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g_2O를 첨가한 압축 벤토나이트에 대한 요오드 이온의 확산 특성 관찰

        임성팔,이지현,최희주,최종원,이처경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11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ol.9 No.1

        In the compacted bentonite containing Ag_2O, the transport of iodide ion was investigated by Through-diffusion method. It is confirmed that Iodide ion is transported by diffusion process in the compacted bentonite containing Ag_2Oas well as in the compacted bentonite without Ag_2O. However, the lag-time of iodide ion in the compacted bentonite containing Ag_2Ois larger than that in the compacted bentonite without Ag_2O. The increase of the lag-time was observed in pure iodide ion solution and also in 0.1M NaCl-iodide ion solution. The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of iodide ion in the compacted bentonite containing Ag_2Ohas lower value than that in the compacted bentonite without Ag_2O. The effect of Ag_2Oon the effective diffusion coefficient was not clearly investigated in the compacted bentonite containing Ag_2Owhile the values of effective diffusion coefficient of iodide ion in the compacted bentonite without Ag_2Oobtained in this study were similar to those in the compacted bentonite reported in the literature. Ag_2O를 첨가한 압축 벤토나이트에 대하여 관통 확산법으로 요오드 이온의 이동 특성을 관찰하였다. Ag_2O를 첨가하지 않은 압축 벤토나이트와 마찬가지로 Ag_2O를 첨가한 압축 벤토나이트에서도 요오드 이온은 확산에 의하여 이동하는데, Ag_2O를 첨가한 압축 벤토나이트는 Ag_2O를 첨가하지 않은 압축 벤토나이트에 비하여 요오드 이온의 초기 누출 시간이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g_2O를 첨가한 압축 벤토나이트에서 요오드 이온의 초기 누출 시간 지연은 확산 용액으로 순수 요오드 이온 수용액을 사용하였을 때 뿐만 아니라 0.1 M NaCl-요오드 이온 수용액을 사용하였을 때에도 관찰되었다. 또한 Ag_2O를 첨가한 압축 벤토나이트의 겉보기 확산 계수는 Ag_2O를 첨가하지 않은 압축 벤토나이트의 겉보기 확산 계수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Ag_2O를 첨가하지 않은 압축 벤토나이트의 유효 확산 계수는 기존 문헌에 보고된 값과 거의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으며, Ag_2O를 첨가한 압축 벤토나이트에서 요오드 이온의 유효 확산 계수는 Ag_2O첨가에 따라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KCI등재

        Ag<sub>2</sub>O를 첨가한 압축 벤토나이트에 대한 요오드 이온의 확산 특성 관찰

        임성팔,이지현,최희주,최종원,이처경,Yim, Sung-Paal,Lee, Ji-Hyun,Choi, Heui-Joo,Choi, Jong-Won,Lee, Cheo-Kyung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11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ol.9 No.1

