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크라테스의 "에이로네이아(Eironeia)"에 담긴 도덕교육적 의미

        이철주 ( Chul Ju Lee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9 윤리교육연구 Vol.0 No.19

        본 논문은 플라톤의 대화편에서 보이는 소크라테스의 ``에이로네이아(Eironeia)``에 담긴 도덕교육적 의미를 탐구한 것이다. ``엘렌코스(Elenchus)``로 통용되고 있는 ``소크라테스의 방법``은 에이로네이아로 시작하여 엘렌코스와 아포리아로 연결된다. 에이로네이아는 소크라테스가 스스로 무지를 고백하고 대화상대자의 무지를 자각하게 하여 그를 지적으로 당황하게 만드는 것이다. 델피의 신탁은 소크라테스를 가장 현명한 자로 밝히지만, 정작 소크라테스 자신은 무지를 고백한다. 그런데 수많은 도덕적 앎을 탐구한 소크라테스를 그의 고백처럼 무지했다고 볼 수는 없다. ``무지의 고백``은 대화상대자를 진실한 탐구의 과정으로 이끌어 가기 위한 소크라테스의 전략이다. 소크라테스의 에이로네이아는 도덕교육에서 철학적 탐구의 가능성과 철학적 탐구공동체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또한 도덕교육의 목표와 방향을 설정하는 기준이 될 수 있으며, 대화와 도덕교육에서 질문의 중요성을 확인시켜준다. 그리고 덕의 모범으로써의 소크라테스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ignificance of Moral Education in the Socratic ``Eironeia`` which is visible from the Platon dialogue. ``The Socratic Method`` accepted commonly as ``Elenchus`` begins with Eironeia, and then connects with Elenchus and Aporia. The Eironeia is said to be in an intellectual predicament. It comes from Socrates` confession of ignorance and interlocutor`s awareness of ignorance. The divine message of Delphi reveals Socrates with character which is most wise, but he confesses his ignorance. However, We don`t regard Socrates who inquires a numerous moral knowledge with ignorance like his confession. The confession of ignorance is a strategy of Socrates that leads interlocutor with process of inquiry. The Socratic Eironeia suggests the possibility of philosophical inquiry and necessity of philosophical inquiry community from the moral education. Also it is possibility that could become the standard which sets the aim and a direction of moral education, and confirm the importance of question among dialogues. And it will be able to discover the features of Socrates as model of morality.

