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Story of the Trinity according to Jürgen Moltmann

        Yong Won Song(송용원)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21 신학논단 Vol.106 No.-

        본 논문은 오늘날 하나님의 인격과 활동에 관한 근본 질문을 탐구하는 이야기 신학이라는 관점에서 몰트만의 삼위일체 이야기가 지니는 신학적 함의를 보여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몰트만의 삼위일체 신학의 체계 전반을 ‘이야기’ 방식으로 재구성하는 가운데 고통과 자유의 이야기, 내재와 경륜의 상승과 하강의 이야기, 하나님 나라와 종말론적 삼위일체의 이야기라는 세 부분으로 직조된 주요한 신학 자리들(loci)을 차례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먼저, 삼위 하나님의 하나되심을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는 유일한 도구로 ‘개념’이 아니라 ‘이야기’가 제안되면서, 삼위 하나님의 자기계시 사건과 설명 또한 형이상학적 차원이 아니라 성서 안에 담긴 역사적 차원에서 일어난다는 주장에 적절성이 부여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삼위일체 이야기’가 어떻게 하나님과 창조세계가 고통에서 자유로, 경륜에서 내재로, 현재에서 미래로 개방되어 가는지 교차 논증 방식이 지속적으로 채택된다. 그러한 가운데 몰트만은 삼위일체의 페리코레시스 유형으로 구성된 십자가 이야기를 기반으로 삼아 하나님과 인간의 고통과 자유를 수직과 수평 모든 차원에서 연결하면서 창조세계를 현재와 미래의 준-궁극 차원과 궁극 차원 모두에서의 회복으로 이끌고자 한다. 몰트만의 신학적 공헌은 현대 신학에서 이야기의 구조와 성격이 하나님의 삼위와 일치를 연결하는 데 매우 생산적이고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설득력 있게 제안하는 가운데 삼위일체 신학을 이야기 신학의 중심으로 떠오르게 했다는 점에 있다. 또한, 이야기 유형이 고통과 자유, 관계와 사람, 시간과 영원, 사랑과 주권, 역사와 존재와 같이 하나의 통합된 방식으로 연결되고 수렴되기 쉽지 않은 여러 대립 개념들을 삼위일체 하나님과 창조세계 사이의 페리코레시스 이야기 방식으로 화해되고 종합될 수 있다는 것을 성경과 역사만 아니라 현대의 맥락까지 고려하며 적절히 논증한 점에 있다. 결론적으로 몰트만의 이야기 신학에서 다시 주목해야 할 지점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영광스러운 신적 삶에 초점을 두는 삼위간 교제에 내재된 일치가 삼위일체 양식으로 ‘살아가는’ 그리스도교 공동체가 지향하는 하나님 나라의 종말론적 비전 가운데 이루어가는 일치와 상호 순환 관계를 구축한다는 데 있다. 그의 통찰은 고립과 배제의 고통에 처한 인류 공동체의 회복을 지향하는 교회 공동체의 대안적 이야기 재구성에 유효한 신학적 패러다임을 이미 제시했다는 점에서 현재 상황에도 적절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is article aims to show the theological implications of the story of the Trinity according to Jürgen Moltmann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ive theology which explores fundamental questions about God’s person and activity in modern day. The research method for this consists of three parts: (1) the story of suffering and freedom of the trinity, (2)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story between immanent and economic trinity, and (3) the story of the kingdom of God and the eschatological trinity. By reconstructing Moltmann’s trinitarian theology through a ‘story’ method, this article analyzes the major theological loci woven into one another. This analysis first suggests that a ‘story,’ not a ‘concept,’ is the only tool capable of clearly explaining the unity of the Triune God. In so doing, it is suggested that the self-revelation events and explanations of the Triune God were not on a metaphysical level but on a historical level contained in the Bible. Furthermore, a multifaceted argument method is adopted to see how the “Trinity Story” is open to God and the world from suffering to freedom, from economy to immanence, and from present to future. At the center of these thoughts, Moltmann connects God and human’s suffering and freedom in all dimension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based on the story of the cross composed of the trinitarian perichoresis type. Hence, Moltmann’s idea makes it possible to lead the world to recovery at both quasi-ultimate and ultimate levels in the present and future. Moltmann’s theological contribution lies in the fact that the structure and character of narratives are effective in linking the three persons and unity of God, thereby bringing Trinitarian theology to the center of narrative theology in modern theology. In addition, the narrative type binds several confrontational concepts—such as suffering and freedom, relation and person, time and eternity, love and sovereignty, history and existence—and reconciles and synthesizes in the way of perichoresis story. In this regard, Moltmann contributes to this line of reasoning, taking into account not only the biblical and historical context, but also the contemporary context. In conclusion, Moltmann’s narrative theology emphasizes the unity inherent in the Triune fellowship, which focuses on the glorious divine life of the Triune God, and builds a reciprocal relationship with unity in the eschatological vision of the kingdom of God, which the Christian community living in the triune style aims to resemble. Moltmann’s insight is to some degree relevant to today’s society in its current form as he has presented a theological paradigm that is effective for the reconstruction of an alternative narrative of the ecclesial community that aims to restore the human community suffering from isolation and exclusion.

