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경에서 잔디밭 시공 시 켄터키 블루그래스 조성 2년차 준공단계에 적합한 기준 파종량 연구

        김경남 한국잔디학회 2024 Weed & Turfgrass Science Vol.13 No.1

        본 연구는 축구장 모래 지반에 종자 파종 후 조성 2년차 완성 단계에서 파종량 차이가 잔디 색상, 잔디품질 및 잔디밭내구성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해서 켄터키 블루그래스 잔디밭 설계, 시공 및 관리에 활용하고자 시작하였다. 전체 파종량처리구는5수준(very low seeding, VLS 6; low-seeding, LS 9; medium seeding, MS 12; high seeding, HS 15; very high seeding, VHS 18 g·m-2)으로난괴법4반복으로배치하였다.잔디밭품질및내구성을비교하기위해서3월부터12월까지엽색,품질, 뿌리생장, 근계발달 및 대취축적을 연중 조사하였다. 잔디색상과 품질은 조성 1년차 시공단계에 비해 전반적으로향상되었지만, 처리구간 우열관계는 다소 다른 경향으로 나타났다. 조성 2년차 완성단계의 잔디색상은 5월 이후에는조성 1년차 시공 단계에서 가장 양호한 HS 및VHS 파종구보다 MS 파종구의 엽색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성 2년차완성단계에서잔디품질도조성1년차에가장우수한HS및VHS파종구보다는LS및MS파종구의 품질이6월이후에는 훨씬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뿌리생장 및 근계발달은 잔디밭 조성 1, 2년차 모두 VLS 및 LS 파종구가 가장우수하였으며, 파종량이 15 g·m-2 이상인 처리구(HS 및 VHS 파종구)의 뿌리생장 및 근계발달은 실험기간 내내 가장 불량하였다. 하지만 조성 2년차 여름 고온기 7-8월에 뿌리생장이 가장 양호한 처리구는 파종량이 중정도 수준인 12 g·m-2의 MS 파종구이었다. 대취층은 잔디생장 속도가 빠른 HS 및 VHS 파종구에서 빨리 축적되었고, 반대로 VLS 파종구에서 가장 느리게 형성되었다. 잔디밭 조성 시 필요한 적정 한계 파종량은 설계 컨셉에 의해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장기적으로 색상, 잔디 품질과 잔디밭 내구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 시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파종량은 9-12 g·m-2 사이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지만 지상부 잔디품질보다 뗏장 생산이 주목적인 경우 파종량은 6-9 g·m-2 사이가 더 바람직하다고판단되었다.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초기 시공 단계 및 완공 목표 시기에 따른 잔디생육 특성별 데이터 결과는 조경계획시 켄터키블루그래스설계,시공 및 유지관리에 실무적으로 유용한자료가될것이다. This study intend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eeding rates on turfgrass quality and turf performance in Kentucky bluegrass (KB, Poa pratensis L.) in sand-based field and to present fundamental data on landscape design and construction. Turfgrass color, quality, root growth, rooting system development, and thatch accumulation were evaluated. Five treatments were replicated four times in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seeding rates of 6-18 g·m-2, being very low seeding (VLS, 6 g·m-2), low seeding (LS, 9 g·m-2), medium seeding (MS, 12 g·m2), high seeding (HS, 15 g·m-2), and very high seeding (VHS, 18 g·m-2). Generally, turfgrass color and quality were enhanced with seeding rates. Evaluation of the 2nd-year data showed they were much greater than the 1st-year data. The best turfgrass color and quality were related to HS and VHS treatments in the 1st year. However, evaluation in the 2nd year indicated that the highest color ratings were associated with MS treatment. Moreover, HS-treated plots exhibited the best quality ratings in the 2nd year from March to May, while plots in both LS and MS treatments became better after June. In the 2nd year of study, we observed that the lower the seeding rates, the longer the root growth and the deeper the rooting system. Therefore, greater root growth and rooting development performance were associated with LS and VLS treatments (below 9 g·m-2), while lower root growth and development performance were associated with HS and VHS treatments (over 15 g·m-2). However, the best rooting development was associated with MS (12 g·m-2) during a high-temperature period of July to August. Unlike root growth, thatch accumulation was related to higher seeding rates, being greater with VHS and HS treatments. Critical seeding rates varied depending on the planting purpose, complete establishment time, considerable characteristic(s) for expected quality, turfgrass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cultural system. Accordingly, a concept-focused decision should be made regarding turf design and the establishment of on-site field practice. From comprehensive, long-term consideration for the best color, quality, and performance, proper seeding rates would be 9 to 12 g·m-2. However, for the best sod production, the proper seeding rate would be 6 to 9 g·m-2. This study's overall data on turfgrass quality and turf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phase will be helpful for KB establishment in landscape design and construction.

