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이병도의 행적과 그의 역사관

        김삼웅(Sam-Woong Kim) 바른역사학술원 2017 역사와융합 Vol.1 No.1

        이병도는 현재 한국 역사학계에서 일종의 성역이 되었다. 이병도가 성역이 된것은 그의 역사관이나 행적이 존경할만하기 때문이 아니라 한국 사회 각계에 포진한 그의 제자들이 그를 우상으로 떠받들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의 역사관과행적을 살펴봄으로써 그가 과연 한국 사회에 한 성역으로 존재하는 것이 마땅한 지를 되돌아보아야 할 것이다. 이병도는 조선 후기 노론의 대표적 가문인 우봉이씨로 태어나서 와세다대학 문학부에 들어갔다. 처음 서양사를 전공하려다가요시다 도오고(吉田東伍))와 쓰다소우기치(津田左右吉)의 영향을 받아 조선사연구로 방향을 전환했다. 그후 조선총독부 직속의 조선사편수회에 들어가 일본인들이 조선총독부의 관점에 맞춰 한국사 전체를 왜곡하는 작업에 종사했다. 이병도는 이런 친일전력 때문에 해방 후 진단학회에서 제명 운동이 벌어졌다. 그러나 이승만 정권이 반공정책을 추진하고 1950년 6·25 한국전쟁으로 반공 이데올로기가 한국사회를 뒤덮으면서 기사회생해 학계의 원로로서 승승장구했다. 이병도는 반공을 명목으로 수많은 민주 인사까지 공산주의자로 몰아 학살한 육군 특무대장 김창룡의 묘갈명을 썼다. 이 묘갈명에서 이병도는 “간첩오렬부역자 기타를 검거 처단함이 근 2만5천 명. 전시 방첩의 특수 임무를 달성하였다.”라고 2만5천명의 사람을 죽인 것을 큰 업적인 것처럼 칭송했다. 1960년 이승만 정권은 4·19혁명으로 붕괴되었지만 그 전리품은 보수정치인들이 차지하면서 이병도는 허정 과도정권에서 4개월간 교육부 장관을 맡았다. 이때 그는 학생들이 정치민주화와 친일파 청산으로 나가는 것을 극력 저지했고, 교원노조 활동을 극력 방해했다. 1961년 5·16 군사쿠데타가 발생하자 이병도는『최고회의보』창간호에 「5·16군사혁명의 역사적 의의」라는 글을 기고하여 쿠데타를 합리화시키는데 기여했다. 그는 또한 1977년에는 당시 중앙정보부장이던김재규의 사주를 받아 사육신 유응부를 김문기로 대체하려 했고, 자신의 집안친척인 이완용의 관 뚜껑을 불살라 버리는 반 역사적 행위를 서슴지 않았다. 그는 20년 가까이 학술원 원장을 역임했고, 1980년부터는 8년 동안 전두환 정권의국정자문위원을 역임했다. 평생을 친일, 친독재로 일관한 이병도가 현재도 국사학계의 태두로 추앙받는다는 사실 자체만으로도 한국 국사학계가 왜 외국과 달리 국민들의 배척을 받는지를 말해주고 있다. Lee Byung-do is treated as a sacred scholar in the Korean academe of history not by his scholastic achievements but by the idolization conducted by his academic descendents who formed a major influential lineup in diverse areas of Korea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Lee Byungdo’s personal records and view of history to determine whether or not he is deserved for a sacred scholar. Lee was born as a scion of well known Woobong clan which was a representative family of Noron(老論), the central political force in late Joseon dynasty. He went on literature department of Waseda university. Although he intended to major in western history, he studied Joseon history due to influences from Yosida Dogo(吉田東伍) and Theuda Shogichi(津田左右吉). After graduation from the university he became a member of the Redaction Committee for History of Joseon which was under direct control of the Japanese vice-regal office, and participant in the projet to distort the history of Joseon in line with the guidelines made by the office. Lee was expelled from the Jindan Academic Association due to his pro- Japanese records after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in 1945. However, he revived almost from death and made a long march flushed with senior scholar. His revival was attributable to overwhelmed anti-communism movement based on the policy of Lee Seung-man administration and the Korean war broken out in 1950. He admired Kim Chang-ryong who was the chief of counter intelligence corps of Korean army by writing epitaph for him. Kim was known to accuse many democratic figures of communists and massacred them. On the epitaph Lee praised Kim by stating that Kim eradicated 25,000 communists through arresting or killing suspects. Lee took the position of minister of education for four months in the Heo Jung’s interim government after the collapse of Lee Suung-man administration due to the April Revolution in 1960. During his tenure he blocked student movements toward political democratization and winding up pro-Japanese force, and interrupted activities of teacher’s union with an all-out effort. Lee contributed to justify the military coup d’tat in 1961 by writing an article under the title of ‘On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May military revolution’ on the first issue of 『Supreme Military Council Report』. He did not hesitate to conduct subversive activities contrary to historical facts: he attempted to replace Yoo Yeung-bu who is the one of four historic loyal subjects condemned to death with Kim Mun-gi, and burned the lid of his relative Lee Wan-yong’s coffin. He had been the chairman of the Council of Korean Academy for over twenty years, and a member of the Consultation Committee for State Affairs for eight years since Jeon Du-whan’s administration. The fact that Lee is treated as a luminary in Korean academic world of history in spite of his lifetime records of pro-Japanese and pro-dictatorship explains the reason why Korean people reject academic world of history contrary to foreign countries.