      • KCI등재

        공공신학과 이야기치료의 문헌고찰을 통한 목회상담의 방향성 제언

        김인숙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3

        본 연구는 공공신학과 이야기치료의 문헌고찰을 통한 목회상담의 방향성 제언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에 한국목회상담 분야에서 공공신학과 이야기치료에 대한 담론들 이 논의되면서 이 두 학문에 대한 간학문적 관심이 늘고 있다. 두 학문의 영역이 사 회구조에 대한 비평적 시각과 공공영역 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제간의 대화와 연구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공공신학과 이야 기치료가 내포하고 있는 의미를 문헌고찰 연구를 통하여 살펴 볼 것이다. 또한 목회 상담과 이야기치료의 간학문적 대화를 통해서 목회상담을 위한 대안적인 방향성을 제 언하도록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세 분야로 진행될 것이다. 첫 번째는 목회신학과 공공신학을 살펴볼 것 이다. 보니 밀러-맥레모어(Bonnie Miller-McLemore)는 “살아 있는 인간망”(living human web)이라는 메타포를 사용하며 공공신학을 발전시켰다. 무엇보다 공공신학을 이해하려면 밀러-맥레모어의 신학적 메타포에 영향을 준 안톤 보이슨(Anton Boisen) 의 “살아 있는 인간문서”(living human document)의 목회신학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 에, “살아 있는 인간문서”의 함축적 의미를 다루고 뒤이어 “살아 있는 인간망”을 다룰 것이다. 두 번째는 마이클 화이트(Michael White)에 의해 발전된 이야기치료의 발전 과정과 기료기법을 살펴본다. 이야기치료는 거대담론(권력을 가진 사람들에 의해 만 들어진 이야기로 사람들을 통제하고 제약하는 권력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담론)의 통 제와 제약으로 말할 수 없던(들려지지 않은) 개인의 숨겨진 이야기에 주목한다. 이 과 정에서, 개인은 사회권력, 힘, 억압에 대해 비평적 사고를 가지며, 개인이 추구하였던 삶의 이야기를 재구조화한다. 세 번째는 공공신학과 이야기치료의 공통적인 의미를 고찰하며 목회상담을 위한 방향성을 세 가지 측면으로 제언한다. 첫째, 개인의 영역 을 넘어 공공영역으로의 확장을 요청한다. 둘째, 지배적인 사회구조에 대한 비평적 해 석을 가진다. 셋째, 공공의 재원을 활용하는 네트워크 중심의 돌봄과 상담을 구축한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pastoral counseling through the literature consideration of public theology and narrative therapy. Looking at the recent discourse on public theology and narrative therapy in the field of pastoral counseling in Korea, we can see that interest in these two studies is increasing. A researcher recognizes that there has not been enough interdisciplinary dialogue between public theology and narrative therapy even though these two theories have critical view about social construction and publicness as common ground. This study will consider the implications of public theology and story therapy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ry to have a conversation between public theology and narrative therapy. A researcher will suggest alternative directions for pastoral counseling through the dialogue for pastoral counseling and narrative therapy. For this purpose, this paper consists of three parts. First, this study will review pastoral theology and public theology. Bonnie Miller-McLemore has developed public theology using the metaphor “living human web.” Above all, it is required to consider “living human document” developed by Anton Boisen to understand Miller-McLemore’s living human web because “her metaphor has been constited and developed based on living human document.” Second. this study will consider narrative therapy developed by Michael White. Narrative therapy has a critical view of the social structure which has the power, listening to the stories of individuals who are not told due to the dominant discourses(the story that has power and restricted individuals). This study will review narrative therapy and address the representative treatment techniques of narrative therapy. Third, this study will reconsider the implications of public theology and narrative therapy, and propose alternative perspectives for the direction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First,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aims to expand beyond the private sphere to the public area. Second,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pursues to have a critical view of the dominant social structure. Third,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establishes network-centered care and counseling that utilizes public resources.