      • KCI등재

        경기도내 천연잔디 학교 운동장 잔디관리 현황

        한상욱,소호섭,원선이,주영철 한국잔디학회 2015 Weed & Turfgrass Science Vol.4 No.4

        학교 운동장은 체육활동 외에도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다양한 여가 활동이 이루어지는 중요한 공간이다. 본 연구는 운동장 조성 및 잔디관리 현황 조사를 통하여 천연잔디학교 운동장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앞으로 학교 운동장 잔디의 품질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경기도내에 천연잔디 학교 운동장 40개소를 방문하여 운동장관리 관계자와의 질문 답변과 현장조사 결과 학교당운동장 면적은 평균 3,890m2, 1인당 운동장 면적은 평균12 m2로 나타났다. 운동장 잔디관리는 학교 관계자에 의한자체 관리가 조사 대상 학교의 95%로 나타났고, 잔디관리비용은 조사된 학교의 대부분인 90%가 5백만원 이하의 적은 비용으로 유지 관리되고 있었다. 천연잔디 학교 운동장의 문제점으로는 잔디관리의 어려움과 잔디관리에 소요되는 비용 부담 등으로 나타났다. 운동장 잔디관리의 가장 큰어려움으로 잡초관리와 관수작업으로 나타났다. 학교 운동장은 조사대상의 97.5%가 한국잔디로 조성되어 있었으며시비 년2회, 깎기 년6회, 잡초방제 월2회, 관수는 위조발생시 처리하는 수준으로 나타나 많은 학교가 최소관리 수준에서 잔디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교 운동장의 잔디상태는 양호한 곳이 14개소, 개선을 요하는 수준에 있는 학교가 26개소로 관배수시설 확충과 함께기본적인 잔디관리 수준을 높임과 동시에 잔디보식, 통기, 배토 등과 같은 적극적인 갱신작업을 통하여 운동장 잔디품질 향상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Forty schools having natural turf playgrounds were investigated by on-spot investigation and oral interviews with relevant school officials to find out basic information on turfgrass management practices of school playgrounds in Gyeonggi province. Average area of playground was 3,890 m2 per school and 12 m2 per student. Ninety five percent of turf playgrounds were managed by school staff and ninety percent of schools spent less than 5 million won per year for turf management. The difficulties in turfgrass management were considered as a major challenge for the schools, followed by turfgrass management cost. Among the management practices, school officials pointed out weed management as the most difficult work, followed by irrigation. The average number of fertilization and mowing was 2 and 6 times per year, respectively. About the half of playgrounds were irrigated only when there was wilting symptom. Zoysiagrass was the most popular choice for the school playgrounds and only three school playgrounds were established with pop-up irrigation system. Fourteen school playgrounds had good turf quality but the rest of school playgrounds had inadequate turf quality requiring minor or full renovation.

