungnam University) and Hamkyeong-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Kwak Chunggu(Sogang University). We set out the standard word corresponds to dialect, a part of speech, a definition of the dialect word, a diversity forms of the each dialect word, related area, illustrative sentences and explanation to each dialect word. We can find through this work that the new dialect words makes significant contribution to study of the dialect. And the new dialect words enrich our vocabulary.

      • KCI등재

        새로 발굴한 방언(9)

        박경래,곽충구,이기갑,강영봉 한국방언학회 2012 방언학 Vol.0 No.15

        이 글은 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방언 어휘나 형태소, 속담 등을 새로발굴하여 소개하는 아홉 번째 연재물이다. ‘새로 발굴한 방언(9)에 소개하는방언들은 각 지역의 토박이 화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고 있는 단어나 형태소들이다. 이 글에서 소개하는 방언들은 국어사전이나 다른 연구물에서 소개된 적이 없는 것들이다. “새로 발굴한 방언”에 소개하는 방언들은 새로 발굴한 방언들이거나 기존의 사전이나 연구물에 소개되었지만 오류가 있는 것,뜻이나 용법이 다른 것들도 있다. “새로 발굴한 방언”들은 대부분 소멸해 가는 마지막 단계에서 필자들에게 구제되어 운 좋게 살아난 것들이라고 할 수있다. 그러나 연구자들이 미처 잡지 못하는 사이에 시나브로 소멸해 가는 수많은 방언들의 소리 없는 아우성이 안타까울 뿐이다. 방언은 그 방언을 사용하는 지역민들의 삶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그 방언이 사용되는 사회적인 맥락과 문맥에서 그 방언 가장 잘 이해할 수 있고그 말의 맛과 멋도 가장 잘 드러내 준다. 여기에서 소개하는 방언들은 그것들이 사용되는 지역의 문화나 역사를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것들이다. 語源은 같지만 지역에 따라 조금씩 의미의 차이를 보이는 방언형들도 있다. 예컨대, 옛 문헌에 나타나는 어휘 의미와, 그 문헌어와 동원어이거나 또는 그로부터 분화된 현대의 방언 의미를 대조해 보면 일정한 차이가 있음을발견하게 된다. 시간과 공간의 양면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비단 의미의차이뿐만 아니라 어휘 체계에서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차이가 어떠한 요인에 말미암은 것인지를 분명히 말하기란 어려운 일이다. 의미 변화라는 것이 어휘 체계 내의 요소들 간의 관계 또는 사회 문화 등 언어외적 요인들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같은 어원에서 갈려 나온 어휘는시대와 지역에 따라 각기 다른 체계 속에서 그리고 서로 다른 언어 외적 환경에서 생존해 온 것이므로 그 의미가 다를 수밖에 없다. 방언에서 하나의형태(form)가 의미에 의한 방언차를 보여 주는 예들은 의미 등어선에 의한 방언구획의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방언 어휘는 그 방언이 쓰이는 지역의 사회 문화를 보여 준다. 그 지역의 관습이나 의식주 문화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이 글에 소개된 방언은현재도 충청도, 원함경도(중국 연변), 전라도, 제주도 지역에서 사용되는 말들가운데서 뽑았다. 이번에는 충청도 방언 어휘 다섯 개, 함경도 방언 어휘 다섯 개, 전라도 방언 어휘 네 개, 제주도 방언 어휘 다섯 개 등 모두 열아홉 개의 방언 어휘를 소개하였다. 여기에 소개된 충청, 전라, 제주도 방언 자료들은 필자들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에서 조사한 것이고 함경도 방언은 중국 길림성 조선족자치주에 거주하는 재중 동포들에게 조사한 것이다. 따라서 표제어로 제시한 방언 어휘가 사용되는 지역을 뜻하는 ‘관련 지역’에 표시된 지역 이외의 지역에서도 이들 방언형이나 변이 형태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해당 방언의 의미도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할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nd investigate the new dialect words that are used in a regional dialect in Korea. Nineteen dialect words are introduced in this paper. This nineteen dialect words are all the important linguistic material from the lexical and cultural point of view. This dialect materials were recorded from native speaker's dialogue, dictation. This dialects include five new words in Chungcheong-do dialect, five new words in Hamkyeong-do dialect and four new words in Jeolla-do dialect and five new words in Cheju-do dialect. Chungcheong-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Park Kyeongrae(Semyung University), Hamkyeong-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Kwak Chunggu(Sogang University), Jeolla-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Lee kigap(Mokpho University) and Cheju-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Kang Youngbong(Cheju University). We set out the standard word corresponds to dialect, a part of speech, a definition of the dialect word, a diversity forms of the each dialect word, related area, illustrative sentences and explanation to each dialect word. We can find through this work that the new dialect words makes significant contribution to study of the dialect. And the new dialect words enrich our vocabulary.