      • KCI등재

        민중신학의 이야기신학 이론과 이웃사랑 : 한나 아렌트의 이야기이론에 견주어 살펴보는 민중신학의 이야기신학 이론

        이인미 한국조직신학회 2019 組織神學論叢 Vol.56 No.-

        In this essay, the author attempts to prove that so-called 1st generation Minjung theologians were as storytellers when Minjung were as actors in South Korean society in 1970-80’s. The author’s attention is what was Minjung theologians’ inner motives of becoming storytellers at that time. As we know, 1st generation Minjung theologians were actors too. But then they didn’t call themselves as Minjung, i.e. the subject of history which means actors. Of course Minjung theologians went into the site of many Minjung events and acted together with Minjung, however they didn’t identify themselves with actors or the subject of history in those days. The author sees that’s right for political. Because they faithfully admitted that their priority was storytelling. From the point of view of Hannah Arendt, a political thinker, actually Minjung theologians always have been trying to sit “inbetween”(Arendt’s term) Minjung. For them, Minjung theologians, that was spontaneous, proper, and relevant to their Christianity. The author considers that Minjung theologians have carried out ‘love of neighbor,’ one of the greatest commandments that Jesus Christ have told his disciples. According to Story theory by Arendt, that’s for very sure. Therefore the author emphasizes that Minjung theologians’ Iyagi(Story) theology was a love theory, and was an expression of “acting in concert”(Arendt’s term) as spectators at Minjung events. 이 논문은 1970-80년대 한국사회에서 민중이 행위자로 나섰던 때 그민중의 행위를 이야기로 열심히 전파한 민중신학자들의 신앙적 동기에 관심을 둔다. 물론 민중신학자들은 민중사건 현장에 직접 뛰어든 사람들이었다. 그런데 민중신학자들은 스스로를 민중이나 역사적 주체로 부르지 않았다. 민중신학자들은 자신들을 민중에 동일시하지 않았다. 이 논문은 그들이 정치적으로 또 신앙적으로 올바랐다고 평가한다. 왜냐하면 그들은 그들의 우선적 역할이 ‘이야기하기’ 임을 정직하게 수용했기 때문이다. 정치이론가 한나 아렌트의 이야기이론에 비추어볼 때 민중신학자들은 민중의 “틈새”(아렌트의 용어)에 항상 충실히 앉아있었다. 아렌트의 용어로 설명하면 관찰자이자 이야기꾼 노릇을 제대로 감당하기 위함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민중신학자들에게 자연스럽고 적합한 것이었으며 기독교 신앙에 비추어볼 때 타당한 것이었다. 이 논문은 민중신학자들의 그 같은 활동의 동기를 예수의 두 계명 중 하나인 ‘이웃사랑’에 연결한다. 즉, 민중신학의 이야기신학 이론은 민중신학자들이 민중과 “함께 행위한”(아렌트의 용어) 사랑의 행위를 종합적으로 그려낸 이론이라고 평가할 수 있는 것이다. 아렌트의 이야기이론은 민중신학의 이야기신학 이론이 지닌 그 같은 장점을 아주잘 드러내어준다. 민중신학의 이야기신학 이론을 이제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각도로살펴보는 이 논문의 학술적 의의는 첫째, 그간 민중신학이 자주 다루지 않았던 ‘민중미화의 위험성’ 문제를 민중신학의 원칙과 기치와목적을 훼손하지 않으며 다룬 진지한 접근이라는 데에 있을 것이다. 둘째로는, 이 논문이 언어 ‧ 문학, 혹은 정신분석학 영역에 관한 지식을 ‘신학에 적용하는’ 게 아니라 매순간 역사로 지어져가는 우리의일상과 민중사건 현장을 ‘독자적으로 관찰하고 성찰하는’ 방법론으로서 행위중심의 이야기를 강조하였다는 데에 있다. 마지막으로 이논문은 이야기를 이웃사랑 행위에 연결하여 풀이하는 새로운 시도를 감행하였다. 이 논문은 민중신학의 이야기신학 이론을 이제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각도로 살펴보며 새로운 논쟁거리를 제시함으로써 민중신학계에 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한스 프라이의 ‘이야기 신학과’ ‘이야기 설교학’의 발전에 관한 연구