        [ $Ag_2O$ ] 첨가한 압축 벤토나이트에 대하여 관통 확산법으로 요오드 이온의 이동 특성을 관찰하였다. $Ag_2O$를 첨가하지 않은 압축 벤토나이트와 마찬가지로 $Ag_2O$를 첨가한 압축 벤토나이트에서도 요오드 이온은 확산에 의하여 이동하는데, $Ag_2O$를 첨가한 압축 벤토나이트는 $Ag_2O$를 첨가하지 않은 압축 벤토나이트에 비하여 요오드 이온의 초기 누출 시간이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g_2O$를 첨가한 압축 벤토나이트에서 요오드 이온의 초기 누출 시간 지연은 확산 용액으로 순수 요오드 이온 수용액을 사용하였을 때 뿐만 아니라 0.1 M NaCl-요오드 이온 수용액을 사용하였을 때에도 관찰되었다. 또한 $Ag_2O$를 첨가한 압축 벤토나이트의 겉보기 확산 계수는 $Ag_2O$를 첨가하지 않은 압축 벤토나이트의 겉보기 확산 계수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Ag_2O$를 첨가하지 않은 압축 벤토나이트의 유효 확산 계수는 기존 문헌에 보고된 값과 거의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으며, $Ag_2O$를 첨가한 압축 벤토나이트에서 요오드 이온의 유효 확산 계수는 $Ag_2O$ 첨가에 따라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In the compacted bentonite containing $Ag_2O$, the transport of iodide ion was investigated by Through-diffusion method. It is confirmed that Iodide ion is transported by diffusion process in the compacted bentonite containing $Ag_2O$ as well as in the compacted bentonite without $Ag_2O$. However, the lag-time of iodide ion in the compacted bentonite containing $Ag_2O$ is larger than that in the compacted bentonite without $Ag_2O$. The increase of the lag-time was observed in pure iodide ion solution and also in 0.1M NaCl-iodide ion solution. The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of iodide ion in the compacted bentonite containing $Ag_2O$ has lower value than that in the compacted bentonite without $Ag_2O$. The effect of $Ag_2O$ on the effective diffusion coefficient was not clearly investigated in the compacted bentonite containing $Ag_2O$ while the values of effective diffusion coefficient of iodide ion in the compacted bentonite without $Ag_2O$ obtained in this study were similar to those in the compacted bentonite reported in the literature.

      • KCI등재

        An Investigation of Diffusion of Iodide Ion in Compacted Bentonite Containing Ag2O

        Sung Paal Yim,Ji Hyun Lee,Heui-Joo Choi,Jong-Won Choi,Cheo Kyung Lee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11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ol.9 No.1

        Ag2O를 첨가한 압축 벤토나이트에 대하여 관통 확산법으로 요오드 이온의 이동 특성을 관찰하였다. Ag2O를 첨가하지 않은 압축 벤토나이트와 마찬가지로 Ag2O를 첨가한 압축 벤토나이트에서도 요오드 이온은 확산에 의하여 이동하는데, Ag2O를 첨가한 압축 벤토나이트는 Ag2O를 첨가하지 않은 압축 벤토나이트에 비하여 요오드 이온의 초기 누출 시간이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g2O를 첨가한 압축 벤토나이트에서 요오드 이온의 초기 누출 시간 지연은 확산 용액으로 순수 요오드 이온 수용액을 사용하였을 때 뿐만 아니라 0.1 M NaCl-요오드 이온 수용액을 사용하였을 때에도 관찰되었다. 또한 Ag2O를 첨가한 압축 벤토나이트의 겉보기 확산 계수는 Ag2O를 첨가하지 않은 압축 벤토나이트의 겉보기 확산 계수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Ag2O를 첨가하지 않은 압축 벤토나이트의 유효 확산 계수는 기존 문헌에 보고된 값 과 거의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으며, Ag2O를 첨가한 압축 벤토나이트에서 요오드 이온의 유효 확산 계수는 Ag2O 첨가에 따라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KCI등재

        Different Susceptibility of Sweet and Hot Pepper Fruits (Capsicum Annum L.) to Surface Pitting during Storage