      • KCI등재

        제주도방언의 ‘호상옷(수의)’ 관련 어휘 연구

        김순자 ( Soon Ja Kim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4 탐라문화 Vol.0 No.47

        ‘호상옷’은 ‘염습할 때에 송장에 입히는 옷’을 말한다. 표준어 ‘수의(壽衣)’에 대응하는 제주도방언으로, 사람과 지역에 따라 ‘호상’ 또는 ‘저승옷’이라고도 부른다. 이 논문은 사라져가는 제주의 언어 유산을 복원한다는 의미에서, 상례와 관련된 제주도방언의 ‘호상옷(수의)’ 관련 어휘를 종류별 명칭과 부분 명칭, 바느질법 관련 어휘 등으로 나눠 살폈다. 논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제주도방언의 ‘호상옷’은 일상 옷 가운데 가장 갖춰 입었던 ‘혼례’ 때의 옷차림에다가 ‘대렴’ 때 필요한 제구(諸具)인 ‘갖은수의’로 이루어진다. 둘째, ‘호상옷’ 관련 어휘 중 옷가지의 명칭은 한자어보다 고유어 명칭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반면에 부속물은 예전과 같이 한자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시대가 변하면서 고유어 사용이 늘고 있다. 셋째, 부분 명칭에서는 제주도방언의 특징인 문헌어와 특이 어형을 간직하고 있다. 특히 이들 어휘 가운데는 국어사전에 표제어로 올라 있지 않은 어휘도 있어 새 어휘의 발굴이라는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하겠다. 넷째, 바느질법 관련 어휘인 ‘손바농질, 뒷바농질, 뎅침, 동근술’ 등 ‘침선’ 관련 특이 어형을 새롭게 소개했다. 제한된 지면으로 이 논문에서 다루지 못한 ‘호상옷’ 관련 부분은 앞으로의 과제로 남겨둔다. ‘Hosangot’, ‘sueui’ in standard Korean, is a garment or piece of cloth used to wrap a dead body and the terms are different from people and regions like ‘hosang’ or ‘jeoseungot’. In this study, the vocabulary about shroud is divided into some categories such as names, names of the parts of clothes, and how to sew, etc. to restore endangered Jeju dial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moreover, is to Korean-linguistically systematize and analyze the words. Here are the conclusions. First, ‘hosangot’ in Jeju dialect meansthe most formal clothes for wedding ceremony with ritual utensils for shroud. Second, there are more Korean native words for the clothing than sino-Korean words while words for ritual utensils are often sino-korean. However, as time have changed, more Korean native words are used for the ritual utensils. Third, some names of the parts of clothes are from document language and have special word forms, which is the characteristic of Jeju dialect. It is meaningful to find these words as some of them are also especially novel and couldn`t be found in the Korean dictionary. Fourth, there are some interesting new words about sewing such as ‘sonbanongjil, dwitbanongjil, dengchim, donggeunsul’It is shame that more words for a shroud, taboos and sayings could not be listed because of the limited pages. It is for the next study.

      • KCI등재후보

        새로 발굴한 방언(3)