      • KCI등재

        일본의 한국잔디의 재배, 생산 및 현별 브랜드화 현황

        장덕환,박남일,양승원,심규열 한국잔디학회 2011 Weed & Turfgrass Science Vol.25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recent information on zoysiagrass (Zoysia spp.) sod production in Japan. Total zoysiagrass sod production acreage in Japan was 6,623 ha. The acreage by prefecture was 3,900 ha (58.9%) in Ibalaki, 779 ha (11.8%) in Tostoli, 609 ha (9.2%) in Kagosima, and 550 ha (8.3%) in Sijeumoka, respectively. Sod was harvested by 1.5 cm sod thickness. Mowing height of Goraisiba (Zoysia matrella)and Nosiba (Zoysia japonica) cultivars was cut by 10 mm and 25 mm height, respectively. Japan agricultural cooperative issued a warranty of sod production quality to zoysiagrass consumers. A quality evaluation for sod production was carried out continuously to maintain a reasonable degree of uniformity and hight quality of sod production three times a year. Also, zosiagrass sod production was rotated with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var. glabra Regel) for improving fertility of soil every five to six years. Patented cultivars for promoting bland in Ibaraki prefecture of Japan were ‘Tsukuba himae’, ‘Tsukuba kagayaki’, ‘Tsukuba Talou’ and ‘Tsukuba green’. 일본의 총 잔디재배면적은 6.623 ha로 이바라키현이3,900 ha로 일본잔디재배면적의 약 58.9%를 차지하였고,톳토리현이 779 ha로 11.8%를 차지하여 일본의 한국잔디재배생산면적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일본에서고품질 잔디뗏장 생산 및 유지를 위해 잔디 품질인증서발급을 실시하고 있었으며, 품질관리 항목 중 이형초종을집중적으로 관리하고 있었다. 또한 잔디 깎는 높이는 고라이시바 품종은 10 mm 내외, 노시바 품종은 25 mm 내외 이었으며, 잔디 뗏장 두께는 1.5 cm 정도로 생산하여매우 고품질의 잔디를 생산하고 있었다. 잔디 운반비를 제외한 잔디 뗏장의 출하 단가는 300엔/m^2 정도였으며, ‘쓰쿠바그린’ 품종의 경우에는 600엔/m^2에출하하고 있었다. 납품방식은 크게 3가지로 도매, 직판, 위탁형태로 출하되고 있었다. 잔디 품질 유지를 위한 잔디품질보증서는 품질등급기관인 쓰쿠바시 일본농업협동조합에서 주관하여 발급하고 있었으며, 3명의 평가위원을 구성하여 연간 3회 품질평가를 실시한 후 잔디품질보증서를발급하고 있었다. 잔디밭의 균일도를 유지하기 위해 비선택적 제초제를 사용하여 잔디밭내에 혼입된 이형의 잔디종(種)을 방제하고 있었으며, 잔디밭의 지력을 유지하기위해 5-6년 단위로 배추와 윤작을 실시하여 잔디 뗏장 생산력을 유지하고 있었다. 이바라키현의 잔디브랜드화 추진을 위해 쓰쿠바 잔디사업협동조합내 쓰쿠바잔디진흥협의회에서 주관하여 ‘쓰쿠바히메’, ‘쓰쿠바카가야키’, ‘쓰쿠바타로우’, ‘쓰쿠바그린’등 4개 품종에 대한 특허 등록을 실시하여 쓰쿠바시를 대표하는 브랜드화를 추진하였다.

      • 한국의 잔디 생산 현황

        최준수,양근모,Choi, Joon-Soo,Yang, Geun-Mo 한국잔디학회 2006 한국잔디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국내 잔디생산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배면적, 재배초종, 경영농가 현황,잔디유통 현황 등을 조사하였다. 설문 조사 기간은 2006년 4월부터 10월까지이며, 각시도별로 잔디재배를 많이 하고 있는 곳을 방문하여 15개 항목을 설문조사 하였다. 재배면적은 설문조사와 지역 재배농민의 추정치, 그리고 방문에서 제외된 지역은 2006년 산림청조사 자료를 종합하여 결정하였다. 기타 조사항목은 항목별 응답 인원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조사결과 국내 총 잔디 재배면적은 2,947ha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전남 1,417ha(48%), 전북 442ha(14.9%), 경기 344ha(11.6%), 경남 248ha(8.4%), 충남 240ha(8.1%) 순으로 나타났다. 잔디 주 생산단지는 장성군, 함평군, 영광군, 고창군, 사천시, 익산시, 여주시, 연천군 등으로 조사되었다. 경영주 나이는 51세 이상이 72.4%로 노령화되어 있었으며, 재배경력은 10년 이상이 84.4%로 나타났다 전문경영의 형태를 보였다. 잔디재배 초종은 중지계통의 들잔디가 55.5%, 일반 들잔디가 37.4%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켄터키블루그래스가 3.8%, 한국잔디 신품종이 0.1% 등으로 조사되었다. 한국잔디의 출하 규격은 다양했으며 $18{\times}18cm$ 규격으로 출하하는 경우가 43.6%로 가장 많았다. 출하형태는 위탁판매가 40.5%로 높게 나타났으며, 전남지역의 생산단가는 $2,160{\sim}2,730$원$/m^2$ 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data on current sod production in South Korea. Fifteen items were surveyed including production acreage, species and cultivars, experience on farming, production cost and the others during April to October in 2006. To estimate production acreage, 73 turfgrass growers were interviewed. Estimated acreage for turfgrass production was 2,947 ha. Acreages by province were 1,417 ha in Jeollanam-do(48%), 442 ha in Jeollabuk-do(14.9%), 344 ha in Gyeonggi-do(11.6%), 248 ha in Gyeongsangnam-do(8.4%), and 240 ha in Chungcheongnam-do(8.1%), respectively. The major sod producing regions were Jangseong-gun, Hampyeong-gun, Yeonggwang-gun, Gochang-gun, Sacheon city, Iksan city, Yeoju city, Yeoncheon-gun. Percentage of turf growers over 50 years old was 72.4 percent, which means production was carried out mainly by old farmers. Grower's career over 10 years was 84.8%. Cultivated species and varieties were 'Junggi'(55.5%) of fine-textured Korean lawngrass, common Korean lawngrass(37.4%), Kentucky bluegrass(3.8%), and new zoysiagrass cultivars(0.1%), respectively. Sod size were variable. Sod size of $18{\times}18cm $ was 43.5 percent. Sales route was mainly through sod distributor(40.5%). Sod producing cost was $2,160{\sim}2,730$ won per square meter at Jeolla-do areas.