      • KCI등재

        李丙燾의 韓國古代史研究

        조인성(趙仁成) 한국고대사학회 2009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5

        이 논문은 1920년대 후반부터 1930년대에 걸쳐 이루어진 한사군과 삼한의 역사지리에 대한 이병도의 연구를 검토한 것이다. 그는 한국 근대 실증사학을 대표하는 연구자이므로 이 논문은 한국사학의 성립과정과 배경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병도는 현도군 최초의 위치가 압록강 중류, 동가강 유역이었으며, 진번군은 황해도와 경기도 북부에 자리하였다고 하는 신 학설을 제기하였다. 진한이 한강 유역을 중심으로 발전했고, 伯濟가 진한 사회를 통합했다는 것, 신라는 변한 소국의 하나였다는 신 학설을 내놓았다. 이병도의 연구는 사료에 대한 철저한 비판과 학설에 대한 엄정한 비판 위에 이루어졌다. 그는 근본 자료에 대한 치밀한 분석, 기왕의 학설이 갖는 문제점에 대한 비판적 태도, 지리적 상태와 당시의 대세에 대한 고려를 중시하였다. 이병도의 역사지리연구는 일본인 학자들의 역사지리연구에서 촉발되었고, 방법론도 그들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그는 白鳥庫吉로부터 津田左右吉, 池內宏 등에게 계승되었던 초기 일본 동양사학의 사료비판ㆍ고전비판의 정신과 방법을 이어 받았다. 뿐만 아니라 이병도는 실학자들의 역사지리연구의 성과를 비판적으로 계승하였다. 이병도의 한사군과 삼한의 역사지리연구는 국가의 성립 문제로까지 확대되었다. 그러므로 그것은 한국고대사를 체계화하는 작업으로서의 의의도 갖는 것이었다.

      • KCI등재

        李丙燾 韓國古代史 硏究의 '實證性' 檢證

        李道學(Lee, Do-Hack) 백산학회 2014 白山學報 Vol.- No.98

        한국 실증사학의 비조로 일컬어지고 있는 李丙燾 史學의 중심적인 論考를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이병도가 제기한 歷史地理 比定의 많은 부분은 후학의 呼應을 얻지 못하였다. 이병도가 得意에 찼던 三韓 중 辰韓의 위치비정은 말할 것도 없고, 風納洞土城=蛇城說 등 숱한 論考들이 現今에 와서 무너져 내리고 말았다. 이병도의 역사지리 비정의 특징 가운데 하나가 音相似에 의한 比定이었다. 傍證정도의 방법론을 핵심 근거로 삼은 결과 誤導된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병도는 音相似를 과도하게 사용한 관계로 논지의 핵심 要諦가 된 경우가 많았다. 그로 인해 훗날 고고학적 방법론과 같은 새로운 자극이 발생하면 의외로 쉽게 논지가 붕괴되고는 했다. 이병도 史學은 '堅固'해 보이지만 의외로 허술한 면이 적지 않았다. 그럼에도 두계의 漢四郡 비정만은 적어도 한국의 講壇 史學에서는 통설로 자리 잡고 있다. 이 점 奇異하게 느껴질 정도이다. 해방 이전은 물론이고 해방 이후에도 적어도 남한 사학계에서는 한사군의 위치에 대한 새로운 비정은 거의 시도되지 못하였다. 대신 그 역할은 소위 在野史學者들의 몫이 되고 말았다. 가령 燕將 秦開가 고조선을 침공하여 진출한 界線을 박천강으로 설정했고, 평양에서 출토된 秦戈를 토대로 全燕시대에는 그 후 어느 때 대동강까지 진출한 것으로 간주한 이병도 설은 여전히 未檢證 상태라는 점이다. 필자는 이병도 史學 중 歷史地理분야에 대한 평가를 의뢰받고 집중적인 분석을 시도한 후 苦心 끝에 내린 결론은 李丙燾 史學에서 '實證'은 없다는 것이다. I've examined the central assertion of Byeongdo Lee's historical studies, which is called the father of The Korean Evidential History. In consequence, much of his estimation of geology history hasn't widely been accepted by youth. Not only highly elated Lee's estimation of Jinhan(辰韓) sites among the Three Hans(三韓) but also many other arguments, such as Poongnap earthen castle(風納洞土城)=a view that Poongnap earthen castle was the military (蛇城說) have camedown in now. One of his estimating location features was related to etymology studies, reviewing similar sounds. The conclusion was misled with a result of using circumstantial evidences as the core grounds. Because Lee applied etymology studies excessively, it often became the key point in arguments. Therefore this kind of thesis fell down easily when a new stimulation occurs like archeological methodology. Korean ancient history research of Lee seemed sturdy but actually they were fragile. In spite of that, estimated sites of Hansagun(漢四郡) has been the commonly accepted view in the mainstream. It is bizarre. New estimation of Hansagun location was hardly attempted in South Korean ancient history after liberation, not to mention before liberation. Instead, the roles fell to what we call unofficial historians. They set the boundary line where Yan general Jingae(燕將 秦開) had attacked Gojoseon(古朝鮮), to Bakcheongang (博川江). And even in Yan period(全燕), on the basis of Jin spear excavated from Pyeongyang(平壤), they considered that China advanced to Daedonggang(大同江) after that. Still these theories of Lee remain untested. I've received a request about geology history of Lee's historical studies and tried extensive analysis. I made the decision that there's no proof in his studies after thinking it over thoroughly.

