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너지 시민성과 에너지 정의를 위한 지리교육

        조철기 한국지역지리학회 2022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8 No.1

        Climate change is closely related to energy production and consumption among human activities. This study discusses the need for geography education for energy citizenship as a practical way to prevent climate change caused by human energy production and consumption behavior.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discussed what an energy system is and why transition from a hard energy system based on fossil fuel to a soft energy system based on renewable energy, i.e., energy transition, is necessary. After that, various discourses related to this energy transition were critically considered. Second, this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energy citizenship as a sub-area of ecological citizenship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is energy citizenship. Subsequently, the need for energy citizens as prosumerism and prosumer required for energy transition to decentralized energy systems was discussed. Third, as a way to specifically practice energy citizenship, the practice of mundane energy citizenship through material participation was proposed. Finally, after examining the necessity of energy justice beyond energy citizenship, two practical methods of geography education for energy citizenship were suggested. 이 연구는 기후변화가 인간의 활동 중에서도 에너지의 생산과 소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 기후변화의 원인을예방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으로써 에너지 시민성을 위한 지리교육의 필요성을 논의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에너지 시스템이란 무엇이며, 화석연료에 기반한 경성에너지 시스템에서 재생가능 에너지에 기반한 연성 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전환, 즉에너지 전환이 왜 필요한지를 논의하였다. 그후 이러한 에너지 전환과 관련한 다양한 담론들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둘째, 이 연구는 생태시민성의 하위 시민성으로서의 에너지 시민성이 등장하게 된 배경과 이러한 에너지 시민성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어서 탈중앙집중화된 에너지 시스템, 즉 분산적 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에너지 전환을 위해 요구되는 프로슈머리즘과 프로슈머로서의 에너지 시민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셋째, 에너지 시민성을 구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물질적 참여를 통한 일상적 에너지 시민성의 실천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에너지 시민성을 넘어 에너지 빈곤과 에너지 정의의 필요성에 대해 고찰한 후, 에너지 시민성을 위한 지리교육의 두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서울시 성대골 사례를 통해 본 도시 지역공동체 에너지 전환운동에서의 에너지 시민성 형성 과정

        박종문(Jongmun Park),윤순진(Sun-Jin Yun) 한국공간환경학회 2016 공간과 사회 Vol.26 No.1

        이 연구에서는 지역공동체를 통한 에너지 시민성의 형성 과정과 내용, 에너지시민성 형성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에너지 전환운동의 촉진 요인과 제한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후쿠시마 핵발전사고를 계기로 2011년부터 에너지 전환운동을 펼쳐나가고 있는 서울시 동작구 성대골 에너지자립마을의 에너지 전환운동을 사례로 선택하여 심층면접과 참여관찰, 문서정보 내용분석을 활용하여 사례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 지역공동체는 지역 주민들이 에너지 전환운동에 참여할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상호 신뢰를 기반으로 에너지와 환경문제에 대한 구성원들의 인식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교육의 장을 제공함으로써 에너지 시민성을 함양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성원들의 에너지 시민성은 참여 형태와 정도에 따라 각기 다른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데, 개인적 요인과 공동체 내외부의 다양한 요인들이 에너지 전환운동의 참여를 촉진하거나 제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체 에너지 전환운동에 좀 더 많은 시민들이 참여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공동체 구성원들의 관심사와 성향, 욕구가 다름을 이해하고 에너지운동이 심화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종류의 활동이나 사업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공동체 내에 서 좀 더 활발한 정보 공유와 소통에 힘쓰면서 공동체의 에너지 전환운동 활동을 정치적으로 해석하지 않도록 에너지 전환 노력이 전 사회적으로 함께 진행될 필요가 있음을 발견했다. In the midst of increasing environmental issues and social conflicts associated with energy use, various urban community energy transition movements- that seek to expand the use of renewable energy and reduce energy consumption through energy conservation and efficiency improvement within local units- have been initiated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in order to combat climate change, go beyond nuclear power and thus resolve social conflicts. This case study is centered on the energy transition movements in Sungdaegol Energy Transition Village in Dongjak-gu, Seoul where energy transition movements have taken place since the 2011 Fukushima nuclear disaster in Japan. By performing in-depth interviews, participatory observation, content analysis of relevant documents,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formation process and contents of energy citizenship shaped by local communities and the catalytic factors and constraining factors of energy transition movements which strongly influence energy citizenship formation.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show that local communities foster energy citizenship by being a place where local residents can participate in energy transition movements and at the same time serving as an educational arena that enables changes in local residents’ perceptions of energy and environmental issues based on mutual trust. The study also reveals that energy citizenship of local residents is formed in different ways depending on the method and degree of participation; various factors including personal,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can either promote or constrain participation in energy transition movements. This study concludes that in order for more residents to participate in community energy transition movements there is a need to: understa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interests, preferences and desires among residents; have more diverse activities and projects; increase efforts to share and communicate information; and make efforts for energy transition prevalent in all areas of society in order to avoid community energy transition movements being interpreted as political activities.