      • 일본의 한국잔디의 재배, 생산 및 현별 브랜드화 현황

        장덕환,박남일,양승원,심규열,Jang, Deok-Hwan,Park, Nam-Il,Yang, Seung-Won,Sim, Gyu-Yul 한국잔디학회 2011 한국잔디학회지 Vol.25 No.2

        일본의 총 잔디재배면적은 6.623 ha로 이바라키현이 3,900 ha로 일본잔디재배면적의 약 58.9%를 차지하였고, 톳토리현이 779 ha로 11.8%를 차지하여 일본의 한국잔디 재배생산면적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일본에서 고품질 잔디뗏장 생산 및 유지를 위해 잔디 품질인증서 발급을 실시하고 있었으며, 품질관리 항목 중 이형초종을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있었다. 또한 잔디 깎는 높이는 고라이시바 품종은 10 mm 내외, 노시바 품종은 25 mm 내외 이었으며, 잔디 뗏장 두께는 1.5 cm 정도로 생산하여 매우 고품질의 잔디를 생산하고 있었다. 잔디 운반비를 제외한 잔디 뗏장의 출하 단가는 300엔/$m^2$ 정도였으며, '쓰쿠바그린' 품종의 경우에는 600엔/$m^2$에 출하하고 있었다. 납품방식은 크게 3가지로 도매, 직판, 위탁형태로 출하되고 있었다. 잔디 품질 유지를 위한 잔디품질보증서는 품질등급기관인 쓰쿠바시 일본농업협동조합에서 주관하여 발급하고 있었으며, 3명의 평가위원을 구성하여 연간 3회 품질평가를 실시한 후 잔디품질보증서를 발급하고 있었다. 잔디밭의 균일도를 유지하기 위해 비선택적 제초제를 사용하여 잔디밭내에 혼입된 이형의 잔디 종(種)을 방제하고 있었으며, 잔디밭의 지력을 유지하기 위해 5-6년 단위로 배추와 윤작을 실시하여 잔디 뗏장 생산력을 유지하고 있었다. 이바라키현의 잔디브랜드화 추진을 위해 쓰쿠바 잔디사업협동조합내 쓰쿠바잔디진흥협의회에서 주관하여 '쓰쿠바히메', '쓰쿠바카가야키', '쓰쿠바타로우', '쓰쿠바그린' 등 4개 품종에 대한 특허 등록을 실시하여 쓰쿠바시를 대표하는 브랜드화를 추진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recent information on zoysiagrass (Zoysia spp.) sod production in Japan. Total zoysiagrass sod production acreage in Japan was 6,623 ha. The acreage by prefecture was 3,900 ha (58.9%) in Ibalaki, 779 ha (11.8%) in Tostoli, 609 ha (9.2%) in Kagosima, and 550 ha (8.3%) in Sijeumoka, respectively. Sod was harvested by 1.5 cm sod thickness. Mowing height of Goraisiba (Zoysia matrella) and Nosiba (Zoysia japonica) cultivars was cut by 10 mm and 25 mm height, respectively. Japan agricultural cooperative issued a warranty of sod production quality to zoysiagrass consumers. A quality evaluation for sod production was carried out continuously to maintain a reasonable degree of uniformity and hight quality of sod production three times a year. Also, zosiagrass sod production was rotated with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var. glabra Regel) for improving fertility of soil every five to six years. Patented cultivars for promoting bland in Ibaraki prefecture of Japan were 'Tsukuba himae', 'Tsukuba kagayaki', 'Tsukuba Talou' and 'Tsukuba green'.