        Chae Shin Lim(임채신),Jeoung Lai Cho(조정래) 한국원예학회 2009 원예과학기술지 Vol.27 No.2

        본 연구는 고추속 작물의 저장중 냉해증상을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착색단고추 ‘쿠프라’와 매운고추 ‘녹광’을 녹숙과 단계에서 수확하여 1, 5, 10℃에 저장하였다. 저장 14일 후 품종에 관계 없이 1℃와 5℃에서 냉해 증상인 피팅이 나타나기 시작했으나 10℃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두 품종 모두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심한 피팅증상을 보였으나 ‘녹광’이 ‘쿠프라’보다 저온에 더 민감하였다. 품종별 호흡률과 에틸렌 발생률 비교에서 온도에 관계없이 호흡률은 ‘쿠프라’에서 에틸렌 발생은 ‘녹광’에서 많았다. 두 품종 모두 저장 온도가 낮을수록 높은 수분손실과 경도감소를 보였다. 저장온도에 관계없이 저장 21일째 ‘녹광’이 ‘쿠프라’에 비해 수분손실이 4배 많았다. 저장 중 이온누출은 두 품종 모두 온도가 낮을수록 높았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실험에 사용된 두 품종에서 저장 중 냉해 증상인 피팅발생은 수분손실, 경도감소, 이온누출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여지나 에틸렌발생률과 호흡률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susceptibility of pepper fruits to chilling injury during storage. Sweet ‘Cupra’ and hot ‘Nockgwang’ pepper harvested at the mature-green stage were stored at 1, 5 and 10℃. After a 14-day storage, both cultivars showed surface pitting (SP) symptoms at 1 and 5℃ but not at 10℃. Storing fruits at lower temperature caused a marked increase in SP of both cultivars, but more in ‘Nockgwang’ than in ‘Cupra’. ‘Cupra’ exhibited lower respiration and produced higher ethylene than ‘Nockgwang’ during storage regardless of temperatures. Lower temperature induced higher weight loss (WL) and firmness loss (FL) in both cultivars. Compared with ‘Cupra’, about 4-fold higher WL occurred in ‘Nockgwang’ after a 21-day storage regardless of temperature. During storage, electrolyte leakage (EL) of both cultivars increased at 1 and 5℃, whereas it increased relatively little at 10℃. The SP development at 1 and 5℃ appeared to be associated with higher WL, FL, and EL.

      • KCI등재

        Effect of Silicate Fertilizer on Growth, Physiology and Abiotic Stress Tolerance of Chinese Cabbage Seedlings

        Ngoc-Thang Vu(넉탕부),Si-Hong Kim(김시홍),Seung-Yeon Kim(김승연),Ki-Young Choi(최기영),Il-Seop Kim(김일섭)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5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4 No.2

        규산은 작물의 필수원소에는 포함되어있지 않으나, 화본과 작물을 중심으로 내도복성과 병충해 저항성의 향상 , 군락구조 개선에 의한 광합성 능력의 향상 등에서 폭 넓게 그 유용성이 알려져 왔으며, 최근에는 원예작물에서도 규산질 비료의 시용이 수량이나 병충해저항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입증되고 있어 친환경농업 관점에서도 주목을 밭고 있다. 본 실험은 배추 육묘 중 규산질 비료의 시용이 묘소질과 저온, 고온, 건조 등 환경내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규산염 처리농도를 8, 16, 32, 64 및 128mM로 설계하여 주 2회 관주 처리 하고, 처리 3주 후에 생육조사 및 스트레스 내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생육조사 결과, 8, 16 및 32m의 농도에서는 대부분의 생육지표가 대조구에 비해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8mM처리만 제외하고 통계적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고농도인 128mM의 규산 처리구에서는 모든 생육 지표가 감소하였다. 총 뿌리 면적, 뿌리 길이 및 근단 수는 8, 16 및 32mM의 농도에서 증가했지만 64 및 128mM의 처리구에서는 감소하였다. 규산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산 속도는 감소한 반면 기공확산 저항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상대적 이온 누출율도 대조구에 비해 규산염 처리구에서 감소되었으나, 처리 농도간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규산처리에 의해 고온과 저온 장해 지표도 감소되었으며, 농도간에는16과 32mM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규산처리에 따라 건조내성도 증가하여 대조구는 단수 후 3일째부터 위조되기 시작하여 5일째는 전개체가 위조하였으나, 규산처리구는 4일(8, 64, 128 mM) 또는 5일(16과 32mM) 부터 위조가 시작되어 6일(8mM)이나 7일(16, 32 ,64및 128 mM)이 지나서야 모든 공시 개체가 위조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silicate fertilizer on growth, physiology and abiotic stress tolerance of Chinese cabbage seedlings. Five silicate concentrations (8, 16, 32, 64, and 128mM) and control (non-treatment) were applied to Chinese cabbage seedlings twice a week. Three weeks after application of silicate treatment, seedlings were used for treating abiotic stresses and were assessed for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Growth parameters significantly increased in 8, 16, and 32mM treatments except 64 and 128mM. Total root surface area, total root length, and number of root tips increased in 8, 16 and 32mM treatments, but they decreased in treated seedlings with 64 and 128mM of silicate. The highest growth parameters and root morphology were observed in 8mM treatment. As for the effect on the seedling physiology, transpiration rates decreased while stomatal diffusive resistance increased to increasing silicate concentration. The application of silicate reduce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heating and chilling injury index at high and low temperatures. Silicate enhanced drought tolerance of Chinese seedlings by delaying the starting time of wilting point. The starting time of wilting point in the control was 3 days after discontinuation of irrigation, while in the 8, 64 and 128mM of silicate treatments were 4 days, and the 16 and 32mM treatments were 5 days. All plants were wilted after 5 days in control without irrigation whereas it showed in 8mM treatment after 6 days, in 16, 32, 64, 128mM treatments after 7 days.