      • KCI등재

        서울·경기 지역 에너지협동조합의 호혜 인식과 실천에 관한 연구

        최종민 한국환경사회학회 2023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27 No.1

        This study examines the energy cooperative members’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reciprocity in Seoul and Gyeonggi-do, South Korea. Since the Seoul metropolitan area has low energy independence, the energy cooperative based here could have implications as a form of energy transition movement, and thus, it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irteen members of eight energy cooperatives bas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sustainability of energy cooperatives, it is important to continuously provide members with social values such as satisfaction related to the contributions to energy transition. Second, devices that generate economic benefits are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expansion and participation of members of cooperatives, and energy cooperatives should not overlook this. Third, energy cooperatives bas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re examples of the articulation of energy citizenship and reciprocity, and show the possibility that grassroots citizens can transit the injustice embedded in the hard energy path from below. Fourth, cooperation and solidarity between energy cooperatives are not only due to reciprocity, but ultimately intended to survive together in the market economy system. This study shows that social capitals such as reciprocity, cooperation, and trust between cooperatives are important factors in whether the reciprocal economy can successfully enter and survive the market economy. 이 연구는 서울과 경기 지역 시민참여형 에너지협동조합(이하 에너지협동조합)의 호혜 인식과 실천에 관해 살펴보았다. 에너지자립도가 낮은 수도권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에너지협동조합은 에너지전환 운동의 한 형태로서 시사점을 줄 수 있기에 연구의 대상으로 선택하였고, 수도권 기반 8개 조합의 13명 조합원에 대한 심층면접을 진행했다. 연구의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에너지협동조합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조합원에게 에너지전환 기여와 관련된 만족감과 같은 사회적 가치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두 번째, 경제적인 이익을 창출하는 장치는 조합원 확대와 참여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이며, 에너지협동조합은 이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세 번째, 수도권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에너지협동조합은 에너지 시민성과 호혜성이 접합된 사례이며, 경성에너지경로에 내재하는 불의를 풀뿌리 시민들이 아래로부터 전환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네 번째, 에너지협동조합간 협동과 연대는 호혜감정만이 아니라 궁극적으로 시장경제 체제에서의 생존도 의도한 것이다. 따라서, 에너지협동조합이라는 공익적인 목표가 강조된 호혜경제가 시장경제에 성공적으로 혼입할지 여부는 조합간 호혜와 협동, 신뢰 등 사회적 자본이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에너지전환운동 과정에서의 생태시민성 학습