      • KCI등재

        천연잔디, 인조잔디 및 맨땅 축구장에서 축구 경기력 비교

        김두환(Doo-Hwan Kim),박현철(Hyun-Chul Park),이재필(Jae-Pil Lee)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2006 Weed & Turfgrass Science Vol.20 No.2

        본 연구는 천연잔디, 인조잔디 및 맨땅 축구장이 축구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천연잔디 축구장은 한지형 잔디(켄터키 블루그래스 80%+퍼레니얼 라이그래스 20%)와 중엽형 한국잔디로 조성된 축구장이며, 인조잔디 축구장은 코니그린 DV5000™으로 조성하였고 맨땅 축구장은 마사토로 조성되었다. 축구경기력 분석을 위한 볼 구름거리(m)와 수직 볼리바운드(m)는 2005년과 2006년 건국대학교 스포츠과학타운에서 조사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공은 한국축구협회(Korea Football Association)에서 공인된 Hummel Air Vision #1을 사용하였고 공기압은 1.0 lbs를 유지하였다. 볼 구름거리는 맨땅 축구장(13.6m) > 인조잔디 축구장(11.4m) > 한지형 잔디축구장(7.8m) > 한국잔디 축구장(4.7m)순으로 길었다. 또한 볼 구름거리는 잔디의 사용빈도가 적을수록, 잔디의 직립정도가 강할수록, 잔디의 밀도가 높을수록 짧아지는 경향이었다. 수직 볼 리바운드 역시 맨땅 축구장(1.0m) > 인조잔디 축구장(0.98m) > 한지형 잔디 축구장(0.68m) > 한국잔디축구장(0.4m) 순으로 높았다. 수직 볼 리바운드는 잔디의 사용빈도가 적을수록, 잔디의 직립정도가 강할수록, 잔디의 밀도가 높을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표준관리가 되는 한지형 잔디 축구장은 조성 연수에 따른 볼 구름거리와 수직 볼 리바운드에 미치는 영향이 적었다. 반면 표준 관리가 하지 않은 한국잔디 축구장은 오래 될수록 볼 구름거리는 길어졌고 수직 볼 리바운드 역시 높았다. This study was initia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playing ability among soccer fields established with natural turfgrass, artificial turf and bare ground. The soccer fields with natural turfgrasses were established with cool-season grass(Kentucky bluegrass 80%+Perennial ryegrass 20%) and zoysiagrass. The artificial turf field was constructed with Konigreen DV5000™. Bare ground was sandy soil. Data such as ball rolling distance and vertical ball rebound were collected at the Sports Science Town of Konkuk University from 2005 to 2006. A ball in the study was Hummel Air Vision #1, certified by KFA(Korea Football Association) in ball pressure of 1.0lb. Ball rolling distance was the longest on bare ground(13.6m), followed by artificial grass(11.4m), cool-season grass(7.8m) and zoysiagrass(4.7m). It decreased with lower frequency in use, stronger rigidity and higher density of turfgrass. Vertical ball rebound was the highest on bare ground(1.0m), followed by artificial grass(0.9m), cool-season grass(0.6m) and zoysiagrass(0.4m). It was lower under conditions of low use frequency, strong rigidity, and high density. Both ball rolling distance and vertical ball rebound were not greatly affected by cool-season grass maintained with high intensity of culture by years after establishment. However, zoysiagrass field under low intensity of culture showed longer in ball rolling distance and higher in vertical ball rebound with time after establishment.