        박경래,이기갑,강영봉 한국방언학회 2009 방언학 Vol.0 No.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nd investigate the new dialect words that are used in a regional dialect in Korea. Fourteen dialect words are introduced in this paper. This fourteen dialect words are all the important linguistic material from the lexical point of view. This dialect materials were recorded from native speaker's dialogue, dictation and literary works. This fourteen dialect words include five new words in Chungcheong-do dialect, four new words in Jeolla-do dialect and five new words in Cheju-do dialect. Chungcheong-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Park Kyeongrae(Semyung University), Jeolla-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Lee Kigap(Mokpo National University) and Cheju-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Kang Youngbong(Cheju University). We set out the standard word corresponds to dialect, a part of speech, a definition of the dialect word, a diversity forms of the each dialect word, related area, illustrative sentences and explanation to each dialect word. We can find through this work that the new dialect words makes significant contribution to study of the dialect. And the new dialect words enrich our vocabulary. 이 글은 지금까지 소개되지 않았던 새로운 방언을 발굴하여 소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방언학≫ 5호와 6호에서는 “새 방언 소개”라는 제목으로 연재하였고, ≪방언학≫ 7호부터는 “새로 발굴한 방언”이라는 제목으로 연재하고 있다. 이 연재물에서 소개하고자 하는 “새로 발굴한 방언”은 아직 학계에 소개되지 않은 새로운 방언은 물론이고 이미 소개되었더라도 풀이가 잘못 되었거나 형태는 같지만 의미나 용법이 달라 새롭게 이해해야 하는 단어나 형태소들이다. 이 글에서 소개하는 방언은 토박이 화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말 가운데 국어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단어나 형태소들이다. 따라서 이들 단어나 형태소들을 발굴하여 소개함으로써 급속히 소멸되어가는 지역어를 문자로 고정시켜 국어 어휘를 풍부하게 하고 방언에 대한 이해와 국어생활의 편의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방언은 그 방언이 사용되는 지역의 생활상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그 방언이 사용되는 맥락에서 가장 잘 이해될 수 있고 방언의 맛과 멋을 가장 잘 드러내 준다. 이런 점에서 여기에 소개하는 방언 어휘들은 이들이 사용되는 지역의 문화나 주민들의 정서를 가장 잘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에는 충청도, 전라도, 제주도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 가운데 국어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어휘들을 각 지역별로 너덧 개씩 뽑아 모두 열네 개의 방언 어휘를 소개한다. 여기에 소개된 방언 어휘들은 필자들의 출신 지역이나 필자들의 거주 지역에서 관찰 조사한 것들이다. 따라서 여기에 소개하는 방언 어휘들은 이들이 사용되는 것으로 표시한 지역이나 ‘관련지역’이라고 표시한 지역 이외의 지역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은 새로운 방언 어휘를 발굴하여 알리는 작업은 우리말을 풍부하게 해준다. 새로 발굴한 어휘에 대한 소개는 국어사전의 어휘를 확장할 수 있고 국어연구의 지평을 넓혀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이런 점에서 방언 어휘의 의미는 물론이고 문법적인 기능과 용법 등에 대하여 자세히 기술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는 대부분 대응 표준어를 찾기 어려운 방언 어휘들이 소개되어 있지만 일부 방언 어휘는 표준어와 관련이 있는 것도 있다. 표준어와 관련이 있는 방언형은 표준어와는 형태가 다르지만 개념적인 의미에서는 연관성이 있어 보이는 것이다. 실제 사용되는 맥락이나 상황은 다르지만 기능 면에서는 유사한 경우라고 할 수 있다. 형태는 같지만 의미나 용법이 다른 경우도 있고 형태도 다르고 의미나 용법에서도 차이가 있을 수 있고 방언과 방언 간에도 용법이나 의미에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방언형과 대응하는 표준어가 있는 경우나 방언형과 유사 대응 표준어가 있는 경우에는 좀 더 면밀한 검토가 요구된다.

      • KCI등재후보

        새로 발굴한 방언(1)

        박경래,이기갑,강영봉 한국방언학회 2008 방언학 Vol.- No.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nd investigate the new dialect words that are used in a regional dialect in Korea. Fifteen dialect words are introduced in this paper. This fifteen dialect words are all the important linguistic material from the lexical point of view. This dialect materials were recorded from native speaker's dialogue and dictated. This fifteen dialect words include Chungcheong-do dialect, Jeolla-do dialect, Cheju-do dialect. Chungcheong-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Park Kyeongrae(Semyung University), Jeolla-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Lee Kigap(Mokpo University), Cheju-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Kang Youngbong(Cheju University). We set out the standard word corresponds to dialect, a part of speech, a definition of the dialect word, a diversity forms of the each dialect word, related area, illustrative sentences and explanation to each dialect word. 이 글은 방언을 사용하는 토박이 화자들이 일상생활을 하면서 대화하거나 구술할 때 실제로 사용하는 방언 가운데 국어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예들을 발굴하여 소개하고 해설함으로써 점차 사라져가는 국어 방언을 문자로 고정시켜 국어 어휘를 풍부하게 하고 국어 화자들에게 이해의 편의를 제공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여기에 소개하는 방언들은 해당 지역의 맛과 멋을 가장 잘 드러내면서도 그 방언을 사용하는 지역의 문화나 주민들의 정서를 잘 반영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것들을 뽑았다. 감칠맛 나면서도 실제 방언 사용 현장의 분위기를 가장 잘 반영해 주는 어휘들이라는 점에서 ≪방언학≫ 제5집과 ≪방언학≫ 제6집에 게재된 “문학 작품 속의 방언”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충청도, 전라도, 제주도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 가운데 국어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어휘들을 각 지역별로 다섯 개씩 추려 모두 열다섯 개의 방언을 소개하였다. 여기에 소개한 방언들은 필자들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관찰 조사된 것들이기 때문에 ‘관련 지역’에 표시된 지역 이외의 지역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새로운 어휘를 발굴하여 알리는 작업은 우리말을 풍부하게 해 주는 보배가 된다는 점에서 방언을 찾아 그 의미는 물론이고 문법적인 기능과 용법 등을 면밀히 기술하는 작업은 국어연구의 영역을 넓혀준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이 글에서는 대응 표준어가 없는 방언과 표준어로 대응되는 방언이 함께 소개되었는데 방언은 표준어와 형태가 동일해도 의미나 용법이 다를 수 있고 방언과 방언 간에도 용법이나 의미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에서 면밀한 검토와 주의가 요구된다.