        조미성(Cho, Mi Seong),윤순진(Yun, Sun-Jin) 한국공간환경학회 2016 공간과 사회 Vol.26 No.4

        에너지자립마을은 기후변화와 에너지 위기에 대한 지역적 대응이며, 주민들의 자발적인 주도와 참여가 핵심적인 성패 요소다. 이 연구는 지역 주민들이 에너지자립마을 운동에 참여하는 동기가 무엇이며 어떠한 변화와 성장을 겪는지 살펴보 고, 이를 생태시민성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 관악구에서 에너지자립마을 활동을 하는 소모임 구성원들에 대한 참여관찰과 심층면접을 위주로 하면서 문헌 조사를 병행하며 사례 연구를 진행했다. 주민들은 초기 에는 사회적 관계망이나 재미에 이끌려 참여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점차 사회적인 의미를 부여하며 생태시민성을 함양해갔다. 이들이 시민성을 형성하는 과정은 전통적인 학습보다는 참여와 실천을 통한 사회적 학습의 양상을 보였다. 또한 구 성원 각자의 생태시민성은 부족해 보였으나, 집단적으로 하는 활동은 생태시민들의 모습을 띠었다. 이러한 양상은 생태시민성을 개인 차원의 접근에 머무르기보다 사회적으로 접근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며, 과정적이고 학습적인 관점에서 해석해야 함을 시사한다. 참여자들은 교육 수준이나 환경의식이 평범한 성인들로서 이들의 변화에 대한 이 연구 결과는 에너지전환운동이 대중적으로 확산될 수 있는 전략적 기초가 될 수 있다. The Energy Self-Sufficient Village (ESSV) movement, which relies heavily on voluntary resident participation, is a local response to climate change and the energy crisis in South Korea. This study aims to explore why participants get involved in the ESSV movement and how they have changed and grown through their ESSV experience, and to understand these findings from an ‘ecological citizenship’ perspective. We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using primarily participant observation of Gwanak District’s ESSV, using both interviews and a literature survey. Many respondents reported initially getting involved in the ESSV movement due to recommendations from social contacts or for leisure. However, participants then attached social meaning to their ESSV activities and cultivated ecological citizenship. ESSV participants’ experiences with citizenship development reveal a departure from conventional classroom learning and instead demonstrate a type of social learning cultivated through participation and practice. We found that, while individually, members did not have high levels of ecological citizenship, collective activities among members seemed to reveal stronger ecological citizenship. This implies that rather than approaching the concept of ecological citizenship through an individual perspective, we must approach ecological citizenship from collective and procedural perspectiv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 which reveal behavioral and attitudinal changes experienced by adult participants with average levels of education and environmental awareness ― can inform strategies for expanding energy transition movements to reach the greater public.

      • KCI등재

        경기도 지역에너지계획의 도민참여 과정 : 민주주의 학습 효과를 중심으로

        고재경(Jae-Kyung Koh),진상현(Sang-Hyeon Jin) 한국NGO학회 2021 NGO연구 Vol.16 No.2

        분산형 에너지의 확대로 인해 지역의 에너지정책 및 계획 과정에서 시민참여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지고 있으며, 실제로 시민참여형 에너지계획을 수립하는 사례도 늘어나고 있다. 특히 문재인 정부는 법정 계획인 지역에너지계획을 모든 광역지자체들이 시민참여방식으로 수립하도록 요구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다른 지자체와 차별화된 방식으로 진행되었던 경기도의 도민참여형 지역에너지계획 수립 과정을 민주주의의 학습이라는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민주주의 학습효과의 산물인 에너지 시민성 관점에서의 평가도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경기도 사례는 일반 시민의 대표성에 초점을 맞추었던 여타 지자체들과 달리 에너지 소양을 갖춘 시민들이 참여하는 모델을 구축함으로써, 방관자적 시민이 아니라 행동하는 에너지 시민의 양성을 통해 계획의 실행력까지 담보해 낼 수 있었다. 즉, 계획의 수립 과정을 풀뿌리 민주주의의 학습 공간으로 조성한 덕분에 에너지 정책 관련 정보와 지식을 습득한 실천적 시민들이 지역에너지계획의 이행 주체로 성장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도민추진단의 학습효과가 계획수립 이후의 에너지전환 활동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참여의 과정과 내용이 설계되었을 뿐만 아니라, 광역과 기초지자체 간의 계획 연계를 통한 정책협력의 토대가 만들어졌다. 사회적 학습 효과를 토대로 시민참여의 성패를 평가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경기도 지역에너지계획의 사례는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둔 것으로 보이며 다른 지역의 사례와 차별화된 특징을 지닌 것으로 판단된다. Citizen’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articipating in the process of local energy policy has increased owing to the expansion of decentralized energy. Consequentially, the cases of residents’ participatory energy planning in the municipalities had frequently been identified. Particularly, the current government of Moon Jae-in asked the whole regional local governments to establish their energy plan in the way of citizen’s participati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planning process of Gyeonggi province which adopted its unique participatory method from the viewpoint of learning effect of democracy. In addition, the concept of energy citizenship was adopted to evaluate the overall participation process. Gyeonggi province, unlike other regions that focused on the representativeness of ordinary citizens, built a planning model in which citizens with energy knowledge participate as local representatives, thereby cultivating active energy citizens not the bystanders, and ensured even the execution ability of the plan. In other words, since the participation process was considered as a learning space for grassroots democracy, practical citizens who acquired information and knowledge related to energy policy could grow as the implementing agent of the local energy plan. Additionally the participation process and contents were designed so that their learning effect can be developed into the energy transformation activities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plan. Also Gyeonggi province attempted to establish the linkage between the regional local government and primary local governments to strengthen the policy cooperation. Based on the argument that the success of citizen participation should be evaluated by the effect of facilitating social learning, the case of Gyeonggi-do appears to have achieved meaningful results and ha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from cases in other regions.