      • 사포닌과 아미노산 함유비료의 살포가 크리핑벤트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효과

        김영선,함선규,이재필,황영수,Kim, Young-Sun,Ham, Suon-Kyu,Lee, Jae-Pil,Hwang, Young-Soo 한국잔디학회 2012 한국잔디학회지 Vol.26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o the effect of liquid fertilizer with saponin (SLF) and liquid fertilizer with amino acid (ALF)on the growth of creeping bentgrass. In creeping bentgrass, turf color index, chlorophyll index, dry weight and shoot number were measured. It was hardly affected by SLF and ALF applications in investigation of chemical properties of the soil. By applying SLF and ALF, turf color index and chlorophyll index in 2SLF and 2ALF were increased more than CF, and shoot number and root length in 2SLF, ALF and 2ALF were higher than CF. In correlation coefficient among growth factors of creeping bentgrass, turf qual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root length, shoot number, dry weight, and content of N and K in turf tissue (P<0.05), N content of tissue was significantly in root length, shoot number and dry weight (P<0.05), and K content was significantly in shoot number and dry weight (P<0.05).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pplication of functional liquid fertilizers such as SLF and ALF was expected to replace compound fertilizer in turf management and that applied SLF and ALF was stimulated the uptake of N and K into turf so that turf qualities were improved by enhancing growth shoot and root of turf. 본 연구는 사포닌과 아미노산 함유비료를 크리핑벤트그래스에 관주시비하여 잔디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복합비료를 대신하여 잔디관리에 이용할 수 있는지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엽색지수, 엽록소지수, 건물중, 잔디밀도, 뿌리길이 및 잔디의 양분함유량을 조사하여 생육을 평가하였다. 시험 전후 토양분석결과, 처리구에 따른 토양화학성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아 SLF와 ALF의 시비가 골프코스의 토양화학성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벤트그라스의 엽색지수와, 엽록소지수는 2SLF와 2ALF에서는 엽색지수와 엽록소지수가 CF와 비슷하거나 약간 높았고, 잔디밀도와 뿌리길이는 2SLF, ALF 및 2ALF에서 CF보다 높았다. 건물중과 잔디 중 질소와 칼리함량은 2ALF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잔디품질은 뿌리길이, 잔디밀도, 건물중 및 질소와 칼륨함량에 대해 고도의 상관성을 보였고(P<0.05), 잔디에 함유된 질소는 잔디밀도, 뿌리길이 및 건물중과 같은 잔디생육과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P<0.05), 잔디에 함유된 칼륨은 잔디밀도와 건물중에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P<0.05). 이러한 결과를 통해 기능성물질이 함유된 비료는 복합비료를 대신하여 잔디관리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고, 기능성액상비료의 관주시비 시 질소와 칼륨이 잔디에 흡수되어 잔디 지상부 및 지하부생장과 밀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잔디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들잔디에 오버씨딩 시 한지형 잔디의 피복율과 초종전이

        정기완,김경남 한국잔디학회 2014 Weed & Turfgrass Science Vol.3 No.4

        Research was initiated to evaluate cool-season grass (CSG) overseeding effects on coverage and species transitionin Korean lawngrass (Zoysia japonica Steud.) and to determine CSGs and their seeding rate for a practical overseeding. Treatmentswere comprised of Kentucky bluegrass (KB, Poa pratensis L.), perennial ryegrass (PR, Lolium perenne L.), tall fescue (TF, Festucaarundinacea Schreb.) and their mixtur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urfgrass coverage and species transition. Sinceoverseeding, the coverage was highest in PR, followed by TF and lowest in KB. The highest coverage in polystand was associatedwith Mixture IV (TF 50 + PR 50) at a seeding rate of 150 g m-2 which had highest PR and TF, but without KB. Regarding turfgrasstransition, zoysiagrass recovery continued to come back up to 80% from late March. But it reduced after early October. Zoysiagrassin monostand was greatest in KB and lowest in TF, but variable in polystand. For the fast and great coverage in winter, it would bethe best to apply with PR at 100 g m-2 and equal combination of PR and TF by 1/2 in the mixture at 150 g m-2. For the smoothspring transition to zoysiagrass, however, KB application at 50 g m-2 is recommended. 본 연구는 들잔디에 켄터키 블루그래스, 톨 페스큐 및 퍼레니얼 라이그래스를 단파 및 혼파로 오버씨딩 후 잔디피복율 및 초종전이 특성과 함께 적합한 초종 및 파종량을구명함으로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수행하였다. 한지형 잔디 피복율 및 난지형 잔디의 초종전이는 처리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피복율은 초기부터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와 톨 페스큐 초종이 우수하였고, 켄터키 블루그래스가 저조하였다. 혼합구는 초종 구성상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와 톨 페스큐가 많고 켄터키 블루그래스가 없는 파종량 150 g인 Mixture IV가 가장 양호하였다. 초종 전이는 3월 하순부터 지속적으로진행되어 최대 80%까지 들잔디 점유율이 증가하였지만, 10월 초순 이후 점유율은 감소하였다. 단일 초종구에서 들잔디 점유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처리구는 켄터키 블루그래스이었고, 가장 낮게 나타난 처리구는 톨 페스큐이었으며,혼합구의 경향은 일정하지 않았다. 본 실험을 통해 동절기잔디피복에 적합한 처리구는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100 g,혼합구인 경우 톨 페스큐 및 퍼레니얼 라이그래스가 1/2씩혼합해서 150 g을 파종할 경우 가장 적합하였다. 하지만 들잔디로 초종전이는 단일 초종구인 켄터키 블루그래스 50 g이 가장 우수하였다.