      • KCI등재

        소크라테스의 교수법에 나타난 교육 개혁 - 소크라테스적 아이러니와 증여로서의 교육을 중심으로

        조흥만 ( Cho Heung-man ) 한국동서철학회 2017 동서철학연구 Vol.0 No.83

        본 논문은 소크라테스의 독특한 교수법(敎授法)을 탐구함으로써 그의 무지 고백 및 교사 부인과 관련된 직접적이고 명백한 진술들 간의 상충 관계를 해명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교육 체제를 변화시키려는 플라톤의 교육 개혁을 천착하려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도 `소크라테스적 아이러니`를 둘러싼 오랜 편견과 오해를 불식시키는 선행적 분석 작업이 긴 호흡으로 논의될 것이다. 이에 덧붙여서 소크라테스가 “소크라테스적 방법”의 최고의 실천가이자 유일한 참된 교사라는 플라톤의 선언에는 `선물 경제`에 토대를 둔 새로운 “철학”의 발명에 교육 개혁 프로그램이 내재되어 있다는 것을 논증할 것이다. 이를 위해 아이러니의 어원적 뿌리인 그리스어 `에이로네이아`(eironeia)에 대한 전통적인 표준적 해석을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소크라테스의 eironeia의 몇 가지 독특한 형태를 규명하고, 이 과정에서 `소크라테스적 아이러니`에 똬리를 틀고 있는 선행하는 중대한 오해를 제거한다. 먼저 관련 텍스트 분석을 통해 고대 그리스에서 eironeia의 표준적 형태에 `의도적 기만`이나 `부정직성`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과 eironeia의 화신으로 평가받는 `소크라테스적 아이러니`를 그렇게 해석할 경우 그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원천적으로 봉쇄된다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후속 분석 작업을 통해 `소크라테스적 아이러니`는 의도적 기만이 전혀 없는 `조롱 아이러니`와 `복합 아이러니` 로 세분하여 논증된다. 다음에서 이러한 예비적 고찰에서 얻은 `복합 아이러니`를 통해 소크라테스의 지혜 및 교사 부인 문제가 구체적으로 검토된다. 우선 그의 무지 고백이 다른 사람의 지식에 대한 인정이나 자신의 지식에 대한 간헐적인 승인 주장 그리고 그가 지혜로운 자라는 진술들과 어떻게 양립이 가능한지가 논의된다. 또한 같은 맥락에서 소크라테스의 교사 부인 논변에도 불구하고 그가 훌륭한 스승이라고 칭송받는 이유가 탐구된다. 플라톤의 새로운 “철학” 관념의 발명과 이를 “소크라테스적 방법”을 통해 실천하는 소크라테스의 모습은, 교육비를 거절하여 철학함의 자유를 향유하면서 스스로를 `신의 선물`로 주장하는 데에 착안하여 선물 경제에 입각한 소크라테스의 교육관과 시장 경제에 기초한 소피스테스의 교육의 상업화가 대비되어 논의된다. 소크라테스의 철학함의 자유정신은 “철학”을 선물로 간주했던 지적 태도의 산물인데, 선물 경제에 입각한 소크라테스적 교육의 현재적 의미와 한계는 자본으로 환원되지 않은 교육 영역의 확보와 자본의 논리에 포섭된 교육 문제를 풀기 위한 플라톤의 원리적인 교육 개혁의 해법으로 각각 설명된다. In this paper, I set out not only to explain away apparent contradictions between direct statements related to his disavowal of knowledge and of teaching by exploring the teaching method of Socrates but also to examine the educational reformation of Plato to change the traditional education system.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re will be discussed an analytic work to correct the old misconception rooted in `Socratic irony`. Moreover, it will be demonstrated that in Plato` statement that Socrates practising “Socratic method” of achieving moral improvement of interlocutors besides never taking pay is an authentic teacher, Plato`s invention of a new “philosophy” based on a gift economy includes the program of educational reformation. When we go back to the Greeks, we discover that the intention to deceive, so alien to our word for `irony`, is normal in its Greek eironeia. But it is analyzed that there is an alternative use of eironeia which is completely free of an intentional deceit and is used at times by Socrates in Plato. Besides, I will show that Subsidiary in the use of the parent word in classical Greece, eironeia as a mockery without the least intention of deceit now becomes the standard use. As a result, it will be argued that Socrates played the critical role in the mutation of eironeia into irony as a speech used to express a meaning that runs contrary to what is said. It is explored that unlike `simple irony` such as `eironeia with an intentional deceit` and `mocking eironeia`, Socrates`s disavowal of knowledge and of teaching is intelligible only as a `complex ironies`, what is said both is and isn`t what it meant. For example, when Socrates professes to have no knowledge he both does and does not mean what he says. In contrast to divine wisdom the human knowledge of Socrates seems to be identical to ignorance, but in another sense of knowledge identical to JTB(justified true belief) there are many propositions he does claim to know. On the other hand Socrates` parallel disavowal of teaching should be understood not in the conventional sense of teaching as `knowledge transfer` but in the sense of teaching related to an elenctic argument to make his interlocutor him aware of his own ignorance. Next, it is indicated that the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the Socratic manner of teaching and the Sophists` method of teaching consists in if one takes pay for wisdom. Socrates` assertion never to have been anyone`s teacher at 33a5 in Apology turns out to be that he charged no fee for conversing with other people. The Sophistic practice of selling wisdom for money were notorious and the sophists` physicalist model of transferring goods from one person to another simply should not apply to “goods” such as wisdom and virtue. In addition, in having Socrates declare himself “the god`s gift”(Apology 30d-c) to the city, Socrates is situated in a distinctive gift economy instead of a market economy based upon exchange attempted to show in connection with the preliminary discussion in Republic I between Socrates and Thrasymachus. Finally, it is concluded that Socrates` philosophizing as a free spirit resulted from the intellectual attitude of “philosophy” as a gift. The central concern of Socrates` life is “care for the soul.” The limit and meaning of Socratic teaching based on a gift economy for “care for the soul” is drawn from Plato`s program of educational reformation both ensuring educational sphere never reduced to logic of capital and solving the educational problems fettered to a market economy.