      • KCI등재

        李丙燾의 「朝鮮史槪講」

        Cho, In-Sung(趙仁成) 백산학회 2014 白山學報 Vol.- No.98

        이 글은 이병도가 1923년 9월 28일부터 1924년 2월 24일까지 『동아일보』에 연재하였던 「조선사개강」에 대한 것이다. 이병도는 「조선사개강」에서 문화를 강조하였다. 그는 삼국, 통일신라 및 고려가 자신의 고유한 문화를 바탕으로 외래의 문화를 수용하여 나름대로의 문화를 발전시켰다고 주장하였다. 이병도에 따르면 불교가 당시 문화의 발전을 촉진하였다고 한다. 그는 당시의 유적과 유물 가운데 동양 제일의 것이 있었음과 백제의 문화가 일본의 아스카시대의 문화에 큰 영향을 주었음을 지적하였다. 이병도는 문화의 계승이라는 측면에서 삼국-통일신라-고려로 '조선사'를 체계화하였다. 「조선사개강」은 '개조론'이라는 사상적 흐름 속에서 집필된 것이었다. 이병도는 이를 통해 식민 조선의 청년들을 계몽하려고 하였던 것이다. This paper is on Yi Byung Do's Introductory Lectures on Chosun History, which was published serially in the Dong-A Ilbo(東亞日報) from september 28, 1923 to February 24, 1924. Yi Byung Do emphasized culture in the Introductory Lectures on Chosun History. He asserted that culture of Three Kingdoms(三國), Unified Silla(統一新羅) and Koryo(高麗) accepted other cultures on the base of the identity of their own cultural heritage and developed culture of their own. According to Yi Byung Do Buddhism advanced the culture of that periods. He pointed out among the remains and relics of that periods there were the greatest in the East and the culture of Paekche(百濟) influenced strongly on the culture of the Asuka period(飛鳥時代) in the Japanese history. Yi Byung Do organized Chosun History as Three Kingdoms-Unified Silla-Koryo in the perspective of culture succession. The Introductory Lectures on Chosun History was written under the trend of argument of social reconstruction(改造論). Yi Byung Do aimed to enlighten youth in colonial Chosun.