      • KCI등재

        들잔디와 금잔디 수집종의 지역별 적응성 및 봉분 실증 평가

        장석원,성창현,배은지,구준학,윤정호 한국잔디학회 2019 Weed & Turfgrass Science Vol.8 No.3

        Zoysia japonica and Z. matrella are native turfgrass in Korea. Z. japonica is used throughout the country, but Z. matrella is weak in the cold climate and restricted to the southern areas. Z. matrella has a lot of advantages such as fine leaves, high density and excellent texture, so it is important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for various purpos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overwintering survival of the Z. japonica 10 and Z. matrella 18 ecotypes collected from across the country in Yangju, Eumseong, and Namhae areas from 2014 to 2015. Each of the two species was also selected and compared with the adaptability as grave covering grass in virtual grave mounds of actual size in Hapcheon, Gyeongnam province from 2017 to 2018. All of Z. japonica ecotypes overwintered in three areas, but 38.9, 83.3, and 88.9% of Z. matrella ecotypes in the Yangju, Eumseong, and Namhae areas survived through winter, respectively. The strip-sodded graves with two species were established in May 2017. In both Z. japonica and Z. matrella graves, ground-coverages were over 90% by Korean thanksgiving day’ mowing (Beolcho), indicating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species in coverage rates. Survival rates of grave-cover plants of Z. japonica and Z. matrella in the following year with over-wintering were 80% and 28%, respectively. Z. japonica suffered damage in the northern slopes of the grave, but Z. matrella plants suffered with great damage in the northern and western slopes. In green-up timing, Z. japonica was faster than Z. matrella, and the slope of the grave proceeded in the order of south>east>west>north. During the winter season, soil temperatures and moisture in the grave remained low in the order of south>east>west>north slopes. 들잔디와 금잔디는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한국잔디이다. 들잔디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사용되지만, 내한성이 약한 금잔디는 남부 지방에 제한되어 사용되고 있다. 금잔디는 세엽, 높은 밀도, 우수한 질감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용도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는 금잔디의 묘지 잔디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제주도 등지에서 수집한 들잔디 10 계통과 들잔디 18 계통을 3개 지역(경기 양주, 충북 음성, 경남 남해)에서 2014년-2015년 중에 월동 후 생존율과 그린업 시기를 조사하였다. 또한 2017년-2018년에는 금잔디 1계통과 중엽 들잔디 1품종 밀록 을 경남 합천에서 실제 조성한 가상의 봉분에 피복하여 묘지 잔디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들잔디는 모든 평가 지역에서 월동 후 생존하였으나, 금잔디는 양주, 음성, 남해에서 각각 38.9, 83.3, 88.9%의 개체가 월동하였다. 들잔디와 금잔디 봉분에서는 모두 5월 줄떼 식재 후 9월 추석 전 벌초까지 90% 이상이 피복되어 두 종 사이에는 피복 속도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들잔디와 금잔디의 월동 후 생존율은 각각 80%와 28%로 큰 차이를 보였다. 들잔디는 봉분의 북쪽 방향에서 동해를 입었으나, 금잔디는 북쪽과 서쪽 방향에서 큰 피해를 입었다. 봉분에서의 그린업은 들잔디가 금잔디보다 빨랐으며, 봉분의 남쪽>동쪽>서쪽>북쪽 방향 순서로 진행되었다. 동계 기간 중 묘지의 토양 온도와 수분은 남쪽>동쪽>서쪽>북쪽 순으로 높게 유지되었다.