        전창희 한국실천신학회 2010 신학과 실천 Vol.0 No.24

        이 논문은 신학과 실천 제23호에 실렸던 “설교학에서 ‘이야기’의 등장과 발전에 관한 연구”라는 논문의 연장선상에 있다. 이전 논문과 마찬가지로 이 논문의 의도는 ‘이야기’에 대한 북미의 논의를 매개로, 한국교회 안에서도 ‘이야기’에 대한 토론을 좀 더 활성화 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의식하였든 의식하지 않았든, 기독교 역사 속에서 ‘이야기’는 여러 가지 분야에서 중요한 주제였음이 분명하다. 물론 설교에서도 ‘이야기’는 중요한 주제였다. 북미의 교회는 20세기 중반 이후에 ‘이야기’의 방법적 혹은 본질적인 면과 설교간의 관계에 대해서 탐구하여 왔다. 물론 이러한 탐구는 20세기 중반 북미의 교회가 경험하였던 설교의 위기로 시작되었다. 그리고 현재, 그들의 인식 속에서 ‘이야기’는 설교의 중요한 주제이자 방법, 그리고 본질이라는데 동의를 받고 있다. 한국 교회에서는 설교에 있어서 이야기라는 주제에 대한 논의가 그렇게 활성화 되지 못한 것 같다. 이야기는 교회학교의 아이들에게 필요한 어떤 낮은 수준의 방법론으로 이해되고 있다고 말하면 과장일까? 한스 프라이의 이야기에 대한 신학적 이해는 현대 한국 교회의 설교를 진단하고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줄만한 충분한 유익을 가지고 있다. 물론 이 논문에서는 어떻게 진단할 것인가에 대한 한스 프라이의 구체적인 도구를 제시하고 있지는 않다. 이러한 논의는 추후에 다시 논의 되어져야 할 만큼 방대하기 때문이다. 다만 최근 북미에서 이야기가 설교학적 언어로 어떻게 논의되고 발전 되었는가를 소개하며, 그러한 논의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이해하려고 하고 있다. 특히 서로 융화될 수 없는 듯이 보이는 새로운 설교학 운동에서 발달된 이야기 설교학과 최근의 탈자유주의 설교학 간의 화해의 가능성을 한스 프라이의 이야기 신학에 전/후기 입장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제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야기라는 주제를 통전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이야기에 대한 관찰을 통해서 한국 교회 안에서의 이야기와 설교에 대한 논의를 더욱 풍성하게 하고, 그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내부적 이야기에 기저한 질적 연구에 관한 실천신학적 접근: 자전적 민속지학 연구의 예

        오 선경 한국실천신학회 2019 신학과 실천 Vol.0 No.64

        The practice of telling our story matters. The purpose of practical theology is to provide a theological framework within which our stories of lives related to church and society can be reflected in the truthfulness of the gospel and the story of the faithfulness of God. Drawing from the understanding narrative identity, firstly, this paper explores the meaning of ‘Christian practice’ and emphasizes that practical theology is a theological reflection as practical theologians need to become reflexive and consider hidden dimensions of a particular situation while recognizing the complexity of understanding the situation in using social scientific methods. One of the problems in conversations between finding meaning in our story and faithful performance of the gospel is that how we locate ourselves in this dialogue without relinquishing Christian belief while participating in the truthfulness of the gospel story reflecting on our account. In this discussion, the author suggests the importance of theological priority and reflexivity in theological reflection. As the interpretive practice, an introspective narrative approach to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s proposed to make sense of one’s findings and takes both prophetic and therapeutic dimensions seriously. Finally, this paper offers an example of aligning autoethnography into theological reflection as a pastoral practice which considers relationally ethical and reflexive moments. 실천신학의 가장 중요한 과제는 예수를 믿고 따르는 삶이라는 독특한 이야기적 정체성을 가진 기독교인들이 어떻게 하면 기독교 교회와 개인의 삶 속에서 복음을 실천하며, 일상 가운데 바르게 생각할 수 있는 틀을 가지고, 이를 냉철히 숙고하도록 돕느냐에 달려있다. 저자는 먼저 이야기적 정체성의 의미를 살핀다. 그리고 실천신학의 연구 방법론적인 면에 대해 논의하며, ‘실천’의 의미를 재점검한다. 실천신학적 논리의 틀은 실천의 의미를 믿음과 기독교의 전통을 고수하는 데 그치지 않고, 예수의 복음과 교회의 비전에 참여하며, 소통하는 과정이 있어야 한다. 이 과정 안에 기독교의 전통과 교리를 뒷받침하면서도 또한 한 인간으로서 우리가 겪는 삶의 이야기를 어떻게 하면 기독교의 복음과 하나님의 이야기 속에서 그 의미를 찾아 신학적인 대화로 이끌 것인가 하는 것이 우리의 오랜 숙제이다. 이에 대해 저자는 이야기적 정체성과 해석학적 성향에 대해서 숙고하면서, 사회과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는 데에 있어서 신학적 성찰과 신학적 우선순위가 있어야 함에 대해 논한다. 더 나아가 질적 연구의 내부적인 이야기적 접근의 한 예로 자전적 민속지학 연구를 소개한다. 이의 주된 요지는 자전적 민속지학 연구 모델을 통해 연구자가 내부적 입장에서 특정한 현실을 관찰하고 연구할 때, 연구자의 삶에 내재한 타인과의 관계성을 깊이 인식하고, 연구자가 이 모델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연구 결과가 나오기까지는 반성(Reflexivity)하는 태도를 잃지 않고, 관계적인 윤리(Relational ethics of care)를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 두 영역은 실천신학과 사회과학 연구방법을 접목하는데 중요한 의식적 태도이다. 또한, 이 연구 모델을 사용할 때 실천신학자는 자신의 이야기를 구연하는 것처럼 소통할 수 있어야 한다.