      • KCI등재

        이병도(李丙燾), 『자료한국유학사초고 (資料韓國儒學史草藁)』 -한국유학사의 근대적 출발-

        최영성 ( Choi Young Sung ) 한국사상사학회 2019 韓國思想史學 Vol.0 No.61

        한국의 근대 역사학에서 큰 위치를 차지하는 국사학자 이병도(李丙燾: 1896∼1989)는 한국의 유학사(儒學史) 연구에서도 주목할 만한 업적을 남겼다. 그 대표적 저작물이 『자료 한국유학사 초고』다. 1937년에 저술을 한 뒤 그로부터 22년이 지난 1959년에 등사본 형태로 발표를 하였다. ‘초고’라는 이름은 이 저작이 미완성임을 시사한 것이고, ‘자료’라는 말은 저술의 성격을 드러낸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은 뒷날 1987년에 번역과 수정 보완을 거쳐 ‘한국유학사’로 다시 태어났다. 본고는 유학사연구의 ‘근대적 출발’을 고찰하기 위한 목적에서 집필되었다. 이병도의 『자료 한국유학사 초고』는 1937년 당시의 유학사 연구 수준을 그대로 볼 수 있는 중요한 저술이다. 여러 가지 면에서 근대성을 논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출발’이라는 단어에 의미를 둘 때, 1949년에 정식 출판된 현상윤(玄相允)의 『조선유학사』와 비교하면서 살펴볼 대목이 적지 않다. 다만 이병도의 위 저작은 ‘충분조건’에다 ‘필요조건’까지 결부시키면 온전하게 평가 받기가 어려울 것이다. 1930년대 후반으로 돌아가 당시의 주어진 조건을 감안하여 근대성 여부를 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Korean historian Lee Byeong-do (李丙燾: 1896~1989) who holds a large position in modern Korean history has also made remarkable achievements in the study of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His representative work is Rough Copy of Data on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資料韓國儒學史草藁). After writing it in 1937, he published it in 1959, 22 years later, in the form of mimeograph copy. The expression "rough copy" suggests that the work is incomplete and the word "data" reveals its nature. Later, the book was reborn in 1987 as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after being translated and revised. This article was written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modern beginning" of research on the History of Confucianism (儒學史). Lee Byeong-do's Rough Copy of Data on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is an important writing that shows the level of the study on the history of Confucianism in 1937. I think we can discuss modernity in many ways. In particular, when we focus on the word "beginning," I think there are many points to consider in relation to theHistory of Joseon Confucianism of Hyun Sang-yoon (玄相允), which was officially published in 1949. The above work of Lee Byeong-do will be difficult to evaluate thoroughly if the "necessary conditions" are combined to "sufficient conditions". It would be desirable to go back to the end of the 1930s to discuss whether modernity is possible taking into account the conditions given at that time.

      • KCI등재

        두계 이병도의 풍수지리와 도참사상 연구

        김기덕(Kim, Ki-Duk) 백산학회 2014 白山學報 Vol.- No.98

        본 글은 고려시대 풍수지리 및 도참사상 연구에 있어 탁월한 업적을 남긴 두계 이병도의 연구 성과를 살펴본 것이다. 먼저 그의 연구방법론을 살펴보았으며, 다음으로 그의 주요 연구성과를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성과에서 강조할 것은 '풍수'와 '지리'를 결합한 '풍수지리'라는 복합적 용어를 그가 처음 시도했다는 점이다. 그는 한국사의 분류사로서의 한국사상사, 그 중에서도 가장 연구되지 않은 풍수ㆍ도참사에 대한 연구를 축적하여 후학들에게 많은 도움을 주었다. 특히 풍수 및 도참사상에 대한 이러한 해박한 서술은 대상지의 답사를 통한 구체적인 풍수 설명에서 더욱 빛을 발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축적을 통하여 이병도는 고려시대 시기별 고찰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고려전기는 건국 및 통일중심의 도참, 고려 중기는 延基ㆍ巡住 중심의 도참, 고려 후기는 移御ㆍ遷都중심의 도참으로 시기구분하고, 각 왕대의 도참사상을 설명하였다. 그런데 바로 이 지점에서 이병도의 연구성과의 한계 및 문제점이 드러난다고 필자는 분석하였다. 각론에 있어서는 치밀한 분석이 이루어졌지만, 전체 고려시대 역사상은 도참사상으로 인한 부정적인 평가로 일관되었다. 그렇게 된 이유로 필자는 무엇보다 風水와 圖讖을 구분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점을 지적하였다. 특히 고려왕조는 금속활자, 고려대장경, 고려청자, 금속공예, 고려불화 등의 뛰어난 문화를 생산했으며, 국제적인 교역을 지속한 역동성을 간직하고 있었다. 또한 조선과 비교하여 男女平等의 사회상을 구현하고 있었다. 고려시대 이러한 찬란한 문화의 생산과 500년간의 왕조의 지속을 고려하여, 풍수 및 도참사상에 대한 균형잡힌 해석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여 보았다. 끝으로 풍수적 재해석을 통한 풍수연구의 활성화를 제시하였다. Examined in this article is the extraordinary achievements of Du'gye Yi Byeong-do, in his studies of geomantic topography and the Docham philosophy. Here his research methodologies are first examined, and surveyed after that are his major studies in the area. What should be noted is that he was the first one to use the world "Pungsu Jiri(geomantic topography)," a compound word combining the concept of 'Pungsu' and the concept of geography. He was well versed in the history of Korean philosophy, and countless members of the following generation engaged in study of Korean history benefitted from his studies of Pungsu and Docham, which had not been studied that much before. His research proved all the more useful in field studies. With the accumulation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Yi Byeong-do attempted an analysis of individual periods that existed throughout the Goryeo period. According to him, the early 1/3 of the dynasty witnessed Docham Philosophy that contributed to the foundation and unification of the country, while the middle period of the dynasty saw Docham presented through concepts or actions such as Yeon'gi/延基 or Sunju/巡住, and the last 1/3 of the dynasty had Docham practices in fashion in terms of the kings' move (移御) and the transfer of the capital(遷都). He provided detailed explanation of the nature of the Docham philosophy that prevailed in each period. But the result of his studies revealed some things to be desired even form a scholar with a stature of Yi Byeong-do. Details were covered, but the overall image of Goryeo came out to be rather fairly negative due to the nature of the Docham philosophy. This seems so because he did not differentiate topography (and geomancy) from Docham. The Goryeo dynasty was renowned for producing a series of proud cultural heritage, such as metal printing types, Tripitaka Koreana, Goryeo celadon, metal art and Buddhist painting. And it had the energy to embark upon foreign trades. Compared to Joseon it had more equality between males and females. Considering that Goryeo had such a glorious culture, and lasted for 5 centuries, a more balanced understanding of Pungsu theories of the time and the Docahm philosophy as well is required more than ever. In this article, reinterpretation is suggested as a method to reboost studies of Pungsu as well.