      • KCI등재

        우리나라 22개 초·중·고교 천연잔디 운동장의 잔디 생육 환경 조사

        장석원(Seog-Won Chang),배은지(Eun-Ji Bae),김기동(Ki-Dong Kim),이정호(Jeong-Ho Lee)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2020 Weed & Turfgrass Science Vol.9 No.2

        천연잔디 운동장은 학생들에게 정서적으로 편안하고 환경적으로 안전하다는 점에서 인조잔디 운동장과 맨땅 운동장의 대안으로서 그 수가 증가 추세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잔디 학교운동장을 운영하고 있는 전국의 22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육지 소재 17개교, 제주 소재 7개교)에 직접 방문하여 잔디 생육 환경을 조사하였고, 전문가들에 의해 위탁관리 되고 있는 제주도 지역 학교 운동장과 비전문가들에 의해 자가관리 되고 있는 육지의 운동장을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학교 운동장의 방향은 대부분의 학교에서 남서향과 남향이었다. 육지와 제주 지역의 운동장 토양은 모래가 60-80%가 포함되어 있는 사양토 또는 양질사토였다. 제주 소재 학교의 토양에는 육지에 비해 유기물, 인산, CEC 등의 함량이 높았다. 학교 운동장의 잔디 종류는 대부분 들잔디로 조성되었다. 초장은 제주 소재 학교의 운동장 잔디가 육지 소재 학교에 비해 짧게 유지되고 있었고, 피복률도 평균 92.6%로 매우 높았다. 잔디의 지상부 밀도와 대취층의 두께는 제주 지역 학교가 많고 두꺼웠다. 스프링클러는 고정식보다 이동식이 많았으며, 평균 4.1개가 운동장 관수에 이용되고 있었다. 천연잔디 학교 운동장에서의 주요 병은 페어리링병, 녹병, 갈색퍼짐병이었으며, 잔디혹응애와 두더쥐 피해가 자주 발견되었다. 육지와 제주 지역 모두 바랭이와 망초가 주요 잡초였다. 전반적으로 전문가들에 의해 관리되는 제주도의 학교 운동장 잔디 상태가 비전문가들에 의한 육지지역 학교에 비하여 우수하였기 때문에 향후 학교운동장 관리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전문가들에게 위탁 관리하는 체계를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Natural turfgrass school playgrounds are increasing in number as alternatives to artificial turf and bare playgrounds because they are emotionally comfortable and environmentally safe for stud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visiting 22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17 land-based schools and 7 schools in Jeju) that have natural turfgrass playgrounds to investigate the turfgrass growth environment. The school grounds in Jeju island, which are managed by experts, are compared with those on land, which are self-managed by nonexperts. The direction of the playgrounds was southwest and south in most schools. On the land and in the Jeju, the playground was sandy loam or loamy sand soil containing 60-80% of sand. The soil content of the schools in Jeju was higher in nutrients such as organic matter, phosphorus concentration,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CEC) than the land-based schools. The turfgrass types of playgrounds surveyed were zoysiagrass (Zoysia japonica or Z. matrella). Plant height of Jeju schools was shorter than that of land schools. Turfgrass coverage was 92.6% in Jeju, which was higher than land schools. The shoot densities and the thickness of thatch layer of turf were higher and thicker in Jeju schools, respectively. Sprinklers were mainly movable types, and an average of 4.1 was used for watering the playground. The main diseases on the natural turfgrass grounds were fairy ring, rust, and large patch, and zoysiagrass mite and moles damages were frequently found. Crabgrass (Digitaria ciliaris) and horseweed (Erigeron canadensis) were the main weeds both on land and in Jeju. In general, the turfgrass condition of Jeju"s school playgrounds, managed by experts, was better than that of land schools by non-experts, so it is considered that the outsourcing system them to experts should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chool playground management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