      • KCI등재

        현대 오순절 신학의 성령 중심 오순절 해석학 연구

        한상민 ( Han¸ Sang Min ) 한국조직신학회 2021 한국조직신학논총 Vol.64 No.-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오순절 신학에서 발견되는 성령 중심 신학의 오순절 해석학에 관한 본질과 통찰을 연구하고 오순절주의 신앙과 신학에서 오순절의 정체성과 영성의 구체화를 신앙적 실천과 연결하는 도구로 여겨지는 성령 중심 신학 해석학의 신학적 함의를 고찰하기 위함이다. 오순절주의자들에 따르면, 오순절 해석학은 그 기원부터 다른 전통과 구별된 특징과 방법이 존재했다고 주장한다. 여기에는 오순절적 신앙체험과 성경적 교리의 진리를 통해 실천적 면이 강조된 것을 통칭하는 오순절 실재(Pentecostal reality)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구별되는 실재는 신자의 실질적 삶에 역동적인 성령의 사역을 통해 하나님의 초월과 내재를 구체적 현실로 경험하여 신앙적 실천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오순절 해석학은 성령 중심 신학의 해석학으로 실천 중심(Praxis-based)의 성경 해석을 강조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필자는 오순절적 해석학의 신학적 공헌은 단순히 성경의 내용을 석의 방법(exegetical methodology)으로만 온전히 담아낼 수 없다는 사실을 알려주고자 한다. 오순절 해석학의 역할은 영적 체험과 관련하여 충성된 증인으로서 성령으로부터 주어진 변혁의 능력을 자기 통찰과 자기 고백의 신앙으로 승화하여 소통하는 신앙 실천을 도모하는 데 있다. 성경적 메시지를 충실히 전달하기 위해 현시대의 필요를 반영하는 적합한 형식과 더불어 이야기(간증)를 통해 전달하고자 한다는 사실에 주목하고자 한다. 여기서 이야기(story-telling)의 중요성은 단지 과거를 회상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현재 우리가 경험하는 성령의 역사를 바르게 이해하고 재해석하여 성령 안에서 하나님의 이야기(계시)와 하나님 백성의 이야기들 사이의 통합을 시도하고 소통하는 데 있다. 이러한 이유로, 역동적 간증(이야기)를 신학화하는 것은 신앙체험(affections)의 중요성을 다시 고려하게 하며, 동시에 대중의 상황과 관심의 관점에서 하나님에 관해서 통찰하는 새로운 신학적 패러다임을 제공한다. 본 연구를 통해 이러한 오순절 해석학의 특징과 공헌에 관해서 논하고자 한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onstructive approach to the nature and meaning of Pentecostal hermeneutics which is based on Pentecostal pneumacentric theology, and it also attempts to explore the theological reflections of Pentecostal hermeneutics as a tool for articulating the embodiment of Pentecostal identity and spirituality. According to contemporary Pentecostals, historically, the Pentecostal hermeneutics has distinctive features and method in light of their spiritual experiences and theological thinking. Particularly, it has deeply engaged with Pentecostal reality which can be characterized as an integration of Pentecostal experiences and bible-based doctrines in the works of the Holy Spirit. In this reality, through the dynamic works of the Holy Spirit one can be possibly experience both transcendence and immanence of God as a concrete reality in one’s living reality and it leads one to actively participate in way of faithfully reflecting one’s spiritual experiences in the context of faith praxis. In this light, Pentecostal hermeneutics is built on pneumacentric theological reflections with the emphasis of praxis-based biblical interpretation. In this study, I will seek to focus on Pentecostal hermeneutics’ theological contribution which bears a faithful witness to the ever-present transforming power of the Spirit expressed in sharing and discerning testimonies as a communal exercise of Christian faith with critical self-reflections and self-confessions in its relation to affections (i.e. spiritual experiences) in order to make biblical messages relevant to the need of people in our lives. Within distinctive theological feature in Pentecostalism is to exercise recalling the stories in the past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esent realities of what it means to live in the Spirit; that is, the re-telling (or re-presenting) of Pentecostal testimonies correlates the stories of God and God’s people in the present context of living in the Spirit. Thinking in this way, theologizing the powerful testimonies (narratives) can be allow one to reconsider the importance of affections and, at the same time, served as a new theological paradigm which speaks about God from the position of people’s situations and concerns. Therefore, I would like to explore this distinct feature and a possible theological contribution through this present study.