      • KCI등재

        Growth Inhibition, Seedling Damage, and Antioxidant Change of Cucumber Plug-transplants in Response to UV Spectra and Irradiation Timing

        Sung-Woo Jeong(정성우),Joong-Choon Park(박중춘),Moo-Ryong Huh(허무룡) 한국원예학회 2009 원예과학기술지 Vol.27 No.1

        자외선의 파장과 조사주기가 오이 플러그묘의 생육억제, 유묘장해, 그리고 항산화 물질의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B-UV(274-400㎚)의 처리는 조사주기와 관계없이 초장과 절간길이를 현저히 억제시켰다. 그러나 이온누출, 지질과산화, 그리고 엽록소의 유의적인 변화를 초래했으며, 결국 잎의 황백화와 주름현상을 나타내었다. 한편, F-UV(286-400㎚)의 처리는 오이 유묘에 생리장해를 초래하지 않았고 초장과 절간장을 각각 24%와 21% 억제시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울러 ascorbic acid와 총 페놀 화합물의 함량을 증진시켰다. 이는 F-UV 처리에 대한 항산화 물질의 증가로 판단되며, 새로운 도장억제 처리기술의 가능성을 제시해주었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effect of UV spectra (B-UV: 274-400 ㎚ or F-UV: 286-400 ㎚) and irradiation timing (at day or night) on growth inhibition, seedling damage, and antioxidant change in cucumber (Cucumis sativus L. cv. Garakmanchun) plug-transplants. B-UV (274-400 ㎚) significantly inhibited plant height and internode length; however, it increased ion leakage and lipid peroxidation, and decreased photosynthetic pigments, resulting in leaf necrosis and wrinkle regardless of irradiation timing. While F-UV (286-400 ㎚) did not cause plant damage such as leaf necrosis and wrinkle regardless of irradiation timing, it significantly inhibited plant height and internode length by 24% and by 21%, respectively and simultaneously increased the content of ascorbic acid and total phenolic compounds. Our results suggest that F-UV irradiation may be desirable for controlling the over-growth in cucumber plug-transplants.

      • KCI등재

        Different Susceptibility of Sweet and Hot Pepper Fruits (Capsicum Annum L.) to Surface Pitting during Storage

        임채신,조정래 한국원예학회 2009 원예과학기술지 Vol.27 No.2

        The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susceptibility of pepper fruits to chilling injury during storage. Sweet ‘Cupra’ and hot ‘Nockgwang’ pepper harvested at the mature-green stage were stored at 1, 5 and 10℃. After a 14-day storage, both cultivars showed surface pitting (SP) symptoms at 1 and 5℃ but not at 10℃. Storing fruits at lower temperature caused a marked increase in SP of both cultivars, but more in ‘Nockgwang’ than in ‘Cupra’. ‘Cupra’ exhibited lower respiration and produced higher ethylene than ‘Nockgwang’ during storage regardless of temperatures. Lower temperature induced higher weight loss (WL) and firmness loss (FL) in both cultivars. Compared with ‘Cupra’, about 4-fold higher WL occurred in ‘Nockgwang’ after a 21-day storage regardless of temperature. During storage, electrolyte leakage (EL) of both cultivars increased at 1 and 5℃, whereas it increased relatively little at 10℃. The SP development at 1 and 5℃ appeared to be associated with higher WL, FL, and EL.

