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형성소송에서 형성되는 법률관계를 조건으로 이행청구의 병합에 관한 검토 -대법원 2013.09.13. 선고 2012다36661 판결을 중심으로-

        최성호 ( Sung Ho Choi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홍익법학 Vol.15 No.2

        이 사건 대법원 판례는 형성의 소는 그 판결이 확정됨으로써 비로소 권리변동의 효력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법률관계를 전제로 하는 이행소송 등을 병합하여 제기할 수 없는 것이 원칙이라는 종전의 대법원 판례의 입장을 고수 하고 있다. 나아가서 제권판결 불복의 소가 인용될 경우를 대비하여 방어하여야 하는 수표금 청구소송의 피고에게도 지나친 부담을 지우게 된다는 점에서 이를 쉽사리 허용할 수 없다고 한다. 그러나 필자는 형성소송의 판결에 의하여 형성되는 법률관계를 전제로 하는 이행소송 등을 병합하여 제기할 수 없는 것이 원칙이라는 근거에서 이사건 수표금 청구는 제권판결에 대한 취소판결의 확정을 조건으로 한 조건부 청구권에 관한 장래이행의 소로서 허용이 될 수 없다는 이 사건 판례의 취지에 동의할 수 없다. 제권판결에 대한 불복의 소는 확정판결의 취소를 구하는 형성의 소로서, 소송경제를 도모하고 서로 관련 있는 사건에 대한 판결의 모순, 저촉을 피하기 위하여 다른 민사상 청구를 병합하여 심리판단 할 수 있다. 따라서 구체적 기준이 없이 장래이행의 소를 제한하는 것은 당사자의 분쟁에 대한 일거에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소송 제기권을 지나치게 제한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 사건 대법원 판례에 반대한다. 한편 제권판결에 대한 취소판결의 확정 여부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그 확정을 조건으로한 수표금 청구는 장래이행의 소의 요건을 갖추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있다. 필자는 사해행위취소를 전제로 한 원상회복청구가 병합 내지 단독으로 가능하다는 점에 비추어 보아도 이사건 판례에 찬성하기 어렵다. 이미 수표금에 대한 권리발생의 기초를 이루는 법률관계의 존재를 전제로 이에 대한 상실여부에 대한 다툼이 있다면 그 결과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소송에 이르고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이 사건 는 제권판결에 대한 취소판결의 확정을 조건으로 한 조건부 수표금청구에 관한 장래이행의 소로서 허용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When judgment of a formation lawsuit decides the judicial precedent of the Supreme Court, that the fulfillment lawsuit on condition of the legal relation in which the effect of right change is formed by generating cannot be annexed and raised is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conventional Supreme Court judicial precedent of a principle. And it is said that this is easily nonpermissible in that it will burden with the burden excessive also to the defendant of the check money claim lawsuit which must equip with and defend again the case where the lawsuit of judgment-for-invalidation dissatisfaction is quoted. However, the writer cannot agree with the meaning of the judicial precedent where the lawsuit of the future fulfillment about the conditional claim on condition of decision of the cancellation judgment to a judgment for invalidation is nonpermissible on this incident check money claim. On the other hand, the check money claim on condition of the decision has judged that it is hard to see with having had the requirements for the cow of fulfillment in the future in the situation with uncertain existence of decision of the cancellation judgment to a judgment for invalidation. Even if the restitution claim on condition of cancellation of prejudicial acts compares a writer with the point that it is possible by annexation or independent, he cannot approve of this incident judicial precedent easily. Probably, it must be said that it has resulted in a lawsuit, since there is prediction possibility to the result if there is argument to the existence of the loss to this on the assumption that existence of the legal relation which already finishes the foundation of right generating to check money.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it is appropriate to this incident of this to be allowed as a lawsuit of the future fulfillment about the conditional check money claim on condition of decision of the cancellation judgment to a judgment for invalidation.

      • KCI등재

        금융중개기관을 통해 간접보유하는 유가증권의 선의취득에 관한 연구

        허항진(Hang-Jin Huh) 한국비교사법학회 2008 比較私法 Vol.15 No.4

        The extent to which the law should protect a transferee from pre-existing interests in the securities that it acquires is a complex and far reaching question Certainly it is true that for every innocent purchaser that is able to invoke its legal protection against a claimant there is an innocent claimant that may be harmed. In case where the transferee has acquired misappropriated securities in good faith the law must determine which of the two innocent parties - defrauded original owner or the good faith acquirer - is entitled to the securities and which must satisfy itself with a personal claim. As you see at the heart of matter lies a conflict between two fundamental principles of security of transfer and security of title. Security of title provides that a person should be deprived of his proprietary rights only in exceptional circumstances. Consequently a person should not be able to convey title to securities belonging to another unless it possesses the authority or title to do so. Opposing this position is the principle of security of transfer. It protects the purchaser of securities rather than the vested rights of the original owner and provides that a transfer of assets in good faith should not be reversed. Securities may be less liquid than money but their value lies in liquidity. In this regard the protection of good faith acquirers of securities from the adverse claim of a prior entitlement holder not only promotes liquidity but also reflects the commercial expectations good faith acquirers of securities should prevail over the original owner in modern indirect holding system. Like this the protection of a good faith acquirers of securities has developed into a central plank of settlement finality within the securities market. Moreover, in system that employ omnibus account and multilateral netting settlement system the claimant will face considerable practical difficulty in tracing the securities to their transferee. Thus, we must keep in mind that in sophisticated settlement markets the transferee remained shielded by the practical difficulties involved in tracing misappropriated securities settled on a net basis. As a result of the difficulties in tracing pre-existing interests as well as for reasons of efficiency, a person that holds of the securities through an financial intermediary should not expect the purchaser of the securities in good faith to investigate title to them. That is to say, the purchaser take good title unless it has notice or strong suspicion of a violation of another's right to those securities.

