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의사고력 함양을 위한 초등영어 교재 활동 변용

        박기화(Park, Ki-Hw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미래사회의 핵심역량으로 중요한 창의사고력 함양이 초등영어 교과에서도 가능하다고 보고, 기초적인 영어 의사소통능력 습득을 목표로 하는 초등 3학년 영어 교과서의 활동을 자료로 창의성 교육기법을 적용한 변용 활동의 예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창의성 교육기법을 소개하고 그 중에서 초등영어에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7개의 기법을 골라 초등 3학년 영어 교과서의 활동에 적용하였다. 변용된 활동은 원래의 활동과 함께 제시함으로써 영어교과에서의 창의사고력 함양 교육 에 대한 부정적 견해를 완화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제시된 적용 예들은 교실에서 다른 활동을 변용하거나 다른 기법을 적용하고자 할 때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show some adapted models of activities in an Korean elementary school English textbook to enhance creative-thinking ability, based on the belief that creative-thinking techniques can be applied to Korean beginner learners English teaching. For the purpose, the study arranges various creativity techniques and shows some selected creative-thinking techniques appropriate to apply to Korean elementary school English textbook activities for third graders. Both original activities and the adapted ones are presented together for comparison and intended to reduce negative opinions about creativity enhancement in elementary English teaching. The adapted examples can be models for applying different creative-thinking techniques to different activities.

      • KCI등재

        창의성 기법을 기반으로 한 교육연극이 초등학습자의 영어 말하기, 듣기 능력 및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민정(Kim, MinJeong),정혜영(Chung, Hye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창의성 기법을 기반으로 한 교육연극이 초등 학습자의 영어 말하기, 듣기 능력 및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서울 소재 3,4학년 4개 학급 112명을 대상으로 총 24차시, 12주간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후 영어 말하기 및 듣기 평가, 그리고 정의적 영역에 대한 설문지, 심층설문 및 개인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말하기 세부 영역의 유창성, 발음, 적절성에서 두 집단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영어 듣기 능력 사전 및 사후 검사를 실시한 결과, 실험 집단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영어 교과에 대한 정의적 태도 설문 결과 두 집단은 영어 말하기, 듣기, 영어 교과에 대한 흥미, 자신감, 학습 욕구, 참여도의 모든 세부 영역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창의적 기법을 적용한 교육 연극 수업이 학생들의 영어 학습과 영어 말하기, 듣기에 대한 정의적 태도에 매우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교실 수업에 다양한 창의기법과 교육연극 기법을 적용하여 학습자 중심의 연극 수업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study is to suggest a Drama-in-Education with Creative technique lesson model and analyze the actual effectiveness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speaking, listening performance and affective attitude towards English learning.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Drama-in-Education with Creative techniques, Pelt listening Test, an English speaking performance test, and an affective attitude survey were used as pre and post test instruments. The results showed inclusion of Drama-in-Education with Creative techniques improved student’s speaking performance and listening performance. And students’ self-confidence in English learning was also increased and students showed higher interest in Drama-in-Education with Creative techniques. The outcome of the study indicates Drama-in-Education with Creative techniques has positive effect on speaking, listening performance and affective attitude towards English learning. In addition, this survey can also be expected to provide and help teachers the ways to integrate “Drama-in-Education” and “Creative techniques” in to English classroom. Although this research was limited to a elementary students of grade 3 and 4, it provides new insights and encourages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to apply Drama-in-Education and Creative techniques into classrooms in order to enhance both divergent thinking and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learner centered activities. Since this research only experiments listening and speaking performance of four skills of language, future explorations need to be expanded to embrace all four skills of language learning.

      • KCI등재

        교대생들을 위한 영어뮤지컬 지도법 수업모형 개발

        정영숙 ( Yung Suk Ju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연구 Vol.5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교에서 영어뮤지컬 강좌를 학생 중심으로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 수업을 체계화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4년 한 학기동안 초등영어 관련 뮤지컬 수업에 참여한 학생 15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심층면접을 통해서 학생들의 다양한 견해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수업을 체계화하기 위한 주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이 이론과 창작 및 직접 연습이 균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영어뮤지컬 체험과 제작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초등영어뮤지컬 지도와 영어실력 향상은 부수적인 것으로 어느 정도만 포함시켜 수업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둘째, 문학작품을 바탕으로 제작된 뮤지컬 영화를 이용하여 대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듣기, 표현, 문법 등을 공부시키고 또 음악과 함께 전달되는 대사를 통해서는 영어발음 지도를 함께 공부할 수 있게 한다. 셋째, 수업의 내용으로는 실제로 뮤지컬을 연기하기 전에 우선 대학생 수준의 뮤지컬 영화를 통해서 영어실력을 향상시킨 다음에, 간단한 아동 뮤지컬을 여러 편 접하면서 뮤지컬 지도 방법을 익히게 한다. 그 다음 단계로는 동화 뮤지컬을 제작, 연습하고 발표하게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어뮤지컬 수업을 계획하는 교수자들이 미래의 교사들에게 영어뮤지컬을 활용하여 영어뿐 아니라 창의성과 인성까지 계발 해주는 새로운 영어 수업 방식을 지도하는 데 실용적인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ays to improve an English musical theater course for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achieve the objective, an English musical course was offered to 15 undergraduate students at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for one semester, in 2014. Then a survey and two open-ended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for the students who took the course. Th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observation of the researcher, who taught the musical course, and the in-depth interview of the three students among the subjects. The primary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 of the course needs a balance between the teaching methods of English musicals and the production of English musicals. In other words, the main content of the musical course should focus on the performance English musicals after writing scripts and creating songs and dances. In addition, pre-service teachers need to learn how to use English musical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ile studying the English musical teaching materials specifically developed for Korean EFL children. Second, literature-based musical movies should be used to meet the needs of the pre-service teachers who want to improve their listening skills and learn high-level vocabulary and grammar. Also, through studying and singing the lyrics of the songs in the musical movies, they can improve their English pronunciation. Third, regarding the recommended teaching procedures, for the first five weeks students can improve their English skills through musical movies that fit their level of English proficiency and learn how to use English musicals for children through reviewing children`s English musicals. For the next four weeks, they can write a musical script and create songs and dances. For the last five weeks, they can focus on practice and perform their own creative English musia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practical material for per-service teacher trainers who plan to organize an English musical theater course to promote students` creativity and character as well as their English skills.

      • KCI등재

        한국 영어학습자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창의성 교육기법 기반 영어 교수ㆍ학습 활동 개발

        한종임(Han, Jong-Im),오혜진(Oh, Haejin),김영숙(Kim, Youngsook)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13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ive ways to introduce creative thinking skills development in the English learning classroom, specifically, focusing on questioning techniques and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The study explores selected creative-thinking techniques which are in accordance with English teaching methods and goals in the Korean context. The techniques highlighted were deemed adequate for enhancing creative and analytical thinking skills of English language learners and include the following: Brainwriting, SCAMPER, Lotus Blossom Technique, Forced Relationships/Analogy, Wishful Thinking Technique, Six Thinking Hats, SWOT, PMI technique, Flat Stanley Project. The study attempts to outline examples of and procedures for implementing such techniques in English education. The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insights for both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like and shall thus contribute to the ongoing discussion of integrating creativity education with English learning and teach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