      • KCI등재

        Improvement of Tomato Seedling Quality under Low Temperature by Application of Silicate Fertilizer

        넉탕부,안추안트란,띠투엣참리,라종국,김시홍,박종만,장동철,김일섭,Vu, Ngoc-Thang,Tran, Anh-Tuan,Le, Thi-Tuyet-Cham,Na, Jong-Kuk,Kim, Si-Hong,Park, Jong-Man,Jang, Dong-Cheol,Kim, Il-Seop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2017 시설원예‧식물공장 Vol.26 No.3

        규산 시비가 토마토 플러그 묘소질에 미치는 영향과 묘의 저온저장시 규산의 저온장해 경감효과를 검토하였다. 'Rapito' 품종을 공시하여 30일간 32구 규격의 플러그 트레이에서 육묘한 뒤, 여섯 개의 규산 처리농도구 (8, 16, 32, 64, 128 및 256mM)를 설계하여 20일 동안 주 2회 관주 처리한 뒤, 묘소질을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처리 농도는 16mM과 32mM 처리가 초장, 엽면적, 생체중, T/R율 및 근권부 발육 등 대부분의 생육지표에서 타 처리구에 비해 양호했으며, 특히 16mM의 농도에서 가장 좋은 묘소질을 보였으나, 64mM 이상의 고농도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전반적으로 생육이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토마토 묘의 생리적 반응에서 엽온에서는 처리구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증산율은 32mM이상의 농도 처리구에서 기공확산 저항이 증가하면서 증산율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처리 횟수에 따른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16mM농도의 규산을 20일 동안 6, 10, 20회 관주처리 한 결과, 대부분의 생육지표에서 처리 횟수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무처리구에 비해 묘소질이 향상되었으며, 특히 뿌리표면적, 근장, root tip수등 근권부의 생육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아울러 규산처리가 저온저장시 토마토 묘의 저온장해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omato seedling quality in low temperature(below 7, $10^{\circ}C$ during night time or daily mean air temperature was $18^{\circ}C$) by application of silicate fertilizer. Six different silicate fertilizer concentrations (8, 16, 32, 64, 128, and 256mM) or water as the control were applied to tomato seedlings twice a week for 20 days. Positive effects were observed in the growth parameters of the seedlings treated with 16 and 32mM silicate fertilizer; the most effective concentration of silicate at which seedlings showed the best performance was 16mM. However, a high concentration of silicate (256mM) caused negative effects on the growth. The transpiration rate decreased alongside with the increase of silicate concentration up to 32mM, possibly due to the increased stomatal diffusive resistance. Silicate stimulated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omato seedlings, resulting in increased growth parameters and root morphology.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treatment numbers of soil-drenching wuth the silicate (6, 10, or 20 times with 16mM) for 20 days, suggesting that silicate treatment with 6 times may be sufficient to induce the silicate effects. The application of 16mM of silicate fertilizer reduced relative ion leakage and chilling injury during low temperature storage. In addition, the seedlings treated with silicate fertilizer recovered faster than those without silicate treatment after low temperature storage.