      • KCI등재

        이병도의 측면사(側面史), 『고려시대(高麗時代)의 연구(硏究)』 검토

        장지연 한국사상사학회 2023 韓國思想史學 Vol.- No.74

        This article reviews “A Study on Goryeo dynasty” by Byung-do Lee, in the aspects of background, methodology and spread. This is made with regard to view his work as ‘forming and moving’ knowledge, rather than as ‘completed and fixed’ one. Lee chose this topic with a strategy of evasion and confidence. The former refers to not touching on the territory of other Japanese scholars, and the latter refers to this confidence in traditional Korean Pungsu(feng shui) knowledge. He assumes that Pungsu or Docahm has not been changed at all, in the point that it is nonsensical superstition. This produces the view Pungsu and Docham in the Goryeo Dynasty, were explained in terms of the anxiety and struggle of kings and subjects. As a result, his research could not escape from the colonial perspective. Methodologically, Lee compensated for the lack of sources with Chinese feng shui books and fieldwork. The Chinese feng shui books are problematic in that they cannot be viewed as geographical knowledge of the Goryeo period, and the field trips seem to borrow from modern academic methodologies, but in the end, they were no different from the feng shui experts’practices in the point relying on their own intuition of feng shui discernment. The term "Pungsujiri" was first invented by Lee and is only used in Korea. He invented the term "Umyangjiri" from the beginning of his research in his Japanese article in 1926, but in his newspaper columns in the 1930s(Joseon Ilbo), he changed it to "Pungsujiri" by adding the familiar "Pungsu" instead of the unfamiliar "Umyang". The implication was that it could be called "geography" because it dealt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nd and humans, and that this relationship was based on the same logic as yin and yang. The 1948 edition retains the term and seems to have been popularized by the 1950s at the latest. The introduction to the 1980 revised edition actively evaluated Pungsu as a geo-phrenology or geo-philosophical discipline. The strengths of Byung-do Lee's scholarship, such as his deep understanding of the Chinese traditional knowledge, his careful and extensive documents’ reading, and his enthusiastic fieldwork, are on full display in this book. However, the book suffers from a major flaw in that he chose a topic of convenience without understanding the colonial bias of academic arena of the time, and he relied on his own pungsu intuition, which he mistook for modern academic methodology. However, by inventing the new term 'Pungsujiri', he presented the subject as something more than a superstition, and this has had a profound impact on our academic and social attitudes towards feng shui to this day. 이 글에서는 이병도의 고려시대의 연구를 크게 배경과 방법론, 확산이라는 측면에서 검토했다. 이는 완결・고정된 지식으로서가 아니라 형성 중이고 움직인 지식으로 이병도의 연구를 바라보기 위한 것이다. 이병도는 비껴가기 전략과 자신감으로 고려시대의 풍수 도참이라는 주제를 선택했다. 전자는 다른 일본인 학자의 영역을 건드리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후자는 전통적인 풍수 지식에 대한 자신감을 의미한다. 그는 풍수나 도참은 황당한 미신이라는 점에서 시대와 무관하게 변함이 없었다고 전제했다. 이러한 부정적 시각은 고려시대의 풍수나 도참의 유행을 권력층의 혹신이나 사회불안으로만 설명하게 했는데, 결과적으로 식민사관의 관점을 강화시켰다. 이병도는 관련 사료의 영성함을 중국 풍수서와 현장 답사로 보완하였다. 그가 참조한 중국 풍수서는 고려 시대의 지리지식으로 볼 수 없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으며, 현장 답사는 일견 근대적 학문 방법론을 차용한 듯하였으나, 결국 자신의 풍수적 안목이라는 직관에 의거함으로써 지관의 풍수 행위와 다를 바가 없었다. ‘풍수지리’라는 용어는 그가 처음 고안하여 우리나라에서만 사용한다. 그는 1926년 일본어로 발표한 연구의 시작부터 ‘음양지리’라는 용어를 만들었다가, 1930년대 신문 연재를 하면서 대중에게 생소한 ‘음양’ 대신 익숙한 ‘풍수’를 붙여 ‘풍수지리’로 바꿨다. 이는 땅과 인간과의 관계를 다룬다는 점에서 ‘지리’라는 말을 붙일 수 있으며 그 관계가 비록 신비적이기는 해도 음양론 같은 논리에 기반한다는 의미에서 붙인 것이다. 1948년 단행본에도 이 용어가 그대로 사용되며 늦어도 1950년대 무렵에는 대중화된 것으로 보인다. 1980년 개정판의 총론에서는 ‘풍수지리’를 지리관상학 혹은 지리철학으로까지 적극적으로 평가하였다. 한학적 전통에 대한 깊은 이해, 치밀하고 넓은 사료 섭렵과 열정적인 현장 조사와 같은 이병도 학술의 장점은 이 책에서도 남김없이 발휘되었다. 그러나 당대 학술장에 대한 조망 없이 편의상 주제를 선택함으로써 식민주의적 관점의 자장에서 벗어날 수 없었고, 논증의 마지막은 자신의 풍수 직관에 의거하였음에도 이를 근대적 학문 방법론으로 오인한 결점을 지니고 있었다. 그럼에도 그는 ‘풍수지리’라는 새로운 조어를 통해 이 주제를 척결해야 하는 미신 이상의 무언가로 제시했으며, 이는 현재까지 풍수를 대하는 우리의 학문적, 사회적 태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 KCI등재