      • KCI등재

        총체성에 저항하는 수단으로서의 아이러니와 웃음 (1): 아이러니 -소크라테스에서 리처드 로티까지

        김동훈 ( Dong Hun Kim ) 한국미학회 2016 美學 Vol.82 No.1

        이 논문에서는 총체성에 저항하는 수단으로서 아이러니가 이론철학이나 미학논의에서 갖는 의미를 밝혀내기 위해 소크라테스의 아이러니로부터 시작하여 고대, 중세, 근대와 현대에 이르기까지 아이러니이론과 실천의 다양한 변화의 흐름을 살펴보았다. 아이러니가 소크라테스에게서는 어떻게 기존의 세계관의 지배를 거부하고 진리추구의 출발점을 마련하기 위한 준비단계의 기능을 했는지, 아리스토텔레스에게서는 아이러니가 윤리적 차원에서 어떻게 이중적인 평가를 받았는지, 고대 로마의 수사학에서는 어떻게 고상한 의미를 부여받게 되었는지, 중세에서는 어떻게 아이러니가 비진리, 심지어는 악으로까지 여겨졌는가를 살펴 본 다음, 아이러니가 철학, 예술에 있어서 이성적 총체성에 저항하는 수단으로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낭만주의의 이론을 살펴보았고 그에 대한 헤겔의 신랄한 비판과 키르케고르의 그에 대한 반비판을 통해 아이러니가 철학, 예술 논의에서 지니게 된 중요성을 드러내었다. 그리고 이러한 이론적 기초를 통해 오늘날 에코, 로티 등의 포스트모던 논의에서 아이러니가 어떻게 총체성에 저항하는 수단으로 기능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고찰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이러니는 서구의 철학과 예술의 역사에서 언제나 총체성의 억압적 경향에 대한 저항의 효과적 수단으로 사용되어 왔다. In dieser Abhandlung handelt es sich um die eingehende Betrachtung uber die Ironie als Methode des Widerstandes gegen die Totalitat, von der Antike bis zur zeitgenossischen Philosophie und Asthetik. Fur diesen Zweck hat der Verfasser die Bedeutung der Ironie untersucht, in bezug auf den Diskurs im Bereich der Asthetik bzw. der theoretischen Philosophie. Zuerst wurde die beruhmte Ironie von Sokrates/Platon unter die Lupe gestellt. Dann war die Ironie in der aristotelischen Philosophie als rhetorisches Mittel und danach dieselbe bei den romischen Philosophen, und in der mittelalterlichen Philosophie das Objekt der Behtrachtung. Die romantische Ironie, z. B. bei Schlegel, die regelrecht als Zentralmethode der Kunst und zugleich der Philosophie galt und als Mittel des Widerstandes gegen die Totalitat benutzt wurde, und die heftige Kritik von Hegel an diese Tendenz der deutschen Romantik und eine Art Versuch der Synthesis dieser beiden Theorien der Ironie bei Kierkegaard wurden auch eingehend geschildert. Durch diese ausfuhrliche Betrachtung wurde es klar, wie gross sich die Wichtigkeit der Ironie im Bereich der asthetisch-philosophischen Diskussion herausgestellt hat. Auf dem Grunde dieser Ergebnisse wurden die Theorien der Ironie in der zeitgenossischen postmodernen Philosophie, z. E. diejenige von Richard Rorty, Umberto Eco sorgfaltig behandelt. Als Ergebnis der Forschung hat sich folgendes herausgestellt: In bezug auf die unterdruckende Tendenz der Totalitat hat die Ironie in der Geschichte der abendlandischen Philosophie und Kunst immer als ein sehr wirkungsvolles Mittel des Widerstandes gedient.

      • KCI등재

        토론 교육의 본질에 대한 철학적 고찰 -소크라테스와 포퍼의 논의를 바탕으로-

        이선영 ( Sun Young Lee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5 국어교육 Vol.0 No.150

        This study seeks answers to questions like: Does debate education help students build up their personality? and has students` learning ability improved through debate education? To investigate the answers I refer to the debate classics Socrates and Popper`s literature and I draw three essential principles that consist debate education. First one is ‘Admitting to one`s ignorance’ which is related to Socrates ‘Eironeia’ and the Popper`s ‘fallibility of human reason(Possible Error of Reason)’. It gives explanations about starting point of debate education and the relationships of teacher and students as well as among peer group`s communication. Second is ‘Arguing through competitions which is related to Socrates`s ‘Elenchus’ and Popper`s ‘Falsifiability’ and It can be interpreted in Greek word ‘Agon’ that means non-hostile competition. Last one is ‘Getting forward to new exploration which is related to Socrates`s ‘Aporia’ and Popper`s ‘Nondeterminism’. It supports the necessity of continuous and permanent inquiring mind to the tru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