      • KCI등재

        Effect of Silicate Fertilizer on Growth, Physiology and Abiotic Stress Tolerance of Chinese Cabbage Seedlings

        넝탕부,김승연,김시홍,최기영,김일섭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5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4 No.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silicate fertilizer on growth, physiology and abiotic stress tolerance of Chinese cabbage seedlings. Five silicate concentrations (8, 16, 32, 64, and 128mM) and control (non-treatment) were applied to Chinese cabbage seedlings twice a week. Three weeks after application of silicate treatment, seedlings were used for treating abiotic stresses and were assessed for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Growth parameters significantly increased in 8, 16, and 32mM treatments except 64 and 128mM. Total root surface area, total root length, and number of root tips increased in 8, 16 and 32mM treatments, but they decreased in treated seedlings with 64 and 128mM of silicate. The highest growth parameters and root morphology were observed in 8mM treatment. As for the effect on the seedling physiology, transpiration rates decreased while stomatal diffusive resistance increased to increasing silicate concentration. The application of silicate reduce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heating and chilling injury index at high and low temperatures. Silicate enhanced drought tolerance of Chinese seedlings by delaying the starting time of wilting point. The starting time of wilting point in the control was 3 days after discontinuation of irrigation, while in the 8, 64 and 128mM of silicate treatments were 4 days, and the 16 and 32mM treatments were 5 days. All plants were wilted after 5 days in control without irrigation whereas it showed in 8mM treatment after 6 days, in 16, 32, 64, 128mM treatments after 7 days.

      • KCI등재

        Improvement of Tomato Seedling Quality under Low Temperature by Application of Silicate Fertilizer

        Ngoc-Thang Vu(넉탕부),Anh-Tuan Tran(안추안트란),Thi-Tuyet-Cham Le(띠투엣참리),Jong-Kuk Na(라종국),Si-Hong Kim(김시홍),Jong-Man Park(박종만),Dong-Cheol Jang(장동철),Il-Seop Kim(김일섭)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7 시설원예‧식물공장 Vol.26 No.3

        규산 시비가 토마토 플러그 묘소질에 미치는 영향과 묘의 저온저장시 규산의 저온장해 경감효과를 검토하였다. ‘Rapito’품종을 공시하여 30일간 32구 규격의 플러그 트레이에서 육묘한 뒤, 여섯 개의 규산 처리농도구 (8, 16, 32, 64, 128 및 256mM)를 설계하여 20일 동안 주 2회 관주 처리한 뒤, 묘소질을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처리 농도는 16mM과 32mM 처리가 초장, 엽면적, 생체중, T/R율 및 근권부 발육 등 대부분의 생육지표에서 타 처리구에 비해 양호했으며, 특히 16mM의 농도에서 가장 좋은 묘소질을 보였으나, 64mM 이상의 고농도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전반적으로 생육이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토마토 묘의 생리적 반응에서 엽온에서는 처리구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증산율은 32mM이상의 농도 처리구에서 기공확산 저항이 증가하면서 증산율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처리 횟수에 따른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16mM농도의 규산을 20일 동안 6, 10, 20회 관주처리 한 결과, 대부분의 생육지표에서 처리 횟수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무처리구에 비해 묘소질이 향상되었으며, 특히 뿌리표면적, 근장, root tip수등 근권부의 생육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아울러 규산처리가 저온저장시 토마토 묘의 저온장해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omato seedling quality in low temperature(below 7, 10℃ during night time or daily mean air temperature was 18℃) by application of silicate fertilizer. Six different silicate fertilizer concentrations (8, 16, 32, 64, 128, and 256mM) or water as the control were applied to tomato seedlings twice a week for 20 days. Positive effects were observed in the growth parameters of the seedlings treated with 16 and 32mM silicate fertilizer; the most effective concentration of silicate at which seedlings showed the best performance was 16mM. However, a high concentration of silicate (256mM) caused negative effects on the growth. The transpiration rate decreased alongside with the increase of silicate concentration up to 32mM, possibly due to the increased stomatal diffusive resistance. Silicate stimulated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omato seedlings, resulting in increased growth parameters and root morphology.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treatment numbers of soil-drenching wuth the silicate (6, 10, or 20 times with 16mM) for 20 days, suggesting that silicate treatment with 6 times may be sufficient to induce the silicate effects. The application of 16mM of silicate fertilizer reduced relative ion leakage and chilling injury during low temperature storage. In addition, the seedlings treated with silicate fertilizer recovered faster than those without silicate treatment after low temperature stor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