        고려시대 風水地理思想의 이해 방향

        박종덕(Park, Jong-Deok) 부산경남사학회 2017 역사와 경계 Vol.105 No.-

        기존의 고려시대 풍수지리사상 연구는 논설이 분분하지만 크게 두 가지 점에서 한계를 지적할 수 있다. 첫째 풍수지리와 도참의 구분이 모호하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풍수지리사상을 고려왕조의 변혁논리 또는 재건논리로 활용되고 있지만, 그 이론에 대한 근본적인 연구가 전무하다는 점이다. 풍수지리는 음양론과 오행설을 기반으로 땅에 관한 이치, 즉 지리를 체계화한 전통적 논리구조이며, 도참사상은 앞으로 일어날 사건의 징후·암시를 뜻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다면 풍수지리와 도참은 근본논리에서부터 동일시할 수 없다. 한편 이러한 풍수지리사상은 지기地氣와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다. 또한 이것은 인간과 자연의 조화로운 기가 완성되어 나가는 것을 밝히는 것이기 때문에 국왕의 통치술로 활용되고 있다. 이를 잘 볼 수 있는 것이 『예기』의 월령편의 휼령이다. 다음은 풍수지리사상에 대한 연구경향 가운데 이병도의 업적에 대해 몇 가지를 지적하였다. 이병도는 인간생활의 길흉화복과 성쇠득실을 추구하는 측면에서 풍수와 도참을 동일시하고 미신적으로 치부하였다. 그러나 고려 태조 왕건의 신성성을 나타내는 것이나 용손의식을 볼 때 풍수지리를 직접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은 삼소론에 대한 것이다. 이병도는 명종대에 처음 삼소가 제기된 것은 바로 도참가들의 주청에 의한 것이며, 이는 왕실의 쇠미, 재이 발생이 잦음에서 찾고 있다. 그러나 삼소는 기본적으로 수도인 개경의 부족한 부분을 비보적으로 보완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이므로 고려초부터 있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마지막으로 『지리신법』의 사용여부이다. 『지리신법』은 이기파적 풍수지리서이다. 이병도를 비롯한 연구자들은 고려시대에는 형세론에 입각한 풍수지리만 사용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지리신서』가 고려초기에 국왕의 강력한 요구에 의해 수입되었다는 점, 국왕과 관료들의 장례날짜를 택일하는 방법 등에서 살펴보면 고려중기 이후에는 『지리신서』가 어느 정도 활용되었으리라 본다. Although the existing Feng Shui Jiri ideology of Thought Studies is divided into two parts, it can be pointed out two limitations. First, the distinction between Feng shui and Docham is vague. The second is the use of Feng Shui Jiri ideology as the logic of the transformation or reconstruction of the Goryeo dynasty, but there is no fundamental research on the theory. Fengshui is a traditional logic structure that organizes geographical facts based on the Yin-Yang theory and the O-hang theory of the five-line theory, and the subconscious idea is the sign and implication of future events. From the above, it can not be identified from the basic logic. On the other hand, such Feng shui geography is closely related to the geographical location. The idea of Feng Shui Jiri is used as the king "s sovereignty because it reveals that the harmonious period of man and nature is completed. This is a good example of the Hulrung at the Wulrung of Yegi. In the following, I pointed out some of Lee"s accomplishments in the study trend of Feng Shui Jiri ideology. In the following, I pointed out some of Lee "s accomplishments in the study trend of Feng Shui Jiri ideology.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use of Feng Shui is directly used when it shows the sacredness of Goryeo Taejo. The following is about Samsonron. Lee Byung-do is the first to be raised in the Jongjong Daejeon by the municipal authorities of the militia, and it is looking for the dwindling of the royal family and frequent occurrence of ashes. However,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Samso has been installed since the beginning of Goryeo because it was basically installed to complement the deficient portion of the capital city "s openings. Finally, it is the use of geographical new law. The geography new law is a selfish wisdom. Lee Byeong-do and other researchers said that only Feng Shui-ji based on the model theory was used in the Goryeo period. However, the geography book was imported by the King"s strong demand at the beginning of Goryeo, and how to choose the funeral date of the King and the bureaucrats.