      • KCI등재

        새로 발굴한 방언(8)

        박경래,곽충구,강영봉 한국방언학회 2011 방언학 Vol.0 No.1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nd investigate the new dialect words or dialect proverbs that are used in a regional dialect in Korea. Ten dialect words and eight dialect proverbs are introduced in this paper. This ten dialect words and eight dialect proverbs are all the important linguistic materials from the lexical and cultural point of view. This dialect materials were recorded from native speaker's dialogue, dictation. This dialects include five new words in Chungcheong-do dialect, eight new dialect proverbs in Hamkyeong-do dialect and five new words in Cheju-do dialect. Chungcheong-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Park Kyeongrae(Semyung University), Hamkyeong-do dialect proverbs were written by Kwak Chunggu(Sogang University) and Cheju-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Kang Youngbong(Cheju University). We set out the standard word corresponds to dialect, a part of speech, a definition of the dialect word and dialect proverb, a diversity forms of the each dialect word and dialect proverb, related area, illustrative sentences and explanation to each dialect word and dialect proverb. We can find through this work that the new dialect words makes significant contribution to study of the dialect. And the new dialect words enrich the Korean language vocabulary. 이 글은 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방언 어휘나 속담 등을 새로 발굴하여 소개하는 여덟 번째 연재물이다. 여기에서 소개하는 방언들은 현재의 토박이 화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단어나 속담들이다. 이 방언들은 국어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고 다른 연구물에서도 소개된 적이 없는 것들이다. “새로 발굴한 방언”에 소개되는 방언은 원칙적으로 기존에 소개되지 않은 새로운 방언들만을 골라 소개하는 것이 일차적인 목적이지만 이미 소개되었더라도 풀이나 용법이 다르거나 오류가 있는 것들을 바로잡기 위한 목적도 있다. “새로 발굴한 방언”이라는 제목으로 연재하는 방언 가운데는 현재도 왕성하게 사용되는 것들도 있고 사회의 변화나 생활양식의 변화로 새로운 어휘로 대체되어 가는 과정에 있는 것들도 있다. 그리고 소멸해 가는 마지막 단계에서 필자들의 손에 구제되어 소개되는 운이 좋은 것들도 있다. 어떻든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방언들을 발굴하여 소개하는 일은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인 동시에 국어 어휘를 풍부하게 하고 우리말을 살지게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구자들의 손길이 닿지 않아 시나브로 소멸해 가는 수많은 방언들의 소리 없는 아우성이 안타까움을 더한다. 방언은 그 방언을 사용하는 지역민들의 삶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그 지방의 문화나 그 방언이 사용되는 사회적인 맥락을 고려하여 파악해야 가장 잘 이해할 수 있고 또 그 말의 맛과 멋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다. 여기에 소개하는 방언 어휘들도 그것들이 사용되는 지역의 문화나 주민들의 정서를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것들이다. 이 글에 소개된 방언은 충청도, 함경도, 제주도 지역에서 사용되는 말들 가운데서 뽑았다. 국어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어휘나 속담이 대부분이지만 국어사전에 등재되어 있더라도 용법이나 의미를 바로잡거나 보완할 필요가 있는 것도 있다. 이번에는 충청도 방언 어휘 다섯 개, 함경도 방언 속담 여덟 개, 제주도 방언 어휘 다섯 개 등 열 개의 방언 어휘와 여덟 개의 속담을 소개하였다. 여기에 소개된 방언 자료들은 주로 필자들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에서 조사했거나 오랜 기간 조사한 자료 가운데서 선정하였다. 따라서 표제어로 제시한 방언 어휘가 사용되는 지역을 뜻하는 ‘관련 지역’에 표시된 지역 이외의 지역에서도 이들 방언이나 이들의 이형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해당 방언의 의미도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