      • KCI등재후보

        사회-기술 시스템 전환과 서울시 환경에너지 거버넌스: ‘원전하나줄이기’ 사례

        허태욱 한국NGO학회 2018 NGO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한국의 사회-기술시스템 전환의 의미와 가능성 속에서 서울시 ‘원전하나줄이기’ 사례가 어떠한 특성과 시사점을 지니고 있는지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거버넌스의 권한(authority)과 관계, 그리고 환경에너지 거버넌스 유형으로 특징지어지는 연구의 분석틀을 수립하고, 거버넌스 평가기준 3가지 부문(제도적 동원, 권한 및 자원의 분배, 상호적 협력)에서의 분석을 통해 서울시 환경에너지 거버넌스의 특성을 유형화하고 전환적 거버넌스로의 함의를 도출한다. 본 연구는 결론적으로, ‘원전하나줄이기’ 환경에너지 거버넌스는 거버넌스 권한(authority) 관계 측면에서 ‘보완적’ 및 ‘전환적’ 접근이 양립하고 있으며, ‘지속가능발전 전환 중심’의 환경에너지 거버넌스 유형의 특성을 드러낸다는 것을 밝힌다. 더 나아가, 본 사례의 환경에너지 거버넌스가 단선적 동력을 넘어 중앙정부 등과의 다층적 공고한 협력관계에 기반을 둔 전환적 거버넌스로 발전해야 하는 과제를 지니고 있으며, ‘에너지 시민성’을 확대할 수 있는 체계적인 지원이 이뤄져야 필요성이 있음을 제시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반핵운동에서 탈핵운동으로: 후쿠시마 핵발전사고 이후 한국 탈핵운동의 변화와 과제

        윤순진 ( Sun Jin Yun )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2015 시민사회와 NGO Vol.13 No.1

        후쿠시마 핵발전사고 이후 우리 사회 반핵운동은 탈핵운동으로 이름이 변화된 데서도 드러나듯이 운동의 내용과 방식이 변화되고 있고 참여 주체들이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어떻게 가능했고 한국의 탈핵운동은 어디까지 와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한국 사회를 바꿀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는 것일까? 이 글에서는 후쿠시마 핵발전사고 이후 우리 사회에서 진행되고 있는 탈핵운동으로의 변화를 “해방적 파국”과 “조직화된 무책임성,” “에너지 시민”으로의 “탈바꿈”이란 틀을 통해 살펴본다. 후쿠시마 핵발전 사고 후 한국 탈핵운동의 주체는 이전의 환경운동단체와 지역주민을 넘어 보다 다양하게 확대되었고 운동 내용도 이전과 달리 특정 시설물의 입지에 대한 반대에 갇히지 않고 대안을 제안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운동방식도 간헐적 폭발적 형태의 시위와 저항 중심의 대응을 벗어나 생활세계 속에서 에너지 대안을 일상적으로 실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탈핵은 한국사회의 지배적인 흐름이 되지는 못하고 있다. 이는 핵발전 의존적인 에너지체제를 떠받치고 있는 다양한 제도들이 에너지 대안들이 성장하는 데 장애요인으로 작용하여 에너지 시민성을 함양한 시민들의 성장이 방해받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 탈핵운동은 이 두 가지를 동시에 해결해 가야 할 과제를 여전히 안고 있다. Much like how the name of Korean “anti-nuclear movements” was changed to post-nuclear movements after the Fukushima nuclear power disaster,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movements as well as the participating groups have been changing. How were such changes possible? How far have Korean post-nuclear movements progressed? Do these changes have the ability to influence Korean society? This paper explores changes occurring in Korean post-nuclear movements through the theoretical frameworks of “emancipatory catastrophism,” “organized irresponsibility” and “metamorphosis” towards “energy citizens.” The main groups of Korean post-nuclear movements have been diversified beyond the boundaries of environmental activist organizations and local residents around nuclear facilities. Furthermore,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movements, unlike in the past, have overcome the objections regarding the locations of specific facilities and have gone past the explosive patterns of demonstrations and resistance. Instead, movements have progressed in the daily lives of the people by responding with suggestions for energy alternatives. Nevertheless, post-nuclear movements have not been able to become dominant flow in Korean society. This is because various institutions supporting a nuclear power-dependent energy system work as barriers against the growth of energy alternatives and thus prevent the growth of citizens building energy citizenships. Korean post-nuclear movements continue to be tasked with simultaneously solving these two challen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