      • KCI등재

        자연신학 논쟁으로 본 이야기 설교 연구

        김용성 한국실천신학회 2019 신학과 실천 Vol.0 No.67

        Theological debates between Karl Barth and Emil Brunner are valid today. Brunner says that because God's revelation is open to man, we know it. Barth, on the other hand, is disconnected between the two in terms of human existential. Therefore God must either empty himself or be reconciled by Jesus Christ. This discussion is also important for the preacher. Should sermons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or unilaterally preach the word of God? The preaching of the church pulpit is mostly deductive. Deductive preaching is a way of presenting and explaining the central theme early in the sermon. The audience should unilaterally follow the central theme presented at the beginning of the sermon. Story preaching is the product of efforts to overcome the problems of deductive preaching. Story preaching connects the Bible text with the universal medium of the audience's life. The story builds a consensus that the worries of the audience are linked to various situations in the Bible. The audience can then naturally focus on the sermon. The question is not whether the Bible or the confession of the Christian faith can preach the Word of God as a preaching that uses the story as a universal medium. This paper examines the focus of debate between Barth and Brunner and critically reflects on the nature of Story preaching. And what do the sermons need to complement? Story preaching is close to Brunner's position in two respects. For mediating preaching and audience through the universal medium of stories. It is because narrative preaching sets standards outside the Christian community, just as Brunner sets the standard of God's image to claim rational theology. Thus, story preaching should emphasize the role of community building by proclaiming the Word of God and Jesus Christ from the Bible. 칼 바르트와 에밀 부르너의 신학적 논쟁은 오늘날에도 유효하다. 부르너는 하나님의 계시가 인간에게 열려 있기 때문에 우리는 그것을 알 수 있다고 말한다. 반면 바르트는 인간의 실존적 관점에서 둘 사이는 단절되어 있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 자기를 비워주시거나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서 화해되어야 한다. 이런 논의는 설교자에게도 중요한 과제다. 설교는 청중들과 교감해야 하는가 아니면 하나님의 말씀을 일방적으로 전해야 하는가. 교회 강단의 설교는 대부분 연역적인 설교이다. 연역적 설교는 설교 초기에 중심 주제를 제시하고 부연 설명하는 방식이다. 청중들은 설교 초반에 제시된 중심 주제를 일방적으로 따라가야 한다. 연역적인 설교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산물이 이야기 설교다. 이야기 설교는 성서 텍스트와 청중들의 삶은 이야기라는 보편적인 매개로 연결시킨다. 이야기를 통해서 청중의 고민들이 성경에 나오는 다양한 상황들과 연결된다는 공감대가 형성된다. 그러면 청중들은 자연스럽게 설교에 집중할 수 있다. 문제는 성경이나 기독교 신앙의 고백이 아니라 이야기를 보편적 매개로 삼은 설교가 과연 하나님의 말씀을 잘 선포할 수 있는가이다. 이 논문은 바르트와 부르너의 논쟁의 성격을 살펴본 후 이야기 설교의 특성을 비판적으로 성찰한다. 그리고 이야기 설교가 보완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 고찰하고자 한다. 이야기 설교는 두 관점에서 볼 때 부르너의 입장에 가깝다. 왜냐하면 이야기라는 보편매체를 통해서 설교와 청중들을 매개하기 때문이다. 합리적 신학을 주장하기 위해 부르너가 하나님의 형상이라는 형식적 기준을 세웠던 것처럼 이야기설교도 그리스도교 공동체 외적인 기준을 설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야기 설교는 성서에서 비롯된 하나님의 말씀과 예수 그리스도를 선포함으로써 공동체를 세우는 역할을 강조해야 한다.