      • KCI등재

        두계 이병도의 금석문 연구 : 한국고대사를 중심으로

        이우태 백산학회 2014 白山學報 Vol.- No.98

        두계 이병도 선생은 누구나 인정하는 한국 근대사학의 개척자이고, 실증사학의 태두이다. 그의 학문적 업적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한국고대사의 체계를 세우고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인데, 그의 업적은 성과 그 자체보다는 방법론에서 보다 본질적인 의의를 찾아야 할 것이댜. 따라서 고대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자료의 하나인 금석문을 그가 어떻게 활용하였는지는 검토해볼 만한 가치가 있다. 이를 통해 그의 실증사학의 성격을 규명하는데도 일정한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의 금석문에 대한 연구 성과를 살펴보면, 본격적인 연구 논문을 쓴 1957년에 이후와 그 이전으로 구분되는데, 1959년에 발간된 《韓國史》(古代篇)은 이병도의 한국고대사 연구 성과가 집약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다양한 금석문들을 자료로 활용하여 자신의 주장을 증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몇몇 자료의 경우 이를 너무 소홀히 취급하거나 아예 언급조차 하지 않은 경우도 있어 많은 아쉬움을 남기고 있다. 그러나 그의 금석문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에서 살펴볼 수 있는 연구 태도는, 근본 자료에 대한 치밀한 분석을 기반으로, 기왕의 학설이 갖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어 자신의 견해를 밝히는 형식으로 일관하고 있다. 그리고 금석문 그 자체의 분석보다는 시대적인 상황이나 흐름을 더 중시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자신이 구축한 한국고대사의 틀에 대한 자신감에서 나온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몇 가지 한계점과 아쉬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가 금석문의 연구를 통해 한국고대사의 연구에 남긴 교훈과 영향은 매우 중요하고도 크다고 할 것이다. 특히 치밀한 상황 분석과 관련 자료를 망라하여 설명하고자 하는 거시적인 태도는 오늘날의 연구자들이 본받아야 할 연구 자세라고 생각된다. Historical studies of Yi Byeong-do is often said as proven history which is based on positivism. In proven history, analysis and utilization of historical materials is very important. Therefore, to analyze the results of studies on epigraph of Yi Byeong-do is useful to clarify the personalit of his history. He had take advantage of Epigraphs in his many early works, but we cannot find out works with the depth. However, since 1957, he submitted a lot of paper about new found epigraphs.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his research is that his new studies are founded on the framework of his past results. This is another representation of the confidence about his past achievements. His analytical and reasonable style of syuding epigraphs should be respected. But it is very inconvenien that he lost some very impotrtant epigraphs in Korean ancient history.