      • KCI등재

        2011년 민사소송법 중요 판례

        장재형 대한변호사협회 2012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24

        2011년에 선고된 민사소송에 관한 판결은 예년에 비해서 그 양은 줄지 않았으나 내용에 있어서는 민사소송만에 관한 특별한 쟁점이 부각된 것은 비교적 적었고 오히려 민사실체법과 결합된 사례로서 광우병 보도 정정, 군정권시대의 불법행위에 기한 과다한 위자료의 지연손해금 등 흥미로운 사건이 더러 보인다. 전통적인 법원, 당사자, 공동소송의 소송 주체론, 자유심증주의 및 증명책임 등 증거법분야와 변론, 기판력, 소의 이익, 상소, 항고, 재심은 물론 소송비용, 민사집행, 도산, 특히 헌법소원과관련하여 다양한 판결이 선고되었다. The decisions of the Court in civil procedure law during 2011 abound in its’ contents with diversity. They contains interesting complicated civil cases like as request of correction about mad cow disease news, enormous delayed loss for consolation money etc. And they range from the traditional parts of jurisdiction, parties, co-litigation in principal, of principle of free conviction and burden of proof in evidence, and oral proceeding, right to elucidation, effect of excluding further litigation, rechtsschutz-interesse, recourse(appeal &re-appeal), complaint, retrial to the new parts of costs of a lawsuit, execution, bankruptcy and especially constitutional appeal etc.

      • KCI등재

        외국회사의 국내상장과 증권의 선택

        장영수(Chang, Young Soo) 한국증권법학회 2012 증권법연구 Vol.13 No.2

        자본시장 국제화의 발현형태 중 하나로서, 외국회사의 국내상장이 최근 활성화되고 있다. 외국회사의 국내상장은 자본시장법상의 ‘증권’인 주식이나 KDR을 국내에서 공모·상장하는 방식으로 구체화되는데 이 외국주권과 KDR간에는 발행근거와 증권으로서의 속성, 그리고 적용법규 등의 측면에서 상호간 적잖은 차이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다양한 법률문제가 수반되는 외국회사의 국내 상장절차에서, 주식과 KDR 중 어느 것을 상장대상 증권으로 정할 것인가가 무엇보다 중요하나, 아직 이에 관한 명확한 기준이 시장에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관련,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할 점은 대상 외국회사가 해외에서 주식 형태로 1차상장을 한 기업인가 여부이다. 해외에서 1차상장을 마친 기업이라면 국내에서의 2차상장이 결과할 ‘주식-주식 형태의 교차상장’에 따른 문제점을 피하기 위해 국내상장은 KDR의 상장이 되어야 한다. 증권선택에서 또 다른 중요 고려사항 중 하나는 해당 외국회사의 속인법인 설립준거법상 증권의 실질소유자와 발행회사간의 직접적인 법률관계가 형성되는가, 혹은 그 속인법이 우리나라의 실질주주제도를 승인할 수 있는가 여부이다. 기타 국내에 상장된 외국 증권에 대한 제권판결의 관할권 문제, 나아가 우리나라에서의 상장 이후 본국 등에서의 추가 상장계획 등도 증권선택의 일반적 기준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더하여, 최근 국내상장 시도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미국과 일본 회사에 대한 추가적 고려사항으로서 미국 34년법상의 등록의무 문제, 일본의 증권무권화제도 하에서의 주주명부 관리제도와 우리나라의 실질주주제도와의 조화 문제 등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One of the recent consequences of capital market globalization has been an increasing number of foreign companies knocking on Korean capital markets to list their securities in Korea. This "inbound foreign listing" is done by publicly offering and listing shares or Korean Depositary receipts ("KDRs") by foreign issuers. Although both shares and KDRs are recognized as "securities" by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 Act ("Capital Market Act"), there are several differences between shares and KDRs with respect to the ground of issuance, their nature, and applicable laws. Therefore, the "choice of securities" between shares and KDRs, which has various legal implications in the listing process, is indeed very important. But standard criteria for such decision have not yet been formally introduced in the market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be considered in this choice is whether or not the foreign company has already listed its shares on an offshore exchange. If it has, the Korean listing should be made in the form of KDRs, in order to avoid legal complications resulting from "shares(primary listing on foreign exchange)-shares(secondary listing on Korean exchange) cross listing." Another essential consideration would be whether or not a direct legal relationship between the foreign issuer and prospective Korean end investors (the intermediated holders of the securities issued by the issuer) is legally recognized under the applicable governing law of the foreign issuer, or whether such governing law is able to approve the Beneficial Shareholder System under the Capital Market Act of Korea. Furthermore, issues on jurisdiction of judgment of exclusion over the foreign further listing plan on its own domestic exchange by the foreign issuer should also be considered in choice of securities issue. Finally, U.S. and Japanese issuers that increasingly seek access to Korean capital markets, require additional legal analysis in choosing securities. For the U.S. issuers planning listing on Korean market, the registration obligation of securities under the U.S. Securities Exchange Act of 1934 should not be overlooked. As for the Japanese issuers, the balance between the Beneficial Shareholder System under the Capital Market Act of Korea and the relevant Japanese law is a factor to be 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