      • 한민족 신학을 위한 과제와 기독교교육적 접근

        오성주(Sung-Joo Oh) 감리교신학대학교 2022 신학과세계 Vol.- No.102

        세계화 시대에 한민족이란 단어를 쓰는 것은 시대를 역행하는 듯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오늘날 세계 경제와 정치에 있어서 유럽과 북아메리카를 포함하여 세계 3대 핵심지역의 하나로 떠오르는 곳이 동북아시아 지역이다. 그곳은 한민족 역사의 뿌리이며 터전이다. 동북아시대를 맞아 한민족의 정체성을 재고해 봄으로 세계 문화발달에 기여할 창조적인 역할이 기대된다. 무엇보다 대한민국 최초의 신학교로서 교회와 민족의 지도자들을 배출한 감리교신학대학교는 미래 동북아시대를 앞장 서서 이끌어나갈 지도자들을 양성하기 위해 한민족목회지도자 양성과정을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한민족신학이 이렇다할만한 연구가 이루어진 것이 없는 상태이다. 이에 대해 우리는 시대에 맞게 한민족신학을 정립하고 해석해 나갈 과제가 우리 앞에 놓여 있다. 여기서 우리는 한민족이란 개념을 어느 특정한 한 민족을 칭하는 뜻으로 보기보다는 더 폭넓은 의미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즉, 한민족신학이란 한 하나님을 섬기는 한 얼의 민족 신학으로 이해함으로 세계화시대에 세계화합과 평화를 이룩하는 한민족신학이 필요하다. 우리는 다시금 한민족신학을 통해 인류공영에 이바지하는 창조적 지도력을 발휘하는 주의 백성들로 거듭나야할 것이다. 이전 근대 민족주의와 국수주의 신학을 넘어 세계 인류공영과 공존을 위해 기여해야할 한민족신학을 세워감으로 지금의 난국을 헤쳐 나가야 할 것이다. 이 글은 한민족신학의 기초를 확립하며, 앞으로 한국교회와 신학이 한민족 신학을 통해 미래 선교적 방향과 이에 따른 기독교교육의 과제를 고찰하기 위한 글이다. In the era of globalization, the use of the word “Hanminjok” may seem to go backwards. However, in today"s world economy and politics, Northeast Asia is emerging as one of the world"s three major regions including Europe and North America. Hanminjok is the root and home of the Korean people"s history. In the era of Northeast Asia, a creative role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global culture by rethinking the identity of Hanminjok. Above all, Methodist Theological University, which produced leaders of the church and nation as the first seminary in Korea, has established and is operating a Korean pastoral leader training course to nurture leaders who will lead the future Northeast Asian era. However, there has been no research on Hanminjok theology. In this regard, we have a task ahead of us to establish and interpret Hanminjok theology according to the times. Here, we need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Hanminjok in a broader sense than to refer to a specific nation. In other words, the theology of Hanminjok is needed to achieve global harmony and peace in the age of globalization by understanding the theology of the Korean people as the theology of the people who serve one God. We must again be reborn as the Lord"s people who exert creative leadership that contributes to the prosperity of mankind through Hanminjok theology. Going beyond the previous modern nationalism and chauvinistic theology, we will have to overcome the current difficulties by establishing ‘Hanminjok Theology’ that should contribute to the co-prosperity and coexistence of mankind. This article establishes the foundation of Hanminjok theology and aims to examine the future missionary direction of the Korean church and theology through Hanminjok theology, and establish the task of Christian education accordingly.