      • KCI등재

        斗溪 李丙燾의 修學과정과 초기 學術活動

        민현구 진단학회 2012 진단학보 Vol.- No.116

        This paper contemplates on the scholarly disciplines and early research activities of Yi Byeong-do, a Korean history scholar, in three different phases. The main conte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The first phase starts from his having an old fashioned education of Chinese literature at a sŏdang, private elementary school, in his hometown at the age of 6. It also covers his having a modern education at Bosŏng junior college in Seoul, and taking various western subjects and thereby finishing the preparatory course in Waseda university at the age of 20. The second phase starts from his entering the department of history and sociology in Waseda university and majoring in Korean history for 3 years. It ends at his age of 27,when he had been teaching over 4 years at Choongang School since right after graduation. The third phase starts from his decision to study Korean history in earnest at the age of 27. After some time he worked for about 2 years in the bureau of compiling Korean history. Then he left the bureau and began to study hard as a full-time disemployed researcher. This phase ends at his age of 37 when he had been obtaining important results. These phased contemplations revealed the importance of learning the confucianism of the Chosun dynasty with the old fashioned education of Chinese literature in the first phase, in that this formed the foundation of his study of Korean history afterwards. The second phase has a great significance in that he learned modern history and wrote a graduation thesis on Korean history in Waseda university, along with meeting a Japanese teacher. In the third phase, a high value was placed on that he was stimulated by many Japanese scholars in the bureau of compiling Korean history and that he published papers on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and geomancy for the first time, and that he selected the history of ancient Korea as another research topic. In the disemployed period,he pursued researches on 3 fields ―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geomancy, the history of ancient Korea ― simultaneously and made great achievement, thereby grew as a promising scholar. 이 論文은 韓國史學者 李丙燾(1896~1989)의 修學過程과 初期 學術活動을 3단계로 나누어 고찰한 것이다. 첫 번째 단계는 그가 6세에 鄕里의 書堂에서 舊式교육으로 漢學을 배우는 데에서 시작하여 서울에서 新式 교육으로 普成專門學校에서 공부하는 과정을 거쳐 20세에 일본 早稻田大學 豫科에서 광범위한 西歐的 학과목들을 수강하고 수료하는 데까지로 잡았다. 이 가운데, 구식 한학 수업은 朝鮮 儒學의 학습에까지 이어졌고, 그것이 뒷날 李丙燾史學의 중요한 기초가 되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早稻田大學 예과에서의 修學도 그가 人文學의 기초를 닦아 서구에서 수입된 근대 사학을흡수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고 평가하였다.두 번째 단계는 그가 20세에 早稻田大學 史學及社會學科에 진학하여 3년간 韓國史를 전공하고, 졸업과 동시에 中央學校 교원으로 부임하여 4년 남짓 근무하는 27세 때까지로 보았다. 그는 早稻田大學에서 批判的 연구방법을 중시하는 近代 史學을 배우고 韓國史를 전공키로 하여 한국사 졸업논문을제출했고, 평생 그를 지도할 일본인 스승을 만날 수 있었다. 그 후 中央學校 敎員 시절에는 가르치고공부하면서 한국사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넓혔고, 그것을 기초로 東亞日報에 견실한 내용의 「朝鮮史槪講」을 게재할 수 있었다. 이 과정을 그가 韓國史學에 入門하는 것으로 정리했다.세 번째 단계는 그가 27세 때 본격적인 한국사 연구를 결심하고 이어서 朝鮮史編修會에 들어가 1년 10개월간 근무하고 31세 때 나온 후 직업 없이 專業硏究者로 연구에 열중하여 중요한 성과를 거두는 시기로 37세 때까지를 下限으로 삼아 살펴보았다. 이 시기에 그가 韓國儒學史를 본격적 연구의대상으로 삼은 것은 지난 날 舊式의 漢學을 修學해 儒學에 깊은 소양을 지닌 때문임을 중요시하였고,朝鮮史編修會의 짧은 근무 기간은 그가 많은 일본인 학자를 만나 연구에 자극을 받았고, 韓國儒學史와 地理圖讖에 대한 그의 학술논문이 처음 발표되었으며, 다시금 韓國古代史를 연구대상으로 삼기로 했다는 점에서 결정적 중요성을 지닌다고 보았다. 그리고 朝鮮史編修會 근무시절과 그 이후에 걸친啓蒙史學 계열의 한국인 선배 학자들과의 交遊, 會同은 그의 학문적 성장에 큰 도움을 주었다는 점에서 특기할 만한 것이었다. 그 후 두계는 새롭게 본격적 古代史 연구를 시작해 크게 주목받으면서 그것과 韓國儒學史, 地理圖讖를 아우르는 三分野의 연구를 꾸준히 지속시켜 나갔고, 내용상 충실하고신선한 연구업적의 축적은 그를 촉망받는 중견학자로 성장시켰던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