      • KCI등재

        하나님 심정(心情)과 설교학 2.0

        전창희 한국실천신학회 2014 신학과 실천 Vol.0 No.39

        과연 우리는 ‘심정의 신학’이 필요한가? 사실 기독교는 오랫동안 이성 중심의 신학을 해왔다. 특히 조직신학은 이러한 신학의 첨병에 서 있던 것이 사실이다. 이것은 나쁘지 않다. 오히려, 이러한 신학하기는 좋은 것임에 틀림없다. 그리고 이 이성의 신학은 생각하는 신앙을 만들었다. 그러나 설교와 연관하여서 이러한 생각하기의 신학은 포스트모던 시대의 기독교인들에게 그리고 사람들에게 부족해 보인다. 무엇이 더 있을까? 조직신학자인 박종천 교수는 최근의 자신의 책 『하나님 심정의 신학: 교회 교훈학으로서의 조직신학』에서 하나님 심정의 신학을 제안한다. 그의 신학적 주제는 자유주의 신학과 신정통주의 신학의 먼 그리고 명백한 거리 사이를 풀어보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 그에 의하면 이것은 단순히 두 개의 신학을 섞어 놓는 것이 아니라, 두 개의 신학이 가지는 한계들을 극복하는 새로운 방식이다. 그가 주장하는 것은 오늘날의 포스트모던 신학이 ‘신학 2.0’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신학 2.0이 바로 그가 주장하는 ‘하나님 심정의 신학’이다. 그의 하나님의 심정에 대한 조직신학적 입장은 설교학에도 도전을 주고 있다. 이글은 하나님 심정의 신학에 반응하면서, 성서 본문에 대한 해석학과 그 해석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과 관계된 설교학 2.0으로써의 설교학적 주제를 발전시켜보고자 한다. De we need a theology of the heart? In fact, Christianity has a theology of the head for a long time. It is not bad. Rather, it must be good. A theology of the head produces a faith that is a thinking faith. However, in post-modern era, it seems that a thinking faith is deficient for preaching. What’s more? A professor Jong-Chun Park, as a systematic theologian, suggests a theology of the heart. His theology of heart tries to solve the long and obvious distance between the liberal theology and neo-orthodox theology. He insists that the post-modern theology need to be a theology 2.0. It is his theology of God's heart. His systematical idea of God's heart gives another challenge to a post-modern preaching. based on a theology of heart, this article develops homiletical subject as preaching 2.0 related to exegesis of the biblical text and delivery of the interpreted message.

      • KCI등재

        신명기 사가의 관점에서 본 입다 이야기(삿 10:6-12:7)의 신학적 통일성

        임신호 한국구약학회 2016 구약논단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nd out the theological unity of the Jephthah’s story (Judg 10:6‑12:7)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euteronomistic Historian. Much ink has been spilled on the story of Jephthah, but it has largely been focused on the theme of Jephthah’s human sacrifice due to the difficulty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text as well as the lack of unity in the story of the human sacrifice in Judges 11 and that of the internal war in Judges 12. Therefore, this study will argue that the three texts of Jephthah’s story (Judg 10:6-12:7)—the story of war with Ammon (10:6-11:28), the story of Jephthah’s human sacrifice (11:29-40) and the story of internal war between Jephthah and the tribe of Ephraim (12:1-7)—are to be understood as a series of events, and not separate ones, and thus to be studied as a unified story which was edited with cause and effect. This study aims (1) to find out the cause of the religious and moral sins shown in Jephthah’s story, (2) to investigate the problem of Israel’s idolatry and disobedience from the aspect of religious sins, (3) to trace the sins of the individual and the community from the aspect of moral sins, (4) and to reveal the theological unity of Jephthah’s story. This study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story of Jephthah (Judges 10:6-12:7) was deliberately edited with a unified frame of cause and effect by the Deuteronomistic Historian. 본 논문의 목적은 신명기 사가의 관점에서 본 입다 이야기(삿 10:6-12:7)의 신학적 통일성을 찾는 것이다. 입다 이야기는 입다의 인신제사와 관련한 성서 해석의 난해성 문제와 사사기 11장의 인신제사 이야기와 사사기 12장의 내전 이야기에 대한 통일성의 문제로 인해 전체 본문이 아닌 입다의 인신제사만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입다 이야기(삿10:6-12:7)의 세 본문인 암몬과의 전쟁 이야기(삿10:6-11:28)와 입다의 인신제사 이야기(삿11:29-40)와 입다와 에브라임 지파와의 내전 이야기(삿12:1-7)는 개별적인 주제가 아닌 통일성을 갖춘 원인과 결과로서 편집된 이야기임을 규명할 것이다. 이를 위한 이 연구의 목표는 (1) 입다 이야기에 나타난 종교적, 그리고 도덕적 죄의 원인을 찾는 것이다. (2) 종교적 죄의 관점에서 이스라엘의 우상숭배와 불순종의 문제를 연구하는 것이다. (3) 개인과 공동체의 도덕적 죄를 연구하는 것이다. (4) 그리고 입다 이야기의 신학적 통일성을 찾는 것이다. 이 연구는 입다 이야기(삿 10:6-12:7)가 신명기 사가의 편집의도에 따라 개별적인 주제가 아닌 원인과 결과로서 통일성을 갖추어 편집하였다는 연구결과를 얻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